KR102174801B1 -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01B1
KR102174801B1 KR1020180064384A KR20180064384A KR102174801B1 KR 102174801 B1 KR102174801 B1 KR 102174801B1 KR 1020180064384 A KR1020180064384 A KR 1020180064384A KR 20180064384 A KR20180064384 A KR 20180064384A KR 102174801 B1 KR102174801 B1 KR 10217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transfer
block
approv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801B9 (ko
KR20190115391A (ko
Inventor
명노문
김용운
김동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브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9011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01B1/ko
Publication of KR10217480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0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eth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 시스템의 둘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소정의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을 모아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은 상기 큐브를 구성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에스크로 블록으로 생성하는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Data management engine and data management method for a cube chain containing escrow blocks}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에 에스크로 블록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 엔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단위로 모아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을 암호화한 해쉬값을 통해 데이터를 검증하고, 이렇게 기록되는 데이터를 분산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검증과 동일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의 신뢰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기존에 사용되던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블록체인의 장점은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암호화 검증하여 비가역적이고, 이를 P2P 방식으로 동일 데이터를 공유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를 매우 안전하게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필히 신뢰를 얻어야 하는 디지털 화폐 기술에 블록체인이 사용되면서 오늘날 암호화 화폐 시장의 기반 기술로 자리잡은 데에는 이와 같은 이유가 있다. 블록체인이 암호화 방식과 P2P 방식을 사용하여 독특한 데이터 기록 방식을 구현하여 새로운 기술의 지평을 열었지만 여전히 기술적인 한계는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이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대체하려면 속도의 개선과 사용의 편리성 등 기존 데이터베이스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기능들이 동반되어야 한다. 블록체인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면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안전한 방식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큐브체인은 블록대신 큐브라는 개념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적 요소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구조화 시켰다.
따라서 공개 데이터베이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기존의 블록체인이 갖는 장점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가 갖는 몇 가지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큐브체인의 개발은 발전된 블록체인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고 공개용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문헌 1] 한국 등록특허 10-166193호 [문헌 2] 한국 등록특허 10-1827373호
본 발명은, 오랫동안 제기된 블록체인 기반 비트코인의 단점인 거래 채결과 동시에 승인 없이도 거래가 완료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둘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을 큐브 체인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소정의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을 모아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은 상기 큐브를 구성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에스크로 블록으로 생성하는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큐브화 과정은, 상기 소정의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 각각을 해싱(hashing)을 수행하여 데이터 블록들 각각에 대한 해시 값을 획득하는 블록 해시 값 획득 과정 및 상기 큐브화 과정에서 생성된 큐브를 해싱하여 큐브에 대한 해시 값을 획득하는 큐브 해시 값 획득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은, 송신자로부터 소정의 거래 금액을 임시로 이체 받고 임시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임시 이체 결과 기록 과정, 소정의 승인 방식으로 이체를 승인 받고 이체 승인 결과를 기록하는 이체 승인 결과 기록 과정, 상기 이체 승인 과정이 완료된 거래에 대해 상기 소정의 거래 금액을 수신자에게 최종 이체하고 최종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최종 이체 결과 기록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이체 결과 기록 과정은, 이체를 승인 받을 때 사용되는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승인 암호화키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인 암호화키 생성 과정은, 상기 송신자가 직접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발행 방식 또는 상기 에스크로 블록에서 임의의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자동 발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승인 암호화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승인 방식은, 송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송신인 승인 방식, 수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수신인 승인 방식, 송신인 또는 수신인 중 어느 한 명이 이체를 승인하는 선택 승인 방식, 송신인과 수신인 모두 이체를 승인하는 양측 승인 방식,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승인이 이루어지는 자동 승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체가 승인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승인 방식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지나기 전에 송신인이 승인 암호화키를 입력하는 경우, 자동 승인이 해지될 수 있다.
상기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은, 에스크로 거래가 완료된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에 재기록하는 데이터 재기록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정 개수의 블록을 모아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되는 큐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스크로 블록은 임시 이체 결과 기록, 이체 승인 결과 기록, 최종 이체 결과 기록 과정으로 생성된 큐브화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의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는 대금 이체 방법은, 송신자가 소정의 금액을 임시 이체 후, 큐브 체인으로 연결된 소정의 큐브의 에스크로 블록에 임시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임시 이체 결과 기록 단계, 상기 소정의 금액을 송신하는 송신자 또는 상기 소정의 금액을 수신하는 수신자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체 승인을 받아 이체 승인 결과를 상기 에스크로 블록에 기록하는 이체 승인 결과 기록 단계, 상기 소정의 금액이 수신인에게 최종적으로 이체된 결과를 상기 에스크로 블록에 기록하는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큐브 체인의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는 대금 이체 방법이 저장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인 없이는 거래가 완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인 없이는 거래가 완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계약자들 간에 지속적으로 거래 내용을 유지 또는 지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인 없이는 거래가 완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인 없이는 거래가 완료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계약자들 간에 지속적으로 거래 내용을 유지 또는 지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 시스템에서 블록들의 연결 방법을 구조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패턴 각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여 거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여 거래하는 방법과 종래의 에스크로 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데이터 관리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계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큐브 체인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큐브 체인 시스템 기술이란, 블록 체인을 구성하는 27개의 블록을 모아 하나의 큐브로 만드는 큐브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번호 10-2018-0038298호에서 블록들의 연결을 다중화한 새로운 형태의 블록 체인 시스템을 출원하였고, 해당 내용은 본 발명에서 큐브화 과정의 기초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계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소정의 개수의 블록들을 모아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에스크로 블록이 생성된다.
1.1 큐브화 과정
큐브화 과정은 큐브를 구성하는 블록이 생성됨과 동시에 시작되며,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된 큐브들 각각은 해시 값을 가지며, 해시 값은 큐브와 큐브를 연결한다. 즉, 큐브화 기술은 블록을 지속적으로 큐브로 만들고, 만들어진 큐브를 잇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큐브화의 과정은, 큐브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들에 대한 해시 값을 획득하는 블록 해시 값 획득 과정, 데이터 블록들을 소정의 서로 다른 연결 패턴을 가지고 상호 연결하여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큐브에 대한 큐브 해시 값을 획득하는 큐브 해시값 획득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 해시 값 획득 과정 및 큐브 해시 값 획득 과정은 해싱(hashing)이라는 통상적인 과정을 통해 해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획득된 해시 값은 데이터 블록이 위조 또는 변조 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별 블록과 큐브 각각을 해싱하여 블록과 큐브 각각에 대한 해시 값을 획득하므로, 블록들만 해싱하여 해시 값을 획득하는 종래의 블록체인 기술보다 보안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큐브화 과정은, 블록들을 하나 이상 블록들과 상호 연결하는 과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블록들과 상호 연결하는 과정이다.
한편, 상기 큐브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서로 다른 연결 패턴은 블록에서 연결 가능한 블록의 최대 개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상기 큐브의 형태는, 상기 소정의 서로 다른 연결 패턴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큐브는 큐브를 구성하는 블록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로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개수 이하인 경우에는 블록들을 큐브화하여 첫 번째 큐브를 생성하고, 블록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개수 소정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개수를 초과하는 블록들로 두 번째 큐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 큐브를 구성하는 블록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개수를 초과하게 되면, 소정의 개수를 초과하는 블록들로 세 번째 큐브를 생성한다.
예컨대, 27개의 블록이 큐브화되어 생성되는 큐브 체인 시스템에서, 고유 식별 번호 1 내지 80을 가지는 블록 80개가 있는 경우, 첫 번째 큐브는 고유 식별 번호 1 내지 27을 가지는 블록들 구성되고, 두 번째 큐브는 고유 식별번호 28 내지 54을 가지는 블록들로 구성되며, 세 번째 큐브는, 고유 식별 번호 55 내지 80을 가지는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 큐브에는 추후에 생성되는 고유 식별 번호 81을 가지는 블록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큐브가 27개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육면체 입체구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27개의 블록들로 구성되는 큐브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큐브를 구성하는 블록의 개수는 27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으며, 입체구조 또한 육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7개의 블록들을 위상적으로 연결한 큐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27개의 블록들은 3개씩 3열로 9개의 블록이 하나의 평면에 배열되고, 이와 같이 배열되는 9개의 블록이 3층으로 쌓여서 육면체 입체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블록들은 인접한 블록들과 해시 값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7개의 블록 각각은 인접한 6개의 블록과 연결되는 제1 패턴, 인접한 5개의 블록과 연결되는 제2 패턴, 인접한 4개의 블록과 연결되는 제3 패턴, 인접한 3개의 블록과 연결되는 제4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제1 내지 제4 패턴 각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제1 패턴을 가지는 블록은, 27개로 구성되는 육면체 입체구조에서 가운데 있는 블록(14)으로, 하나만 존재하며, 5,11,13,15,17,23 블록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제2 패턴을 가지는 블록은 27개로 구성되는 육면체 입체구조에서 육면체의 각 면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블록으로 5,11,13,15,17,23 블록이다. 상기 제2 패턴을 가지는 블록은 인접한 5개의 블록과 연결되며, 제2 패턴을 가지는 블록 각각에 연결되는 블록은 아래 표 1과 같다.
제2 패턴 블록 제2 패턴 블록과 연결되는 블록
5 2,4,6,8,14
11 2,10,12,14,20
13 4,10,16,14,22
15 6,12,14,18,24
17 8,14,16,18,26
23 14,20,22,24,26
도 5는 27개로 구성되는 육면체 입체구조에서 제3 패턴을 가지는 12개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3 패턴을 가지는 12개의 블록 각각은 인접한 4개의 블록과 연결되며, 제3 패턴을 가지는 블록 각각에 연결되는 블록은 아래 표 2와 같다.
제3 패턴 블록 제3 패턴 블록과 연결되는 블록
2 1,3,5,11
4 1,5,7,13
6 3,5,9,15
8 5,7,9,17
10 1,11,13,19
12 3,11,15,21
16 7,13,17,25
18 9,15,17,27
20 11,19,21,23
22 15,21,23,27
24 13,19,23,25
26 17,23,25,27
도 6은 27개로 구성되는 육면체 입체구조에서 제4 패턴을 가지는 8개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4 패턴을 가지는 8개의 블록 각각은 인접한 3개의 블록과 연결되며, 제4 패턴을 가지는 블록 각각에 연결되는 블록은 아래 표 3과 같다.
제4 패턴 블록 제4 패턴 블록과 연결되는 블록
1 2,4,10
3 2,6,12
7 4,8,16
9 6,8,18
19 10,20,22
21 12,20,24
25 16,22,26
27 18,24,26
한편, 27개의 블록들이 모여 하나의 큐브를 형성하면, 다음에 생성되는 28번째 블록은, 새로운 큐브를 구성하게 된다. 즉 하나의 큐브는 27개의 블록들이 모여서 형성되고, 이와 같이 27개의 블록이 형성된 큐브들이 연결되어 블록 체인을 구현하게 된다.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
한편, 상술한 큐브화 과정은 큐브를 구성하는 27개의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에스크로 블록(Escrow Block)으로 생성하는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스크로 생성 과정은, 송신자로부터 소정의 거래 금액을 임시로 이체 받고 임시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임시 이체 기록 과정, 소정의 승인 방식으로 이체를 승인 받고 이체 승인 결과를 기록하는 이체 승인 기록 과정, 상기 이체 승인 과정이 완료된 거래에 대해 상기 소정의 거래 금액을 수신자에게 최종 이체하고 최종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최종 이체 기록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되는 에스크로 블록은, 상술한 큐브화 과정에서 다른 데이터 블록들과 마찬가지로 해싱되어 해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에스크로 블록은 조건부 날인 증서 거래 기능을 하는 블록으로 에스크로 블록에서 2중 승인 기능을 탑재하여 안전하게 신용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되는 거래 데이터는 거래 데이터를 등록하는 사용자(송신자)가 설정하는 비밀번호를 통해 암호화 및 복호화가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중암호화는, 개인키, 공개키를 생성하고, 공개키를 기반으로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자가 거래 데이터를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 하기 위해 생성된 하나의 추가적인 키로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조건부 날인 증서 거래는, 거래가 채결되더라도 소정의 금액을 받은 주소에서 즉시 받은 금액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반드시 승인이 이루어져야지만 사용할 수 있는 금융 거래를 말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조건부 날인 증서 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3 자(중계자)가 송신인과 수신인 중간에서 거래의 매개 역할을 수행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3 자(중계자)의 개입 없이 송신인과 수신인이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조건부 날인 증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시 이체 결과 기록 과정은, 에스크로 블록에 상술한 조건부 날인 증서 거래에 대한 데이터를 이중 승인 방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이중 승인 방식이란, 일반적인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거래 시 이루어지는 승인 방식 도중, 거래자들 사이에서 승인 암호화키를 추가 발급하여 이중 승인이 이루어져야만 거래가 가능한 방식이다.
한편, 상기 임시 이체 결과 기록과정에서는 이체를 승인 받을 때 사용되는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승인 암호화키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체 승인 결과 기록 단계는, 상기 소정의 방식으로 승인 암호화키를 확인하여 이체 승인을 받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의 승인 방식은, 송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송신인 승인 방식, 수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수신인 승인 방식, 송신인 또는 수신인 중 어느 한 명이 이체를 승인하는 선택 승인 방식, 송신인과 수신인 모두 이체를 승인하는 양측 승인 방식,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승인이 이루어지는 자동 승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체를 승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승인 방식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지나기 전에 송신인이 승인 암호화키를 입력하는 경우, 자동 승인이 해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중 승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송신인이 거래를 취소할 수는 없지만, 수신인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계약을 지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이체가 승인되면, 상기 최종 이체 결과 확인 기록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는, 수신자가 이체된 금액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기록하는 과정일 수 있다.
한편,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가 수행되는 시점에서 에스크로 블록의 데이터는 일반 데이터로 전환되어 데이터 블록에 재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데이터로 전환된 기존의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다음 큐브가 생성될때는 삭제된다.
다시 말해, 에스크로 블록은 에스크로 거래가 완료되는 시점에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일반 데이터 블록에 재기록하고,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삭제한다.
한편, 에스크로 블록은 제2 패턴을 가지는 식별번호 5인 블록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른 패턴을 가지는 블록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에스크로 블록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차이는 없을 수 있다.
1.3 큐브 체인 시스템의 큐브화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 매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큐브 체인 시스템의 큐브화 데이터는 소정의 개수의 블록을 모아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되는 큐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크로 블록은 임시 이체 결과 기록, 이체 승인 결과 기록, 최종 이체 결과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는, 데이터 CD, USB 메모리,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 등의 포터블 메모리(portable memory)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정적 메모리(static memory, SRAM) 등의 넌 포터블 메모리(non-portable memory)등이 사용될 수 있다.
1.4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한 대금 이체 방법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여 이체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한 대금 이체 방법은, 도 7과 같이 송신자가 소정의 금액을 임시 이체 후, 에스크로 블록에 임시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임시 이체 결과 기록 단계, 상기 소정의 금액을 송신하는 송신자 또는 상기 소정의 금액을 수신하는 수신자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체 승인을 받아 이체 승인 결과를 기록하는 이체 승인 결과 기록 단계, 상기 소정의 금액이 수신인에게 최종적으로 이체된 결과를 기록하는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시 이체 결과 기록 단계는, 계약된 금액을 송신인이 수신인에게 이체하는 과정으로, 임시 이체 과정에서 이체된 소정의 금액은 이체 승인이 이루어져야지만 수신자가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는 거래 방법은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승인 암호화키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인 암호화키 생성 단계는, 승인 암호화키 생성 송신자가 직접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발행 방식, 상기 에스크로 블록에서 임의의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자동 발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체 승인은, 송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송신인 승인 방식, 수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수신인 승인 방식, 송신인 또는 수신인 중 어느 한 명이 이체를 승인하는 선택 승인 방식, 송신인과 수신인 모두 이체를 승인하는 양측 승인 방식,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승인이 이루어지는 자동 승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체가 승인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승인 방식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지나기 전에 송신인이 승인 암호화키를 입력하는 경우, 자동 승인이 해지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는 상술한 임시 이체 결과 기록 단계 및 이체 승인 결과 기록 단계가 모두 완료된 후에 수행되며,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까지 완료된 소정의 금액은 수신사가 임의로 사용가능 하다.
한편, 상기 에스크로 블록은, 상술한 임시 이체 결과 기록 단계, 이체 승인 결과 기록 단계 및 최종 이체 결과 기록 단계까지 모두 끝난 에스크로 거래 데이터를 일반 데이터 블록에 재기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여 거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한 대금 이체 방법은, 제3 자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때 제 3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는 거래 방법의 이체 승인 결과 기록 단계에만 개입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에스크로 거래 방식은 송신인이 제3 자에게 소정의 금액을 위탁한 후, 제 3자가 송신인의 승인을 받아 수신인에게 전달하는 방식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하는 거래에서는 송신인이 소정의 금액을 제3 자에게 위탁하는 것이 아니라,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해 놓고, 제3 자에게 승인을 허락하는 경우, 상기 에스크로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금액이 수신인에게 이체되는 방식이다.
즉, 제3 자와 송신인 사이에 금전적인 거래가 발생하지 않고, 제3 자는 단순히 이체를 승인하는 역할만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금 이체 방법은, 기록 매체에 기록(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크로 블록은 임시 이체 결과 기록, 이체 승인 결과 기록, 최종 이체 결과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는, 데이터 CD, USB 메모리,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 등의 포터블 메모리(portable memory)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정적 메모리(static memory, SRAM) 등의 넌 포터블 메모리(non-portable memory)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내지 27 : 큐브 내의 블록 각각의 고유 번호

Claims (11)

  1. 데이터 관리 엔진을 사용하여 둘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을 큐브 체인으로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을 모아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은
    블록들을 하나 이상 블록들과 상호 연결하는 과정으로,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에 따라 연결 패턴이 결정되며,
    상기 소정의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 각각을 해싱(hashing)을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개수의 데이터 블록들 각각에 대한 해시 값을 획득하는 블록 해시 값 획득 과정; 및
    상기 큐브화 과정에서 생성된 큐브에 대해 해싱을 수행하여 큐브에 대한 해시 값을 획득하는 큐브 해시 값 획득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6개인 경우, 제1 패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제2 패턴으로 연결되며,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제3 패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제4 패턴으로 연결되며,
    상기 큐브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에스크로 블록으로 생성하는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은,
    송신자로부터 소정의 거래 금액을 임시로 이체 받고 임시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임시 이체 결과 기록 과정;
    소정의 승인 방식으로 이체를 승인 받고 이체 승인 결과를 기록하는 이체 승인 결과 기록 과정;
    상기 이체 승인 과정이 완료된 거래에 대해 상기 소정의 거래 금액을 수신자에게 최종 이체하고 최종 이체 결과를 기록하는 최종 이체 결과 기록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임시 이체 결과 기록 과정은,
    이체를 승인 받을 때 사용되는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승인 암호화키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인 암호화키 생성 과정은,
    상기 송신자가 직접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사용자 발행 방식; 또는
    상기 에스크로 블록에서 임의의 승인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자동 발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승인 암호화키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승인 방식은,
    송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송신인 승인 방식;
    수신인만 이체를 승인하는 수신인 승인 방식;
    송신인 또는 수신인 중 어느 한 명이 이체를 승인하는 선택 승인 방식;
    송신인과 수신인 모두 이체를 승인하는 양측 승인 방식;
    소정의 기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승인이 이루어지는 자동 승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체가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 승인 방식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지나기 전에 송신인이 승인 암호화키를 입력하는 경우, 자동 승인이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스크로 블록 생성 과정은,
    에스크로 거래가 완료된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에 재기록하는 데이터 재기록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체인 데이터 블록 연결 방법.
  9. 큐브 체인 시스템의 큐브화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큐브화 데이터는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연결 패턴으로 블록들을 하나 이상의 블록들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되며,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6개인 경우, 제1 패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제2 패턴으로 연결되며,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제3 패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에 연결되는 다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제4 패턴으로 연결되며,
    상기 큐브화 과정으로 생성되는 큐브는,
    임시 이체 결과 기록;
    이체 승인 결과 기록;
    최종 이체 결과 기록;
    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화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 매체.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64384A 2018-04-02 2018-06-04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174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300 2018-04-02
KR1020180038300 2018-04-02
KR1020180038299 2018-04-02
KR1020180038299 2018-04-02
KR1020180038301 2018-04-02
KR1020180038301 2018-04-02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91A KR20190115391A (ko) 2019-10-11
KR102174801B1 true KR102174801B1 (ko) 2020-11-05
KR102174801B9 KR102174801B9 (ko) 2021-07-14

Family

ID=68210375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82A KR102194190B1 (ko) 2018-04-02 2018-06-04 통계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방법
KR1020180064383A KR20190115390A (ko) 2018-04-02 2018-06-04 색인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방법
KR1020180064384A KR102174801B1 (ko) 2018-04-02 2018-06-04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80078359A KR20190115393A (ko) 2018-04-02 2018-07-05 큐브 체인의 암호화 방법 및 큐브 체인을 이용한 코인 거래를 확인하는 방법
KR1020180090251A KR20190115397A (ko) 2018-04-02 2018-08-02 큐브 체인을 이용한 개인과 개인간의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180090250A KR20190115396A (ko) 2018-04-02 2018-08-02 큐브 체인을 이용한 sn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180090252A KR20190115398A (ko) 2018-04-02 2018-08-02 큐브 체인을 이용한 챗봇 기반의 콜센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82A KR102194190B1 (ko) 2018-04-02 2018-06-04 통계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방법
KR1020180064383A KR20190115390A (ko) 2018-04-02 2018-06-04 색인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59A KR20190115393A (ko) 2018-04-02 2018-07-05 큐브 체인의 암호화 방법 및 큐브 체인을 이용한 코인 거래를 확인하는 방법
KR1020180090251A KR20190115397A (ko) 2018-04-02 2018-08-02 큐브 체인을 이용한 개인과 개인간의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180090250A KR20190115396A (ko) 2018-04-02 2018-08-02 큐브 체인을 이용한 sn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180090252A KR20190115398A (ko) 2018-04-02 2018-08-02 큐브 체인을 이용한 챗봇 기반의 콜센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194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832B1 (ko) * 2019-12-02 2021-08-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융합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CN111429046A (zh) * 2020-06-12 2020-07-17 深圳大数据计算机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去中心化的用户评价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835A (ja) * 1999-05-20 2000-11-30 Fujitsu Ltd 記憶装置及びデータ記憶構造
KR100918024B1 (ko) * 2009-03-19 2009-09-18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전자화폐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카드의 에스크로 실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0268B1 (ko) *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93B1 (ko) 1995-12-30 1999-02-18 석진철 중장비의 아암굴삭력 증대장치
WO2016178312A1 (ja) * 2015-05-07 2016-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6199518B1 (ja) * 2017-03-23 2017-09-20 株式会社bitFlyer プライベートノード、プライベートノードにおける処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1827373B1 (ko) 2017-08-29 2018-02-08 주식회사 더블체인 채굴 제한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블록윈도우 모듈 및 관리 서버 그리고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835A (ja) * 1999-05-20 2000-11-30 Fujitsu Ltd 記憶装置及びデータ記憶構造
KR100918024B1 (ko) * 2009-03-19 2009-09-18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전자화폐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카드의 에스크로 실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0268B1 (ko) *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90A (ko) 2019-10-11
KR20190115397A (ko) 2019-10-11
KR102174801B9 (ko) 2021-07-14
KR20190115396A (ko) 2019-10-11
KR102194190B9 (ko) 2021-07-14
KR20190115389A (ko) 2019-10-11
KR20190115398A (ko) 2019-10-11
KR102194190B1 (ko) 2020-12-23
KR20190115393A (ko) 2019-10-11
KR20190115391A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0050B1 (en) Secure custody of a ledger token and/or a quantity of cryptocurrency of a distributed ledger network through binding to a possession token
TWI706275B (zh) 用於資訊保護的系統和方法
CN108389047B (zh) 区块链中母链与子链交易的方法及区块链网络
CN110870254B (zh) 提供分布式私有子空间化数据结构的方法和系统
CN112491847B (zh) 区块链一体机及其自动建链方法、装置
JP2021512569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のデータ処理方法、管理側、クライアント側、変換装置及び媒体
EP3547203A1 (fr) Méthode et système de gestion d'accès à des données personnelles au moyen d'un contrat intelligent
RU2300844C2 (ru) Персональный криптозащитный комплекс
DE69635234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und Verwaltung eines privaten Schlüssels in einem kryptografischen System mit öffentlichem Schlüssel
TW202020711A (zh) 用於資訊保護的系統和方法
CN11107917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数据隐私保护方法及存储介质
US20210234702A1 (en) Multi-decentralized private blockchains network
JPWO2018043599A1 (ja) 情報共有システム
KR102042339B1 (ko)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한 기기들간 암호화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10352413A (zh) 一种基于策略的实时数据文件访问控制方法与系统
CN112801778B (zh) 联盟式不良资产区块链系统
KR102174801B1 (ko) 에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큐브 체인 형태의 데이터 관리 엔진 및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4647B1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방법
CN11158606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授权方法
KR20210138452A (ko) 블록체인 기반의 did 서비스, ipfs 기반의 데이터 공유 기술, 및 개인키 분산 저장 기술이 결합된 비대면 대용량 문서 접근 블록체인 시스템
KR2019010595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문서 관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Mohammad Etemad et al. Generic efficient dynamic proofs of retrievability
TW583568B (en) A secure access method and system
CN112231751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传输系统及方法
KR102147085B1 (ko) 전자문서의 사후 파기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