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414B1 -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414B1
KR102172414B1 KR1020190050115A KR20190050115A KR102172414B1 KR 102172414 B1 KR102172414 B1 KR 102172414B1 KR 1020190050115 A KR1020190050115 A KR 1020190050115A KR 20190050115 A KR20190050115 A KR 20190050115A KR 102172414 B1 KR102172414 B1 KR 10217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portable air
coupling
dispos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현
윤주협
이건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컵홀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과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거치유닛이 별도로 마련되고, 거치유닛은 컵홀더의 외부에 배치되어 거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PORTABLE AIR CLEANER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컵홀더에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 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정화기는, 도시화, 산업화, 및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 알레르기 환자의 증가, 및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의 영향으로 그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
공기정화기가 일반 가정과 같이 100㎡ 이상을 넘어서는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기기의 크기가 크게 되어도 된다. 이러한 기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에 대응하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대응하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필터를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룸, 차량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이나 공공 도서관 등과 같이 매우 넓은 공간 또는 실외에서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 활용성, 이동성, 에너지 소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보다는 크기가 작으면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더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집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이다.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들려진 채로 사용될 수도 있고, 테이블이나 선반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차량 내부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다양한 장소에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특히 휴대형 공기정화기기 차량 내부에서 사용될 때에는, 통상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장착된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삽입된 형태로 사용될 경우,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삽입된 깊이만큼 공기 흡입 또는 토출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컵홀더에 장착 가능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크기, 형상은 컵홀더의 크기, 형상에 의해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즉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크기가 컵홀더의 크기에 비해 큰 경우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장착되기 어렵다. 또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크기는 컵홀더에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이지만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이 컵홀더의 다른 형상일 경우, 예를 들면 컵홀더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지만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은 사각형인 경우에도,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외측면이 컵홀더의 내측면에 제대로 밀착되기 어려우므로,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 내부에서 흔들리는 등,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의 내부에 제대로 고정되기 어렵다.
또한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거치되더라도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특성을 고려한 거치장치의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휴대형 공기정화기를 컵홀더에 거치할 수 있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 크기와 관계없이 휴대형 공기정화기를 컵홀더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는, 컵홀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과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거치유닛이 별도로 마련되고, 거치유닛은 컵홀더의 외부에 배치되어 거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유닛과 거치유닛은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컵홀더에 거치될 수 있게 됨으로써, 컵홀더에 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컵홀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과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거치유닛이 별도로 마련되고, 거치유닛의 형상이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 크기와 관계없이 휴대형 공기정화기를 컵홀더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거치유닛이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치유닛과 고정유닛은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되고, 거치유닛은 연결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는: 원 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컵홀더에 장착되는 차량용 거치장치로서, 컵홀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과;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거치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이 상기 고정유닛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거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컵홀더의 측벽과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컵홀더 내부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컵홀더의 측벽 사이로 돌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각각의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고정부는, 슬라이딩수용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컵홀더의 측벽을 향하며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의 내부를 향하게 마련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의 외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는, 상기 고정본체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케이스, 및 상기 고정본체의 출몰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수용케이스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본체의 출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는, 상기 고정본체의 출몰 방향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의 단부와 상기 결합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몰공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출몰공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상기 컵홀더의 내벽과 상기 지지부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걸림홈부에 각각 끼워져 상기 연결유닛을 상기 지지부에 끼움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연결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회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회전결합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상기 거치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전결합부는, 거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결합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결합부는, 상기 회전결합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결합축이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회전결합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심홀이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결합부는, 상기 거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결합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심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심홀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거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둘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중심홀의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이 형성된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홀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면의 이면에 결합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홀이 형성된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가 상기 중심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톱니와 치합되는 제2톱니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톱니는, 상기 제2톱니와 치합되어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시, 복수개의 상기 제1톱니 중 어느 하나에 치압되어 있던 상기 제2톱니가 다른 상기 제1톱니에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유닛의 최소 회전각은, 상기 제1톱니의 원주 피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저면, 및 상기 저면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은, 상기 컵홀더의 바닥면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면은,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저면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은,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제1면과,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양측면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면, 및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3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1절개부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에 따르면,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차량의 컵홀더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컵홀더에 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공기 흡입 및 배출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과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거치되는 거치유닛이 별도로 마련되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 크기와 관계없이 휴대형 공기정화기를 컵홀더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거치되는 거치유닛이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컵홀더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의 배후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와 연결유닛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7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거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배후측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의 사용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0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에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케이스(120)와, 전면패널(110) 및 후면패널(170)을 포함한다.
케이스(12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120)에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된다.
전면패널(110)은, 케이스(1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패널(11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70)은, 케이스(120)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패널(17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세워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눕혀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와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눕혀진 상태로 사용되더라도,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구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전방"이라 함은 상기 케이스(120)로부터 상기 전면패널(1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상기 케이스(120)로부터 상기 후면패널(120)이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전반적인 구조]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전면패널(110)과 케이스(120)와 팬커버(130)와 팬 어셈블리(140)와 필터모듈(150)과 배터리(160)와 후면패널(170) 및 후면커버(180)를 포함한다.
전면패널(11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전면패널(11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위해, 전면패널(110)에는 복수개의 토출구(110a)가 마련된다.
케이스(12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상면, 측면, 저면 외관이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팬커버(130), 팬 어셈블리(140), 배터리(150), 필터모듈(160) 등과 같이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케이스(120)는, 이와 같이 수용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팬커버(130)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140)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팬커버(130)는, 케이스(120) 내부에서 전면패널(110)과 팬 어셈블리(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커버(130)는, 팬 어셈블리(140)를 케이스(12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팬커버(130)는, 팬 어셈블리(140)에 의해 불어나가는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전방을 향해 직진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아울러 팬커버(130)는, 필터모듈(150) 및 배터리(160)의 고정에도 관여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140)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팬 어셈블리(140)는, 팬커버(130)의 후방 및 필터모듈(1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14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150)은,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140)와 후면패널(1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필터모듈(150)은, 팬 어셈블리(140)의 후방 및 후면패널(17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모듈(15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150)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팬 어셈블리(140), 팬커버(130), 전면패널(110)을 통과하여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배터리(160)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터리(16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160)는 팬 어셈블리(140)와 필터모듈(150), 그리고 후술할 서브 피씨비(190)와 메인 피씨비(1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하방향"라 함은 팬 어셈블리(140)와 배터리(160)의 배열 방향, 또는 필터모듈(150)과 배터리(160)의 배열 방향을 의미하며, 이때 팬 어셈블리(140)와 필터모듈(150)은 배터리(16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하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상하방향을 의미하며, "제3방향"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후면패널(170)은, 후면커버(180)와 함께 케이스(1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패널(170)은, 필터모듈(160)의 후방에 배치된다.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170)을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를 위해, 후면패널(170)에는 복수개의 제1흡입구(170a)가 마련된다.
그리고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170)과 함께 케이스(1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커버(180)는, 배터리(16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모듈(150)의 배후 영역은 후면패널(170)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고 배터리(160)의 배후 영역은 후면커버(180)에 의해 커버된다.
[케이스의 구조]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전방 및 후방은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2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20)가 가볍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케이스(120)의 후면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개방된다. 그리고 케이스(120)의 전면은,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개방된다. 개방된 케이스(120)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후술될 필터(159)는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케이스(120)의 내부에 장착 또는 탈착된다.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에는, 후면패널(170)이 결합된다. 케이스(120)에 결합된 후면패널(170)은,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한다.
상기 케이스(12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부(121)와 상면부(123)와 제1연결면부(125)와 저면부(127) 및 제2연결면부(1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부(121)는, 케이스(120)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측면부(121)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의 측부를 가로막는 벽면을 형성하는 세로방향의 평면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20)에는 한 쌍의 측면부(121)가 구비되며, 한 쌍의 측면부(121)는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측면부(121)는, 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면부(123)는, 측면부(121)의 상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측면부(121)의 이격방향과 나란한 평면, 즉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면부(123)는, 케이스(120)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제1연결면부(125)는, 측면부(121)와 상면부(1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연결면부(125)는, 상면부(123)의 일측 단부와 그 하부에 배치된 측면부(121) 사이, 그리고 상면부(123)의 타측 단부와 그 하부에 배치된 측면부(121)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제1연결면부(125)는, 측면부(121)와 상면부(123)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1연결면부(125)는, 측면부(121)와 상면부(123)가 연결된 케이스(120)의 상부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 및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저면부(127)는, 상면부(123) 및 측면부(1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부(123)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저면부(127)는, 케이스(120)의 저면을 형성한다. 또한 저면부(127)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세워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지지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제2연결면부(129)는, 측면부(121)와 저면부(127) 사이에 배치된다. 제2연결면부(129)는, 저면부(127)의 일측 단부와 그 상부에 배치된 측면부(121) 사이, 그리고 저면부(127)의 타측 단부와 그 상부에 배치된 측면부(121)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제1연결면부(125)는, 측면부(121)와 상면부(123)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1연결면부(125)는, 측면부(121)와 저면부(127)가 연결된 케이스(120)의 상부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 및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에는, 전방홈(120a)이 형성된다. 전방홈(120a)은, 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의 일부분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에는, 수용공간을 향한 내측이 외측보다 케이스(120)의 후방으로 오목한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20)의 후방 테두리에는, 후방홈(120b)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홈(120b)은, 케이스(120)의 후방 테두리의 일부분이 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120)의 후방 테두리에는, 수용공간을 향한 내측이 외측보다 케이스(120)의 전방으로 오목한 단차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 즉 케이스(120)의 상면부(123)에는, 전원버튼(192)이 제공될 수 있다. 전원버튼(192)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또한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풍량조절버튼(193)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풍량조절버튼(193)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풍량조절버튼(19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전원버튼(19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20)에는, 전원버튼(192) 및 상기 풍량조절버튼(193)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버튼 관통홀(123a)이 마련된다. 버튼 관통홀(123a)은,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전원버튼(192) 및 상기 풍량조절버튼(193)이 상기 케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구멍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20)의 상면부(123)에 2개의 버튼 관통홀(123a)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중 하나는 전원버튼(192)을, 다른 하나는 풍량조절버튼(193)을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른 예로서, 버튼 관통홀(123a)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고, 상면부(123)가 아닌 다른 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케이스(120)에는, 스트랩(101)을 케이스(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스트랩결합부(10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트랩(101)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마련된 것이다. 사용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직접 손으로 잡는 대신 스트랩(101)을 잡아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스트랩(101)에 의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휴대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결합부(105) 및 스트랩(101)은, 상면부(123)와 제1연결면부(125)의 경계, 또는 제1연결면부(125)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결합부(105) 및 스트랩(101)이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스트랩(101)의 존재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스트랩결합부(105) 및 스트랩(101)이 상면부(123)와 제1연결면부(125)의 경계, 또는 제1연결면부(125)에 배치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세워진 상태로 사용될 때에 스트랩(101)이 전원버튼(192) 또는 풍향조절버튼(193) 조작을 방해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트랩결합부(105) 및 스트랩(101)이 상기와 같이 배치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눕혀진 상태로 사용될 때에 스트랩(101)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깔리고, 이로 인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안착 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제1영역(A)과 제2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때, 상부의 영역이 제1영역(A)이 되고, 그 하부의 영역이 제2영역(B)이 된다. 제1영역(A)과 제2영역(B)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영역은 아니며, 단지 개념적으로만 구분된 영역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에 수용된 구성 중,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은 제1영역(A)에 배치되고, 배터리(150)는 제2영역(B)에 배치된다.
[전면패널]
전면패널(11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면패널(110)에는 복수개의 토출구(110a)가 마련된다.
일례로서, 복수개의 토출구(110a)는, 전면패널(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 또는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110a)를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110)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패널(110)에는, 전면패널(110)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면패널 결합부(113)가 마련된다.
전면패널 결합부(113)는, 전면패널(110)을 케이스(120)의 전방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전면패널 결합부(113)는, 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최전방에 배치된 팬커버(130)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2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패널(113)과 팬커버(130) 간의 결합은, 팬커버(130)에 형성된 전면패널 결합홈(131a)에 전면패널 결합부(113)가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면패널 결합부(113)는 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에 직접 결합되는 형태로 케이스(120)의 전방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에는 전면패널 결합부(113)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10)에는, 전면패널 로킹부(1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패널 로킹부(115)는, 전면패널 결합부(113)와 함께 전면패널(110)을 케이스(120)의 전방에 견고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전면패널 로킹부(115)는, 전면패널 결합부(113)의 일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패널 로킹부(115)는, 팬커버(13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전면패널 로킹홈(131b)을 통해 팬커버(130)에 결합된다.
일례로서, 전면패널 로킹부(115)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 로킹부(115)는 팬커버(130)에 후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전면패널 결합부(113)에는, 복수개의 전면패널 로킹부(115)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팬커버의 구조]
팬커버(130)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러한 팬커버(130)는, 전면패널(110)과 팬 어셈블리(140)의 사이, 그리고 전면패널(110)과 배터리(16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팬커버(130)의 전방에는 전면패널(110)이 배치되고, 팬커버(130)의 후방에는 팬 어셈블리(140) 및 배터리(160)가 배치된다.
팬커버(130)에는, 전면패널(110)이 삽입되는 전면패널 결합홈(131a)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패널 결합홈(131a)은, 팬커버(130)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110)과 팬커버(130) 간의 결합은, 전면패널 결합홈(131a)의 외측에 전면패널 결합부(113)가 끼움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팬커버(130)에는, 전면패널(110)의 전면패널 로킹부(115)와 결합되는 전면패널 로킹홈(131b)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패널 로킹홈(131b)은, 전면패널 결합홈(131a)의 일부가 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 로킹홈(131b)에는, 전면패널(110)의 전면패널 로킹부(115)가 후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팬커버(130)에는 복수개의 전면패널 로킹홈(131b)이 전면패널 로킹부(115)에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팬커버(130)는, 상부커버부(131)와 하부커버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팬커버(130)를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때, 상부의 영역이 상부커버부(131)가 되고, 하부의 영역이 하부커버부(135)가 된다.
상부커버부(131)는, 팬 어셈블리(14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부커버부(131)에는, 공기토출부(132)가 마련된다. 공기토출부(132)는, 상부커버부(131)의 일부가 관통 또는 절개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토출부(132)는, 케이스(120)의 전방과 팬 어셈블리(140)의 송풍팬(141)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팬커버(130) 상에 형성한다.
다른 예로서, 휴대형 공기정화기에는 둘 이상의 팬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팬커버에도 둘 이상의 공기토출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커버부(131)에는, 제1체결보스(131c)가 마련된다. 제1체결보스(131c)는, 상부커버부(13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체결보스(131c)는 팬 어셈블리(1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체결보스(131c)와 팬 어셈블리(140) 간에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팬커버(130)와 팬 어셈블리(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부커버부(131)에는, 제2체결보스(131d)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체결보스(131d)는, 상부커버부(13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보스(131d)는, 필터모듈(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보스(131d)는, 팬 어셈블리(140)의 후방에 배치된 필터모듈(150)과 결합되어야 하므로, 제1체결보스(131c)보다 더 긴 길이로 돌출된다.
하부커버부(135)는, 공기토출부(132)가 마련된 상부커버부(13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커버부(135)는, 케이스(120) 내부의 제2영역(B)에 배치된다. 이에 비해 상부커버부(131)는, 케이스(120) 내부의 제1영역(A)에 배치된다.
하부커버부(135)는, 배터리(16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커버부(135)는, 배터리(160)의 전방을 차폐하며, 배터리(160)를 전방에서 지지한다.
하부커버부(135)에는, 제3체결보스(135a)가 마련될 수 있다. 제3체결보스(135a)는, 하부커버부(135)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체결보스(135a)는, 필터모듈(15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체결보스(131d)는 제1영역(A)에서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간의 결합 지점이 되고, 제3체결보스(135a)는 제2영역(B)에서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간의 결합 지점이 된다.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은, 상부의 제2체결보스(131d)와 하부의 제3체결보스(135a)에 의해 복수개의 지점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간의 결합이 더욱 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배치된 팬 어셈블리(140)도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커버부(135)에는, 제4체결보스(135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4체결보스(135b)는, 하부커버부(135)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4체결보스(135b)는, 배터리(16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4체결보스(135b)와 배터리(160)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팬커버(130)와 배터리(16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어셈블리의 구조]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팬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
팬 어셈블리(140)는,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팬 어셈블리(140)의 전방에는 팬커버(130)가 배치되며, 팬 어셈블리(140)의 후방에는 필터모듈(150)이 배치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140)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1영역(A)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 어셈블리(140)는, 팬커버(130)의 상부커버부(131)와 하부커버부(135) 중 상부커버부(131)의 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팬 어셈블리(140)는, 송풍팬(141)과 팬모터(미도시) 및 팬브라켓(143)을 포함한다.
송풍팬(141)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일례로서, 송풍팬(141)은, 축류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패널(170)을 통해 케이스(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141)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후 송풍팬(141)의 축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팬모터는, 송풍팬(141)과 연결되어 송풍팬(141)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팬모터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한 BLDC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팬(141)과 팬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팬브라켓(143)과 결합된다. 그리고 팬브라켓(143)은, 송풍팬(141)을 팬커버(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팬브라켓(143)에는, 개구부(143a)가 마련된다. 개구부(143a)는, 송풍팬(141)측으로의 공기 흡입 및 송풍팬(141)으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개구부(143a)는, 원형의 형상으로 팬브라켓(143)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개구부(143a)에는 송풍팬(141)이 삽입된다. 즉 개구부(143a)는, 송풍팬(141)의 설치를 위한 공간 및 송풍팬(141)측으로의 공기 흡입 및 송풍팬(141)으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로를 팬브라켓(143)의 내부에 형성한다.
또한, 팬브라켓(143)에는, 브라켓 체결부(143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체결부(143b)는, 팬 어셈블리(140)를 팬커버(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브라켓 체결부(143b)에는, 팬커버(130)의 상부커버부(131)에 마련된 제1체결보스(131c)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체결보스(131c)와 브라켓 체결부(143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체결보스(131c)와 브라켓 체결부(143b)를 체결하여 주면, 팬 어셈블리(140)와 팬커버(13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모듈의 구조]
필터모듈(150)은, 팬 어셈블리(140)와 후면패널(1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필터모듈(150)의 전방에는 팬 어셈블리(140)가 배치되며, 필터모듈(150)의 후방에는 후면패널(170)이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모듈(150)은,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1영역(A)에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모듈(150)은, 팬 어셈블리(140)와 그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160) 중 팬 어셈블리(14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모듈(150)은, 필터케이스(151) 및 필터(1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케이스(151)는, 필터모듈(1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필터케이스(151)는, 케이스본체부(152) 및 팬커버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52)는, 필터케이스(151)의 골격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본체부(152)가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케이스본체부(152)의 내부에는 필터(159)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본체부(152)의 후방은 개방되며, 이를 통해 필터(159)가 케이스본체부(152)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케이스본체부(152) 내부의 삽입공간에는, 필터(159)가 장착된다. 케이스본체부(152)의 내측면에는, 필터(159)가 필터케이스(151)의 내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 또는 안착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부(152)에는, 상기 삽입공간과 팬 어셈블리(140)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152a)이 마련된다. 관통홀(152a)은,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52a)은, 필터(159)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141)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52a)이 마련되며, 각각의 관통홀(152a)은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에 복수개의 관통홀(152a)이 마련되고, 각각의 관통홀(152a)은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복수개의 관통홀(152a)이 허니콤 형상으로 배열되며, 이에 따라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에는 허니콤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에 허니콤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공기 유동을 위한 통로 확보의 목적 외에도 필터케이스(151)의 강성 확보와 경량화와 같은 목표도 함께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팬커버결합부는, 케이스본체부(152)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팬커버결합부(154a), 및 후방지지부(153)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팬커버결합부(15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팬커버결합부(154a)는, 케이스본체부(152)의 상부에서 팬커버(130)의 제2체결보스(131d)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2팬커버결합부(154b)는, 후방지지부(153)의 하부에서 팬커버(130)의 제3체결보스(135a)와 결합된다.
제1팬커버결합부(154a)에는, 제2체결보스(131d)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팬커버결합부(154b)에는, 제3체결보스(135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팬커버결합부(154a,154b)와 제2 및 제3체결보스(131d,135a)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팬커버결합부(154a,154b)와 제2 및 제3체결보스(131d,135a)를 각각 체결하여 주면,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간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팬커버결합부(154a,154b)와 제2 및 제3체결보스(131d,135a)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에서, 팬커버(130)와 필터케이스(151)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즉 팬커버(130)는 팬커버(1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받게 되고, 필터케이스(15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팬커버(130)와 필터케이스(151)는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배치된 팬 어셈블리(140)를 전방과 후방에서 압박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로써 팬 어셈블리(140)는, 별도의 체결 작업 없이도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팬커버(130)와 필터케이스(151)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팬커버(130)와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케이스(151)의 체결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팬커버(130)와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의 조립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케이스(151)에는, 팬체결보스(1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팬체결보스(155)는, 송풍팬(141)의 후방에서 브라켓 체결부(143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팬(141)의 전방에서는 제1체결보스(131c)가 브라켓 체결부(143b)에 끼움 결합되고, 송풍팬(141)의 후방에서는 팬체결보스(155)가 브라켓 체결부(143b)에 끼움 결합된다.
즉 하나의 브라켓 체결부(143b)에 제1체결보스(131c)와 팬체결보스(155)가 전방과 후방 양측에서 끼움 결합된다. 이로써 팬 어셈블리(140)는,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끼워져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 사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팬커버결합부(154b)와 제3체결보스(135a) 사이에는, 후술할 배터리(160)의 상부에 마련된 제1결합부(162)가 개재될 수 있다. 제2팬커버결합부(154b)와 제3체결보스(131d)는, 배터리(160)의 제1결합부(162)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작업으로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과 배터리(160) 간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케이스(151)는, 돌출지지면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지지면부(156)는 케이스본체부(152)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지지면부(156)가 케이스본체부(152)의 상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돌출지지면부(156)는, 케이스본체부(152)의 상단에 상부로 돌출된 평면을 형성한다. 이때 돌출지지면부(156)는, 케이스본체부(152)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케이스본체부(152)의 전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지지면부(156)에는, 후면패널 로킹홈(155a)이 형성된다. 후면패널 로킹홈(155a)은 돌출지지면부(156)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후면패널 로킹홈(155a)의 후방은 후면패널(170)을 향해 개방된다. 이러한 후면패널 로킹홈(155a)은, 필터케이스(151)와 후면패널(17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아울러 필터케이스(151)는, 센서결합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결합부(157)는, 필터케이스(151)와 후술할 센서모듈(3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는, 먼지/미세먼지/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159)가 마련된다.
필터(159)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집진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탈취 필터, 또는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걸러내기 위한 제균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는, 상기 집진 필터, 상기 탈취 필터 및 상기 제균 필터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필터(159)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기호에 따라 상기 집진 필터, 상기 탈취 필터 및 상기 제균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선택된 필터 종류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목적 또는 성능이 가변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집진 필터에는,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ae air filter)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탈취 필터에는, 카본 필터(Carbon filte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균 필터에는, 이오나이저(Ionize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집진 필터, 탈취 필터 및 제균 필터에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필터(159)는 필터케이스(151)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필터케이스(151)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필터(159)는, 필터케이스(15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케이스(151)의 내부에 필터(159)를 끼워 넣기만 하면 필터(159)의 장착이 완료되며, 필터케이스(151)에서 필터(159)를 빼내기만 하면 필터(159)의 탈거가 완료된다. 즉 필터(159)가 쉽고 빠르게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필터(159)의 교체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며, 필요에 따라 필터 종류의 교체도 용이해지게 된다.
[배터리의 구조]
배터리(16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160)는, 팬 어셈블리(140), 서브 피씨비(190), 상기 메인 피씨비(195) 및 필터모듈(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제2영역(B)에 배치된다. 제2영역(B)은, 팬 어셈블리(140)와 필터모듈(150)이 배치된 제1영역(A)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2영역(B)의 상부 경계면은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제2영역(B)의 하부 및 측부 경계면은 케이스(120)의 저면부(127)와 측면부(12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영역(B)에 위치한 배터리(160)는,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배터리(160)는, 팬커버(130)와 후면커버(1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배터리(160)의 상부에는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이 배치되고, 배터리(160)의 전방에는 팬커버(130)의 하부커버부(135)가 배치되며, 배터리(16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80)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160)에는, 제1결합부(162)와 제2결합부(16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162)는, 배터리(160)와 필터모듈(15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제2결합부(163)는, 배터리(160)와 팬커버(13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제1결합부(162)는 배터리(160)의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62)는, 필터케이스(151)의 제2팬커버결합부(154b)와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제2팬커버결합부(154b)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62)와 제2팬커버결합부(154b) 간의 결합에 의해, 배터리(160)와 필터모듈(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162)는, 팬커버(130)의 제3체결보스(135a)와 제2팬커버결합부(154b)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62)는, 그 전면이 제3체결보스(135a)와 맞대어지고 그 후면이 제2팬커버결합부(154b)와 맞대어진 상태에서, 제3체결보스(135a)와 제1결합부(162) 및 제2팬커버결합부(154b)를 한 번에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3체결보스(135a) 및 제2팬커버결합부(154b)과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작업으로 팬커버(130)와 필터모듈(150)과 배터리(160) 간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결합부에는, 팬커버(130)의 제4체결보스(135b)가 끼워질 수 있다. 제2결합부(163)에 제4체결보스(135b)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제2결합부(163)와 제4체결보스(135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163)와 제4체결보스(135b) 간의 결합에 의해, 팬커버(130)와 배터리(16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160)에는, 제3결합부(164)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제3결합부(164)는, 배터리(160)와 후면커버(18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서브 피씨비 및 메인 피씨비의 구조]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서브 피씨비(190) 및 메인 피씨비(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피씨비(190)에는, 서브 기판(191)과, 서브 기판(19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튼(192,193)이 포함된다. 상기 버튼(192,193)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일 수도 있고,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일 수도 있으며,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도 있다. 서브 피씨비(190)는 후술할 메인 피씨비(1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서브 피씨비(190)는, 케이스(120) 내부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피씨비(190)는,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피씨비(190)에 설치되는 전원버튼(192) 및 풍량조절버튼(193)은, 케이스(120)의 상면부(123)에 구비된 버튼 관통홀(123a)을 통해 케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노출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온/오프하거나,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피씨비(195)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인 피씨비(195)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팬 어셈블리(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메인 피씨비(195)는, 케이스(120) 내부의 제2영역(B)에 수용되며, 팬커버(130)의 하부커버부(135)와 배터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메인 피씨비(195)는 하부커버부(135)와 나란하게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195)는, 하부커버부(135)와 배터리(160) 사이에서 하부커버부(135)와 배터리(160)에 의해 전후방향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메인 피씨비(195)는, 메인 기판(196)과, 메인 기판(191)에 설치되는 다수의 소자(19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기판(191)은, 팬 어셈블리(140)와 배터리(160)와 서브 피씨비(190) 및 센서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피씨비(195)는, 버튼(192,193)을 통해 입력된 명령 또는 센서모듈(300)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부팬 어셈블리(130) 및 상기 하부팬 어셈블리(1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피씨비(195)는, 필터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필터(159)가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경우, 메인 피씨비(195)는 이오나이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오나이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터(129)는 배터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60)로부터 직접 전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후면패널의 구조]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케이스(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후면패널(170)은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패널(170)은, 외부의 공기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후면패널(170)에는, 복수개의 제1흡입구(170a)가 포함된다. 복수개의 제1흡입구(170a)는, 후면패널(17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 또는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복수개의 제1흡입구(170a)를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후면패널(170)은, 케이스(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부를 커버한다. 이러한 후면패널(170)은, 평면부(171) 및 경사면부(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부(171)는, 후면패널(170)의 측방향 중심부에 배치된다. 평면부(171)는, 전면패널(110)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부를 커버한다. 이러한 평면부(171)는, 후면패널(170)의 중심부에 단단한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후면패널(170)의 강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경사면부(173)는, 평면부(171)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사면부(173)는, 평면부(171)로부터 케이스(120)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부(173)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흡입구(170a)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 경사면부(173)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흡입구(170a)의 대부분의 영역이 경사면부(173)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1흡입구(170a)는, 후면패널(170)의 양측에 배치된 경사면부(173)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부(173)에 제1흡입구(170a)에 배치됨에 따라, 제1흡입구(170a)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이나 측방이 아닌 후방과 측방 사이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만약 제1흡입구(170a)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면, 후면패널(170)이 바닥을 향하도록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눕혀졌을 때 제1흡입구(170a)가 바닥에 막히게 된다. 이 경우, 휴대형 공기정화기(10) 내부로의 공기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제1흡입구(170a)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측방을 향하게 배치된다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과 휴대형 공기정화기(10)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대략 직각을 이루며 엇갈리게 된다. 이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 내부에서 유로 저항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소음이 증가되고 공기 정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흡입구(170a)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이나 측방이 아닌 후방과 측방 사이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어느 방향으로 눕혀지더라도 제1흡입구(170a)와 바닥 사이에 이격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눕혀진 상태와 무관하게 충분한 공기 흡입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흡입구(170a)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후방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소음 증가 및 공기 정화 성능 저하가 발생될 우려도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면패널(170)은, 필터케이스(151)와 결합되어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부를 커버한다. 이러한 후면패널(170)에는, 후면패널 로킹부(17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후면패널 로킹부(175)는, 후면패널(170)을 케이스(120)의 후방에 견고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후면패널 로킹부(175)는, 후면패널(170)의 상단부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패널 로킹부(175)는, 필터케이스(151)의 상부에 마련된 후면패널 로킹홈(155a)에 삽입되어 필터케이스(151)에 구속된다.
일례로서, 후면패널 로킹부(175)는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패널 로킹부(175)는 필터케이스(151)에 후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후면패널(170)에는 후면커버 결합부(17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후면커버 결합부(177)는, 후면커버(180)와 마주보는 후면패널(170)의 하단에 마련된다. 이러한 후면커버 결합부(177)는, 후면패널(170)과 후면커버(18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후면커버의 구조]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케이스(120)의 후방 및 후면패널(170)의 하부에 배치되는 후면커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170)와 동일한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170)과 함께 케이스(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부를 커버한다. 즉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부는, 상부의 후면패널(170)과 하부의 후면커버(18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170)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후면패널(170)과 후면커버(180)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부재처럼 인식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170)과 유사하게 평면부(181)와 경사면부(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부(181)는, 후면커버(180)의 측방향 중심부에 배치되며, 후면패널(170)의 평면부(171)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경사면부(183)는, 평면부(181)의 측방향 양측 및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사면부(183)는, 평면부(181)로부터 케이스(120)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후면커버(180)는, 가로면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면부(185)는, 후면패널(170)과 마주보는 후면커버(180)의 상단에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즉 후면커버(180)의 배면은 평면부(181)에 의해 형성되고, 후면커버(180)의 양측면 및 하부면은 경사면부(183)에 의해 형성되며, 후면커버(180)의 상부면은 가로면부(185)에 의해 형성된다.
아울러 후면커버(180)에는, 제2흡입구(18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흡입구(180a)는, 후면커버(180)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흡입구(180a)는, 케이스(120)의 후방과 배터리(160) 및 센서모듈(30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흡입구(180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제2영역(B) 내부의 배터리(160) 및 센서모듈(3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170)과 별물로 마련되고, 케이스(120) 및 후면패널(170)과 결합되어 배터리(160)의 후방을 차폐한다. 이러한 후면커버(180)는, 후면패널 결합부(186) 및 케이스 결합부(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패널 결합부(186)는, 후면패널(170)과 후면커버(18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후면패널 결합부(186)는, 후면패널(170)과 마주보는 후면커버의 상부면, 즉 가로면부(185)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패널 결합부(186)는, 후면패널(170)의 하단에 마련된 후면커버 결합부(177)와 결합된다. 후면패널 결합부(186)와 후면커버 결합부(177) 간의 결합에 의해, 후면패널(170)의 하부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후면패널(170)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후면패널 로킹부(175)와 필터케이스(151) 간의 결합과, 후면패널(170)의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후면패널 결합부(186)와 후면커버 결합부(177) 간의 결합에 의해, 후면패널(170)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 형상의 후면패널 결합부(186)가 후면커버 결합부(177)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후면패널 결합부(186)와 후면커버 결합부(177)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케이스 결합부(187)는, 후면커버(180)와 케이스(12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케이스 결합부(187)는, 케이스(120)의 후방 하부에 마련된 후면커버 결합홈(120c)에 삽입되어 케이스(120)에 구속된다.
일례로서, 후면커버 결합홈(120c)은 케이스(120)의 저면부(127)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결합부(187)는 후면커버(18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187)와 후면커버 결합홈(120c) 간의 결합에 의해, 후면커버(180)의 하부가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후면커버(180)의 상부는 후면패널(170)에 고정되고 후면커버(180)의 하부는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후면커버(180)의 고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후면커버(180)가 케이스(120)의 후방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후면패널(170)과 후면커버(180)가 서로의 고정 상태를 지지하는 후면패널(170)과 후면커버(180)의 고정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후면커버(180)는, 배터리걸림부(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걸림부(188)는, 후면커버(180)와 배터리(16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배터리걸림부(188)는, 상부의 후면패널 결합부(186)와 하부의 케이스 결합부(187)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터리걸림부(188)는, 배터리(160)의 후면 측에 마련된 제3결합부(164)에 삽입되어 배터리(160)에 구속된다.
아울러 배터리(160)는, 제4결합부(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결합부(168)는, 제3결합부(164)처럼 후면커버(180)와 배터리(16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제4결합부(168)는, 배터리케이스(161)의 후면(161a)에서 후면커버(180) 측으로 돌출된 구조물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4결합부(168)의 내부 및 후면커버(180)의 가로면부(185)에는 체결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4결합부(168)와 가로면부(185)의 체결공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소정의 체결부재로 제4결합부(168)와 가로면부(185)를 체결하여 주면, 배터리(160)와 후면커버(18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160)는, 제1결합부(162)와 제2팬커버결합부(154b) 간의 결합 및 제2결합부(163)와 제4체결보스(135b) 간의 결합에 의해 필터케이스(151) 및 팬커버(130)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배터리걸림부(188)가 제3결합부(164)에 삽입되어 배터리(160)에 구속되면, 후면커버(180)가 케이스(120)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후면커버(180)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즉 후면커버(180)의 상부가 후면패널(170)에 고정되고 후면커버(180)의 하부는 케이스(120)에 고정되며 후면커버(180)의 상하방향 중간 부분이 배터리(160)에 의해 구속되는 후면커버(180)의 고정 구조가 제공되며, 이로써 후면커버(180)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센서모듈의 구조]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센서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300)은,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제2영역(B)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모듈(300)은, 배터리(160)와 후면커버(1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센서모듈(300)의 전방에는 배터리(160)가 배치되며, 센서모듈(30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180)가 배치된다.
센서모듈(30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주변 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공기 질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들은 먼지 센서, 가스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300)은,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공기 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를 관리하는 메인 피씨비(195)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부품 배치 구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상부의 제1영역(A)과 제2영역(B)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A)에는,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1영역(A)에는 필터모듈(150)과 팬 어셈블리(140)가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영역(A)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면패널(170)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통로로서 복수개의 제1흡입구(170a)가 마련된다. 팬커버(130) 및 전면패널(110)에는, 제1영역(A)에서 정화된 공기 토출을 위한 통로로서 공기토출부(132) 및 토출구(110a)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영역(A)에는, 제1흡입구(170a)와 공기토출부(132) 및 토출구(110a)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즉 제1영역(A)에는 제1흡입구(170a)와 필터모듈(150)과 팬 어셈블리(140)와 공기토출부(132) 및 토출구(110a)가 마련되고, 휴대형 공기정화기(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정화기(10)의 내부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유로는 제1영역(A)에 형성된다.
제2영역(B)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2영역(B)에는, 메인 피씨비(195)와 배터리(160) 및 센서모듈(30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20)는 측방향 길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터리(160)는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60)는 팬 어셈블리(140)와 필터모듈(150)를 합한 무게보다 더 무거운 무게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160)의 단위 부피당 무게가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의 단위 부피당 무게보다 훨씬 무겁기 때문에, 배터리(160)의 무게나 크기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배터리(160)가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즉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통상적인 사용에 필요한 용량의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 적용되더라도, 자연스럽게 배터리(160)가 팬 어셈블리(140) 및 필터모듈(1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중량물인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중량물인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무게중심은 상하방향 중심에서 하부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즉 배터리(160)가 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 측으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160)가 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 측으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전도될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즉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160)로 인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무게 중심이 하부 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저면부(127)가 상면부(1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한다. 즉 저면부(127)는 상면부(123)보다 측방향 길이가 긴 평면을 형성한다. 즉 저면부(127)의 측방향 길이가 d1이고, 상면부(127)의 측방향 길이가 d2라고 할 때, d1>d1인 관계가 만족된다. 그리고 저면부(127)와 측면부(1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면부(129)는, 제1연결면부(125)보다 R값이 작은 곡면을 형성한다.
케이스(120)의 저면부(127)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즉 저면부(127)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세워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케이스(120)의 저면부(127)가 상면부(1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20)의 저면부(127)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무게 중심이 하부 측에 위치되도록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지지하는 케이스(120)의 저면부(127)가 상면부(1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하는 구조의 조합을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도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중량물인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 예를 들어 필터모듈(150)과 팬 어셈블리(140)은 배터리(160)보다 상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즉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터리(1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원활한 사용에 필요한 배터리(160)의 충전 용량 확보를 위해서는, 배터리(160)의 크기가 일정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휴대형 공기정화기(10) 내부에도 배터리(160) 설치를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설치 공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배터리(160)가 설치된 공간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은 불합리한 일이기 때문에,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은 배터리(160)를 피한 위치, 즉 배터리(1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한 유로는 배터리(160)보다 높은 위치인 제1영역(A)에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형 공기정화기(10)로의 공기의 흡입,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정화된 공기의 토출도 배터리(16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상부에서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기가 좀 더 용이해지게 된다.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의 바닥면에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놓고 사용할 때,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사용하는 것보다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상부에서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 인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한 유로가 배터리(16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정화된 공기의 토출도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즉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도 위험성이 낮아지도록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유로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셋째, 중량물인 배터리(160)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터리(1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설치 범위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차량 내의 컵홀더에 꽂힌 상태로 사용될 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및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컵홀더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면서도 높은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160)가 배치되는 제2영역(B)의 상하방향 길이가 컵홀더의 깊이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집게 방식의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 영역을 고정시킨다면, 이 역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및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막지 않으면서도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배터리(160)와 같이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를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거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높은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 제공과 안정적인 고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면패널(17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부(171) 및 경사면부(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부(171)는, 후면패널(170)의 측방향 중심부에 배치된다. 평면부(171)는, 전면패널(110)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20)의 개방된 후면부를 커버한다. 그리고 경사면부(173)는, 평면부(171)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사면부(173)는, 평면부(171)로부터 케이스(120)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경사면부(173)의 전방 단부는 케이스(120)의 후면부 측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평면부(171)는 케이스(120) 내부에 배치된 필터모듈(150)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후면패널(170)과 필터모듈(1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평면부(171)와 필터(159)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격공간은, 흡입구(170a)를 통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필터모듈(1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필터(159)를 통과하기 전에 잠시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격공간은, 흡입구(170a)를 통과하여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필터모듈(150)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패널(170)에 상하방향으로 많은 개수의 흡입구(170a)가 배치될 뿐 아니라, 각각의 흡입구(170a)의 크기 또한 가능한 큰 크기로 형성된다. 즉 흡입구(170a)는, 후면패널(170)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후면패널(170) 상에서 최대한 넓은 영역을 차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흡입구(170a)는, 대부분이 경사면부(173)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평면부(171)의 일부 영역에까지도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흡입구(170a)가 마련됨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눕혀진 상태와 무관하게 충분한 공기 흡입로가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 흡입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의 흡입로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모듈(150)과 팬 어셈블리(14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필터모듈(150)과 팬 어셈블리(14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필터(159)와 송풍팬(141)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만약 필터모듈(150)과 팬 어셈블리(140)가 서로 맞붙어 필터(159)와 팬 어셈블리(14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오로지 송풍팬(141)이 배치된 영역에만 공기가 필터(159)를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것이다.
즉 공기가 필터(159) 전체를 통해 필터(159)를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159)의 일부 영역, 즉 송풍팬(141)과 전후방향으로 겹치는 영역만을 통과하게 되므로, 그만큼 공기가 필터(159)를 통과하는 통로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필터(159)를 통과하는 영역에서의 유로저항이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159)를 통과하여 송풍팬(141)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고,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정화 공기 토출 유량도 그만큼 감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는 필터(159)와 팬 어셈블리(140)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필터(159)와 팬 어셈블리(140) 사이에는, 필터(159)와 팬 어셈블리(140)로 둘러싸인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공간(S2)은, 팬 어셈블리(140)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가 필터(159)의 전체로 퍼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로써 송풍팬(141)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 즉 필터(159) 후방의 공기를 송풍팬(141) 측으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은, 송풍팬(141)과 전후방향으로 겹치는 필터(159)의 일부 영역에만 작용되지 않고, 필터(159)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필터(159)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필터(159)를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159)를 좀 더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필터(159)를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게 됨으로써, 공기가 필터(159)를 통과하는 영역에서의 유로저항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고,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정화 공기 토출 유량도 그만큼 증가될 수 있게 되므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차량용 거치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휴대형 공기정화기는, 거치장치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장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차량의 컵홀더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차량용 거치장치에 거치되어 차량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장치(500)는 고정유닛(600)과 거치유닛(700) 및 연결유닛(800)을 포함한다.
고정유닛(600)은, 컵홀더(H) 내부에 삽입되어 컵홀더(H)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거치장치(500)를 컵홀더(H)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컵홀더(H)는, 원 형상의 바닥면(H1), 및 바닥면(H1)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내측벽(H2)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600)은, 이러한 형태의 컵홀더(H)에 삽입되어 컵홀더(H)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부(610)와 고정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610)는, 고정유닛(600)의 중심이 되는 구성으로서, 연결유닛(800)과 결합되어 연결유닛(800)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610)는, 고정부(620)를 출몰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기도 하다.
상기 지지부(610)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고정부(620)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620)는, 지지부(61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컵홀더(H)의 내측벽(H2)과 밀착되어 지지부(610)를 컵홀더(H)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고정부(6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부(610)와 컵홀더(H)의 내측벽(H2) 사이로 돌출될 수 있게 지지부(6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610)와 각각의 고정부(620) 사이에는, 탄성부재(64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40)는, 고정부(620)를 지지부(6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640)가 일단이 지지부(61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고정부(620)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고정부(620)가 지지부(6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마련된 고정부(620)들은, 컵홀더(H) 내부에서 복수개의 지점에서 컵홀더(H)의 내측벽(H2)과 밀착됨으로써, 지지부(610)를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지부(610)가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거치유닛(700)을 포함한 차량용 거치장치(500) 전체가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
거치유닛(700)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거치유닛(700)의 내부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삽입되는 수용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치유닛(700)은, 두 가지 면에서 의미가 있다.
하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유닛(700)에 거치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컵홀더(H)에 설치되되, 컵홀더(H)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컵홀더(H)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유닛(700)에 거치되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컵홀더(H)에 거치되지 않은 형상, 예를 들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컵홀더(H)에 비해 너무 작거나 큰 경우, 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형상이 각진 형상인 경우에도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유닛(800)은, 거치유닛(700)이 고정유닛(600)에 지지되도록, 고정유닛(600)과 거치유닛(700)을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유닛(800)은, 결합돌기(810)와 제2회전결합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돌기(810)는, 고정유닛(600)과 연결유닛(8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돌기(810)는, 고정유닛(600)의 지지부(610)와 결합됨으로써, 고정유닛(600)과 연결유닛(8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회전결합부(820)는, 거치유닛(700)과 연결유닛(8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제2회전결합부(820)는, 거치유닛(700)의 후술할 제1회전결합부(720)와 결합됨으로써, 거치유닛(700)과 연결유닛(8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회전결합부(720)는, 제2회전결합부(8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유닛(700)은, 거치유닛(700)과 연결유닛(800) 간에 이루어지는 회전 가능한 결합을 매개로, 고정유닛(6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유닛의 구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의 배후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와 연결유닛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유닛(600)은 지지부(610)와 고정부(620)를 포함한다.
지지부(610)는, 복수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는,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610)의 중심으로부터 지지부(6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외측방향은 컵홀더(H)의 바닥면(H1) 중심으로부터 컵홀더(H)의 내측벽(H2)을 향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내측방향은 컵홀더(H)의 내측벽(H2)으로부터 컵홀더(H)의 바닥면(H1) 중심을 향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부방향은 컵홀더(H)의 바닥면(H1)으로부터 컵홀더(H)의 개방된 부분을 향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되며, 하부방향은 컵홀더(H)의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컵홀더(H)의 바닥면(H1)을 향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아울러 출몰방향은, 외측방향과 내측방향을 합한 개념의 방향으로서, 컵홀더(H)의 바닥면(H1) 중심으로부터 컵홀더(H)의 내측벽(H2)을 향하거나 컵홀더(H)의 내측벽(H2)으로부터 컵홀더(H)의 바닥면(H1) 중심을 향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각각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의 내부에는 고정부(6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의 외측방향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즉 지지부(610)는, 복수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가 지지부(610)의 중심을 둘러싸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의 개방된 단부가 지지부(610)의 외측, 즉 컵홀더(H)의 내측벽(H2)을 향한 측을 향하게 된다.
고정부(620)는, 고정본체(621) 및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본체(621)는, 일측이 컵홀더(H)의 내측벽(H2)을 향하며 타측이 슬라이딩수용부재(611)의 내부를 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본체(621)는, 슬라이딩수용부재(611) 내부의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결합틀(622), 및 결합틀(622)로부터 컵홀더(H)의 내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결합틀(622)이 배치되는 측이 슬라이딩수용부재(611)의 내부를 향하게 배치된 고정본체(621)의 타측에 해당될 수 있고, 돌출부(623)가 배치되는 측이 컵홀더(H)의 내측벽(H2)을 향하는 고정본체(621)의 일측에 해당될 수 있다.
결합틀(622)은, 슬라이딩수용부재(611) 내부의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틀(622)의 외측에는 슬라이딩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623)는, 결합틀(622)로부터 컵홀더(H)의 내측벽(H2)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623)는, 결합틀(622)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623)는, 차량용 거치장치(500)가 컵홀더(H)에 삽입될 때, 고정부(620)가 컵홀더(H)의 내부로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623)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돌출부(623)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돌출부(623)의 여러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돌출부(623)의 외측에는, 접촉부재(630)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부재(630)는, 차량용 거치장치(500)가 컵홀더(H)의 내부에 삽입될 때, 컵홀더(H)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돌출부(623)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접촉부재(63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접촉부재(630)는, 돌출부(623)와 컵홀더(H)의 내측벽(H2)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돌출부(623) 또는 컵홀더(H)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돌출부(623)가 컵홀더(H)의 내측벽(H2)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거치장치(500)가 컵홀더(H)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63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 단부가 결합틀(622)에 형성된 끼움공(622a)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부(6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630)는, 그 양측 단부를 끼움공(622a)에 끼우는 것만으로 고정부(620)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재(630)의 일측 단부에는 끼움돌기(63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결합틀(622)에는 끼움돌기(6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홈(622b)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631)는, 끼움홈(622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끼움돌기(631)과 끼움홈(622b) 간의 끼움 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부(620)에 설치되는 접촉부재(630)의 설치 위치 및 접촉부재(630)가 끼움공(622a)에 끼워지는 깊이 등이 안내될 수 있으며, 접촉부재(630)의 위치 이탈 발생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돌기는, 제1슬라이딩돌기(625)와 제2슬라이딩돌기(6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슬라이딩돌기(625)는 한 쌍이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슬라이딩돌기(626)도 한 쌍이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되, 제1슬라이딩돌기(625)의 배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틀(622)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할 때, 제1슬라이딩돌기(625)는 결합틀(622)의 좌측 측부와 우측 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제2슬라이딩돌기(626)는 결합틀(62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돌기(625)는, 결합틀(622)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슬라이딩돌기(626)는, 결합틀(6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슬라이딩돌기(626)의 후크 형상은, 수용케이스(612)의 외측을 향한 면이 결합틀(622)의 상부 또는 하부가 이루는 면과 수직을 이루는 면으로 형성되고, 수용케이스(612)의 내측을 향한 면이 결합틀(622)의 상부로부터 수용케이스(612)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거나 결합틀(622)의 하부로부터 수용케이스(612)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는 수용케이스(612) 및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케이스(612)는, 고정본체(621)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수용케이스(612)는, 고정본체(6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610)의 중심으로부터 지지부(6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케이스(612)의 내부에는 돌출부(623)의 적어도 일부분과 결합틀(62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수용케이스(612)의 외측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슬라이딩결합부는, 고정본체(621)의 출몰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결합부에는, 슬라이딩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돌기는 한 쌍의 제1슬라이딩돌기(625)와 한 쌍의 제2슬라이딩돌기(6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슬라이딩결합부는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616) 및 한 쌍의 결합홀(6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616)은, 수용케이스(612) 내부의 양측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레일(616)은, 한 쌍의 레일돌기(61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일돌기(617)는, 각각 수용케이스(612)의 측벽에서 수용케이스(61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고정본체(621)의 출몰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레일돌기(617)는 제1슬라이딩돌기(625)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한 쌍의 레일돌기(617) 사이에 슬라이딩레일(6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돌기(617)는, 수용케이스(612)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리브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레일돌기(617)는, 수용케이스(612)에 슬라이딩레일(616)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과 수용케이스(612)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돌기(625)는 이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딩레일(6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고정부(620)가 수용케이스(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홀(618)은, 수용케이스(61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홀(618)은, 수용케이스(61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고정본체(621)의 출몰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돌기(626)는,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홀(618)에 삽입되어 수용케이스(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용케이스(612)에는, 저지부(619)가 형성될 수 있다. 저지부(619)는, 고정본체(621)의 출몰방향에 따른 수용케이스(612)의 단부와 결합홀(618) 사이에 형성된다. 일례로서, 저지부(619)는 고정본체(621)의 출몰방향에 따른 수용케이스(612)의 단부와 결합홀(618) 사이에서 결합홀(618)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저지부(619)는, 제2슬라이딩돌기(626)와 간섭되어 제2슬라이딩돌기(626)의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슬라이딩돌기(626)의 경사진 면이 수용케이스(612)의 단부와 마주한 상태에서 고정부(620)를 수용케이스(612)의 내부로 압입하면, 수용케이스(612)의 일부분 또는 고정부(620)의 일부분이 변형되면서 제2슬라이딩돌기(626)가 결합홀(618)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슬라이딩돌기(626)가 결합홀(618)에 삽입되면, 제2슬라이딩돌기(626)가 수용케이스(6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제2슬라이딩돌기(626)가 저지부(619)의 외측으로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는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로써 고정부(620)의 상부와 하부에서 고정부(620)와 수용케이스(612)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되,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고정부(620)가 수용케이스(612)로부터 쉽게 이탈되기 어려운 고정부(620)와 수용케이스(612)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제1슬라이딩돌기(625)와 슬라이딩레일(616) 간의 결합에 의해 고정부(620)의 측부가 수용케이스(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슬라이딩돌기(626)와 결합홀(618) 간의 결합에 의해 고정부(620)의 상부 및 하부가 수용케이스(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고정부(620)의 임의적인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과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620)에는 제1설치홈(627)이 형성되고, 수용케이스(612)에는 제2설치홈(6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설치홈(627)과 제2설치홈(613)은, 탄성부재(640)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1설치홈(627)은, 수용케이스(612)를 이루는 복수개의 면들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내벽(612a)과 마주보는 고정본체(621)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설치홈(627)은, 결합틀(622)의 타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설치홈(627)은, 결합틀(622)뿐 아니라, 돌출부(623)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설치홈(613)은, 수용케이스(612)의 내벽(612a)에 배치되되, 제1설치홈(627)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설치홈(613)은, 제2설치홈(613) 주변을 둘러싸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6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640)가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40)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2설치홈(613)에 삽입되어 지지부(610)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부재(640)의 길이방향 타단은 제1설치홈(627)에 삽입되어 고정부(6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620)는, 돌기축(6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축(628)은, 제1설치홈(627) 내부에서 수용케이스(612)의 내벽(612a)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축(628)의 대부분은 제1설치홈(627)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돌기축(628)의 일부분은, 제1설치홈(627)의 내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1설치홈(62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설치홈(627)의 직경방향에 따른 돌기축(628)의 위치는, 대략 제1설치홈(627)의 중앙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축(628)은, 제1설치홈(627)과 제2설치홈(613)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축(628)은, 탄성부재(640)가 출몰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제1설치홈(627)과 제2설치홈(613)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탄성부재(640)의 내부에서 탄성부재(640)를 지지하는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수용케이스(612)에는 삽입홀(61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615)은, 수용케이스(612)의 내벽(612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돌기(614)에 의해 둘러싸인 제2설치홈(6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615)에는, 돌기축(628)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삽입홀(615)은, 돌기축(628)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수용케이스(612)의 내벽(612a)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돌기축(628)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돌출리브(629)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리브(629)는, 돌기축(628)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돌출리브(629)는, 돌기축(628)으로부터 돌기축(628)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돌출리브(629)는, 돌기축(6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되, 제1설치홈(627)의 내부로 갈수록, 즉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더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축(628)의 주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리브(629)는, 돌기축(628)을 지지함으로써, 돌기축(628)이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돌기축(628)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돌기축(628)과 제1설치홈(627) 간의 결합 부위에 인접할수록 더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돌출리브(629)가 형성되므로, 돌기축(628)이 돌출리브(629)에 의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리브(629)와 돌기축(628)을 합한 두께가 삽입홀(615)의 크기보다 두꺼워지는 구간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돌기축(628)이 삽입홀(615)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정부(620)가 지지부(6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돌출리브(629)는, 돌기축(628)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기능과 고정부(620)가 지지부(6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인접한 두 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 사이에는 걸림홈부(610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수용부재(611)가 방사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 사이에 슬라이딩수용부재(611)보다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구간이 형성된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611)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3개의 걸림홈부(610a)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걸림홈부(610a)는, 후술할 연결유닛(800)의 결합돌기(81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정유닛(6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650)는, 지지부(610)와 고정부(620)의 일부분, 그리고 지지부(610)와 결합된 연결유닛(800)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65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여러 부품들을 이물질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고정유닛(6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650)에는, 복수개의 출몰공(651)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출몰공(651)은, 외부케이스(650)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620)는, 출몰공(651)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컵홀더(H)의 내벽과 지지부(6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고정유닛(600)은, 컵홀더(H)의 내부에 삽입되어 컵홀더(H)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600)은, 지지부(610)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부(620)를 이용하여 컵홀더(H)의 내측벽(H2)에 결합됨으로써,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고정부(620)가 지지부(6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마련된 고정부(620)들은, 컵홀더(H) 내부에서 복수개의 지점에서 컵홀더(H)의 내측벽(H2)과 밀착됨으로써, 지지부(610)를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620)는 컵홀더(H)의 내경에 따라 위치 변화 가능하게 제공되며, 이에 따라 고정유닛(600)은 컵홀더(H)의 형상, 내경 크기와 관계 없이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600)은, 고정부(620)의 외측에 마련된 접촉부재(630)를 이용하여 컵홀더(H)의 내측벽(H2)에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컵홀더(H)에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컵홀더(H)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고정유닛(600)은, 거치유닛(700)을 포함한 차량용 거치장치(500) 전체가 컵홀더(H)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600)은, 제1패드(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드(660)는, 외부케이스(65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패드(66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1패드(660)는, 고정유닛(600)과 컵홀더(H)의 바닥면(H1)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컵홀더(H)의 바닥면(H1)과 밀착되어 차량용 거치장치(500)가 컵홀더(H)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연결유닛의 구조]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연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유닛(800)은 결합돌기(810) 및 제2회전결합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돌기(810)는, 고정유닛(600)과 연결유닛(8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연결유닛(800)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810)가 제2회전결합부(82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홈부(610a)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3개의 결합돌기(81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결합돌기(810)는, 제2회전결합부(82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810)는, 지지부(610)에 형성된 걸림홈부(610a)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지지부(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돌기(810)와 걸림홈부(610a)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연결유닛(800)과 고정유닛(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연결유닛(800)이 고정유닛(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제2회전결합부(820)는, 거치유닛(700)과 연결유닛(8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구성이으로서, 거치유닛(700)의 후술할 제1회전결합부(7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회전결합부(820)는, 회전지지부재(82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재(821)는, 거치유닛(7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지지부재(821)의 일측면, 즉 거치유닛(700)을 마주보는 마주보는 회전지지부재(821)의 상부면에는 안착면(8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부재(821)의 상부면에는, 돌출지지부(82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지지부(823)는, 회전지지부재(821)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안착면(822)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면(822)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안착면의 외측 테두리를 돌출지지부(823)가 둘러싸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회전지지부재(821)에는, 중심홀(825)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홀(825)은, 회전지지부재(8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심홀(825)은, 안착면(822)의 내측에 배치되되, 안착면(822)의 직경에 비해 짧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몰방향에 따른 중심홀(825)의 위치가 대략 회전지지부재(821)의 중앙인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회전지지부재(821)에는, 보스부(826)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스부(826)는, 중심홀(825)을 둘러싼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보스부(826)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리브(828)가 형성되어 보스부(826)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거치유닛과 연결유닛 간의 결합 구조]
도 15는 도 7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거치유닛(700)은 거치부(710) 및 제1회전결합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부(710)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거치부(710)의 내부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삽입되는 수용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71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거치부(710)의 수용 대상인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육면체 형상임을 고려한 형상 설계의 결과이다. 이러한 거치부(710)는, 저면(711)과 측벽(712,713,7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저면(711)은, 수용부(701)에 삽입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면으로서, 컵홀더(H)의 바닥면(H1)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홀더(H)의 바닥면(H1)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711)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저면 형상과 유사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회전결합부(720)는, 상기 거치부(710)를 연결유닛(8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제1회전결합부(720)는, 연결유닛(800)에 마련된 제2회전결합부(8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거치부(710)를 연결유닛(8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전결합부(720)는, 회전결합축(721) 및 복수개의 결합부재(7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결합축(721)은, 거치부(710)의 저면(71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결합축(721)은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회전결합축(721)은, 회전지지부재(821)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면(822)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안착면(822)의 안착된 회전결합축(721)의 출몰방향 외측은 돌출부(623)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결합축(721)은, 돌출부(623)에 의해 둘러싸인 회전지지부재(821)의 내측 영역에 끼워진 형태로 제2회전결합부(8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결합축(721)은, 제1회전결합부(720)가 제2회전결합부(8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에서, 제1회전결합부(72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복수개의 결합부재(725)는, 회전결합축(721)과 마찬가지로 거치부(710)의 저면(71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결합부재(725)는, 회전결합축(721)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중심홀(82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부재(725)는, 중심홀(825)을 통해 회전지지부재(821)를 관통하여 회전지지부재(8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결합부재(725)는, 몸체부(726)와 후크돌기(7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726)는, 거치부(710)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726)는, 중심홀(825)의 직경방향, 즉 출몰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몸체부(726)는, 중심홀(825)이 형성된 보스부(825) 및 회전지지부재(821)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보스부(825) 및 회전지지부재(82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회전지지부재(821)를 관통한 몸체부(726)의 하단부는, 회전지지부재(821)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중심홀(82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부재(725)가 보스부(825) 및 회전지지부재(821)의 내주면을 외측방향으로 압박하며 회전지지부재(821)와 결합되므로, 제1회전결합부(720)는, 회전지지부재(8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측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후크돌기(727)는, 몸체부(726)의 하단부로부터 중심홀(825)의 직경방향, 즉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안착면(822)의 이면, 즉 회전지지부재(821)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결합부재(725)가 중심홀(82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복수개의 지점에서 결합부재(725)가 회전지지부재(821)를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회전지지부재(821)와 결합부재(72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중심홀(825) 외측에서는 회전결합축(721)과 돌출지지부(823)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중심홀(825) 내측에서는 보스부(825) 및 회전지지부재(821)의 내주면과 결합부재(725)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회전결합축(721)과 후크돌기(727) 사이에 회전지지부재(821)가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회전결합부(720)가 측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제2회전결합부(82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회전결합부(720)와 제2회전결합부(820)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심홀(825)이 형성된 회전지지부재(82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827)가 중심홀(82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부재(821)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결합부재(725),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몸체부(726)의 일측면에는, 제1톱니(827)와 치합되는 제2톱니(728)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톱니(827)와 제2톱니(728) 간의 치합은, 사용자가 어느 정도 힘을 주어 거치유닛(700)을 회전시켰을 때, 제1톱니(827)와 제2톱니(728) 간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톱니(827)와 제2톱니(728)가 치합되는 형태로 회전지지부재(821)와 결합부재(72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거치유닛(700)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은 거치유닛(700)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거치유닛(700)을 회전시킴으로써 거치유닛(700)에 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조절된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거치부의 구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거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배후측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거치부(710)의 내부에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 도 20 참조)가 삽입되는 수용부(7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71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거치부(710)의 수용 대상인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육면체 형상임을 고려한 형상 설계의 결과이다. 이러한 거치부는, 저면(711)과 측벽(712,713,7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저면(711)은, 수용부(701)에 삽입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면으로서, 컵홀더(H)의 바닥면(H1)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홀더(H)의 바닥면(H1)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711)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저면 형상과 유사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측벽(712,713,714)은 저면(711)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수용부(701)는 저면(711)과 측벽(712,713,7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되며, 수용부(701)의 상부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수용부(701)에 삽입될 수 있게 개방된다.
상기 측벽(712,713,714)은, 제1면(712)과 한 쌍의 제2면(713) 및 제3면(7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면(712)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면으로서, 거치부(710)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면(713)은, 공기정화기의 양측면측에 각각 배치되는 면으로서, 거치부(71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3면(714)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면으로서, 거치부(710)의 배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측벽(712,713,714)의 높이는, 측벽(712,713,714)이 제1영역(A)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가리지 않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712,713,714)의 높이는 측벽(712,713,714)의 제3면(714)이 제1흡입구(170a; 도 3 참조)를 가리지 않고 측벽(712,713,714)의 제1면(712)이 제1영역(A)에 배치되는 토출구(110a; 도 1 참조)를 가리지 않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측벽(712,713,714)은,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해 형성된 유로를 가리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측벽(712,713,714)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개부는 제1절개부(715)와 제2절개부(7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절개부(715)는, 제1면(712) 및 제2면(7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절개부(715)는 제1면(712)을 중심으로 제2면(713)의 일부분까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절개부(715)는 상부에서 봤을 때,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개부(715)는, 제1면(712) 및 제2면(713)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 중 거치부(710)에 삽입된 부분의 전면과 양측면의 대부분은, 이와 같이 형성된 제1절개부(715)를 통해, 거치유닛(7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절개부(715)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 중 거치부(710)에 삽입된 부분이 거치유닛(7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거치장치(500)에 의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절개부(715)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부(71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거치부(710)의 내부가 외부와 통하는 통로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부(710) 내부에 들어간 이물질의 확인 및 제거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제2절개부(716)는, 제3면(714)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절개부(716)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유닛(700)에 삽입되었을 때, 후면커버(18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면커버(180)에 형성된 제2흡입구(180a)가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절개부(716)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제2흡입구(180a)가 거치부(71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제2흡입구(180a)를 거치부(710)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로를 거치부(710) 상에 형성한다. 이로써 제2흡입구(180a)는 거치부(7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차량용 거치장치(500)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제2흡입구(180a)를 통한 제2영역(B) 내부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하부에 배치된 후면커버(180)에서도 하부에 배치된 제2흡입구(180a)의 위치를 고려하면, 제2절개부(716)는 제1절개부(715)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제2흡입구(180a)를 거치부(71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절개부(716)는 제1절개부(715)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형상,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저면(711)과 매우 인접한 위치까지 하부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거치유닛(700)은, 제2패드(730)와 내측커버(740) 및 마감부재(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패드(730)는, 저면(7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패드(73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2패드(730)는, 거치부(710)의 저면(711)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저면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저면과 밀착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부(7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내측커버(7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7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712,713,7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내측커버(740)는,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절개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커버(74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내측커버(740)는, 거치부(710)의 측벽(712,713,714)과 휴대형 공기정화기(10)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휴대형 공기정화기(10)와 밀착되어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부(7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마감부재(750)는, 거치부(7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벽(712,713,714)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마감부재(750)는, 거치유닛(700)의 상단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측커버(740)를 거치부(710)의 측벽(712,713,714)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거치장치의 작용, 효과]
도 19는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의 사용례를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에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장치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장치(500)는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H)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컵홀더(H)의 내부에 고정유닛(600)을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용 거치장치(500)를 컵홀더(H)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컵홀더(H)에 고정된 차량용 거치장치(500)에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거치됨으로써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컵홀더(H)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고정유닛(600)은 컵홀더(H)의 내부에 삽입되어 컵홀더(H)에 고정되지만, 거치유닛(700)은 컵홀더(H)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컵홀더(H)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거치유닛(700)에 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일부분도 컵홀더(H)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전체가 컵홀더(H)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형 공기정화기(1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해 형성된 유로가 컵홀더(H)에 의해 가려질 일이 없게 되므로,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컵홀더(H)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컵홀더(H)에 장착되지 않을 때와 동등한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유닛(700)이 거치 대상이 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형상 및 사이즈로 제공되므로, 거치 대상이 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컵홀더(H)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형상이나 사이즈가 아니더라도 해당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컵홀더(H)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유닛(700)이 고정유닛(6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므로, 차량용 거치장치(500)에 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필요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거치유닛(700)을 회전시킴으로써 거치유닛(700)에 거치된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와 같이 공기 토출 방향이 상부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을 향하는 공기정화기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기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휴대형 공기정화기(10)는,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꺾이지 않고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유로 저항을 감소시키고 흡입 유량 대비 토출 유량을 높임으로써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꺾인 형태로 배치되는 구조의 공기정화기에 비해 더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형 공기정화기(10)가 차량의 컵홀더(H)에 장착되면,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한정될 수 밖에 없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휴대형 공기정화기(10)의 정화 공기 토출 방향이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게 되면,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0 : 차량용 거치장치
600 : 고정유닛
610 : 지지부
610a : 걸림홈부
611 : 슬라이딩수용부재
612 : 수용케이스
612a : 내벽
613 : 제2설치홈
614 : 지지돌기
615 : 삽입홀
616 : 슬라이딩레일
617 : 레일돌기
618 : 결합홀
619 : 저지부
620 : 고정부
621 : 고정본체
622 : 결합틀
622a : 끼움공
622b : 끼움홈
623 : 돌출부
625 : 제1슬라이딩돌기
626 : 제2슬라이딩돌기
627 : 제1설치홈
628 : 돌기축
629 : 돌출리브
630 : 접촉부재
631 : 끼움돌기
640 : 탄성부재
650 : 외부케이스
651 : 출몰공
660 : 제1패드
700 : 거치유닛
701 : 수용부
710 : 거치부
711 : 저면
712 : 제1면
713 : 제2면
714 : 제3면
715 : 제1절개부
716 : 제2절개부
720 : 제1회전결합부
721 : 회전결합축
725 : 결합부재
726 : 몸체부
727 : 후크돌기
728 : 제2톱니
730 : 제2패드
740 : 내측커버
750 : 마감부재
800 : 연결유닛
810 : 결합돌기
820 : 제2회전결합부
821 : 회전지지부재
822 : 안착면
823 : 돌출지지부
825 : 중심홀
826 : 보스부
827 : 제1톱니
828 : 지지리브
H : 컵홀더
H1 : 바닥면
H2 : 내측벽

Claims (18)

  1. 원 형상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컵홀더에 장착되는 차량용 거치장치로서,
    컵홀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컵홀더에 고정되는 고정유닛;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거치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이 상기 고정유닛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거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가 삽입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연결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회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회전결합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상기 거치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회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결합부는, 거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결합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결합부는, 상기 회전결합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결합축이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회전결합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심홀이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결합부는, 상기 거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결합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심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중심홀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거치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둘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중심홀의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이 형성된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홀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면의 이면에 결합되는 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홀이 형성된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가 상기 중심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톱니와 치합되는 제2톱니가 마련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컵홀더의 측벽과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컵홀더 내부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컵홀더의 측벽 사이로 돌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각각의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슬라이딩수용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에는, 상기 고정부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고정부는, 슬라이딩수용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컵홀더의 측벽을 향하며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의 내부를 향하게 마련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의 외측에 돌출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는, 상기 고정본체가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케이스, 및 상기 고정본체의 출몰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결합부는, 상기 수용케이스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본체의 출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는, 상기 고정본체의 출몰 방향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의 단부와 상기 결합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몰공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출몰공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상기 컵홀더의 내벽과 상기 지지부 사이를 이동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슬라이딩수용부재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걸림홈부에 각각 끼워져 상기 연결유닛을 상기 지지부에 끼움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는, 상기 제2톱니와 치합되어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시, 복수개의 상기 제1톱니 중 어느 하나에 치압되어 있던 상기 제2톱니가 다른 상기 제1톱니에 치합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의 최소 회전각은, 상기 제1톱니의 원주 피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저면, 및 상기 저면의 테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전면과 배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저면은, 상기 컵홀더의 바닥면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저면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제1면과,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양측면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면, 및 상기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3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1절개부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KR1020190050115A 2019-04-29 2019-04-29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KR10217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15A KR102172414B1 (ko) 2019-04-29 2019-04-29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15A KR102172414B1 (ko) 2019-04-29 2019-04-29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414B1 true KR102172414B1 (ko) 2020-10-30

Family

ID=7304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115A KR102172414B1 (ko) 2019-04-29 2019-04-29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4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82B1 (ko) * 2011-11-21 2013-08-09 정선미 휴대기기 거치기구
KR101461101B1 (ko) * 2014-02-07 2014-11-1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JP2017001469A (ja) * 2015-06-08 2017-01-05 槌屋ヤック株式会社 ドリンク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82B1 (ko) * 2011-11-21 2013-08-09 정선미 휴대기기 거치기구
KR101461101B1 (ko) * 2014-02-07 2014-11-13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JP2017001469A (ja) * 2015-06-08 2017-01-05 槌屋ヤック株式会社 ドリンクホルダ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292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2572835B1 (ko) 공기 청정기
JP6775595B2 (ja) 空気清浄機
KR20100056797A (ko) 공기청정기
CN106839140B (zh) 空气清洁器
EP3945256A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TW202219433A (zh) 可攜式空氣淨化器
US11898777B2 (en) Air cleaner
KR102172414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의 차량용 거치장치
JP2011047592A (ja) 送風装置及び空気清浄機
KR102114666B1 (ko) 공기 청정기
KR102184630B1 (ko) 휴대용 기기
KR102507738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20220013879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KR20210094910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팬모듈
KR100492321B1 (ko) 공기청정기
KR102462983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461949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448992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135008B1 (ko) 공기청정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선풍기
CN218359297U (zh) 立式生物安全柜
KR20200126297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CN110477798B (zh) 一种吸尘器的电机组件、排气组件、排气方法及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