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323B1 -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323B1
KR102172323B1 KR1020190036646A KR20190036646A KR102172323B1 KR 102172323 B1 KR102172323 B1 KR 102172323B1 KR 1020190036646 A KR1020190036646 A KR 1020190036646A KR 20190036646 A KR20190036646 A KR 20190036646A KR 102172323 B1 KR102172323 B1 KR 10217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lumn
coupled
diaphrag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609A (ko
Inventor
김동준
박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리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리안
Priority to KR102019003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3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8Profile filled with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보 접합시 현장 용접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고, 시공성을 높이면서도 접합부 강성이 크며, 기둥 사이즈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는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 사이에 구비되어 보를 결합하기 위한 기둥-보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강관; 상기 연결강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연결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강관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백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의 위치에 각각 내측슬릿홀과 외측슬릿홀이 형성되어 백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가 내측슬릿홀과 외측슬릿홀에 각각 삽입되고, 보가 결합되는 위치에 보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된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Joint of column and beam with hybrid diaphragm}
본 발명은 기둥-보 접합시 현장 용접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고, 시공성을 높이면서도 접합부 강성이 크며, 기둥 사이즈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에 대한 것이다.
각형강관 기둥은 강축과 약축의 구분이 없어 H형강에 비해 구조적으로 매우 효율적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충전시 외부 강관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강도와 연성을 많이 증가시키므로, 시공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각형강관은 폐단면의 특성상 보 접합이 어려워 별도의 다이어프램을 설치하여 보를 접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이어프램 형식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a)에는 강관을 절단하고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용접으로 강접합하는 관통형 다이어프램이 도시된다. 상기 방법은 외관이 단순하고 하중 전달이 가장 명쾌하며, 강진과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본에서 주로 사용된다.
도 1의 (b)에는 보 플랜지 위치의 강관 내부에 다이어프램을 용접하는 내다이어프램이 도시된다. 상기 내다이어프램 형식은 외관이 단순하고 강재량을 절약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의 (c)에는 강관 외부에 경사 모양의 다이어프램을 용접하여 보강하는 외다이어프램이 도시된다. 상기 외다이어프램 형식은 콘크리트 충전이 용이하나 강재량이 많이 소모되고, 접합부 주변 외관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다이어프램 형식들은 용접에 의해 부재 접합이 이루어지므로 용접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관통형 다이어프램이나 내다이어프램 형식은 고도의 용접 기술이 필요하여 품질 확보가 어렵다.
아울러 종래 관통형 다이어프램 형식은 보 플랜지와 다이어프램의 접합 면에서 급격한 기하학적인 형상 변화로 인해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공정 없이 볼트 결합에 의해서만 기둥-보를 접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1848699호).
상기 등록 기술은 내부보강판(20)을 다이어프램(30)에 의해 증강기둥(40) 내부에 고정하고, 외부에는 외부보강판(50)을 덧대 내외부보강판(20, 50)에 의해 상하부기둥(60, 70)을 고정한다. 이때, 보(80)는 외부보강판(50)에 직접 결합되어 외부보강판(50)에 의해 간접적으로 기둥(60, 70) 강관 면에 고정된다.
상기 등록 기술은 현장 용접을 최소화하여 접합부 품질을 높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이어프램(30)은 보(80)의 응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내부보강판(20)을 고정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고, 보(80)의 응력은 기둥(60, 70)의 강관 면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판폭두께비가 커 면외 변형에 취약한 대형 기둥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보 접합부 시공시, 현장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시공성을 높이면서도 접합부 강성이 크며, 기둥 사이즈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 사이에 구비되어 보를 결합하기 위한 기둥-보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강관; 상기 연결강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연결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강관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백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의 위치에 각각 내측슬릿홀과 외측슬릿홀이 형성되어 백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가 내측슬릿홀과 외측슬릿홀에 각각 삽입되고, 보가 결합되는 위치에 보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가 연장 형성된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엔드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는 연결강관과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에는 보의 웨브에 결합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내측슬릿홀은 외측슬릿홀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연결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리브보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리브보강구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의 상면과 엔드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결강관의 내외측에 각각 결합되는 백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강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의 슬릿홀을 관통 결합하여 형성되는 기둥-보 접합부를 제작하여 기둥과 보를 접합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 간소화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둘째, 기둥-보 접합부를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은 백플레이트와 엔드플레이트의 위치를 가고정할 뿐 아니라 기둥의 내부와 외부에서 응력을 전달하여 관통형 다이어프램과 외다이어프램의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보 접합부의 응력 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둥 외부로 돌출된 외다이어프램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응력 전달이 명쾌하고 외부 돌출이 없는 관통형 다이어프램의 장점과 균열 발생 후 변형 능력이 우수하고 응력 집중이 적은 외다이어프램의 장점을 모두 발휘할 수 있다.
셋째, 보와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각형강관 기둥 면과 구조적으로 분리되므로, 보의 하중에 의해 각형강관 기둥의 면외 변형 우려가 없다. 따라서 기둥 사이즈에 관계없이 대형 기둥에도 적용 가능하다.
넷째, 엔드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를 연결강관 및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과 볼트 결합하는 경우, 현장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접합부 품질의 신뢰성 및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양한 다이어프램 형식에 의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무용접에 의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백플레이트 및 엔드플레이트와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단턱부가 형성된 백플레이트 또는 엔드플레이트와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리브보강구가 결합된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의 사시도.
도 10은 리브보강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리브보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백플레이트 및 엔드플레이트와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는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 사이에 구비되어 보(3)를 결합하기 위한 기둥-보 접합부(4)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강관(5); 상기 연결강관(5)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5)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백플레이트(6); 상기 백플레이트(6)와 대응되도록 연결강관(5)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5)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엔드플레이트(7); 및 상기 연결강관(5)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의 위치에 각각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이 형성되어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가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에 각각 삽입되고, 보(3)가 결합되는 위치에 보(3)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83)가 연장 형성된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둥-보 접합부 시공시, 현장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시공성을 높이면서도 접합부 강성이 크며, 기둥 사이즈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강관(5)은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연결강관(5)의 상하 양단은 연결강관(5)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의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연결강관(5)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각각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가 결합된다.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강관(5)의 상부와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엔드플레이트(7)는 백플레이트(6)와 대응되도록 연결강관(5)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은 연결강관(5)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은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의 위치에 각각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는 각각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에는 보(3)가 결합되는 위치에 보(3)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83)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83)는 기둥의 4면 중 보(3)가 결합되는 면에만 형성되면 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83)는 보(3)의 플랜지와 볼트 결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플레이트(83)와 보(3)의 플랜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웃하는 연결플레이트(83) 사이에는 응력 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평면상 삼각형 형상의 확장부(84)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둥(1, 2) 내부에서도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에 의해 응력이 전달되므로, 기존 외다이어프램에 비해 확장부(84)의 크기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은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의 위치를 가고정할 뿐 아니라 기둥(1, 2)의 내부와 외부에서 응력을 전달하여 관통형 다이어프램과 외다이어프램의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기둥-보 접합부(4)의 응력 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둥(1, 2) 외부로 돌출된 외다이어프램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응력 전달이 명쾌하고 외부 돌출이 없는 관통형 다이어프램의 장점과 균열 발생 후 변형 능력이 우수하고 응력 집중이 적은 외다이어프램의 장점을 모두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보(3) 및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은 각형강관 기둥(1, 2) 면과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보(3)의 하중에 의해 각형강관 기둥(1, 2)의 면외 변형 우려가 없다.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은 엔드플레이트(7)와 백플레이트(6) 사이에 삽입되어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에 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각형강관 기둥(1, 2)을 CFT 기둥으로 사용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의 중앙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관통공(8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강관(5), 백플레이트(6), 엔드플레이트(7) 및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보 접합부(4)는 공장 등에서 사전에 미리 제작 가능하다. 이후 현장에 반입한 다음, 이미 설치된 하부 각형강관 기둥(2) 상부에 접합부(4)를 거치하여 하부 각형강관 기둥(2)의 상단이 백플레이트(6) 하부와 엔드플레이트(7) 하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백플레이트(6) 상부와 엔드플레이트(7) 상부 사이에 상부 각형강관 기둥(1)의 하단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에 따라 현장 설치 작업 간소화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엔드플레이트(7) 및 백플레이트(6)는 연결강관(5)과 볼트(B)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백플레이트(6), 연결강관(5) 및 엔드플레이트(7)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을 최소화하고 접합부 품질의 신뢰성 및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형강관 기둥(1, 2)은 폐단면으로 구성되어 볼트 체결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편측에서 체결 가능한 원웨이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기둥-보 접합부(4)는 공장 등에서 사전 제작된 상태로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가 연결강관(5) 또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과 강결합되어 있으면,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 사이의 공간으로 각형강관을 삽입하기가 어렵다.
이에 볼트(B)를 헐겁게 체결한 가조임 상태로 현장 반입하여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에 조립한 다음, 볼트(B)를 본조임하여 최종 고정함으로써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 역시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 사이에 삽입한 후 백플레이트(6), 각형강관 기둥(1, 2) 및 엔드플레이트(7)를 관통하는 볼트(B)에 의해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백플레이트(6), 각형강관 기둥(1, 2) 및 엔드플레이트(7)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플레이트(7)에는 보(3)의 웨브에 결합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3)의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보(3)의 웨브가 기둥(1, 2)에 접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엔드플레이트(7)를 활용하여 엔드플레이트(7)에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를 미리 결합하면, 현장에서는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보(3)의 웨브를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에 결합하여 보(3)의 전단력을 기둥(1, 2)으로 원활하게 전달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와 보(3)의 웨브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슬릿홀(81)은 외측슬릿홀(8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의 슬릿홀(81, 82) 부분은 응력 전달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이 관통형 다이어프램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슬릿홀(81, 82)의 좌우 측에 어느 정도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내측슬릿홀(81)의 길이를 외측슬릿홀(8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기둥(1, 2) 내부로도 응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단턱부가 형성된 백플레이트 또는 엔드플레이트와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의 측단에는 상하부의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이 걸리는 단턱부(61, 7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보 접합부(4) 조립시, 백플레이트(6) 및 엔드플레이트(7)에 상하부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의 위치를 고정하기 용이하다.
도 9는 리브보강구가 결합된 본 발명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플레이트(7)의 돌출부와 연결플레이트(83)의 사이에는 리브보강구(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은 기둥(1, 2)과 강접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3) 하중 작용시 기둥-보 접합부 변형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기둥(1, 2)과 보(3)를 일체화하기 위해 엔드플레이트(7)가 연결강관(5)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연결플레이트(83)의 사이에 리브보강구(9)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리브보강구(9)는 보(3)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83)와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에 결합되는 엔드플레이트(7)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기둥(1, 2)과 보(3)를 강접(rigid connection)한다.
도 10은 리브보강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리브보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보강구(9)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83)의 상면과 엔드플레이트(7)의 전면에 결합되는 고정구(91) 및 상기 고정구(91)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리브(92)로 구성할 수 있다.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 시공시 각 각형강관 기둥(1, 2)이 엔드플레이트(7)와 백플레이트(6)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엔드플레이트(7)와 백플레이트(6)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과 어느 정도 유격을 갖고 결합되어야 한다.
즉,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과 엔드플레이트(7) 사이에 리브보강구(9)가 미리 결합되어 있을 경우, 엔드플레이트(7)의 미세 조정이 어려워 각형강관 기둥(1, 2)의 삽입이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의 삽입을 완료한 후 리브보강구(9)를 나중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리브보강구(9)는 연결플레이트(83)와 엔드플레이트(7)를 서로 지지하도록 하는 보강리브(92)와 보강리브(92)의 단부를 연결플레이트(83)와 엔드플레이트(7)에 고정하는 고정구(91)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구(91)는 수평부(911)와 수직부(9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911)는 보(3)의 플랜지 및 연결플레이트(83)에 볼트(B)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912)는 엔드플레이트(7), 각형강관 기둥(1, 2) 및 백플레이트(6)에 볼트(B)로 결합되어 상호 일체 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보강구(9)가 보(3)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구(91)의 수평부(911)와 수직부(912)는 각각 연결플레이트(83)의 상면과 엔드플레이트(7)의 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보강구(9)가 보(3)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구(91)의 수평부(911)와 수직부(912)는 각각 연결플레이트(83)의 하면과 엔드플레이트(7)의 전면에 결합된다.
1: 상부 각형강관 기둥 2: 하부 각형강관 기둥
3: 보 4: 기둥-보 접합부
5: 연결강관 6: 백플레이트
61: 단턱부 7: 엔드플레이트
71: 단턱부 72: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8: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 81: 내측슬릿홀
82: 외측슬릿홀 83: 연결플레이트
84: 확장부 85: 관통공
9: 리브보강구 91: 고정구
911: 수평부 912: 수직부
92: 보강리브 B: 볼트

Claims (6)

  1.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 사이에 구비되어 보(3)를 결합하기 위한 기둥-보 접합부(4)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각형강관 기둥(1, 2)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강관(5);
    상기 연결강관(5)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5)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백플레이트(6);
    상기 백플레이트(6)와 대응되도록 연결강관(5)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이 각각 연결강관(5)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엔드플레이트(7); 및
    상기 연결강관(5)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의 위치에 각각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이 형성되어 백플레이트(6)와 엔드플레이트(7)가 내측슬릿홀(81)과 외측슬릿홀(82)에 각각 삽입되고, 보(3)가 결합되는 위치에 보(3)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83)가 연장 형성된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8);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2. 제1항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7) 및 백플레이트(6)는 연결강관(5)과 볼트(B)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3. 제1항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7)에는 보(3)의 웨브에 결합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4. 제1항에서,
    상기 내측슬릿홀(81)은 외측슬릿홀(8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5. 제1항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7)의 돌출부와 연결플레이트(83)의 사이에는 리브보강구(9)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6. 제5항에서,
    상기 리브보강구(9)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83)의 상면과 엔드플레이트(7)의 전면에 결합되는 고정구(91) 및 상기 고정구(91)의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리브(9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KR1020190036646A 2019-03-29 2019-03-29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KR10217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46A KR102172323B1 (ko) 2019-03-29 2019-03-29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46A KR102172323B1 (ko) 2019-03-29 2019-03-29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09A KR20200114609A (ko) 2020-10-07
KR102172323B1 true KR102172323B1 (ko) 2020-10-30

Family

ID=7288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46A KR102172323B1 (ko) 2019-03-29 2019-03-29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2055A (zh) * 2020-11-20 2021-01-29 北京建筑大学 分离式芯筒法兰闭口截面柱连接节点及其施工、设计方法
CN112282057A (zh) * 2020-11-20 2021-01-29 北京建筑大学 带自攻螺栓的芯筒法兰闭口截面柱节点及其施工方法
CN115095020A (zh) * 2022-07-29 2022-09-2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柱梁节点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041B1 (ko) 2011-07-25 2012-07-03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KR101848699B1 (ko) 2017-09-22 2018-04-16 (주)피에스테크 용접 없이 기둥과 보의 접합이 가능한 접합부 코어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접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205U (ja) * 1996-08-29 1997-03-11 克銓 蔡 柱・梁接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041B1 (ko) 2011-07-25 2012-07-03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KR101848699B1 (ko) 2017-09-22 2018-04-16 (주)피에스테크 용접 없이 기둥과 보의 접합이 가능한 접합부 코어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접합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3520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0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002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KR102172323B1 (ko)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KR101335955B1 (ko) 입체 다이아프램을 가진 콘크리트 충전 원형 강관기둥 및 철골보와의 접합구조
JP7295681B2 (ja) 柱梁接合構造及び柱梁接合構造を有する建造物の施工方法
KR20130139029A (ko) H 형강을 이용한 건축 모듈러 기둥 접합구조
KR102217178B1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KR101187666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557380B1 (ko) 내진 보강 구조 및 내진 보강 방법
KR20040048688A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보강 구조
KR20090105512A (ko) 철판거푸집과 보의 연결구조
KR101017800B1 (ko) 십자형 보강판을 이용한 냉간성형 각형강관 기둥의 강재보 접합부 구조
KR20190060351A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구조
CN114775799A (zh) 抱箍式型钢混凝土梁柱干式节点结构
JP3076539B2 (ja) 閉鎖形断面柱と梁の接合構造
JPH1122007A (ja) 鋼管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接合構造
JP404356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102499318B1 (ko) 단부 보강형 철골 프레임
JP2681408B2 (ja) 柱梁接合構造
KR20210066225A (ko)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JPH11117392A (ja) 鋼管構造または充填型鋼管コンクリート構造の柱とsrc構造のはりとの柱・はり接合部
KR101371198B1 (ko)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KR102569266B1 (ko) 조립형 cft 기둥
KR20130048857A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 접합용 연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
KR101017791B1 (ko) 냉간성형 각형강관 기둥의 강재보 접합부 구조
KR100660524B1 (ko)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접합부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