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804B1 - 차량용 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804B1
KR102172804B1 KR1020180081485A KR20180081485A KR102172804B1 KR 102172804 B1 KR102172804 B1 KR 102172804B1 KR 1020180081485 A KR1020180081485 A KR 1020180081485A KR 20180081485 A KR20180081485 A KR 20180081485A KR 102172804 B1 KR102172804 B1 KR 10217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ehicle
loop
yarn
yarn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406A (ko
Inventor
윤세영
김정수
서병준
문윤석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102018008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8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다른 차량용 매트를 개시한다. 차량용 매트는 복수의 루프원사가 식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루프원사뭉치 및 복수의 커팅원사가 식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커팅원사뭉치를 포함하는 스킨층 및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가 식모되는 스크림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매트{MAT FOR VEHICLE}
이하의 설명은 차량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승합차,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붙어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을 털어주고 포집하는 차량용 매트가 깔리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매트로는 카페트형 매트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패드부의 상면에 일정길이의 섬모가 식재되어 카페트형태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차량용 매트는 포집된 흙, 먼지 등이 에어컨이나 탑승자의 움직임 또는 창문을 통해 공기흐름에 의해 차량 내부 공기로 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매트의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54602호 "흙, 먼지 받침대가 있는 이중 자동차용 매트"(2000.09.05)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차량의 바닥에 구비되어 흙, 모레, 먼지를 털어줄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용 매트에 포집된 이물질이 에어컨, 히터 등의 공기 흐름에 의해 차량 내부로 퍼지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무게가 가벼우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한 차량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방수, 흡음 및 미끄럼이 방지되는 차량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용 매트는 복수의 루프원사가 식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루프원사뭉치 및 복수의 커팅원사가 식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커팅원사뭉치를 포함하는 스킨층 및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및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가 식모되는 스크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루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루프부는 각각의 루프부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는 상기 복수의 루프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또는 복수의 루프원사뭉치는 각각의 뭉치가 상기 스크림층 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식모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및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는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식모되고, 각각의 원사뭉치 식모된 부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이격공간은 이물집이 포집되거나, 액체가 흐르는 물길을 형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는 각각 상기 스크림층 쪽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루프원사는 각각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일 루프 원사가 적어도 하나의 타 루프원사와 갈고리 형상이 마주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스크림층 하단에 구비되고, 식모된 원사를 고정하는 고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스크림층의 하단에 구비되고, 소음을 흡읍하는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은15 내지 25겹의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의 하단을 열처리하여 미끄럼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미끄럼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매트는 차량의 바닥에 구비되어 흙, 모레, 먼지를 털어줄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매트에 포집된 이물질이 에어컨, 히터 등의 공기 흐름에 의해 차량 내부로 퍼지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우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방수 및 흡음 기능이 뛰어나고, 차량의 바닥과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청소기로 흡입한 후의 이물질의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10회 털어낸 후에 이물질의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흡음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본 명세서에서 하부는 도 2를 바라볼 때, 아래쪽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Ⅱ-Ⅱ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저면도이다.
차량용 매트(1)는 차량의 실내 바닥면에는 탑승자의 신발에 붙어 유입되는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주고 포집한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1)는 커팅원사(111) 및 루프원사(121)가 복합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커팅원사(111)는 신발의 이물질(D)을 털어주고 포집된 이물질이 세척 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루프원사(121)는 커팅원사(111)를 통해 털어진 이물질(D)을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커팅원사(111)는 그 형상에 의해 일부 이물질(D)을 포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차량용 매트(1)는 스킨층(10), 스크림층(20), 고정층(30), 접착층(40), 지지층(50) 및 미끄럼방지층(60) 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스킨층(10)은 원사들로 이루어진 층으로, 탑승차의 신발에 붙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털어주고 포집하는 층이다. 스킨층(10)은 PM2.5의 미세먼지부터 약 1.7mm 크기의 모레까지 포집할 수 있다. 스킨층(10)은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커팅원사(111)가 식모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팅원사뭉치(110)는 복수의 커팅원사(111)가 식모되어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커팅원사뭉치(110)는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커팅원사뭉치(110)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식모된다.
각각의 커팅원사뭉치(110)는 스크림층(20) 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식모된다. 여기서, 각각의 커팅원사뭉치(110)의 상단으로 갈수록 확산되는 형태를 가져 인접한 원사뭉치(110, 120)와 촘촘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커팅원사(111)는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가 탑승자의 신발에 접촉하여 흙이나 먼지 등을 털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커팅원사(111)는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PE/LLDPE, PE/LDPE, 무연신(Casting polypropylene, CPP) 또는 PA(Poly amide) 재질의 섬유일 수 있다. 커팅원사(111)는 상기의 재질 중 내구성이 강하고 복원력이 우수한 PA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팅원사(111)는 식모된 방향 즉, 후술하는 스크림층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커팅원사(111)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커팅원사(111)는 인접한 커팅원사(111)와의 사이에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D)을 포집하고, 확산되지 않도록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커팅원사(111)는 신발의 이물질을 털고 포집할 수 있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는 복수의 루프원사(121)가 식모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는 복수의 루프원사(121)가 식모되어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루프원사뭉치(120)는 스크림층(20) 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식모된다. 여기서, 각각의 루프원사뭉치(120)는 상단으로 갈수록 확산되는 형태를 가져 인접한 원사뭉치(110, 120)의 상단부와 촘촘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루프원사(121)는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를 가지는 원사를 의미한다. 일 루프원사(121)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타 루프원사(121)와 갈고리 형상이 상호 대면되도록 구비된다. 마주보는 한 쌍의 루프원사(121)는 상호 대면되는 갈고리가 소정형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한 쌍의 루프원사(121)이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 여기서, 루프원사뭉치(120)는 갈고리형태로 이물질(D)을 포집하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프원사뭉치(120)는 식모되는 부분은 좁은데 반해 상단부는 넓게 분산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포집된 이물질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루프원사(121)는 커팅원사(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팅원사(11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는 다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루프부(13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루프원사뭉치(120)는 6개 또는 7개가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상단의 형상이 정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루프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정육각형 형상의 루프부(130)는 이물질(D)의 포집 및 유지가 다른 형상에 비해 우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그 형상에 따라 개수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루프부(1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서, 각각의 루프부(130)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루프부(130)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루프부(130)와 인접한 루프부(130) 사이에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가 식모된다. 여기서, 커팅원사뭉치(110)는 복수의 루프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루프부(1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스킨층(10)은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가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되, 복수의 루프부(130)가 점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루프원사(121)가 형성하는 면적은 커팅원사(111)의 면적 대비 0.6내지 1.4배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루프원사(121)가 형성하는 면적이 커팅원사(111)의 면적 대비 0.6배 미만인 경우에는 이물질(D)을 포집한 채로 유지하는 효율이 떨어져 이물질(D)이 공기흐름에 의해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루프원사(121)가 형성하는 면적이 커팅원사(111)의 면적 대비 1.4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루프원사(121)에 포집된 먼지가 세척 시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루프원사(121)가 형성하는 면적은 커팅원사(111)의 면적 대비 0.9내지 1.1배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루프원사(121)는 커팅원사(11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다. 커팅원사(111)는 루프원사(121)과 높이차에 의하여 먼저 신발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털 수 있다. 루프원사(121)는 털어진 이물질을 포집하여 공기순환에 의해서 확산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한편, 원사뭉치(110, 120)는 0.5 내지 1.7mm 이격되어 식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사뭉치(110, 120)가 식모되는 부분이 상단부에서 스크림층 쪽으로 갈수록 점차 모이는 형상으로 식모된다. 예를 들어, 원사뭉치(110, 120)가 식모되는 부분은 원사가 모여 점형으로 식모될 수 있다. 여기서, 원사뭉치(110, 120)는 각각의 원사뭉치(110, 120)의 식모된 부분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원사뭉치(110, 120)의 상부에는 원사뭉치(110, 120)가 촘촘하게 형성되어서 이격공간(S)으로 이물질(D)이 포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킨층(10)은 각각의 원사뭉치(110, 120)가 식모된 부분 사이에 이물질(D)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커팅원사(111) 사이 또는 루프원사(121) 사이에도 이물질(D)을 포집할 수 있다. 여기서, 커팅원사(111) 사이 또는 루프원사(121) 사이는 스킨층(10)은 각각의 원사뭉치(110, 120)가 식모된 부분 사이에 포집되는 이물질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스킨층(10)은 포집된 이물질(D)이 공기순환에 의해 확산되는 것은 방지한다.
또한, 스킨층(10)은 세척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스킨층(10)은 사용자가 터는 행동 또는 청소기로 흡입하는 경우 등 이물질(D)을 제거하는 강한 힘이 형성되면, 원사뭉치(110, 120)의 상단부 사이가 좁혀지거나 포집된 이물질의 압력에 의해 원사들의 사이가 벌어지기 용이하여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스킨층(10)은 복수의 원사뭉치(110, 120)의 식모된 부분이 점형으로 식모되어서 형성하는 이격공간(S)을 따라 물길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킨층(10)이 복수의 원사뭉치(110, 120)로 구성되어 스킨층(10)에 액체가 뿌려지는 경우에 원사뭉치(110, 120)의 식모부분의 사이사이로 액체가 이동되는 길이 형성된다. 스킨층(10)은 물로 세척되는 경우에 포집된 이물질이 물길을 따라 이동되어서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스크림층(20)은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가 식모된다. 여기서,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는 스크림층(20)을 관통하여 식모된다.
스크림층(20)은 방수가 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림층(20)은 PET재질의 기포지일 수 있다. 스크림층(20)의 상면은 복수의 원사뭉치(110, 120)가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식모된 부분 사이로 액체가 이동할 때 방수가 되어 물질을 통해 액체가 쉽게 이동된다. 또한, 스킨층(10) 및 스크림층(20)에 잔류된 액체는 복수의 원사뭉치(110, 120)가 식모되어 형성한 이격공간(S) 및 복수의 커팅원사(111)의 사이를 통해 공기와 접촉이 용이하여 쉽게 건조될 수 있다.
고정층(30)은 스크림층(20)의 하단에 구비된다. 고정층(30)은 스크림층(20)을 관통하여 식모된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의 하부를 고정한다. 고정층(30)은 스크림층(20)과 이중으로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의 식모된 하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원사뭉치(110, 12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층(30)은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의 식모된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층(30)은 원사뭉치(110, 120)의 식모된 하단부보다 큰게 하단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식모된 하단부를 강하게 고정한다.
고정층(30)은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재질 일 수 있다. SBR은 천연고무에 비해 품질이 균일하고 내열성, 내마모성 및 점착성이 우수하다. 고정층(30)은 차량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1차 흡음할 수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층(30)의 재질은 원사뭉치(110, 12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이 가능할 수 있다.
접착층(40)은 고정층(30)과 후술하는 지지층(50)을 접착한다. 접착층(40)은 라미네이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40)은 고정층(30)과 지지층(50) 사이에 PE 재질의 핫멜트(hotmelt)로 라미네이팅되어 고정층(30)과 지지층(50)을 접착할 수 있다. PE 핫멜트는 접착성이 우수하고 유해성이 낮다. 다만 접착층(4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층(30)과 지지층(50)의 접착을 위해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접착층(40)은 고정층(30)에 일정하게 도포되는 형태를 가져 요철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은 고정층(30)과 지지층(50)을 요철형태로 라미네이팅되어 접착함으로써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지지층(50)은 스크림층(20)의 하단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층(50)은 접착층(40)의 하단에 구비된다. 지지층(50)은 부직포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층(50)은 PET 재질의 섬유를 니들펀칭으로 15 내지 25겹으로 형성된 네트워크 구조체를 가진다. 지지층(50)은 보다 바람직하게 20겹의 네트워크 구조체를 가진다. 지지층(50)은 차량의 하부에서 발행하는 소음을 흡음한다. 또한, PET 재질의 지지층(50)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강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층(60)은 지지층(50)의 하단을 열처리하여 돌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61)를 포함한다. 미끄럼방지층(60)은 차량의 하부와 미끄럼 방지부(61)가 마찰력을 형성하여 차량의 하부에서 차량용 매트(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부(61)는 도 3에서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지지층(50)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방지층(60)은 지지층(50)의 하단을 규칙적인 형상으로 열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층(60)은 지지층(50)의 하단의 섬유 사이가 녹아 붙는 형상을 가져 액체의 침투를 막을 수 있어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미끄럼 방지층(60)을 미끄럼 방지부(61)로 형성된 하나의 층으로 도시하였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 방지부(61)는 지지층(50)의 하부가 열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매트(1)는 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은 매트의 절단면에 코팅되어 내수성을 향상시키니다. 예를 들어, 코팅층은 미끄럼 방지층(60) 및 측면의 절단면에 코팅되어 물 등의 액체에 의한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 코팅층일 수 있다.
여기서, 코팅층은 PP재질일 수 있다. PP는 음식 및 화장품용기, 장난감 등에 일용 잡화부터 공업용 부품, 의료기구, 약품용기등에 사용되는 재질로 내수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또한, 차량용 매트(1)는 코팅층이 도포되어 시각적인 미관이 우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팅층(70)은 차량용 매트(1)의 절단면 전체에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코팅층(70)은 차량용 매트(1) 전체에 걸쳐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1)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매트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4의 (b)는 비교예1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의 (c)는 비교예2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의 (d)는 비교예 3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커팅원사뭉치(110) 및 복수의 루프원사뭉치(120)가 형성된 스킨층(10), 스크림층(20), 고정층(30), 접착층(40), 20겹의 네트워크 구조체가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지지층(50), 미끄럼방지층(60) 및 코팅층(70)이 형성되고, 전체 두께가 11 내지 13mm로 형성된 차량용 매트(1)다.
<비교예1> 종래의 벌집형 이중 차량용 매트
비교예 1은 벌집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매트 및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하부매트가 결합되고, 전체 두께가 9 내지 11mm로 형성된 벌집형 차량용 매트이다.
<비교예2> 종래의 카페트형 차량용 매트
스킨층이 커팅원사로 형성되고, 전체 두께가 7 내지 9mm로 형성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페트형 차량용 매트이다.
<비교예3> 종래의 코일형 차량용 매트
스킨층의 원사가 고리 형상의 코일형태를 가지고, 전체 두께가 21 내지 23mm로 형성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일형 차량용 매트이다.
<비교예4> 차량용 매트가 없는 상태의 바닥면
대조 시험을 위한 차량용 매트가 없는 상태의 챔버의 바닥면이다.
<시험 예1> 차량용 매트의 비산먼지 시험
시험 예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가로 600mm, 폭 450mm 높이 600mm이고 두께가 5mm인 아크릴재질의 챔버 내에 투입하고,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500mm 높이에 PM 측정기를 고정 설치하였고 바닥으로부터 150mm 높이에 110V용 블로우어 팬을 설치하고, 바닥에는 가로600mm, 폭 450mm 크기의 실험용 매트를 설치하였다. 챔버 내에는 Batch Reactor 방식으로 블로우팬을 설치하여 비산먼지를 발생시켰다. 여기서, 비산먼지를 발생하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챔버 밖에 슬라이닥스를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하였으며, 풍량은 무풍, 인공기류로 구분하여 비산먼지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산먼지의 농도 측정은 챔버내에서 발생되는 PM10과 PM2.5는 바닥으로부터 50Cm높이에 설치된 광산란법에 의한 자동 연속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3초 간격으로 PM10과 PM2.5를 동시에 측정한 값은 외부에 설치된 PC로 전송하였다. 또한, 인공먼지는 입경 0~5㎛의 ARIZONA TEST DUST (PTI ID 13019H, USA)를 이용하였고 실험에 사용되는 먼지량은 3g을 직경 25Cm, 45㎛ 분채에서 채 거름하여 차량용 매트에 도포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표 1은 무풍 및 인공기류 발생시 차량용 매트의 PM2.5 및 PM10 비산먼지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구분 무풍 인공기류
PM2.5 PM10 PM2.5/PM1.0 PM2.5 PM10 PM2.5/PM1.0
실시예 10 10 1.0 24 28 0.85
비교예1 11 13 0.85 68 85 0.80
비교예2 10 11 0.91 46 63 0.73
비교예3 10 10 1.0 70 90 0.78
비교예4 9 9 1.0 285 406 0.70
미세먼지(PM10) 중 초미세먼지(PM2.5)가 차지하는 비율은 무풍 시 0.95(0.85~1.00), 인공기류 시 0.77(0.70~0.85)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의 비가 낮을 수록 조대입자의 비산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차량용 매트별 비산먼지 제어효과를 살펴보면, 비교예4의 인공기류시 비산먼지 농도에 대한 차량용 매트별 비산먼지 농도 비로 나타내었을 때 PM2.5의 경우 실시예는 0.084, 비교예1은 0.238, 비교예 2는 0.161, 비교예 3은 0.245로 나타났고, PM10의 경우 실시예는 0.069, 비교예1은 0.219, 비교예2는 0.155, 비교예 3은 0.222로 나타났다.
비교예 4의 비산먼지 농도에 대한 차량용 매트의 비산먼지 발생농도 비율이 높을수록 먼지제어 효과가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실험 결과 제어효율이 가장 높은 것은 PM2.5 및 PM10의 비산농도 모두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1)가 가장 우수하였고 비교예2, 비교예1, 비교예4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시험예에서는 인공기류 발생 시,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1)의 비산먼지 제어 효율은 PM2.5의 먼지입자에서는 91.6%, PM10에서는 93.1%로 제어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 예2> 청소기 흡입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3의 차량용 매트에 동일한 이물질을 도포하고, 불스원사의 듀얼 토네이도 청소기를 이용하여 1.5분간 차량용 매트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잔량을 측정하였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청소기로 흡입한 후의 이물질의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기 흡입 후 비교예 1의 차량용 매트는 이물질이 18g 잔류하였으며, 비교예 2의 차량용 매트는 이물질이 15g 잔류되었으며,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1)는 이물질이 3g 잔류하였다.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1)는 비교예의 차량용 매트에 비하여 1/6 내지 1/5의 이물질만이 잔류하여 세척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시험 예3> 차량용 매트의 털기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3의 차량용 매트에 동일한 이물질을 도포하고, 동일한 힘으로 10회간 턴 후, 이물질을 잔량을 측정하였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를 10회 털어낸 후에 이물질의 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차량용 매트의 이물질 잔량은 3g이 잔류되었으며, 비교예 3의 차량용 매트의 이물질 잔량은 5g이 잔류되었고,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1)의 이물질 잔량은 0.2이 잔류하였다.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는 비교예의 차량용 매트에 비하여 1/25 내지 1/15의 이물질만이 잔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차량용 매트(1)는 비교예의 차량용 매트와 비교하여 세척 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됨을 알 수 있다.
<시험 예4> 차량용 매트의 흡음성능 시험
잔량실법 흡음율 측정장비로 1/3 octave band 중심 주파수(Hz)로 400부터 2500Hz까지 소음을 점차 증가시키며 소음의 잔향시간을 측정하여 흠음 계수를 측정하였다.
도 7는 실험 예1에 따른 차량용 매트의 흡음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1)는 400Hz 부터 800Hz까지 흡음 계수가 증가하였으며, 800Hz부터 1600Hz까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비교예1에 따른 차량용 매트는 흡음계수가 400Hz부터 2500Hz까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1)는 비교예1의 차량용 매트에 비하여 4배 내지 9배까지 흡음계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1)는 비교예1에 따른 차량용 매트에 비해 높은 흡음 계수를 가져 흡음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매트는 차량의 바닥에 구비되어 흙, 모레, 먼지를 털어줄 수 있으면서도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매트에 포집된 이물질이 에어컨, 히터 등의 공기 흐름에 의해 차량 내부로 퍼지는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우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방수 및 흡음 기능이 뛰어나고, 차량의 바닥과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차량용 매트 10: 스킨층
110: 커팅원사뭉치 111: 커팅원사
120: 루프원사뭉치 121: 루프원사
130: 루프부 20: 스크림층
30: 고정층 40: 접착층
50: 지지층 60: 미끄럼방지층
61: 미끄럼 방지부 D: 이물질
S: 이격공간

Claims (12)

  1. 복수의 루프원사가 식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루프원사뭉치 및 복수의 커팅원사가 식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커팅원사뭉치를 포함하는 스킨층;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및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가 식모되는 스크림층; 및
    상기 스크림층의 하단에 구비되고, 식모된 원사를 고정하는 고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층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층에 식모된 원사가 상기 고정층의 하단으로 돌출된 부분에 식모되어 고정되는 차량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루프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루프부는,
    각각의 루프부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는,
    상기 복수의 루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또는 복수의 루프원사뭉치는,
    각각의 뭉치가 상기 스크림층 쪽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식모되는 차량용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뭉치 및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뭉치는,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식모되고,
    각각의 원사뭉치 식모된 부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차량용 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이물집이 포집되거나, 액체가 흐르는 물길을 형성하는 차량용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팅원사는 각각 상기 스크림층 쪽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는 차량용 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프원사는 각각
    갈고리 형상을 가지고,
    일 루프원사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타 루프원사와 상기 갈고리 형상이 마주보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매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림층의 하단에 구비되고, 소음을 흡읍하는 지지층;
    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15 내지 25겹의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부직포인 차량용 매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하단을 열처리하여 미끄럼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매트.
KR1020180081485A 2018-07-13 2018-07-13 차량용 매트 KR102172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485A KR102172804B1 (ko) 2018-07-13 2018-07-13 차량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485A KR102172804B1 (ko) 2018-07-13 2018-07-13 차량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406A KR20200007406A (ko) 2020-01-22
KR102172804B1 true KR102172804B1 (ko) 2020-11-02

Family

ID=6936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485A KR102172804B1 (ko) 2018-07-13 2018-07-13 차량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759B1 (ko) * 2022-04-29 2023-04-11 정민철 카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292A (ja) * 2010-12-16 2012-07-05 Yoshimitsu Keori Kk 自動車の内装カーペット、自動車、および内装カーペットとフロアマットとの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8973B2 (ja) * 1992-11-24 2002-09-30 東レ株式会社 異色シート
JP2007168073A (ja) * 2003-04-11 2007-07-05 Daiwa:Kk 吸音カーペット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940027B1 (ko) * 2017-01-02 2019-01-1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백킹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보조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292A (ja) * 2010-12-16 2012-07-05 Yoshimitsu Keori Kk 自動車の内装カーペット、自動車、および内装カーペットとフロアマットとの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406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1405B1 (en) Floor matting
US5227214A (en) Anti-creep mat
CN104147847B (zh) 空气过滤材料及空气过滤单元
US7700178B2 (en) Cleaning wipe with variable loft working surface
WO2000020675A1 (en) Differential basis weight nonwoven webs
KR102172804B1 (ko) 차량용 매트
KR20190130652A (ko) 오일 흡수 능력이 향상된 부직포 셀룰로오스 섬유 직물
CN110958867B (zh) 吸收性复合物
US6878193B2 (en) Filter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138567B1 (ko) 필러 고착 섬유, 섬유 구조물, 섬유 성형체 및 그들의제조방법
KR102112357B1 (ko) 반려동물용 매트
JP2008036880A (ja) 積層不織布、ゲル化シート及びフィラー固着シート
ATE378113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bahnstruktur und absorbierende struktur mit der verbundbahn
KR101354677B1 (ko) 다공성 먼지흡착 흡입필터
KR20120128861A (ko) 차량용 매트
CN104691388B (zh) 用于车辆的辅助垫及加工该辅助垫的装置
JP2008295886A (ja) 清掃用シート
JP5710426B2 (ja) オイル含浸濾過材
DE20207663U1 (de) Mehrlagiger Filteraufbau
IE43992B1 (en) A method of making biaxially oriented nonwoven fabrics
TW201903227A (zh) 具有纖維連接的輻射漫射顆粒的非織纖維素纖維織物
KR19990018160A (ko) 탈취기능의 자동차 실내용 복합 에어 필터 메디아
CN208119015U (zh) 一种新型汽车脚垫
KR100246938B1 (ko) 자동차 실내용 탈취 필터 메디아 제조방법
KR20210033176A (ko) 안정적인 세공을 유지로 인한 탈취 필터 메디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