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559A -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559A
KR20200052559A KR1020180135616A KR20180135616A KR20200052559A KR 20200052559 A KR20200052559 A KR 20200052559A KR 1020180135616 A KR1020180135616 A KR 1020180135616A KR 20180135616 A KR20180135616 A KR 20180135616A KR 20200052559 A KR20200052559 A KR 20200052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capillary
reagent
cartrid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센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센서
Priority to KR102018013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559A/ko
Priority to PCT/KR2019/014786 priority patent/WO2020096292A1/ko
Publication of KR2020005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6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blocks or racks of reaction cells or cuv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8Modula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8Specific optical properties, e.g. reflective co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326Analysers with modular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캐필러리부; 서로 다른 시약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시약저장부와,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멤브레인이 장착되는 멤브레인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시약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실링지; 상기 멤브레인 하우징이 탑재되고 시료주입구가 형성되는 피측정부와,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가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1안착홀을 포함하는 제2몸체; 및 상기 탑재부에 탑재되고, 상기 제1안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2안착홀이 형성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캐필러리부가 상기 제1안착홀에 안착한 경우에 상기 캐필러리부를 외부에서 분석하도록 상기 탑재부에 제1분석창이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제1분석창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분석창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Cartridge for in vitro diagnostics analyzer}
실시예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에는 의료의 중심이 치료였다면 현재는 예방에 그 초점이 맞춰지면서 체외진단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체외진단이란 혈액이나 땀, 소변과 같은 체액의 샘플에서 특정 성분을 측정, 분석하여 이상 징후나 질병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체외진단은 전문적인 질병 확인을 비롯해 임신진단이나 수혈에 사용되는 혈액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데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외진단용 분석장치로는 당화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알부민(u-Albumin, ACR), 크레아티닌(Creatinine), C 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디-다이머(D-Dimer) 등을 측정, 분석하는 장치들이 있다. 종래의 제외진단용 분석장치는 주로 고가의 크기가 큰 장비들이 주를 이뤘지만, 현장진단용의 소형화된 저가형 장비들이 개발되면서 점차 다양한 제품들이 앞다투어 시장에 출시되어 경쟁하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 체외진단을 위해서는 분석 혹은 검사하려는 피검물에 대한 시료 준비 작업(Preparation)이 이뤄지는데 대부분의 분석장치들이 이를 지원하지 않고 취급하는 사용자의 몫으로 남겨두어 사용자의 전문적인 취급을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나 작업환경, 사용자간 편차로 인해 분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정확성을 요구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에 약점으로 작용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한 선도업체들이 사용자의 취급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작업을 모두 기기에서 지원하는 자동화된 분석장치들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동화된 분석장치들에는 모두 각각의 장치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Cartridge)가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의 취급을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검사 및 분석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캐필러리부; 서로 다른 시약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시약저장부와,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멤브레인이 장착되는 멤브레인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시약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실링지; 상기 멤브레인 하우징이 탑재되고 시료주입구가 형성되는 피측정부와,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가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1안착홀을 포함하는 제2몸체; 및 상기 탑재부에 탑재되고, 상기 제1안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2안착홀이 형성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캐필러리부가 상기 제1안착홀에 안착한 경우에 상기 캐필러리부를 외부에서 분석하도록 상기 탑재부에 제1분석창이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제1분석창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분석창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캐필러리부는, 피검물이 주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코크; 상기 코크가 안착하는 안착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돌출되고,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2저장부로부터 돌출되는 캐필러리튜브(capillary tub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일단의 외측벽에서 타단의 외측벽까지 측정한 제1폭과 일단의 내측벽에서 타단의 내측벽까지 측정한 제2폭이 상기 제2저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한 중공의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실링지가 상기 캐필러리튜브에 의해 천공됨으로써,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피검물은 상기 시약저장부에 저장된 시약과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캐필러리튜브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료주입구는, 상기 멤브레인의 일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피측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상기 캐필러리튜브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상기 멤브레인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소경부;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소경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상기 소경부의 중심과 일치하고,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상기 제2안착홀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고, 시약이 저장되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시약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의 하단을 폐쇄하고 상기 캐필러리튜브에 의해 천공되는 제2실링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상부에 상기 저장공간의 상단을 폐쇄하고, 상기 캐필러리튜브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의해 천공되는 제3실링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 중 상기 챔버와 대응되는 위치의 시약저장부에 저장되는 시약과 상기 챔버에 저장되는 시약의 성분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몸체에 제1분석창이 형성되고 제3몸체에 제2분석창이 형성되고, 따라서, 광학분석 디바이스는 제1분석창 및 제2분석창을 통해 외부에서 제2몸체에 안착된 캐필러리부의 제2저장부에 저장된 물질의 성분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캐펄러리부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카트리지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외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별도의 챔버를 사용하여 시약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혼합하여 보관할 수 없으나 체외분석 진행시 순차적으로 피검물과 혼합하는 사용해야 하는 서로 다른 성분의 시약을 용이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폭과 제2폭이 일정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투과하는 광은 굴절이 현저히 억제되고 이로 인해 전반사 또한 현저히 억제될 수 있다. 전반사가 억제됨으로 인해, 광학분석 디바이스에 의한 피검물의 분석은 현저히 정확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멤브레인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멤브레인 상에 결합물질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이에 따라 분석결과의 정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료주입구는 멤브레인의 중심과 일치하고 멤브레인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시료주입구를 통해 멤브레인에 투여되는 혼합물질 및 이에 함유되는 결합물질은 멤브레인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경부의 폭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동심원의 형태를 가지고, 따라서 멤브레인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와 비교를 위한 사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b)는 (a)에 도시된 제2저장부에 액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제1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몸체에 일 실시예의 제2몸체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제2몸체를 투명하게 나타내었다.
도 10은 도 9를 CC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멤브레인과 비교를 위한 사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멤브레인에 시약을 투여하여, 상기 시약이 멤브레인에 퍼져 나타나는 무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동일한 시약을 사용하였고, 각각 총 3개의 멤브레인으로 총 3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가 제1몸체 및 제2몸체에 탑재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가 제1몸체 및 제2몸체에 탑재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체외진단용 분석서로 다른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체외진단용 분석서로 다른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실시예의 체외진단용 분석서로 다른의 카트리지는 당화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알부민(u-Albumin, ACR), 크레아티닌(Creatinine), C 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디-다이머(D-Dimer) 등의 분석 대상물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대상물을 분석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 혹은 이와 동등한 수준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피검물"은 검사를 위해 인체 등에서 채취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혈액일 수 있다. "분석 대상물"은 상기 피검물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다.
"시약"은 피검물로부터 분석 대상물을 검출하는 물질로 분석 대상물과 반응하는 반응물질과, 상기 반응물질과 반응한 분석 대상물 이외의 것을 희석, 용해하여 세척하는 세척액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결합물질"은 분석 대상물과 상기 반응물질의 결합한 것이다. "혼합물질"은 피검물과 반응물질이 물리적으로 섞인 것이다.
상기 반응물질은 예를 들어, 혈액 성분 중 당화혈색소와 보론산 친화력으로 반응하는 XC-DAPOL-CPBA일 수 있다. 다만, 반응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시약저장부(210)와 챔버(600)에는 각각 서로 다른 반응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의 카트리지는 캐필러리부(100), 제1몸체(200), 제1실링지(300), 제2몸체(400), 제3몸체(500) 및 챔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필러리부(10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에 피검물인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캐필러리부(100)는 예를 들어,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진 제1셀(100-1), 제2셀(100-2) 및 제3셀(100-3)의 총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캐필러리부(100)는 2개 또는 4개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캐필러리부(100)에는 캐필러리튜브(140)를 통해 시약이 유입되고, 캐필러리부(100) 내부에서 시약과 피검물이 혼합될 수 있다. 캐필러리부(1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제1몸체(200)는 서로 다른 시약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시약저장부(210)와,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멤브레인(221)이 장착되는 멤브레인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약저장부(210)와 맴브레인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약저장부(210)는 캐필러리부(1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파트(210-1), 제2파트(210-2) 및 제3파트(210-3)의 총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시약저장부(210)는 2개 또는 4개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시약저장부(210)는 시약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제1몸체(200)의 상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몸체(200)의 길이방햐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시약저장부(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질과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이 서로 다른 셀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반응물질은 액체상태 또는 고체상태일 수 있다. 반응물질이 고체상태일 경우, 시약저장부(210)에는 고체를 녹이는 용해제가 저장될 수도 있다.
멤브레인 하우징(220)은 제1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시약저장부(2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멤브레인(221)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멤브레인(221)은 멤브레인 하우징(2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멤브레인(2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시료주입구(411)가 배치되어, 시료주입구(411)를 통해 상기 멤브레인(221)에 세척액, 피검물과 반응물질의 혼합물이 투여될 수 있다.
멤브레인(221)은 물질의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분석 대상물과 상기 반응물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멤브레인(221)은 피검물 중 분석 대상물과 상기 반응물질이 결합한 결합물질을 필터링하고, 잔여 성분들만을 투과시키는 포어 사이즈(pore size)를 갖는 투과층과, 상기 잔여 성분의 투과 속도를 상승시키는 흡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실링지(300)는 시약저장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시약저장부(210)에 저장된 시약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포일(foil)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약저장부(210)에 시약을 주입한 상태에서 제1실링지(300)를 시약저장부(210) 상에 부착하여 시약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지(300)가 상기 캐필러리튜브(140)에 의해 천공됨으로써, 상기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피검물은 상기 시약저장부(210)에 저장된 시약과 혼합될 수 있다.
즉,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피검물의 분석이 진행되면, 분석장치의 작동에 의해 캐필러리부(100)가 시약저장부(210) 방향으로 하강하고, 캐필러리튜브(140)에 의해 제1실링지(300)가 천공되고 시약저장부(210)에 저장된 시약은 캐필러리튜브(140)를 통해 캐필러리부(10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피검물과 시약은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제2몸체(400)는 제1몸체(200)가 탑재될 수 있고, 캐필러리부(100)가 안착할 수 있고, 또한 제3몸체(500)가 탑재될 수 있고, 피측정부(410), 탑재부(420) 및 제1분석창(430)을 포함할 수 있다.
피측정부(410)는 상기 멤브레인 하우징(220)이 탑재되고 시료주입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 하우징(220)이 피측정부(410)에 탑재된 상태에서 멤브레인(221)은 상기 시료주입구(411)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탑재부(420)는 하부에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210)가 탑재되고, 상부에 캐필러리부(100)가 안착할 수 있다. 따라서, 탑재부(420)에는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100)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1안착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안착홀(421)의 갯수는 시약저장부(210)의 갯수 및 캐필러리부(100)의 갯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400)는 상기 캐필러리부(100)가 상기 제1안착홀(421)에 안착한 경우에 상기 캐필러리부(100)를 외부에서 분석하도록 상기 탑재부(420)에 제1분석창(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석창(430)은 제1안착홀(421)과 연통하도록 상기 탑재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필러리부(100)가 상기 제1안착홀(421)에 안착한 경우에 제1분석창(430)을 통해 상기 캐필러리부(100)를 외부에서 검사할 수 있다.
캐필러리부(100)가 제1안착홀(421)에 안착하면, 제1분석창(430)을 통해 캐필러리부(100)의 제2저장부(130)를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석창(430)을 통해 외부에서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질 즉, 피검물, 시약, 또는 피검물과 시약의 결합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분석장치에는 광학분석 디바이스(미도시)가 구비되어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광학분석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LED와 같은 광원으로 특정 색상, 특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고 디텍터로 반사광의 광량을 검출하여 계산하거나, 또는 반사광 혹은 제2저장부(130)를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여 이미징 처리를 통해 크레아티닌 값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학분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멤브레인(221)에서 당화혈색소 값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2저장부(130)를 통한 분석과 멤브레인(221)을 통한 분석은 상기 분석장치에 구비된 동일한 광학분석 디바이스를 이동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각각의 광학분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제1분석창(430)은 탑재부(420)에서 제1안착홀(421)이 형성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전부 또는 일부에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하기의 도 13을 참조하면, 탑재부(420)에서 제1셀(100-1)이 안착하는 부위의 일측, 제2셀(100-2)이 안착하는 부위의 양측, 제3셀(100-3)이 안착하는 부위의 양측에 제1분석창(430)이 형성되었다. 다만, 도 13에서 제3셀(100-3)이 안착하는 부위에는 챔버(600)가 안착되어 제1분석창(430)을 가리므로 일측에 형성된 제1분석창(430)이 보이지 않는다.
제1분석창(430)의 위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캐필러리부(100)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분석창(4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1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분석창(430)은 분석을 위한 광의 조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상의 슬릿(slit)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하기 도 13을 참조하면, 사진 촬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3몸체(500)는 상기 탑재부(420)에 탑재되고, 상기 제1안착홀(42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100)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2안착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홀(421)은 제2안착홀(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안착홀(510)과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고, 따라서 캐필러리부(100)는 제1안착홀(421)과 제2안착홀(510)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몸체(500)는 상기 제1분석창(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분석창(5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석창(430)과 마찬가지로, 광학분석 디바이스는 제2분석창(520)을 통해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석창(520)은 제3몸체(500)가 탑재부(420)에 탑재되는 경우에 제2분석창(520)이 제1분석창(430)에 대응되도록 제3몸체(500)에 형성되고, 제1몸체(200)와 동일한 갯수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에서, 제2몸체(400)에 제1분석창(430)이 형성되고 제3몸체(500)에 제2분석창(520)이 형성되고, 따라서, 광학분석 디바이스는 제1분석창(430) 및 제2분석창(520)을 통해 외부에서 제2몸체(400)에 안착된 캐필러리부(100)의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물질의 성분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캐펄러리부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카트리지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외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챔버(600)는 복수의 상기 제2안착홀(510)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고, 시약이 저장될 수 있다. 챔버(600)는 상기 제2안착홀(5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210) 중 상기 챔버(600)와 대응되는 위치의 시약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시약과 상기 챔버(600)에 저장되는 시약의 성분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챔버(600)에 저장되는 시약과 챔버(600)의 바로 하부에 배치된 제3파트(210-3)에 저장된 시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챔버(600)에 저장되는 시약은 반응물질일 수 있다.
챔버(600)는 피검물과 서로 다른 성분의 복수의 반응물질을 순차적으로 혼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물인 혈액으로부터 크레아티닌을 검출하기 위해 반응물질을 2가지 즉, 제1반응물질과 제2반응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반응물질과 제2반응물질은 서로 혼합한 상태로 보관되면 화학적 성질이 달라지므로, 시약저장부(210)에 제1반응물질과 제2반응물질을 혼합하여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각각 분리된 상태로 카트리지에 저장되고, 피검물과 제1반응물질을 서로 혼합하여 제1혼합물질을 생성하고, 다음으로 제1혼합물질과 제2반응물질을 혼합하여 크레아티닌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챔버(600)에 제1반응물질을 저장하고, 챔버(600)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3파트(210-3)에 제2반응물질을 저장하여 상기의 과정으로 크레아티닌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챔버(600)는 내부에 상기 챔버(6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시약을 저장하는 저장공간(610)이 형성되고, 제2실링지(620) 및 제3실링지(6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지(620)와 제3실링지(630)는 포일로 형성되고, 각각 챔버(600)의 하부 및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실링지(620)는 챔버(6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610)의 하단을 폐쇄하고 상기 캐필러리튜브(140)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제3실링지(630)는 챔버(6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610)의 상단을 폐쇄하고, 상기 캐필러리튜브(140) 및 상기 제2저장부(130)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먼저 캐필러리튜브(140)가 하강하여 제2실링지(620)를 천공하면 캐필러리튜브(140)를 통해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피검물과 챔버(600)에 저장된 제1반응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제1혼합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캐필러리튜브(140)가 더욱 하강하여 제3실링지(630)와 제1실링지(300)를 천공하면 캐필러리튜브(140)를 통해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제1혼합물질과 제3파트(210-3)에 저장된 제2반응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제2혼합이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별도의 챔버(600)를 사용하여 시약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혼합하여 보관할 수 없으나 체외분석 진행시 순차적으로 피검물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서로 다른 성분의 시약을 용이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을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캐필러리부(100)는 분석장치에 장착되어 피검물의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장치에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는 캐필러리부(100)를 파지하여, 캐필러리부(100)를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분석장치에는 코크(110)의 통공(111)과 연결되는 압력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압력장치는 캐필러리부(100) 내부를 가압 또는 감압하여 캐필러리부(100) 내부에 액체를 흡입하거나 또는 캐필러리부(100) 내부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감압 또는 가압을 통해 캐필러리부(100) 내부에 저장된 피검물과 시약저장부(210) 또는 챔버(600)에 저장된 시약을 서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압 또는 가압을 통해 시약저장부(210)의 세척액을 흡입하여 멤브레인(221)에 투여할 수도 있다.
캐필러리부(100)는 코크(110), 안착부(120), 제2저장부(130) 및 캐필러리튜브(140)(capillary tube)를 포함할 수 있다. 코크(110)는 안착부(120)에 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안착부(120), 제2저장부(130) 및 캐필러리튜브(1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크(110)는 피검물이 주입되는 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공(111)을 통해 분석장치의 압력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상기 코크(110)가 안착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안착부(120)는 코크(1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저장부(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20)로부터 돌출되고, 저장공간(610)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610)에는 분석의 진행상황에 따라 피검물, 시약, 피검물과 시약이 혼합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분석 디바이스는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액체를 분석할 수 있다.
캐필러리튜브(140) 제2저장부(130)로부터 돌출되고, 상하이동하여 제1실링지(300), 제2실링지(620) 또는 제3실링지(630)를 천공하여 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피검물과 시약저장부(210) 또는 챔버(600)에 저장된 시약이 서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저장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일단의 외측벽에서 타단의 외측벽까지 측정한 제1폭(w1)과 일단의 내측벽에서 타단의 내측벽까지 측정한 제2폭(w2)이 상기 제2저장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한 중공의 사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광학분석 디바이스가 관찰 및 분석하는 제2저장부(130)의 외측면 즉, 관찰면과 상기 관찰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에는 전반사 현상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만약, 제1폭(w1)과 제2폭(w2)이 다른 형상인 경우 제2저장부(130)의 외측면, 내측면, 내측면 및 외측면을 차례로 투과하는 광은 굴절이 활발히 일어나고, 이러한 굴절로 인해 전반사 또한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저장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폭(w1)과 제2폭(w2)이 일정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투과하는 광은 굴절이 현저히 억제되고 이로 인해 전반사 또한 현저히 억제될 수 있다. 전반사가 억제됨으로 인해, 광학분석 디바이스에 의한 피검물의 분석은 현저히 정확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 구조에 대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와 비교를 위한 사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b)는 (a)에 도시된 제2저장부(130)에 액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이다.
도 5의 비교예에서는 제2저장부(130')가 속이 빈 원뿔(cone)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도 5 (b)를 참조하면, 광학분석 디바이스가 관찰 및 분석하는 제2저장부(130')의 관찰면(LP')에는 극심한 전반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제2저장부(130)가 제1폭(w1)과 제2폭(w2)이 일정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도 6 (b)를 참조하면, 광학분석 디바이스가 관찰 및 분석하는 제2저장부(130)의 관찰면(LP)에는, 도 5의 비교예와 대비하여, 전반사 현상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결과를 통해,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제2저장부(130)에서 전반사 현상의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제1몸체(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몸체(200)에 일 실시예의 제2몸체(400)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제2몸체(400)를 투명하게 나타내었다. 도 10은 도 9를 CC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221)은 상기 캐필러리튜브(140)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221)은 광학분석 디바이스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즉, 멤브레인(221)에는 분석대상 물질과 반응물질이 결합된 결합물질이 번진 상태로 잔류하고, 이러한 결합물질을 광학분석 디바이스가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분석 디바이스에 의한 분석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멤브레인(221) 상에 결합물질의 분포를 되도록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만약, 분포가 불균일하다면, 광학적인 왜곡현상이 발생하여 분석결과의 정확성을 떨어트릴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221)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멤브레인(221)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면, 멤브레인(221)의 가로방향 번짐속도와 세로방향 번짐속도가 서로 달라지고, 이에 따라 멤브레인(221) 상에서 결합물질의 분포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서로 불균일해 지고, 결과적으로 멤브레인(221) 전체의 결합물질의 분포가 불균일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멤브레인(221)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멤브레인(221) 상에 결합물질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이에 따라 분석결과의 정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시료주입구(411)는 소경부(4111), 대경부(4112) 및 경사면(4113)을 포함할 수 있다.
소경부(4111)는 상기 멤브레인(221)의 일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피측정부(4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상기 캐필러리튜브(140)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상기 멤브레인(22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경부(4111)를 통해 상기 혼합물질은 멤브레인(221)에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소경부(4111)의 중심과 멤브레인(22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소경부(4111)를 통해 투여되는 혼합물질은 정사각형의 멤브레인(221)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균일하게 번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혼합물질에 함유된 상기 결합물질도 멤브레인(221)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대경부(4112)는 상기 멤브레인(221) 및 상기 소경부(411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상기 소경부(4111)의 중심과 일치하고, 상기 소경부(4111)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경사면(4113)은 상기 소경부(4111)와 상기 대경부(4112)를 연결하고,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경부(4111)와 대경부(4112)의 중심이 일치하므로, 이를 연결하는 경사면(4113)은 직경방향의 폭이 일정한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시료주입구(411)는 멤브레인(221)의 중심과 일치하고 멤브레인(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시료주입구(411)를 통해 멤브레인(221)에 투여되는 혼합물질 및 이에 함유되는 결합물질은 멤브레인(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경부(4111)의 폭만큼의 직경을 가지는 동심원의 형태를 가지고, 따라서 멤브레인(221)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멤브레인 구조에 대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멤브레인(221)과 비교를 위한 사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멤브레인(221)에 시약을 투여하여, 상기 시약이 멤브레인(221)에 퍼져 나타나는 무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동일한 시약을 사용하였고, 각각 총 3개의 멤브레인으로 총 3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1의 비교예에서는 직사각형 구조의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 구조의 멤브레인(221)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정사각형 구조의 멤브레인(221)을 사용할 경우, 직사각형 구조의 멤브레인과 비교하여, 멤브레인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무늬의 균일성이 현저히 높아 시약에 의해 생기는 무늬가 멤브레인 상에서 전체적으로 동심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실험결과를 통해, 실시예의 멤브레인(221)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상기 멤브레인(221)에 시약을 투여하는 경우에 멤브레인(221) 상에서 시약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분포의 균일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는 결합물질을 함유하는 혼합물질을 멤브레인(221)에 투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가 제1몸체(200) 및 제2몸체(400)에 탑재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캐필러리부(100)가 제1몸체(200) 및 제2몸체(400)에 탑재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카트리지를 사용한 피검물의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채취된 피검물, 예를 들어 사람의 혈액이 캐필러리부(100)에 공급되고, 캐필러리부(100)가 제3몸체(500)에 안착된 후, 실시예의 카트리지를 분석장치에 장착한다. 이후의 분석과정은 상기 분석장치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의 카트리지 분석장치를 사용한 피검물 분석은 시약저장부(210) 및 챔버(600)에 저장되는 시약, 복수의 캐필러리부(100)의 이동에 의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피검물로부터 알부민, 크레아티닌을 분석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해 챔버(600)에는 크레아티닌을 검출하는 제1반응물질, 제3파트(210-3)에는 크레아티닌을 검출하지만 제1반응물질과 다른 성분을 가진 제2반응물질이 저장되고, 제1파트(210-1)에는 세척액이 저장되고, 제2파트(210-2)에는 알부민을 검출하는 제3반응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피검물은 제2셀(100-2)과 제3셀(100-3)에 주입될 수 있고, 이때 피검물은 사람의 혈액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분석장치가 작동하여 제3몸체(500)가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챔버(600) 상부의 제3실링지(630)는 제3셀(100-3)의 캐필러리튜브(140)에 의해 천공된다. 이에 따라 제3셀(100-3)에 저장된 피검물이 챔버(600)에 저장된 제1반응물질과 만나게 되고, 압력장치에 의해 제3셀(100-3) 내부가 가압되면 제3셀(100-3)에 저장된 피검물이 배출되어 챔버(600)에 저장된 제1반응물질과 혼합된다. 이때, 제1반응물질은 크레아티닌의 검출에 사용되는 반응물질이다.
또한, 압력장치에 의해 제3셀(100-3) 내부가 감압되면 챔버(600)의 피검물과 제1반응물질이 혼합된 제1혼합물질이 제3셀(100-3) 내부 즉, 제2저장부(130)로 흡입된다. 피검물과 제1반응물질의 충분한 혼합을 위해 이러한 가압 및 감압이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몸체(500)가 더욱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챔버(600) 하부의 제2실링지(620)는 제3셀(100-3)의 캐필러리튜브(140)에 의해 천공된다. 또한, 제1파트(210-1) 내지 제3파트(210-3) 상부의 각각의 제1실링지(300)도 캐필러리튜브(140)에 의해 천공되고, 제2몸체(400)와 제3몸체(500)는 완전히 결합하여 도 1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제1실링지(300)와 제2실링지(620)가 천공되어 제3파트(210-3)에 저장된 제2반응물질은 제3셀(100-3)의제2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제1혼합물질과 만나고, 전술한 가압 및 감압과정을 통해 제2반응물질과 제1혼합물질은 충분히 혼합된다. 이때, 제2반응물질은 크레아티닌을 검출하는 것으로 제1반응물질과 성분이 다른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피검물, 제1반응물질 및 제2반응물질이 충분히 혼합된 제2혼합물질이 제2저장부(130)에 저장되고, 이를 광학분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검물로부터 크레아티닌 값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경우 분석장치의 상기 파지부를 사용하여 제3셀(100-3)을 제1파트(210-1)로 이동시켜 제3셀(100-3)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의 상태에서 제1실링지(300)가 천공되어 제2셀(100-2) 내부의 피검물과 제2파트(210-2) 내부의 제3반응물질이 서로 만나게 되고, 전술한 가압 및 감압과정을 통해 피검물과 제3반응물질은 서로 충분히 혼합되어 제3혼합물질이 형성된다.
파지부를 사용하여 제2셀(100-2)을 이동시킨 후, 제2셀(100-2) 내부를 가압하여 제2셀(100-2) 내부의 제3혼합물질을 시약주입구로 주입한다. 이때, 주입되는 제2혼합물질은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3혼합물질은 멤브레인(221)에 투여되고, 멤브레인(221)에는 알부민과 제3반응물질이 결합한 결합물질이 잔류하게 되는데,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나머지 성분도 함께 잔류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상태에서 제1실링지(300)가 천공되어 제1파트(210-1) 내부의 세척액은 제1셀(100-1)이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셀(100-1)을 감압하여 제1파트(210-1)의 세척액을 흡입하고, 파지장치로 제1셀(100-1)을 시료주입구(411)로 이동시켜 제1셀(100-1)을 다시 가압하여 세척액을 시료주입구(411)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셀(100-1)을 사용하여 세척액을 시료주입구(411)에 주입하면, 멤브레인(221)에 잔류하는 상기 나머지 성분은 씻겨 내려가고, 멤브레인(221) 상에는 상기 제3반응물질과 결합한 결합물질만 남게된다. 이때, 주입되는 세척액은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분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멤브레인(221)을 광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피검물로부터 알부민 값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1셀(100-1)을 감압하여 제1파트(210-1)에 저장된 세척액을 흡입하고, 파지부로 제1셀(100-1)을 이동시킴으로써, 분석장치는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제2셀(100-2), 제3셀(100-3) 또는 시료주입구(411)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캐필러리부
110: 코크
111: 통공
120: 안착부
130, 130': 제2저장부
140: 캐필러리튜브
200: 제1몸체
210: 시약저장부
220: 멤브레인 하우징
221: 멤브레인
300: 제1실링지
400: 제2몸체
410: 피측정부
411: 시료주입구
4111: 소경부
4112: 대경부
4113: 경사면
420: 탑재부
430: 제1분석창
421: 제1안착홀
500: 제3몸체
510: 제2안착홀
520: 제2분석창
600: 챔버
610: 저장공간
620: 제2실링지
630: 제3실링지

Claims (8)

  1. 복수의 캐필러리부;
    서로 다른 시약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시약저장부와,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멤브레인이 장착되는 멤브레인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시약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실링지;
    상기 멤브레인 하우징이 탑재되고 시료주입구가 형성되는 피측정부와,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가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1안착홀을 포함하는 제2몸체; 및
    상기 탑재부에 탑재되고, 상기 제1안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캐필러리부가 안착하는 복수의 제2안착홀이 형성되는 제3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캐필러리부가 상기 제1안착홀에 안착한 경우에 상기 캐필러리부를 외부에서 분석하도록 상기 탑재부에 제1분석창이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제1분석창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분석창이 형성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필러리부는,
    피검물이 주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코크;
    상기 코크가 안착하는 안착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돌출되고,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제2저장부; 및
    상기 제2저장부로부터 돌출되는 캐필러리튜브(capillary tube)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일단의 외측벽에서 타단의 외측벽까지 측정한 제1폭과 일단의 내측벽에서 타단의 내측벽까지 측정한 제2폭이 상기 제2저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한 중공의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지가 상기 캐필러리튜브에 의해 천공됨으로써,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피검물은 상기 시약저장부에 저장된 시약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캐필러리튜브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료주입구는,
    상기 멤브레인의 일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피측정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상기 캐필러리튜브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상기 멤브레인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소경부;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소경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심이 상기 소경부의 중심과 일치하고,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를 연결하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안착홀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고, 시약이 저장되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시약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의 하단을 폐쇄하고 상기 캐필러리튜브에 의해 천공되는 제2실링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부에 상기 저장공간의 상단을 폐쇄하고, 상기 캐필러리튜브 및 상기 제2저장부에 의해 천공되는 제3실링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시약저장부 중 상기 챔버와 대응되는 위치의 시약저장부에 저장되는 시약과 상기 챔버에 저장되는 시약의 성분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KR1020180135616A 2018-11-07 2018-11-07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KR20200052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16A KR20200052559A (ko) 2018-11-07 2018-11-07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PCT/KR2019/014786 WO2020096292A1 (ko) 2018-11-07 2019-11-04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16A KR20200052559A (ko) 2018-11-07 2018-11-07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59A true KR20200052559A (ko) 2020-05-15

Family

ID=7061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16A KR20200052559A (ko) 2018-11-07 2018-11-07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52559A (ko)
WO (1) WO20200962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13A1 (ko)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16023A (zh) * 2021-09-14 2024-04-19 伊鲁米纳公司 井凹组件和相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0303809A3 (en) * 2001-05-09 2011-05-30 Axis Shield Asa Assay system
KR101069823B1 (ko) * 2009-06-19 2011-10-04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용 카세트
KR102186835B1 (ko) * 2014-11-03 2020-12-04 주식회사 람다트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US11474120B2 (en) * 2016-09-29 2022-10-18 Green Cross Medical Science Separable cassette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10117615B1 (en) * 2017-08-01 2018-11-06 Nova Biomedical Corporation Analyzer cartridge with capillary wi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013A1 (ko) * 2022-02-21 2023-08-24 주식회사 레오바이오 당화혈색소 측정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92A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27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и анализа крови
US5919711A (en) Analytical cartridge
KR102186835B1 (ko)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JP2011502623A (ja) 経皮体液サンプリング及び前処理装置及び方法
US20220023857A1 (en) Device with a fluid component assessment feature
US88463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 detection of hemolysis
DK2788755T3 (en) HEMOLYSE DETECTION DEVICE
CN105874053A (zh) 配有一体化的反应和检测装置的多槽试杯
EP1717585B1 (en) Microchip and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52559A (ko) 체외진단용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KR20190067777A (ko) 당화혈색소 비율의 측정 방법
KR101412423B1 (ko) 검체 함유 유닛, 검체 측정 카세트, 검체 측정 유닛 및 검체 측정 장치
JP2007333716A (ja) 分離・秤量チップ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KR20190049765A (ko) 당화혈색소 측정용 분리형 카세트
JP2014092486A (ja) 分析チップ、および分析装置
JP7361198B2 (ja) 接線流溶血検出血液検査装置
EP4214498A1 (en) Rapid blood testing system
US20150238954A1 (en) Fluid analysis cartridge
JP7349502B2 (ja) 溶血検出血液検査装置
CN217754645U (zh) 一种检测试剂盒
KR102609317B1 (ko) 혈액 분석용 카세트
KR101412320B1 (ko) 검체 함유 유닛, 검체 측정 카세트, 검체 측정 유닛 및 검체 측정 장치
JP2007093275A (ja) 検査チップ及び該検査チップを用いた検査方法
WO20230190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fluid sample from a fluid sample collection apparatus to a liquid sample analy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