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053B1 -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053B1
KR102173053B1 KR1020200062343A KR20200062343A KR102173053B1 KR 102173053 B1 KR102173053 B1 KR 102173053B1 KR 1020200062343 A KR1020200062343 A KR 1020200062343A KR 20200062343 A KR20200062343 A KR 20200062343A KR 102173053 B1 KR102173053 B1 KR 10217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mpact
guide
shock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053B9 (ko
Inventor
심동일
가상현
신경재
김홍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텍
주식회사 만금엔지니어링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텍, 주식회사 만금엔지니어링,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텍
Priority to KR102020006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053B1/ko
Publication of KR1021730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0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4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using combinations of springs of different ki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에서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 등 빠른 속도로 방향 전환을 하는 물체의 방향 전환시, 물체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 완충 및 진동 저감이 가능한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 왕복 운동하는 물체가 충돌되는 충격전달추 및 상기 충격전달추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후퇴시 지지판을 가격하여 가이드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딩샤프트로 구성되는 충격전달유닛; 상기 충격전달유닛의 후퇴시 충격전달유닛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결판(5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충격흡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Straight-line movement type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에서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 등 빠른 속도로 방향 전환을 하는 물체의 방향 전환시, 물체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 완충 및 진동 저감이 가능한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한 것이다.
터널 구조물은 시설물 안전 관리에 의한 특별법에 의해 주기적인 점검 및 진단이 수행된다.
이에 기본조사인 외관조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육안으로 터널 벽면의 균열을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육안 검사는 검사 자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규모 교통 통제가 불가피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터널 도면에 직접 매칭하는 과정이 수반되므로, 후속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균열 발생 위치의 정확도가 떨어져 시설물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터널 내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터널 균열을 관리하는 자동 스캐닝 시스템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0597963호). 특히, 터널은 점검 대상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신속한 점검을 위해 차량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차량을 주행시키면서 동시에 터널 내부를 촬영하여 터널 표면 영상을 수집한다.
이러한 기술 중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을 활용하는 기술은 동영상 데이터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0.2㎜ 이하의 균열에 대해서는 정확한 검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46422호, 제10-1843923호 등에서는 고속카메라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카메라 장비가 매우 고가일 뿐 아니라 차량 주행시 주행하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상대 속도로 인해 동적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되어 촬영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0.1㎜ 이하의 미세한 균열을 탐지하기 어렵고, 촬영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매우 낮은 속도로 주행할 수밖에 없어 스캐닝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리니어모터(1)에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영상촬영장치(2)를 탑재하고 리니어모터에 의해 영상촬영장치를 차량 주행 속도와 동일하게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인 터널 표면과 영상촬영장치 간 상대속도를 0인 상태로 만들어 터널 표면을 촬영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도 1). 이 경우 실질적으로 정지 영상이 촬영되므로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고, 0.1㎜ 이하 미세 균열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에서는 도 1의 (a) 및 (b)에서와 같이 영상촬영장치(2)가 점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동기화되어 빠른 속도로 전후 왕복 운동을 하여야 한다. 즉, 영상촬영장치(2)는 도 1의 (a)와 같이 차량 주행 역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도 1의 (b)와 같이 차량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왕복 운동을 한다.
그런데 차량의 주행 속도 10km/h 하에서 정지 영상이 촬영되는 등속 구간에서는 약 ±0.5g 정도의 진동이 발생하는 반면, 리니어모터(1)의 방향이 전환되는 단부에서는 1g 이상의 큰 충격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촬영된 화상의 품질 저하는 물론 장비의 손상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균열 스캐닝을 위해 차량에 탑재되는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의 리니어모터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 등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빠른 속도로 방향 전환을 하는 물체의 방향 전환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고,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 왕복 운동하는 물체가 충돌되는 충격전달추 및 상기 충격전달추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후퇴시 지지판을 가격하여 가이드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딩샤프트로 구성되는 충격전달유닛; 상기 충격전달유닛의 후퇴시 충격전달유닛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결판(5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충격흡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복귀 수단은 가이드판과 충격전달추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 외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샤프트의 후단에는 가이드판의 후면에 걸리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충격흡수부는 가이드프레임의 회전시 지지판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에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에어스프링의 내부에는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연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연결판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는 충격전달유닛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를 지지하는 제2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충격흡수부는 충격전달유닛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를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에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메인방진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에 탑재되는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의 리니어모터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 등 빠른 속도로 방향 전환을 하는 물체의 방향 전환시, 충격전달유닛의 충격전달추에 물체가 충돌하면서 물체의 수평 방향 이동이 충격전달유닛의 슬라이딩샤프트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전달되어 수평 방향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물체 충돌에 의한 충격전달유닛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가이드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전환되면 수평 방향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 진동은 가이드프레임의 연결판 하부를 지지하는 제1충격흡수부에 의해 흡수되어 수직 방향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가이드프레임의 지지판 전면에 제2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경우, 물체 충돌에 의한 충격전달유닛 후퇴시 충격전달유닛의 슬라이딩샤프트가 제2충격흡수부를 가압하여 1차 충격을 흡수하고, 제2충격흡수부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연결판 하부의 제1충격흡수부를 가압하여 2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넷째, 충격전달추의 충격면에 방진패드가 구비되는 경우, 물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다섯째,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 방진패드가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프레임의 연결판 하부를 지지하는 제1충격흡수부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운동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에 발생하는 진동을 절연하여 수직 방향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물체 충돌 전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물체 충돌 전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물체 충돌시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물체 충돌 후 충격전달유닛의 후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물체 충돌 후 충격전달유닛의 후퇴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물체 충돌 후 가이드프레임의 회전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물체 충돌 후 가이드프레임의 회전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제1충격흡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가이드샤프트와 가이드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제2충격흡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물체 충돌 전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물체 충돌 전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물체 충돌시 진동 저감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은 물체 충돌 후 충격전달유닛의 후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판(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5); 왕복 운동하는 물체(O)가 충돌되는 충격전달추(61) 및 상기 충격전달추(61)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5)의 가이드판(51)을 관통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샤프트(62)로 구성되는 충격전달유닛(6); 및 상기 충격전달유닛(6)의 후퇴시 충격전달유닛(6)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널 균열 스캐닝을 위해 차량에 탑재되는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의 리니어모터(1)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2) 등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빠른 속도로 방향 전환을 하는 물체(O)의 방향 전환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3)는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의 리니어모터(1)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2)에 사용되는 것이기는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3)는 베이스플레이트(4), 가이드프레임(5), 충격전달유닛(6) 및 복귀 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는 리니어모터(1)의 일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진동 저감 장치(3)를 하부에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은 베이스플레이트(4)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판(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51)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51)에는 후술할 충격전달유닛(6)의 슬라이딩샤프트(62)가 관통 가능한 가이드공(511)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도 11, 도 12)
상기 충격전달유닛(6)은 왕복 운동하는 물체(O)가 충돌되는 충격전달추(61) 및 상기 충격전달추(61)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5)의 가이드판(51)을 관통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샤프트(62)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샤프트(62)는 원통 형상 등 길이가 긴 바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을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물체(O)는 리니어모터(1)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영상촬영장치(2)가 탑재된 슬라이더(11)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1)는 리니어모터(1)의 리니어가이드(12) 상에서 왕복 운동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2)는 터널 영상 촬영시에는 차량 주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르다. 반면, 영상촬영장치(2)의 복귀시에는 터널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느린 속도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촬영장치(2)가 리니어가이드(12)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충격이 주로 발생하므로,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3)는 리니어가이드(12)의 후방 측에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격전달유닛(6)의 충격전달추(61)는 영상촬영장치(2)가 리니어가이드(12)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후방 측 단부에 이르렀다가 방향이 전환되는 시점에 물체(O)의 충돌이 이루어지도록 리니어가이드(12)의 직후방에 위치시킨다.
상기 리니어가이드(12)의 후방에는 슬라이더(11)와 충격전달추(61)의 사이에서 슬라이더(11)의 충격을 충격전달추(61)로 전달하는 전달 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전달추(61)의 충격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제1방진패드(63)가 구비될 수 있다.
물체(O)가 충격전달추(61)에 충돌시, 운동량 보전의 법칙에 따라 물체(O)의 운동량은 충격전달추(61)로 완전히 전달된다(도 5). 즉,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O)가 정지 상태의 충격전달추(61)에 충돌시 물체(O)는 정지하고, 물체(O)의 운동량은 충격전달추(61)로 보존되어 충격전달추(61)가 후방으로 이동한다(도 6, 도 7).
이에 따라 물체(O)가 이동 방향 변환을 위해 정지되는 시점에서 물체(O)의 운동량이 0이 되어, 물체(O) 및 리니어모터(1) 등에는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전달추(61)의 후방에는 가이드프레임(5)을 관통하는 슬라이딩샤프트(62)가 구비되어, 충격전달유닛(6)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가이드된다(도 5 등).
상기 복귀 수단(7)은 후퇴된 충격전달유닛(6)을 원위치시킨다.
상기 복귀 수단(7)은 후방으로 수평 이동한 충격전달유닛(6)을 다시 원위치, 즉 리니어가이드(12)의 후방으로 복귀시켜 왕복 후 되돌아오는 물체(O)와 반복적으로 충돌되게 한다.
상기 복귀 수단(7)은 충격전달유닛(6)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뿐 아니라 충격전달추(61)가 물체(O)와 충돌시 충격전달유닛(6)이 후퇴하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충격전달유닛(6)과 충돌 후 물체(O)의 속도(va')는
Figure 112020052454781-pat00001
이다. 그러므로 충돌 후 물체(O)의 속도가 0이 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전달추(61)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20052454781-pat00002
예를 들면, 물체(O)와 충격전달추(61)의 반발계수(e)가 1이라 가정할 경우, 즉 완전 탄성 충돌의 경우 충돌 후 물체(O)의 속도가 0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충격전달추(61)의 질량은 물체(O)의 질량과 동일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ma는 물체(O)의 질량, mb는 충격전달추(61)의 질량, va는 충돌 전 물체(O)의 속도, e는 반발계수를 각각 의미한다.
터널 균열 자동 스캐닝 장비의 리니어모터(1)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물체(O)의 질량(ma)은 영상촬영장치(2)의 질량과 슬라이더(11)의 질량을 합한 값이다.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귀 수단(7)은 가이드판(51)과 충격전달추(61)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62) 외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체(O) 충돌시 충격에 의해 충격전달유닛(6)이 후퇴되면서 코일스프링이 압축된다(도 6, 도 7). 이후, 코일스프링이 탄성 회복되면서 충격전달추(61)를 가압하여 충격전달유닛(6)을 원위치까지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충격전달유닛(6)의 복귀 속도가 너무 빠르게 원위치에 도달했을 때 가이드판(51)에 큰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코일스프링의 강성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도 8은 물체 충돌 후 가이드프레임의 회전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물체 충돌 후 가이드프레임의 회전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5)의 가이드판(51)은 베이스플레이트(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51)의 후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판(52)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52)의 단부에는 충격전달유닛(6)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62)를 지지하는 지지판(53)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의 상부에는 연결판(5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충격흡수부(8)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의 가이드판(51)을 베이스플레이트(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가이드프레임(5) 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체(O)가 충격전달추(61)에 충돌하여 충격전달유닛(6)이 후퇴하면, 충격전달유닛(6)의 슬라이딩샤프트(62)가 가이드프레임(5)의 지지판(53)을 가격하면서 가이드프레임(5)을 회전시키고, 연결판(52)이 제1충격흡수부(8)를 가압하면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물체(O)의 충돌에 의한 충격전달유닛(6)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가이드프레임(5)의 회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써 수평 방향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 방향 진동은 제1충격흡수부(8)에 의해 흡수되므로, 수직 방향 진동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제1충격흡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충격흡수부(8)는 가이드프레임(5)의 회전시 지지판(53)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에어스프링(81)을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1에어스프링(81)은 내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자체 강성이 강하여 가이드프레임(5)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충격이 가해질 경우 진동 절연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상기 제1에어스프링(81)은 가압 부분에서만 부분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연결판(52)에 의해 넓은 면적에서 충격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제1에어스프링(81)의 균등한 변형을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에어스프링(81)의 내부에는 가이드프레임(5)의 회전시 제1에어스프링(81)과 함께 충격을 흡수하고, 회전된 가이드프레임(5)의 원활한 복귀를 유도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8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가이드샤프트와 가이드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스프링(81)의 내부에는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연결판(5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연결판(5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샤프트(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스프링(81)이 가이드프레임(5)의 연결판(52)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고정하고, 가이드프레임(5)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제1에어스프링(81)의 내부에는 가이드샤프트(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샤프트(83)는 상단이 연결판(52)을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연결판(52) 자체는 가이드샤프트(83)에 대해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한다. 하지만 가이드프레임(5)은 가이드판(51)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을 하므로, 가이드샤프트(83) 역시 하단을 베이스플레이트(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샤프트(83)는 연결판(5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연결판(52)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 가능하다.
상기 연결판(52)에는 가이드샤프트(83)가 관통되는 가이드공(5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521)은 연결판(52)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후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제2충격흡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8,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53)의 전면에는 충격전달유닛(6)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62)를 지지하는 제2충격흡수부(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전달유닛(6)의 슬라이딩샤프트(62)가 후퇴하면서 직접 지지판(53)을 가격할 경우, 가격 순간 충격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지지판(53)의 전면에 제2충격흡수부(9)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격전달유닛(6) 후퇴시, 충격전달유닛(6)의 슬라이딩샤프트(62)가 제2충격흡수부(9)를 가압하여 1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제2충격흡수부(9)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프레임(5)이 회전하면서 연결판(52) 하부의 제1충격흡수부(8)를 가압하여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샤프트(62)의 후단에는 충격전달유닛(6)의 복귀시 슬라이딩샤프트(62)가 가이드판(52)의 후면에 걸려 탈락되지 않도록 슬라이딩샤프트(6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4)의 외경은 슬라이딩샤프트(62)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딩샤프트(62)에 구비된 스토퍼(64)를 방진 고무로 형성하면, 충격전달유닛(6)의 후퇴시 또는 제2충격흡수부(9)의 가압시 스토퍼(64)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2충격흡수부(9)는 충격전달유닛(6)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62)를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에어스프링(9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충격흡수부(9) 역시 진동 절연 능력이 뛰어난 제2에어스프링(91)을 포함하여 구성하면, 슬라이딩샤프트(62)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스프링(91)의 내부에는 후퇴한 충격전달유닛(6)의 슬라이딩샤프트(62)를 역방향으로 가압하여 충격전달유닛(6)의 복귀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9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의 하부에는 메인방진패드(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의 연결판(52) 하부에 제1충격흡수부(8)가 구비된다 하더라도 제1충격흡수부(8)의 자체 강성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4)에 약간이나마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충격흡수부(8)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운동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4)에 발생하는 진동을 절연하여 차량 등 하부 지지체에 수직 방향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베이스플레이트(4)의 하부에는 메인방진패드(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방진패드(41)는 방진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1: 리니어모터 11: 슬라이더
12: 리니어가이드 13: 전달 부재
2: 영상촬영장치 3: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4: 베이스플레이트 41: 메인방진패드
5: 가이드프레임 51: 가이드판
511: 가이드공 52: 연결판
521: 가이드공 53: 지지판
6: 충격전달유닛 61: 충격전달추
62: 슬라이딩샤프트 63: 제1방진패드
64: 스토퍼 7: 복귀 수단
8: 제1충격흡수부 81: 제1에어스프링
82: 코일스프링 83: 가이드샤프트
9: 제2충격흡수부 91: 제2에어스프링
92: 코일스프링 O: 물체

Claims (9)

  1. 베이스플레이트(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51), 상기 가이드판(51)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판(52) 및 상기 연결판(52)의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판(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5);
    왕복 운동하는 물체(O)가 충돌되는 충격전달추(61) 및 상기 충격전달추(61)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5)의 가이드판(51)을 관통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후퇴시 지지판(53)을 가격하여 가이드프레임(5)을 회전시키는 슬라이딩샤프트(62)로 구성되는 충격전달유닛(6);
    상기 충격전달유닛(6)의 후퇴시 충격전달유닛(6)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수단(7);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결판(5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충격흡수부(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귀 수단(7)은 가이드판(51)과 충격전달추(61) 사이의 슬라이딩샤프트(62) 외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딩샤프트(62)의 후단에는 가이드판(51)의 후면에 걸리는 스토퍼(6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충격흡수부(8)는 가이드프레임(5)의 회전시 지지판(53)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에어스프링(8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에어스프링(81)의 내부에는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연결판(5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연결판(5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샤프트(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53)의 전면에는 충격전달유닛(6)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62)를 지지하는 제2충격흡수부(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2충격흡수부(9)는 충격전달유닛(6) 후퇴시 슬라이딩샤프트(62)를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에어스프링(9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의 하부에는 메인방진패드(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KR1020200062343A 2020-05-25 2020-05-25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KR102173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43A KR102173053B1 (ko) 2020-05-25 2020-05-25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43A KR102173053B1 (ko) 2020-05-25 2020-05-25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053B1 true KR102173053B1 (ko) 2020-11-02
KR102173053B9 KR102173053B9 (ko) 2021-10-27

Family

ID=7339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43A KR102173053B1 (ko) 2020-05-25 2020-05-25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019A (ja) * 1996-10-31 1998-05-22 Tokimec Inc 減揺装置
KR19980066828U (ko) * 1997-05-20 1998-12-05 양재신 회전체(Turn Table)의 충격 흡수 장치(Shock Absorber)
JP2014185699A (ja) * 2013-03-23 2014-10-02 Advanced System Co Ltd 空気ばねと免震又は制振機構用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019A (ja) * 1996-10-31 1998-05-22 Tokimec Inc 減揺装置
KR19980066828U (ko) * 1997-05-20 1998-12-05 양재신 회전체(Turn Table)의 충격 흡수 장치(Shock Absorber)
JP2014185699A (ja) * 2013-03-23 2014-10-02 Advanced System Co Ltd 空気ばねと免震又は制振機構用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053B9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4931A (ja) 衝撃及び振動隔離装置
KR102173053B1 (ko) 직선 이동식 진동 저감 장치
CN205101816U (zh) 一种碰撞试验中高速摄像机的安装装置
KR102173052B1 (ko) 회전식 진동 저감 장치
CN117104560B (zh) 一种巡检无人机用监控装置
CN210175120U (zh) 一种用于测绘航拍无人机
US429578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workpieces
CN112584952A (zh) 作业机单元及多关节机器人
US20220213655A1 (en) Troweling device and troweling robot
CN110777653A (zh) 一种桥梁检测设备
CN113944073A (zh) 一种轨道检测小车
CN110242846B (zh) 一种俯仰、方位均可调的减震装置
CN106197990A (zh) 适于汽车天窗防盗功能试验的工装
CN108717204B (zh) 一种扫描成像系统及安检设备
CN108709742A (zh) 一种传动系统检测用精准滑动的导向结构
CN210086110U (zh) 一种市政建设用路障
CN114954979A (zh) 一种连续周扫线性运动像移补偿系统及方法
CN115898258A (zh) 一种地下隧道裂缝修补智能钻孔装置、机械臂及方法
CN219417864U (zh) 一种带有记录测绘功能的无线管道潜望镜
CN107389355B (zh) 一种汽车车道改变预警功能的测试装置及方法
CN207423492U (zh) 一种用于屏幕加工的检测机
CN219257745U (zh) 一种具有减震结构的灾害预警无人机
CN213364623U (zh) 高速品检机的检测装置
CN218973979U (zh) 一种桥梁承载能力检测装置
CN219777509U (zh) 一种pcb板拼接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