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630B1 -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630B1
KR102184630B1 KR1020190019900A KR20190019900A KR102184630B1 KR 102184630 B1 KR102184630 B1 KR 102184630B1 KR 1020190019900 A KR1020190019900 A KR 1020190019900A KR 20190019900 A KR20190019900 A KR 20190019900A KR 102184630 B1 KR102184630 B1 KR 102184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portable device
disposed
cas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706A (ko
Inventor
구명진
김태윤
김태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63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케이스와 일체로 마련되는 스트랩장착부가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되, 케이스를 이루는 각각의 면들보다 돌출되지 않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트랩장착부는 제1면부와 제2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면부에 마련되되, 한 쌍의 제1면부 사이, 및 제2면부와 제3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트랩장착부는, 제1면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제2면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제1연결면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하며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 냄새입자, 유해가스 등의 화학물질,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체를 걸러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정화기는, 도시화, 산업화, 및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증가, 알레르기 환자의 증가, 및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의 영향으로 그 수요도 급격히 늘고 있다.
공기정화기가 일반 가정과 같이 100㎡ 이상을 넘어서는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기기의 크기가 크게 되어도 된다. 이러한 기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에 대응하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대응하는 필터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넓은 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필터를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룸, 차량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이나 공공 도서관 등과 같이 매우 넓은 공간 또는 실외에서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 활용성, 이동성, 에너지 소모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큰 크기의 공기정화기보다는 크기가 작으면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더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용 기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휴대용 기기는, 집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이다.
휴대용 기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휴대용 기기는, 집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다. 스트랩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손에 걸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통상 휴대용 기기의 외측에 돌출되게 마련된 스트랩고리에 결합된다.
그러나 그러나 스트랩고리는, 휴대용 기기의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또한 이러한 스트랩고리에 결합되는 스트랩은, 휴대용 기기를 평소와 다른 자세로 사용할 때, 예를 들면 휴대용 기기를 눕힌 상태로 사용할 경우 휴대용 기기의 하부에 깔려 휴대용 기기의 안착 상태를 불안정하게 하는 등, 휴대용 기기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트랩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구조물이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랩의 존재가 휴대용 기기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면서도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케이스와 일체로 마련되는 스트랩장착부가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되, 케이스를 이루는 각각의 면들보다 돌출되지 않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트랩장착부는 제1면부와 제2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면부에 마련되되, 한 쌍의 제1면부 사이, 및 제2면부와 제3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스트랩장착부는, 제1면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제2면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제1연결면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기기가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스트랩장착부와 바닥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위치, 그리고 스트랩의 존재가 휴대용 기기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스트랩장착부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배터리가 팬 어셈블리 및 필터모듈의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휴대용 기기의 무게 중심이 제3방향 중심에서 제3방향 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는 팬 어셈블리 및 필터모듈이 제1방향 일측에, 배터리가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방향 길이 및 상기 제2방향 길이보다 상기 제3방향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제3방향 길이가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3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기기의 무게중심이 상기 제3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3방향 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기기의 전도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제1방향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며, 스트랩이 장착되는 스트랩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면부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한 상기 제3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면부의 상기 제3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2면부와; 상기 제2면부와 나란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면부의 상기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3면부; 및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 또는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3면부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연결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제1연결면부에 마련되되, 한 쌍의 상기 제1면부 사이, 및 상기 제2면부와 상기 제3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제1면부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제1연결면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스트랩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상기 제1연결면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금속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기기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후면패널,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면부는,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면부는, 상기 제2면부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잇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3면부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면부는, 상기 제2면부보다 상기 제2방향 길이가 긴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면부는, 상기 제1연결면부보다 R값이 작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송풍팬을 구비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필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방향 길이 및 상기 제2방향 길이보다 상기 제3방향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제3방향 길이가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3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무게가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무게보다 무겁고, 상기 휴대용 기기의 무게중심이 상기 제3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3방향 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가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스트랩장착부와 바닥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위치에 스트랩장착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랩장착부를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를 통해 이음새 없이 세련된 외관을 가지면서도 스트랩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가볍고 튼튼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은 휴대용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트랩장착부의 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스트랩장착부 및 스트랩이 스트랩이 버튼의 조작을 방해하거나 휴대용 기기의 하부에 깔려 휴대용 기기의 안착 상태를 불안안정하게 하는 등, 스트랩의 존재가 휴대용 기기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전도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효과적으로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눕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휴대용 기기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배면 측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공기 유동 양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기기(50)가 휴대용 공기정화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5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50)는, 케이스(520)와, 전면패널(510) 및 후면패널(570)을 포함한다.
케이스(520)는, 휴대용 기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520)에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된다.
전면패널(510)은, 케이스(5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패널(510)은, 휴대용 기기(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570)은, 케이스(520)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패널(570)은, 휴대용 기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용 기기(5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세워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50)를 세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눕혀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와 같이 흔들림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휴대용 기기(50)가 눕혀진 상태로 사용되더라도, 휴대용 기기(50)가 구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케이스(520)로부터 전면패널(5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전방, 케이스(520)로부터 후면패널(570)이 위치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제1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3방향"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휴대용 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510)과 케이스(520)와 팬커버(530)와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과 배터리(560)와 후면패널(570) 및 후면커버(580)를 포함한다.
전면패널(510)은, 휴대용 기기(50)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기기(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휴대용 기기(5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전면패널(51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위해, 전면패널(510)에는 복수개의 토출구(510a)가 마련된다.
케이스(520)는, 휴대용 기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휴대용 기기(50)의 상면, 측면, 저면 외관이 케이스(520)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5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팬커버(530), 팬 어셈블리(540,545), 배터리(550), 필터모듈(560) 등과 같이 휴대용 기기(5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케이스(520)는, 이와 같이 수용된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팬커버(53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팬커버(530)는, 케이스(520) 내부에서 전면패널(510)과 팬 어셈블리(540,545)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커버(530)는, 팬 어셈블리(540,545)를 케이스(52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팬커버(530)는, 팬 어셈블리(540,545)에 의해 불어나가는 공기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전방을 향해 직진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아울러 팬커버(530)는, 필터모듈(550) 및 배터리(560)의 고정에도 관여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540,545)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커버(530)와 필터모듈(5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팬 어셈블리(540,545)는, 팬커버(530)의 후방 및 필터모듈(5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 어셈블리(540,545)는, 휴대용 기기(5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550)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와 후면패널(570) 사이에 배치된다. 즉 필터모듈(550)은, 팬 어셈블리(540,545)의 후방 및 후면패널(57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모듈(550)은, 휴대용 기기(50)의 후방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550)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팬 어셈블리(540,545), 팬커버(530), 전면패널(510)을 통과하여 휴대용 기기(5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배터리(560)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터리(560)는, 휴대용 기기(5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 그리고 후술할 서브 피씨비(590)와 메인 피씨비(5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면패널(570)은, 후면커버(580)와 함께 케이스(5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기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패널(570)은, 필터모듈(560)의 후방에 배치된다.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570)을 통해 휴대용 기기(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를 위해, 후면패널(570)에는 복수개의 제1흡입구(570a)가 마련된다.
그리고 후면커버(580)는, 후면패널(570)과 함께 케이스(52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휴대용 기기(5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후면커버(580)는, 배터리(56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모듈(550)의 배후 영역은 후면패널(570)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고 배터리(560)의 배후 영역은 후면커버(580)에 의해 커버된다.
[케이스의 구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50)는 휴대용 기기(5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520)를 포함한다. 케이스(5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제1방향 일측과 타측은 개방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케이스(520)로부터 전면패널(5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전방, 케이스(520)로부터 후면패널(570)이 위치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제1방향"은 전후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3방향"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520)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520)의 내부에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5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20)가 가볍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케이스(520)의 후면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개방된다. 그리고 케이스(520)의 전면은,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개방된다. 개방된 케이스(520)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해, 휴대용 기기(50)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이 케이스(520)의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559)는 케이스(520)의 개방된 후면을 통해 케이스(520)의 내부에 장착 또는 탈착된다. 케이스(520)의 개방된 후면에는, 후면패널(570)이 결합된다. 케이스(520)에 결합된 후면패널(570)은, 케이스(520)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한다.
상기 케이스(52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면부(521)와 제2면부(523)와 제1연결면부(525)와 제3면부(527) 및 제2연결면부(5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면부(521)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즉 제1면부(521)는, 케이스(520)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면부(521)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의 측부를 가로막는 벽면을 형성하는 세로방향의 평면으로 형성된다.
케이스(520)에는 한 쌍의 제1면부(521)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제1면부(521)는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1면부(521)는, 제2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면부(523)는, 제3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제1면부(521)의 제3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즉 제2면부(523)는, 제1면부(521)의 상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제1면부(521)의 이격방향과 나란한 평면, 즉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면부(523)는, 케이스(520)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제1연결면부(525)는, 제1면부(521)와 제2면부(5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연결면부(525)는, 제2면부(523)의 일측 단부와 그 하부에 배치된 제1면부(521) 사이, 그리고 제2면부(523)의 타측 단부와 그 하부에 배치된 제1면부(521)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제1연결면부(525)는, 제1면부(521)와 제2면부(523)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1연결면부(525)는, 제1면부(521)와 제2면부(523)가 연결된 케이스(520)의 상부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 및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3면부(527)는, 제2면부(523) 및 제1면부(5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면부(523)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3면부(527)는, 케이스(520)의 저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3면부(527)는, 휴대용 기기(50)가 세워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휴대용 기기(50)를 지지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제2연결면부(529)는, 제1면부(521)와 제3면부(527) 사이에 배치된다. 제2연결면부(529)는, 제3면부(527)의 일측 단부와 그 상부에 배치된 제1면부(521) 사이, 그리고 제3면부(527)의 타측 단부와 그 상부에 배치된 제1면부(521)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제1연결면부(525)는, 제1면부(521)와 제2면부(523)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1연결면부(525)는, 제1면부(521)와 제3면부(527)가 연결된 케이스(520)의 상부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 및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520)의 상부, 즉 케이스(520)의 제2면부(523)에는, 전원버튼(592)이 제공될 수 있다. 전원버튼(592)은, 휴대용 기기(5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또한 케이스(520)의 상부에는, 풍량조절버튼(593)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풍량조절버튼(593)은, 휴대용 기기(50)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풍량조절버튼(59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전원버튼(59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520)에는, 스트랩(501)을 케이스(5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스트랩장착부(50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트랩(501)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마련된 것이다.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50)를 직접 손으로 잡는 대신 스트랩(501)을 잡아 휴대용 기기(50)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스트랩(501)에 의해, 휴대용 기기(50)의 휴대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제1영역(A)과 제2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했을 때, 상부의 영역이 제1영역(A)이 되고, 그 하부의 영역이 제2영역(B)이 된다. 제1영역(A)과 제2영역(B)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영역은 아니며, 단지 개념적으로만 구분된 영역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에 수용된 구성 중,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은 제1영역(A)에 배치되고, 배터리(550)는 제2영역(B)에 배치된다.
[휴대용 기기의 부품 배치 구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50)의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520) 내부의 수용공간은, 상부의 제1영역(A)과 제2영역(B)으로 구분된다.
제1영역(A)에는,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1영역(A)에는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영역(A)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면패널(570)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통로로서 복수개의 제1흡입구(570a)가 마련된다. 팬커버(530) 및 전면패널(510)에는, 제1영역(A)에서 정화된 공기 토출을 위한 통로로서 공기토출부(532,533) 및 토출구(510a)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영역(A)에는, 제1흡입구(570a)와 공기토출부(532,533) 및 토출구(510a)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즉 제1영역(A)에는 제1흡입구(570a)와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와 공기토출부(532,533) 및 토출구(510a)가 마련되고, 휴대용 기기(5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정화기(50)의 내부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유로는 제1영역(A)에 형성된다.
제2영역(B)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배치된다. 즉 제2영역(B)에는, 메인 피씨비(595)와 배터리(560) 및 센서모듈(600)이 배치된다. 후면커버(580)는, 이러한 구성들이 배치된 공간의 개방된 후방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520)는 측방향 길이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배치된 제1영역(A)이 하부에 배치된 제2영역(B)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휴대용 기기(5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상부의 제1영역(A)이 하부의 제2영역(B)보다 케이스(520) 내에서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제2영역(B)의 최전방에는 팬커버(530)의 하부커버부(535)가 배치된다. 배터리(560)는, 제2영역(B)에 배치되되, 하부커버부(535)의 후방에 배치된다. 배터리(560)의 상부에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이 배치되며, 배터리(560)의 후방에는 후면커버(580)가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560)와 후면커버(580) 사이에는, 센서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배터리(560)는, 상부 경계면이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에 의해 규정되고 측부 및 하부 경계면이 케이스(520)의 제1면부(521) 및 제3면부(527)에 의해 규정되며 후방 경계면이 후면커버(58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560)는 팬 어셈블리(540,545)와 필터모듈(550)를 합한 무게보다 더 무거운 무게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560)의 단위 부피당 무게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의 단위 부피당 무게보다 훨씬 무겁기 때문에, 배터리(560)의 무게나 크기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배터리(560)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즉 휴대용 기기(50)의 통상적인 사용에 필요한 용량의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에 적용되더라도, 자연스럽게 배터리(560)가 팬 어셈블리(540,545) 및 필터모듈(550)보다 중량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면, 휴대용 기기(50)의 무게중심은 상하방향 중심에서 하부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즉 배터리(560)가 배치된 휴대용 기기(50)의 하부 측으로 휴대용 기기(50)의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560)가 배치된 휴대용 기기(50)의 하부 측으로 휴대용 기기(50)의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되면, 휴대용 기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기기(50)가 전도될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즉 휴대용 기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560)로 인해 휴대용 기기(50)의 무게 중심이 하부 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휴대용 기기(50)가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에 따르면, 케이스(520)의 제3면부(527)가 제2면부(5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한다. 즉 제3면부(527)는 제2면부(523)보다 측방향 길이가 긴 평면을 형성한다. 즉 제3면부(527)의 측방향 길이가 d1이고, 제2면부(523)의 측방향 길이가 d2라고 할 때, d1>d2인 관계가 만족된다. 그리고 제3면부(527)와 제1면부(5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면부(529)는, 제1연결면부(525)보다 R값이 작은 곡면을 형성한다.
케이스(520)의 제3면부(527)는, 휴대용 기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즉 제3면부(527)는, 휴대용 기기(50)가 세워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휴대용 기기(5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케이스(520)의 제3면부(527)가 제2면부(5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520)의 제3면부(527)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5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용 기기(50)의 무게 중심이 하부 측에 위치되도록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50)를 지지하는 케이스(520)의 제3면부(527)가 제2면부(5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하는 구조의 조합을 통해, 휴대용 기기(50)의 전도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5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면, 휴대용 기기(50)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 예를 들어 필터모듈(550)과 팬 어셈블리(540,545)은 배터리(560)보다 상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즉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휴대용 기기(50)의 원활한 사용에 필요한 배터리(560)의 충전 용량 확보를 위해서는, 배터리(560)의 크기가 일정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50) 내부에도 배터리(560) 설치를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설치 공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배터리(560)가 설치된 공간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은 불합리한 일이기 때문에,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은 배터리(560)를 피한 위치, 즉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휴대용 기기(5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한 유로는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인 제1영역(A)에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50)로의 공기의 흡입, 휴대용 기기(50)에서 정화된 공기의 토출도 배터리(56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기기(50)의 상부에서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용 기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기가 좀 더 용이해지게 된다.
사용자의 얼굴보다 낮은 위치의 바닥면에 휴대용 기기(50)를 놓고 사용할 때, 휴대용 기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휴대용 기기(50)를 가로방향으로 눕혀 사용하는 것보다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휴대용 기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휴대용 기기(50)의 상부에서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휴대용 기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 인해, 휴대용 기기(50)에서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을 위한 유로가 배터리(56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정화된 공기의 토출도 휴대용 기기(5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더욱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즉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50)의 전도 위험성이 낮아지도록 휴대용 기기(5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휴대용 기기(50)에서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도달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유로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셋째, 중량물인 배터리(560)가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흡입, 정화, 토출과 관련된 구성들이 배터리(5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는, 휴대용 기기(50)의 설치 범위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휴대용 기기(50)가 차량 내의 컵 홀더(h)에 꽂힌 상태로 사용될 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및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컵 홀더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50)는 차량 내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면서도 높은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560)가 배치되는 제2영역(B)의 상하방향 길이가 컵 홀더의 깊이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집게 방식의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50)의 하부 영역을 고정시킨다면, 이 역시 휴대용 기기(50)의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 및 정화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막지 않으면서도 휴대용 기기(5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배터리(560)와 같이 공기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구성들이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휴대용 기기(50)의 하부를 통해 휴대용 기기(50)의 거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기기(50)의 높은 수준의 공기 정화 성능 제공과 안정적인 고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연결면부의 형상 및 스트랩장착부의 배치 구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정면 측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를 눕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50)는 스트랩(501) 및 이러한 스트랩(501)이 장착되는 스트랩장착부(505)를 구비할 수 있다.
스트랩장착부(505)는, 제1연결면부(525) 또는 제2연결면부(529)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랩장착부(505)가 제2면부(523)와 인접한 제1연결면부(525)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스트랩장착부(505)는, 케이스(5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연결면부(525)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트랩장착부(505)는, 제1연결면부(525)의 일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520)는 가볍고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장착부(505)는, 이러한 케이스(520)의 제조시 케이스(52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장착부(505)가 케이스(520)와 일체로 형성되면, 케이스(520)와 스트랩장착부(505) 사이의 이음새를 없앨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외관 미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케이스(520)와 스트랩장착부(505) 간의 결합이 더욱 굳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랩장착부(505)는, 힌지부(506)와 연결부(5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506)는, 스트랩(50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힌지부(506)에는, 스트랩장착부(505)와 스트랩(501)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힌지핀(509)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506)는, 이러한 힌지핀(509)이 힌지부(506)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에 충분한 결합면이 제공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힌지부(506)는, 제1방향 타측, 즉 전방에서 봤을 때, 대략 힌지핀(509)보다 직경이 큰 원형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연결부(507)는, 힌지부(506)를 제1연결면부(525)와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부(507)는,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오목한 형상, 즉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507)의 형상은, 힌지부(506)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스트랩장착부(505)의 돌출 정도를 억제시키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연결부(507)는, 제1연결면부(525)와 연결되는 부위의 면적, 그리고 힌지부(506)와 연결되는 부위의 면적이 최대한으로 확보되도록 하고, 그들을 연결하는 구간의 두께는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트랩장착부(505)는, 케이스(5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스트랩장착부(505)에 결합된 힌지핀(509) 및 스트랩(50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케이스(520) 외측으로 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트랩(501)은, 손잡이부(502)와 고정부(5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50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마련되며, 고정부(503)는 이러한 손잡이부(502)를 스트랩장착부(50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고정부(503)는, 상술한 힌지핀(509)을 매개로 스트랩장착부(50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핀(509)은, 스트랩장착부(505) 및 스트랩(501)과 별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스트랩장착부(505)의 힌지부(506)에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고정부(503)에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스트랩장착부(505)는, 제1연결면부(525)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한 쌍의 제1면부(521) 사이, 및 제2면부(523)와 제3면부(5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트랩장착부(505)는, 제1면부(521)로부터 제3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S1)과 제2면부(523)로부터 제2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S2)과 제1연결면부(525)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장착부(505)는, 전면패널(510)과 후면패널(5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트랩장착부(505)는, 한 쌍의 제1면부(521)보다 좌우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2면부(523)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제3면부(527)보다 하부로 돌출되지 않고, 전면패널(510) 및 후면패널(570)보다 전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장착부(505)가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스트랩장착부(505)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휴대성이 높은 휴대용 기기(50)의 특성 상,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50)를 가지고 있던 중 떨어뜨리는 일이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책상이나 선반 등에 올려진 채로 사용되던 휴대용 기기(50)가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책상이나 선반 밑으로 떨어지는 일도 흔히 발생될 수 있다.
만약 스트랩장착부(505)가 케이스(5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다면,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질 때, 휴대용 기기(50)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스트랩장착부(505)가 바닥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질 때, 케이스(520)의 어느 한 면이 먼저 바닥과 충돌한다면, 그 충격은 케이스(520)의 각 면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50)의 특정한 한 부분에 충격이 집중되어 해당 부분이 파손될 위험성이 낮다.
그러나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질 때, 스트랩장착부(505)와 바닥 간의 충돌이 발생된다면, 그 충돌로 인한 충격이 스트랩장착부(505)와 케이스(520) 간의 연결 부위에 집중되고, 그로 인해 스트랩장착부(505)의 파손이 발생될 위험성이 높다.
케이스(520)와 스트랩장착부(50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랩장착부(505)의 파손이 발생되면, 스트랩장착부(505)만의 교체가 아니라 케이스(520) 전체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520)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이처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520)는, 가볍고 튼튼하면서도 세련된 외관을 갖는 휴대용 기기(50)의 케이스로 적용되기에 적합하지만,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스트랩장착부(505)의 파손으로 인해 케이스(52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은, 매우 불합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랩장착부(505)가 한 쌍의 제1면부(521)보다 좌우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2면부(523)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제3면부(527)보다 하부로 돌출되지 않고, 전면패널(510) 및 후면패널(570)보다 전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스트랩장착부(505)의 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스트랩장착부(505)와 바닥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즉 스트랩장착부(505)가 완전히 바닥을 향한 상태로 휴대용 기기(50)가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스트랩장착부(505)와 바닥과 충돌할 우려가 없게 되므로, 스트랩장착부(505)를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트랩장착부(505)가 제1면부(521)와 제2면부(523)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면부(525)에 마련되면,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스트랩장착부(505)와 바닥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50)는 그 무게 중심이 배터리(560)가 위치한 제3방향 타측, 즉 하부측으로 쏠리게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스트랩장착부(505)가 마련된 제1연결면부(525)보다 제2연결면부(529) 측에 무게 중심이 쏠리므로,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질 경우 대부분 스트랩장착부(505)가 배치된 측의 반대측이 바닥을 향하게 된다.
즉 스트랩장착부(505)가 휴대용 기기(50)의 무게 중심이 쏠리는 측의 반대측에 배치됨으로써, 스트랩장착부(505)와 바닥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게 되고, 이로써 스트랩장착부(505)를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520)는 상부의 제2면부(523)보다 하부의 제3면부(527)가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1면부(521)와 제3면부(527)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면부(529)는, 제1연결면부(525)보다 R값이 작은 곡면을 형성한다.
이는, 휴대용 기기(50)를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인 제3면부(527)가 제2면부(523)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휴대용 기기(50)가 제2면부(523)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도, 스트랩장착부(505)는 제2연결면부(529)보다는 제1연결면부(525)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트랩장착부(505)가 제1연결면부(525)에 마련되면, 스트랩(501)의 존재가 휴대용 기기(50)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스트랩장착부(505) 및 스트랩(501)이 제2면부(523)와 제1연결면부(525)의 경계, 또는 제1연결면부(525)에 배치되면, 휴대용 기기(50)가 세워진 상태로 사용될 때에 스트랩(501)이 전원버튼(592) 또는 풍향조절버튼(593) 조작을 방해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트랩장착부(505) 및 스트랩(501)이 상기와 같이 배치되면, 휴대용 기기(50)가 눕혀진 상태로 사용될 때에 스트랩(501)이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깔리고, 이로 인해 휴대용 기기(50)의 안착 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50)가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스트랩장착부(505)와 바닥 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위치에 스트랩장착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랩장착부(505)를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음새 없이 세련된 외관을 가지면서도 스트랩(501)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가볍고 튼튼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은 휴대용 기기(5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트랩장착부(505)의 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스트랩장착부(505) 및 스트랩(501)이 버튼의 조작을 방해하거나 휴대용 기기(50)의 하부에 깔려 휴대용 기기(50)의 안착 상태를 불안정하게 하는 등, 스트랩(501)의 존재가 휴대용 기기(50)의 사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휴대용 기기
501 : 스트랩
505 : 스트랩장착부
510 : 전면패널
520 : 케이스
530 : 팬커버
540 : 상부팬 어셈블리
545 : 하부팬 어셈블리
550 : 필터모듈
560 : 배터리
570 : 후면패널
580 : 후면커버

Claims (14)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제1방향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며, 스트랩이 장착되는 스트랩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면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한 제3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면부의 상기 제3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2면부;
    상기 제2면부와 나란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면부의 상기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3면부; 및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면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면부의 상기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면부는, 상기 제2면부의 상기 제2방향 일측에서 한 쌍의 상기 제1면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면부보다 상기 제3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2면부보다 상기 제2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면을 형성하고,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제1연결면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 일측 및 상기 제3방향 일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1면부 중 어느 하나보다 상기 제2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제2면부보다 상기 제3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휴대용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스트랩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상기 제1연결면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금속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후면패널,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용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부는,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휴대용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부는, 상기 제2면부보다 넓은 면적의 평면을 형성하는 휴대용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3면부 사이를 각각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부는, 상기 제2면부보다 상기 제2방향 길이가 긴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면부는, 상기 제1연결면부보다 R값이 작은 곡면을 형성하는 휴대용 기기.
  1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제1방향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며, 스트랩이 장착되는 스트랩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면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한 제3방향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면부의 상기 제3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제2면부;
    상기 제2면부와 나란한 면을 형성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면부의 상기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제3면부; 및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면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면부의 상기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면부는, 상기 제2면부의 상기 제2방향 일측에서 한 쌍의 상기 제1면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면부보다 상기 제3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2면부보다 상기 제2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스트랩장착부는, 상기 제1면부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제2면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제1연결면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는 휴대용 기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송풍팬을 구비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필터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제3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방향 길이 및 상기 제2방향 길이보다 상기 제3방향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제3방향 길이가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3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무게가 상기 팬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모듈의 무게보다 무겁고,
    상기 휴대용 기기의 무게중심이 상기 제3방향 중심에서 상기 제3방향 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휴대용 기기.
KR1020190019900A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기기 KR10218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00A KR102184630B1 (ko)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00A KR102184630B1 (ko)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706A KR20200101706A (ko) 2020-08-28
KR102184630B1 true KR102184630B1 (ko) 2020-11-30

Family

ID=7226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900A KR102184630B1 (ko)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654B1 (ko) * 2021-01-11 2022-10-13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46Y1 (ko) * 2002-02-04 2002-04-22 박영홍 휴대용 미니 공기 정화기
KR200475454Y1 (ko) * 2014-04-23 2014-12-02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송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478B2 (ja) * 1992-01-10 1996-10-3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用端末機器のストラップホルダ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46Y1 (ko) * 2002-02-04 2002-04-22 박영홍 휴대용 미니 공기 정화기
KR200475454Y1 (ko) * 2014-04-23 2014-12-02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706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2257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CN108209701B (zh) 吸尘器及其风道结构
WO2015129387A1 (ja) 電気掃除機
KR20140009338A (ko) 진공 청소기
CN108309145B (zh) 吸尘器及其过滤组件
KR102184630B1 (ko) 휴대용 기기
CN209462823U (zh) 一种网络设备防护装置
WO2014075347A1 (zh) 双面出风式空气净化器
KR102710172B1 (ko) 팬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형 공기정화기
US20080257623A1 (en) Swing-Type Operation Machine
US8961639B2 (en) Welding booth
KR102507738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CN107203252A (zh) 一种防尘散热机箱
US6406507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shielding flexible outer bags of vacuum cleaners
KR20210094910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팬모듈
JPWO2016114042A1 (ja) 電気掃除機
KR102461949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102462983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20210110932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CN213630607U (zh) 一种油烟机
CN108553025B (zh) 吸尘器及其电池组件
KR102448992B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KR20210099381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CN210989960U (zh) 一种吸尘器的电机组件、排气组件及吸尘器
JP7060674B2 (ja) 可搬型バッテリの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