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57B1 -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57B1
KR102174557B1 KR1020200047679A KR20200047679A KR102174557B1 KR 102174557 B1 KR102174557 B1 KR 102174557B1 KR 1020200047679 A KR1020200047679 A KR 1020200047679A KR 20200047679 A KR20200047679 A KR 20200047679A KR 102174557 B1 KR102174557 B1 KR 10217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nozzle
unit
blood
solid re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원
문창상
최윤숙
전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4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57B1/ko
Priority to CN202080002024.4A priority patent/CN113841054A/zh
Priority to PCT/KR2020/008881 priority patent/WO2021215584A1/ko
Priority to EP20931920.1A priority patent/EP4080218A4/en
Priority to JP2020564203A priority patent/JP7340267B2/ja
Priority to US17/087,169 priority patent/US2021032541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01N33/721Haemoglobin
    • G01N33/726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01N33/721Haemoglobin
    • G01N33/723Glycosylated haemoglob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5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a carousel or turntable for reaction cells or cuvet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4Cleaning sample transfe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는, 혈액 및 복수의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회전트레이부;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노즐을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기 혈액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이 상기 복수의 약물을 통해 약품처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혈액, 상기 복수의 약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노즐에 흡입시키거나 상기 흡입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트리지에 토출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본 발명은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과 복수의 약물이 모두 구비된 카트리지, 회전 방식 및 노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혈액을 약품처리하고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당이 정상범위보다 높은 상태로 오랜 기간 지속되는 대사 질환군이다. 혈당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면, 당뇨병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성비케톤성 혼수 등의 급성 합병증과 심혈관질환, 뇌졸중, 만성신부전, 당뇨병성 궤양, 당뇨망막병 등의 장기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당뇨환자는 혈당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다양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혈당수치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혈당(Blood Glucose)은 당뇨병을 진단하거나 관리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혈당은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의 농도를 의미하며, 수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식이, 신체활동상태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아 시시각각 변동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순간순간의 혈당이 아닌 평균혈당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간의 혈당을 파악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당화혈색소 (HbA1c)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당화혈색소(HbA1c)는 적혈구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혈색소에 혈관속의 포도당, 즉, 혈당이 결합된 형태를 의미한다. 혈당이 높아지면 혈색소와 결합하는 혈당이 많아지므로 당화혈색소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결합된 당은 쓰이지않고 혈색소에 결합된 상태로 머물기 때문에 당화혈색소는 평균적인 수치가 유지된다. 한편, 적혈구의 평균수명이 약 3개월이기 때문에 당화혈색소는 약 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한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885964호, 2018.07.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해 거쳐야하는 복수의 단계들이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당화혈색소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무늬(예: 바코드, QR코드)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는, 혈액 및 복수의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회전트레이부;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노즐을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기 혈액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이 상기 복수의 약물을 통해 약품처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혈액, 상기 복수의 약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노즐에 흡입시키거나 상기 흡입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트리지에 토출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해 거쳐야하는 복수의 단계들이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당화혈색소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무늬를 이용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할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가 적용된 하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카트리지와 캐필러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체시약"은 당화혈색소 측정에 사용되는 시약으로서, 용혈현상(Hemolysis)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는 시약을 의미한다. 즉, 용혈시약은 혈액 속의 적혈구를 붕괴시켜 헤모글로빈이 혈구 밖으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분해용액"은 검사체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시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념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10)는 내부에 광원과 측정부(촬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All-in-one 카트리지(100)에 있는 정보무늬(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카트리지(100) 제작시마다 생길 수 있는 오차 보정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카트리지(100)가 삽입되면 모터에 의해 회전, 상승 및 하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00)는 혈액 샘플을 넣고,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해 약품처리를 수행하는 키트일 수 있고,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10)는 약품처리된 혈액에 광을 제공하면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CMOS 카메라가 장치(10) 내부에 고정된 위치에서 카트리지(100)의 회전에 따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혈액 삽입된 카트리지(100)를 장치(10)에만 넣으면 사용자의 조작 필요 없이 자동으로 모든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10)는 카트리지(100), 측정장치 본체(200) 및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측정대상물에 해당하는 혈액과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해 혈액에 약품처리를 하기 위한 복수의 약물을 수용할 수 있다. 측정장치 본체(200)는 카트리지(200)에 수용된 혈액을 자동으로 약품처리할 수 있고,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300)는 당화혈색소 측정의 진행 상황 및 결과를 시각적으로 미리 지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100)는 혈액 및 복수의 약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약물은 고체시약, 분해용액 및 반응액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혈액이 수용되는 혈액부(R1-1), 고체시약이 수용되는 고체시약부(R1-2), 분해용액이 수용되는 분해용액부(R2), 반응액이 수용되는 반응액부(CL), 멤브레인이 수용되는 멤브레인부, 세척부(SP), 정보무늬 인식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카트리지(100)가 포함하는 각 구성들은 액체 또는 고체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장치 본체(200)는 구동부(210), 측정부(220) 및 회전트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측정장치 본체(200)의 내부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외부 하우징이 미도시되었지만, 구동부(210), 측정부(220) 및 회전트레이부(230)는 측정장치 본체(200) 내부에 구비된 구성이다. 또한, 구동부(210)는 회전트레이부(230)의 가장자리 및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측정부(220)는 회전트레이부(230)의 가장자리 및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210)는 카트리지(100) 위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노즐(211)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이 복수의 약물을 통해 약품처리되도록 구동부(210)는 혈액, 복수의 약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노즐(211)에 흡입시키거나 흡입된 적어도 하나를 카트리지(100)에 토출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210)는 카트리지(100)에 포함된 혈액, 복수의 약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들을 카트리지(100) 내부의 복수의 공간들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동작은 도 12 내지 도 37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200)는 노즐(211)이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 모터와 연결된 톱니부(214), 톱니부(214)와 맞물리며 톱니부(214)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이 가능한 가이드부(213) 및 일단이 가이드부(212)와 연결되고 타단이 노즐(211)과 연결되며 타단이 카트리지(100) 위에 위치하는 연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의 각 구성들은 기존 공지된 기술들(예컨대, 피스톤 펌프)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00)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즐(211)은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운동만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위치는 후술할 카트리지(100)에 형성된 각종 홀이 회전에 의해 놓여지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즉, 회전트레이부(230)의 회전에 의해 카트리지(100)의 혈액 또는 복수의 약물들이 노즐(211)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트레이부(230)는 카트리지(100)가 배치되며 카트리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회전트레이부(230)는 당화혈색소 측정 과정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하여 설정된 위치(예: 측정 영역 또는 노즐(211)의 아래)에 카트리지(100)의 해당 구성을 정지시키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회전트레이부(230)는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평행이 유지되고 변형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한편, 회전트레이부(230)의 회전축은 내부 모터 또는 구동부(210)와 함께 사용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트레이부(230)는 혈액부(R1-1), 고체시약부(R1-2), 분해용액부(R2), 반응액부(CL) 및 멤브레인부가 노즐(211)이 상하 운동하는 영역(또는 노즐(211)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에 기반하여 카트리지(100)를 회전시킬수 있다. 즉, 카트리지(100)는 혈액 또는 복수의 약물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R1-1, R1-2, R2, CL)들을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구비할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의 회전에 의해 카트리지(100)의 내부 공간들이 노즐(21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트레이부(230)는 카트리지(100)가 거치될 수 있으며 고정까지 시킬 수 있는 수용홈(232)이 형성된 회전트레이부 본체(231) 및 가이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트레이부 본체(231)는 원형의 트레이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트레이부 본체(231)에는 카트리지(100)가 안착되는 바닥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력은 별도의 모터에서 제공하거나 구동부(210)의 모터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트레이부 본체(231)는 가이드부(233)를 따라 가이드부(2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트레이부 본체(231)는 카트리지(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트리지(100)를 노즐(211)과 측정부(220)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회전트레이부(230)의 각 구성들은 기 공지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220)는 카트리지(100) 위에 위치하며 혈액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220)는 광학적 방법으로 혈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혈당과 결합하지 않은 혈색소(Hb)와 당화혈색소(HbA1c)는 각각 다른 파장대에서 반응하므로, 측정부(220)는 측정대상물질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한다.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당화혈색소는 수치로 표현되는 일 실시예로, 당화혈색소 수치는 HbA1c%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당화혈색소 수치는 당화혈색소(HbA1c)의 농도와 헤모글로빈(Hb) 농도의 비율(%)이다. HbA1c%의 산출은 NGSP(National Glycohemoglobin Standardization Program), IFCC(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JDS(Japanese Diabetes Spciety) 등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측정부(220)는 약품처리된 혈액에서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카메라(221), 약품처리된 혈액에 적색광을 방출하는 적색 엘이디(222), 약품처리된 혈액에 청색광을 방출하는 청색 엘이디(223), 카메라(221), 적색 엘이디(222) 및 청색 엘이디(223)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224) 및 측정부(220)를 측정 영역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연결 프레임(225)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CMOS CAM일 수 있다. 측정부(220)의 각 구성들은 기 공지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10)는 센서부(미도시) 또는 프린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구동부(210) 및 회전트레이부(23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구동부(210) 및 회전트레이부(230)는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고,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정지할 수 있게 된다. 프린터부는 당화혈색소 측정 결과를 용지 등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할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 부재가 적용된 하부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카트리지와 캐필러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카트리지(100)는 혈액 및 복수의 약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약물은 고체시약, 분해용액 및 반응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00)는 원형의 키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복수의 공간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간들에 혈액, 복수의 약물 또는 세척 물질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10)의 노즐(211)이 복수의 공간들에 구비된 혈액 등을 흡입 또는 토출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100)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노즐(211)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공간들은 혈액부(R1-1), 세척부(SP), 고체시약부(R1-2), 분해용액부(R2), 반응액부(CL) 및 멤브레인부로 명명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한편, 정보무늬 인식부(B)는 카트리지(100) 상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부(R1-1), 세척부(SP), 고체시약부(R1-2), 분해용액부(R2), 반응액부(CL) 및 멤브레인부는 원형의 카트리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부(R1-1)는 혈액을 수용할 수 있고, 고체시약부(R1-2)는 고체시약을 수용할 수 있고, 분해용액부(R2)은 분해용액을 수용할 수 있고, 반응액부(CL)는 반응액을 수용할 수 있고, 멤브레인부는 멤브레인을 수용할 수 있고, 세척부(SP)는 노즐(211)을 세척하는 물질(이하, 세척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무늬 인식부(B)는 정보무늬 스티커(150)를 수용할 수 있다. 고체시약, 분해용액, 반응액, 세척물질은 모두 각각 수회 이상 반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 사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카트리지(100)가 실제로 제조되어 유통되기 전에 복수의 약물들이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액은 혈액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희석액일 수 있다. 분해용액은 일종의 워셔액으로서, 측정대상물질을 세척하여 측정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워싱 솔루션(Washing solution)을 제공하는 시약이다. 분해용액은 필요에 따라 세척 외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척효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체시약은 당화혈색소 측정에 사용되는 시약으로서, 용혈현상(Hemolysis)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는 시약이다. 즉, 고체시약은 채취한 혈액 속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해 혈액 속의 적혈구를 붕괴시켜 헤모글로빈이 혈구 밖으로 유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고체시약은 필요에 따라 용혈현상 유도 외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혈효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100)는 상부 카트리지(110), 하부 카트리지(120), 캐필러리(130), 포인트 스티커(140), 정보무늬 스티커(150), 실링 부재(160), 멤브레인(170) 및 컨테이너(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카트리지(110)는 하부 카트리지(120)와 결합되어 카트리지(100)의 외형을 정의하며 내부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카트리지(110)는 노즐(211)이 통과 가능하도록 혈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혈액부 홀(113), 고체시약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고체시약부 홀(117), 분해용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분해용액부 홀(118), 반응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반응액부 홀(119), 멤브레인(17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멤브레인부 홀(116), 세척 물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세척부 홀(114)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카트리지(110)는 포인트 스티커(140)가 안착되는 포인트 스티커부(111), 캐필러리(130)가 삽입되는 캐필러리 홀(112), 캐필러리(130)가 안착되는 캐필러리 홈(131), 정보무늬 스티커(150)가 안착되는 정보무늬 스티커부(115)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스티커부(111), 캐필러리 홈(131) 및 정보무늬 스티커부(115)는 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카트리지(120)는 혈액을 수용하는 혈액부 용기(123), 고체시약을 수용하는 고체시약부 용기(127), 분해용액을 수용하는 분해용액부 용기(128), 반응액을 수용하는 반응액부 용기(129), 멤브레인(170)을 수용하는 멤브레인부 용기(126), 세척 물질을 수용하는 세척부 용기(124), 바코드 영역(125), 케필러리 영역(132)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인트 스티커(140)는 카트리지(100)가 회전트레이부(230)에 삽입되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고 포인트 스티커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무늬 스티커(150)는 복수의 약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정보무늬 인식부(B)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링 부재(160)는 고체시약, 분해용액 및 반응액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고체시약부 용기(127), 분해용액부 용기(128) 및 반응액부 용기(129)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160)는 노즐(211)이 고체시약, 분해용액 또는 반응액을 흡입하기 위해 하강할 때 뚫릴 수 있다. 즉, 실링 부재(160)는 카트리지(100)의 유통을 위해 밀폐 기능을 하며, 실제로 측정 시 노즐(211)에 의해 뚫려서 밀폐되는 공간을 개방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멤브레인(170)은 혈액과 복수의 약물들이 혼합된 혼합액이 안착되어 실질적으로 측정대상물질이 위치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170)은 선택적 투과성을 가진 물질로 구성된다. 구체적인 예로, 멤브레인(170)은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입자를 분리하는 일반 여과뿐만 아니라, 액체 상태의 용액에 용해된 용존 물질을 분리하는 것까지 가능한 여과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멤브레인(170)은 당화혈색소 측정을 시행할 때마다 교체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인 예로, 카트리지(100)는 상하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부 카트리지(110)를 분리하여 멤브레인(170)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리하게 멤브레인(170)을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170)은 용액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굴곡없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180)는 고체시약부 용기((127)에 삽입되어 고체시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캐필러리(130)는 처음 제조되어 카트리지(100)가 출고될 때에 카트리지(100)에 꼽혀서 같이 출고된 이후에 사용자가 뽑아서 사용할 수 있다. 캐필러리(130)는 사용자에 의해 채워지는 혈액을 저장하며 상부 카트리지(110)에 형성된 캐필러리 홈(13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캐필러리 삽입부(131) 및 캐필러리 용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필러리 삽입부(131)는 상부 카트리지(110)에 구비되며 혈액부 용기(123)와 연통되는 캐필러리 삽입홀(112)에 삽입 가능할 수 있고, 캐필러리 용기(132)는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캐필러리 삽입부와 연결되며 사전 저장된 혈액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복수의 약물을 구비한 채, 내부에 혈액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의 캐필러리(130)가 포함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이후, 실제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경우에 캐필러리(130)는 카트리지(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측정대상물질인 혈액을 채취한 이후에 다시 카트리지(100)와 하기 설명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필러리 용기(132)는 당화혈색소 측정에 요구되는 특정한 용량(예를 들어, 5ul)이 정확하게 채취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이 채워진 캐필러리(130)는 도 9와 같이 카트리지(100)의 캐필러리 삽입홀(112)에 삽입될 수 있고, 도 10(a)와 같이 삽입된 이후에 도 10(b)와 같이 캐필러리 용기(132)에 채워진 혈액이 캐필러리 삽입부(131)를 통해 카트리지(100)의 혈액부(R1-1)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테스트를 수행하는 사람의 외력에 의해 캐필러리 용기(132)가 캐필러리 삽입부(131)와 분리될 수 있고, 캐필러리 삽입부(131)만 카트리지(100)에 남겨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캐필러리 용기(132)가 카트리지(100)의 회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의 동작들은 도 2에 도시된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각각 표시된 화살표는 현재 도면에서 다음 도면으로 진행하기 위한 노즐(211)의 진행 방향과 카트리지(100)의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현재 도면에 아래 방향의 화살표와 시계 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된 경우, 노즐(211)의 다음 동작(다음 도면)의 방향은 하강 방향이고, 카트리지(100)의 다음 동작(다음 도면)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에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필러리(130)를 이용하여 혈액부(R1-1)에 혈액을 투입할 수 있다. 동작 S1은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기 공지된 로봇 암 등의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할 카트리지(100)는 혈액부(R1-1), 세척부(SP), 고체시약부(R1-2), 분해용액부(R2), 반응액부(CL) 및 멤브레인부(M)에 각각 혈액, 세척물질, 고체시약, 분해용액, 반응액 및 멤브레인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구동부(210)는 제공하여야 하는 정량보다 노즐(211)에 타켓물질을 많이 흡입한 후 정량 제공 후 나머지를 버리는 방식으로 원하는 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노즐(211)에 남은 잔량에 의한 오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반응액부(CL)의 반응액으로 세척까지 수행하여 다음 약물 흡입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2에서, 측정부(220)는 카트리지(100)의 정보무늬 인식부(B)에 놓여진 정보무늬 스티커(150)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무늬 스티커(150)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회전트레이 본체(231)의 빈 공간에 도 14와 같이 카트리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포인트 스티커(140)의 방향(도 14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에 맞추어 카트리지(100)가 회전트레이 본체(231)에 삽입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220)가 도 14의 카트리지(100)의 중심 기준으로 7시 방향(이하에서 설명할 모든 시간 방향은 카트리지(100) 중심 기준)에 위치할 경우, 회전트레이부(230)는 카트리지(100)를 도 14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와 같이 바코드부(B)는 7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며 측정부(220)는 바코드부(B)에 위치한 정보무늬 스티커(150)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무늬에 포함된 복수의 약물들의 정보를 구동부(210)가 획득하여 오차보정 가능하게 알고리즘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3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반응액부(CL)에서 반응액을 흡입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 예에서 노즐(211)은 12시 방향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16과 도시된 대로 노즐(211) 아래로 반응액부(CL)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반응액부(CL)로 하강시켜 도 16에 도시된 대로 반응액을 노즐(211)로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211)에 반응액 150ul가 흡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4에서, 혈액부(R1-1)에서 혈액과 반응액이 혼합된 이후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통해 혈액부(R1-1)에서 제1 혼합액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16에 도시된 노즐(211)을 도 17과 같이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17에 도시된 대로 노즐(211) 아래로 혈액부(R1-1)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혈액부(R1-1)로 하강시켜 흡입한 반응액을 혈액부(R1-1)에 토출할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혈액부(R1-1)로 하강시켜 토출한 반응액과 혈액이 혼합된 제1 혼합액을 혈액부(R1-1)에서 노즐(211)로 흡입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혈액부(R1-1)에 반응액 150ul 토출되고, 혈액과 반응액이 혼합된 이후 제1 혼합액 전량인 150ul이 노즐(211)에 흡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5에서, 고체시약부(R1-2)에서 제1 혼합액과 고체시약이 혼합된 이후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고체시약부(R1-2)에서 제2 혼합액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18과 도 19와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18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19에 도시된 대로 노즐(211) 아래로 고체시약부(R1-2)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고체시약부(R1-2)로 하강시켜 흡입한 제1 혼합액을 고체시약부(R1-2)에 토출할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고체시약부(R1-2)로 하강시켜 토출한 제1 혼압액과 고체시약이 혼합된 제2 혼합액을 고체시약부(R1-2)에서 노즐(211)로 흡입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혼합액 전량을 고체시약부(R1-2)에 토출 후, 제1 혼합액과 고체시약 혼합 후, 제2 혼합액 100ul가 노즐(211)에 흡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6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멤브레인부(M)에 제2 혼합액을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다시 상승시키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 아래로 멤브레인부(M)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멤브레인부(M)로 하강시켜 흡입한 제2 혼합액 중 일부를 멤브레인부(M)에 토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혼합액 25ul를 멤브레인부(M)에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7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제2 혼합액 잔량을 고체시약부(R1-2)에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 아래로 고체시약부(R1-2)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고체시약부(R1-2)로 하강시켜 흡입한 제2 혼합액 중 나머지를 고체시약부(R1-2)에 토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혼합액 잔량 25ul을 고체시약부(R1-2)에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8에서, 구동부(210)는 반응액부(CL)에서 반응액을 이용하여 노즐(211)을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24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25와 같이 노즐(211) 아래로 반응액부(CL)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11)을 반응액부(CL)로 하강시켜 노즐을 반응액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9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세척부(SP)에서 버블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과 같이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26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27과 같이 노즐(211) 아래로 카트리지(100)에 구비된 세척부(SP)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27 및 도 28과 같이 노즐(211)을 세척부(SP)로 하강시켜 노즐(211)을 세척부(SP)에 포함된 세척 물질(예: 세척 솜)로 세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0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분해용액부(R2)에서 분해용액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28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29와 같이 노즐(211) 아래로 분해용액부(R2)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29와 도 30과 같이 노즐(211)을 분해용액부(R2)로 하강시켜 분해용액을 노즐(211)로 흡입할 수 있다. 예컨대, 분해용액 100ul이 노즐(211)에 흡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1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분해용액을 멤브레인부(M)에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30과 도 31과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30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31과 같이 노즐(211) 아래로 멤브레인부(M)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31과 도 32와 같이 노즐(211)을 멤브레인부(M)로 하강시켜 흡입한 분해용액 중 일부를 멤브레인부(M)에 토출할 수 있다. 예컨대, 분해용액 25ul을 멤브레인부(M)에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2에서, 구동부(210)는 노즐(211)을 이용하여 분해용액부(R2)에 분해용액 잔량을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32와 도 33과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32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33과 같이 노즐(211) 아래로 분해용액부(R2)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33과 도 34와 같이 노즐(211)을 분해용액부(R2)로 하강시켜 흡입한 분해용액 중 나머지를 분해용액부(R2)에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해용액 잔량75ul가 분해용액부(R2)에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3에서, 구동부(210)는 세척부(SP)에서 노즐(211)을 버블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34 및 도 35와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34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도 35와 같이 노즐(211) 아래로 카트리지(100)에 구비된 세척부(SP)를 위치시킬 수 있고, 구동부(210)는 도 35와 도 36과 같이 노즐(211)을 세척부(SP)로 하강시켜 노즐(211)을 세척부(SP)에 포함된 세척 물질(예: 세척솜)로 세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4에서, 측정부(220)는 멤브레인부(M)에서 결과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10)는 도 36 및 도 37과 같이 노즐(211)을 상승시킬 수 있고, 회전트레이부(230)는 도 36 및 도 37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카트리지(100)를 회전시켜 측정부(220)가 측정 가능한 영역(7시 방향)으로 멤브레인부(M)를 위치시킬 수 있고, 측정부(220)는 멤브레인부M)에 수용된 제2 혼합액과 분해용액이 혼합된 제3 혼합액에서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여 결과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S15에서, 구동부(210)는 카트리지(100)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트레이부(230)는 가이드부(233)를 따라 회전트레이부 본체(231)를 도 1과 같이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카트리지(100)를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혈액과 복수의 약물이 채워진 카트리지(100)를 당화혈색소 장치(10)에 삽입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혈액에 약품처리가 되고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는, 혈액 및 복수의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회전트레이부;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노즐을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기 혈액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이 상기 복수의 약물을 통해 약품처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혈액, 상기 복수의 약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노즐에 흡입시키거나 상기 흡입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트리지에 토출 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약물은 고체시약, 분해용액 및 반응액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혈액이 수용되는 혈액부, 상기 고체시약이 수용되는 고체시약부, 상기 분해용액이 수용되는 분해용액부, 상기 반응액이 수용되는 반응액부 및 멤브레인이 수용되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트레이부는 상기 혈액부, 상기 고체시약부, 상기 분해용액부, 상기 반응액부 또는 상기 멤브레인부가 상기 노즐이 상하 운동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노즐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혈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혈액부 홀, 상기 고체시약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고체시약부 홀, 상기 분해용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분해용액부 홀, 상기 반응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반응액부 홀 및 상기 멤브레인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멤브레인부 홀을 구비하는 상부 카트리지; 및 상기 혈액을 수용하는 혈액부 용기, 상기 고체시약을 수용하는 고체시약부 용기, 상기 분해용액을 수용하는 분해용액부 용기, 상기 반응액을 수용하는 반응액부 용기 및 상기 멤브레인을 수용하는 멤브레인부 용기를 구비하는 하부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고체시약, 상기 분해용액 및 상기 반응액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체시약부 용기, 상기 분해용액부 용기 및 상기 반응액부 용기를 덮는 실링 부재; 및 상기 고체시약부 용기에 삽입되어 상기 고체시약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혈액이 사전 저장되며 상기 상부 카트리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캐필러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필러리는, 상기 상부 카트리지에 구비되며 상기 혈액부 용기와 연통되는 캐필러리 삽입홀에 삽입 가능한 캐필러리 삽입부; 및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캐필러리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전 저장된 혈액을 수용하는 캐필러리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노즐을 세척하는 물질이 구비된 세척부; 상기 복수의 약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무늬 스티커가 배치되는 정보무늬 인식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회전트레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지시하는 포인트 스티커가 배치되는 포인트 스티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2 항의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반응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반응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반응액을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혈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혈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반응액을 상기 혈액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혈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토출한 반응액과 상기 혈액이 혼합된 제1 혼합액을 상기 혈액부에서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고체시약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고체시약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제1 혼합액을 상기 고체시약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고체시약부로 하강시켜 상기 토출한 제1 혼압액과 상기 고체시약이 혼합된 제2 혼합액을 상기 고체시약부에서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멤브레인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멤브레인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제2 혼합액 중 일부를 상기 멤브레인부에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고체시약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고체시약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제2 혼합액 중 나머지를 상기 고체시약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반응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반응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노즐을 상기 반응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된 세척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세척부로 하강시켜 상기 노즐을 상기 세척부에 포함된 세척 물질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분해용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분해용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분해용액을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멤브레인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멤브레인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분해용액 중 일부를 상기 멤브레인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분해용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분해용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분해용액 중 나머지를 상기 분해용액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측정부가 측정 가능한 영역으로 상기 멤브레인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가 상기 멤브레인부에 수용된 상기 제2 혼합액과 상기 분해용액이 혼합된 제3 혼합액에서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100 : 카트리지
200: 측정장치 본체
300: 모니터

Claims (10)

  1. 혈액 및 복수의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회전트레이부;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노즐을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카트리지 위에 위치하며 상기 혈액의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혈액이 상기 복수의 약물을 통해 약품처리되도록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혈액, 상기 복수의 약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노즐에 흡입시키거나 상기 흡입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트리지에 토출시키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혈액이 사전 저장되며 상기 카트리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캐필러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필러리는,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되며 혈액부 용기와 연통되는 캐필러리 삽입홀에 삽입 가능한 캐필러리 삽입부; 및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캐필러리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전 저장된 혈액을 수용하는 캐필러리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물은 고체시약, 분해용액 및 반응액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혈액이 수용되는 혈액부, 상기 고체시약이 수용되는 고체시약부, 상기 분해용액이 수용되는 분해용액부, 상기 반응액이 수용되는 반응액부 및 멤브레인이 수용되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트레이부는 상기 혈액부, 상기 고체시약부, 상기 분해용액부, 상기 반응액부 또는 상기 멤브레인부가 상기 노즐이 상하 운동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노즐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혈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혈액부 홀, 상기 고체시약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고체시약부 홀, 상기 분해용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분해용액부 홀, 상기 반응액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반응액부 홀 및 상기 멤브레인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멤브레인부 홀을 구비하는 상부 카트리지; 및
    상기 혈액을 수용하는 혈액부 용기, 상기 고체시약을 수용하는 고체시약부 용기, 상기 분해용액을 수용하는 분해용액부 용기, 상기 반응액을 수용하는 반응액부 용기 및 상기 멤브레인을 수용하는 멤브레인부 용기를 구비하는 하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고체시약, 상기 분해용액 및 상기 반응액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체시약부 용기, 상기 분해용액부 용기 및 상기 반응액부 용기를 덮는 실링 부재; 및
    상기 고체시약부 용기에 삽입되어 상기 고체시약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6. 삭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노즐을 세척하는 물질이 구비된 세척부;
    상기 복수의 약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무늬 스티커가 배치되는 정보무늬 인식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회전트레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지시하는 포인트 스티커가 배치되는 포인트 스티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8. 제2 항의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반응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반응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반응액을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혈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혈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반응액을 상기 혈액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혈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토출한 반응액과 상기 혈액이 혼합된 제1 혼합액을 상기 혈액부에서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고체시약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고체시약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제1 혼합액을 상기 고체시약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고체시약부로 하강시켜 상기 토출한 제1 혼압액과 상기 고체시약이 혼합된 제2 혼합액을 상기 고체시약부에서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멤브레인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멤브레인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제2 혼합액 중 일부를 상기 멤브레인부에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고체시약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고체시약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제2 혼합액 중 나머지를 상기 고체시약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반응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반응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노즐을 상기 반응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카트리지에 구비된 세척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세척부로 하강시켜 상기 노즐을 상기 세척부에 포함된 세척 물질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분해용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분해용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분해용액을 상기 노즐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멤브레인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멤브레인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분해용액 중 일부를 상기 멤브레인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 아래로 상기 분해용액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부가 상기 노즐을 상기 분해용액부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한 분해용액 중 나머지를 상기 분해용액부에 토출하는 단계;
    상기 회전트레이부가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시켜 상기 측정부가 측정 가능한 영역으로 상기 멤브레인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가 상기 멤브레인부에 수용된 상기 제2 혼합액과 상기 분해용액이 혼합된 제3 혼합액에서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KR1020200047679A 2020-04-20 2020-04-20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17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79A KR102174557B1 (ko) 2020-04-20 2020-04-20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CN202080002024.4A CN113841054A (zh) 2020-04-20 2020-07-08 糖化血红蛋白测量装置及方法
PCT/KR2020/008881 WO2021215584A1 (ko) 2020-04-20 2020-07-08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EP20931920.1A EP4080218A4 (en) 2020-04-20 2020-07-08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JP2020564203A JP7340267B2 (ja) 2020-04-20 2020-07-08 糖化ヘモグロビンの測定装置及び方法
US17/087,169 US20210325410A1 (en) 2020-04-20 2020-11-02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79A KR102174557B1 (ko) 2020-04-20 2020-04-20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327A Division KR102218341B1 (ko) 2020-07-07 2020-07-07 당화혈색소 측정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57B1 true KR102174557B1 (ko) 2020-11-06

Family

ID=7357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679A KR102174557B1 (ko) 2020-04-20 2020-04-20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4557B1 (ko)
WO (1) WO20212155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724A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용 마이크로 펌프
US11747348B2 (en) 2021-09-29 2023-09-05 Orange Biomed Ltd., Co. Apparatus for measuring glycation of red blood cells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 using phys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ells, and related methods
US11852577B2 (en) 2021-09-29 2023-12-26 Orange Biomed Ltd., Co. Apparatu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particles in a solution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797A (ja) * 1998-04-24 1999-11-05 Shimadzu Corp 生化学自動分析装置
KR20140071062A (ko) * 2012-12-03 201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리지형 당화혈색소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60051253A (ko) * 2014-11-03 2016-05-11 (주)베스티드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KR20170115692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아이센스 원형타입 카트리지를 갖는 모듈식 자동 분석장치 및 그 확장형 시스템
KR102104654B1 (ko) * 2019-10-08 2020-04-24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회전방식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501A (en) * 1990-01-29 1992-09-22 Cirrus Diagnostics, Inc. Multichambered container and instrument for performing diagnostic tes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797A (ja) * 1998-04-24 1999-11-05 Shimadzu Corp 生化学自動分析装置
KR20140071062A (ko) * 2012-12-03 201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리지형 당화혈색소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60051253A (ko) * 2014-11-03 2016-05-11 (주)베스티드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KR20170115692A (ko) * 2016-04-08 2017-10-18 주식회사 아이센스 원형타입 카트리지를 갖는 모듈식 자동 분석장치 및 그 확장형 시스템
KR102104654B1 (ko) * 2019-10-08 2020-04-24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회전방식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885964호, 2018.07.31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724A (ko) * 2021-02-10 2022-08-18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용 마이크로 펌프
KR102608338B1 (ko) 2021-02-10 2023-12-01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용 마이크로 펌프
US11747348B2 (en) 2021-09-29 2023-09-05 Orange Biomed Ltd., Co. Apparatus for measuring glycation of red blood cells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 using phys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ells, and related methods
US11852577B2 (en) 2021-09-29 2023-12-26 Orange Biomed Ltd., Co. Apparatu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particles in a solution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584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341B1 (ko) 당화혈색소 측정용 카트리지
KR102174557B1 (ko)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ES2289152T3 (es) Sistema de medida de control de flujo y metodo para el control de la filtracion de muestras basadas en liquido.
JP3980031B2 (ja) 自動分析装置
EP2095114B1 (en) Test-sensor cartridge
JP3187845B2 (ja) 少なくとも一つの生理的液体試料における少なくとも一つ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ホルダ、並びに、試験装置
US20070179436A1 (en) Analyte detection system with periodic sample draw and laboratory-grade analyzer
JP6302451B2 (ja) 測定アルゴリズムを更新するメモリーカードを備えた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186835B1 (ko)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EP2166360A2 (en) Analyte testing systems
JP2005522243A (ja) 一体型試料検査器
CN111213060B (zh) 微流体计量和输送系统
US20190369129A1 (en) Biochemical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104654B1 (ko) 회전방식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장치 및 방법
JP7340267B2 (ja) 糖化ヘモグロビンの測定装置及び方法
US7306164B2 (en) Biochemical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CN201867415U (zh) 血型分析仪
JP2003329691A (ja) 生化学分析装置
KR20200052559A (ko)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JP4475223B2 (ja) 自動分析装置
JP3899370B2 (ja) 自動分析装置
JP2005009868A (ja) 自動分析装置
CN102445551A (zh) 血型分析仪
JP3919107B2 (ja) 自動分析装置
EP0958862B1 (en) Multiuse reactive-plate for analysis, particularly for direct analysis of whole blood or fluids containing any kind of particles or frag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