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870B1 -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870B1
KR102171870B1 KR1020180103303A KR20180103303A KR102171870B1 KR 102171870 B1 KR102171870 B1 KR 102171870B1 KR 1020180103303 A KR1020180103303 A KR 1020180103303A KR 20180103303 A KR20180103303 A KR 20180103303A KR 102171870 B1 KR102171870 B1 KR 10217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gricultural
low
controlling
marin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635A (ko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다담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담상사 filed Critical (주)다담상사
Priority to KR102018010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6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conveyors carrying articles to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따르면,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가 용이할 뿐만아니라,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또는 압력 등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내부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the method for controlling of low temperature storage for keep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가 용이하고,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경제 발전에 따른 소비자의 식생활 개선과 다양한 식품의 수요 요구에 따라 신선식품의 유통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농축수산업 생산자 측면에서도 출하조정과 생산 후 보관 등의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이들 생산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저온 저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저온 저장고는 단열 공간인 내부를 냉각하여 동결점(0℃)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농축수산물을 신선하게 장기간 보존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설비이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적용하는 점에 있어서 공기조화에 의한 냉난방, 냉동고나 대형 냉동 창고 등과 기술적 원리가 같으나, 적용 대상의 특성에 따라 세부인 장치나 구조 및 제어 방법에 차이가 있다.
냉동 창고나 냉동고는 저장물을 동결하여 저장함으로써 동결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여 주면 저장품의 품질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저온 저장고는 특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농축수산물을 동결점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여야 하고, 특히 농산물의 경우에는 신선하게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저장고 내부 온도가 균일하지 않거나, 저장온도 제어가 0.5℃ 이내로 정밀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과다 냉각에 따른 저온 장해, 호흡 생리작용에 의한 변질 등을 야기하고, 경우에 따라 10~30%의 감모율이 발생하여 신선식품의 유통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농축수산물의 안전 보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저온 저장고의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10-1269068
본 발명은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또는 압력 등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내부 어느 곳에서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 감지하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구동부는, 고정형 작업 구동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이 위치하는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어느 한 영역으로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저온 저장고는 벽체 구조물로 폐쇄되고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 시 순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상기 농축수산물을 입하 및 출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저온 저장고의 벽체 구조물는 단열재층, 및 상기 단열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습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드론은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중심부인 제 1 영역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드론은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제 2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영역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으로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정형 작업 구동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 또는 측면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하부면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은 냉방기, 난방기, 송풍기, 내부 순환장기, 물공급기, 오존발생기, 급기팬 및 배기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드론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의 정지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의 정지 운행 위치로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또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저온 저장고 어느 한 영역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위치; 및 작업 구동부의 구동 여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위치를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따르면,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를 용이하게 하고,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또는 압력 등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저장고 내부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유지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저온 저장고 내부에서 농축수산물을 신선한 상태로 장기 보관 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블록화 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저온 저장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전반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저온 저장고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농산물, 수산물 또는 축산물을 보관 및 저장하는 창고로써, 저장고 내부 유지 온도가 -2℃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저장고를 의미한다. 저온 저장고는, 예를 들면 10m2 내지 10,000m2의 면적을 가지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저장고 내부에 균일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의 조절이 용이한 영역과,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의 조절이 곤란한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의 조절이 곤란한 영역에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배치하여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저온 저장고 내부 전체적으로 균일한 보관 변수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온 저장고에서 작업 구동부가 위치하는 인접 영역 및 공기나 유체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영역, 예를 들면 저온 저장고의 중앙부 영역에서는 구동 제어부의 보관 변수 조절 수단 제어에 따라 목적하는 온도, 습도 및 압력 등의 조절이 용이하다. 하지만, 작업 구동부와 멀리 떨어진 영역 및 공기나 유체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 예를 들면 저장고의 가장자리에서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목적하는 보관 변수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위치에 따라 농축수산물의 상태가 다르게 되고, 제품 손상이나 신선도 저하가 야기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2기의 드론을 이용하여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이 용이한 영역과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영역 각각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영역에 별도의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배치하고, 이를 구동시킴으로써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저온 저장고가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의 각 단계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 감지하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감지하는 단계(100);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200); 및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 구동부는 고정형 작업 구동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상기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이 위치하는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어느 한 영역으로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의 저온 저장고는, 소정의 규격을 가지는 것으로써, 벽체 구조물로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저온 저장고는, 예를 들면 10m2 내지 1,000m2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저온 저장고의 크기는, 2평, 3평, 4평, 5평, 6평, 7평, 8평, 9평, 10평, 100평, 200평 또는 300평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는, 예를 들면 -2℃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내부 온도는, 저장고에 저장되는 농축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저온 저장고의 내부 온도는, -2℃ 내지 12℃ 또는 0℃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저온 저장고의 벽체 구조물은,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벽체 구조물은 단열재층, 및 상기 단열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습층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저온 저장고의 벽체 구조물은 단열재층 및 상기 단열재층의 양면에 위치하는 방습층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층은, 저온 저장고 외부의 온도가 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경질 폴리우레탄폼,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폼, 유리 섬유, 다공성 합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단열재층은 경질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폼 일 수 있고,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폼은 하기 화학 구조식 1로 표현되는 반복 구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 에테르)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 구조식 1]
Figure 112018086597468-pat00001
상기 화학 구조식 1에서, Z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로카르빌기가 3차 하이드로카르빌이 아닌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12 하이드로카르빌, C1-C12 하이드로카르빌티오, C1-C12 하이드로카르빌옥시, 또는 C2-C12 할로하이드로카르빌옥시이며, 여기서, 할로겐과 산소 원자 사이에 2 이상의 탄소 원자가 존재하고;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할로겐, 하이드로카르빌기가 3차 하이드로카르빌이 아닌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12 하이드로카르빌, C1-C12 하이드로카르빌티오, C1-C12 하이드로카르빌옥시 또는 C2-C12 할로하이드로카르빌옥시이며, 여기서 할로겐과 산소 원자 사이에 2 이상의 탄소 원자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이드로카르빌"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접두어, 접미어 또는 다른 용어의 일부로서 사용되든지 간에, 탄소와 수소만을 포함하는 잔기를 지칭한다. 이 잔기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고리형, 이중고리형,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된 것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지방족, 방향족, 직쇄, 고리형, 이중고리형, 분지형, 포화 및 불포화된 탄화수소 모이어티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카르빌 잔기가 치환된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이는 선택적으로는 치환 잔기의 탄소 및 수소 구성원 위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치환된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하이드로카르빌 잔기는 또한, 하나 이상의 카르보닐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이드로카르빌 잔기의 골격 내에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Z1은 말단 3,5-다이메틸-1,4-페닐기와 산화 중합 촉매의 다이-n-부틸아민 성분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다이-n-부틸아미노메틸기일 수 있다.
단열재층의 양면에 위치하는 방습층은 저장고 외부의 습도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습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벽체 구조물의 단열층 및 방습층은 저온 저장고의 전체면 또는 어느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목재, 철판, 콘크리트, 골판 및 플라스틱과 같은 베이스층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베이스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열재층의 양면에 방습층을 위치시키는 구조를 벽체 구조물에 포함시킬 경우,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작업 구동부의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의 동작에 따른 저온 저장고 내부 보관 변수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의 저온 저장고는, 또한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 시 순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는 저온 저장고 시스템 내 구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하 위치 또는 출하 위치로 농축수산물이 이동 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입하 및 출하 시 농축수산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농축수산물을 입하 및 출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제어하는 단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온 저장고는 벽체 구조물로 폐쇄되고,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 시 순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농축수산물의 입하 시, 저온 저장고의 입구 방향으로 농축수산물을 담고 있는 트레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농축수산물의 출하 시, 저온 저장고의 출구 방향(입구와 출구가 동일한 경우 입구 방향)으로 농축수산물을 담고 있는 트레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감지하는 단계(100)는 저온 저장고 내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 감지하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각각 저온 저장고의 서로 다른 영역을 이동하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의 실시감 감지를 수행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드론(2000)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중심부인 제 1 영역(1003)을 이동하고, 제 2 드론(3000)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제 1 영역(1003)을 제외한 제 2 영역(1004)을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온 저장고에 농축수산물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 유체 및 공기 흐름이 원활한 중심부는 보관 변수 조절 수단에 의한 온도, 습도 등의 제어가 용이한 반면, 상기 중심부 이외의 영역에서는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제어값과 실제 보관 변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차이의 원인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본 발명자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한 저온 저장고 내부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실시간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감지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구동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이 감지할 수 있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에는 온도, 습도, 압력 이외에 산소, 에틸렌, 수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생화학 변수 등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산소 농도 감지 센서, 에틸렌 농도 감지 센서, 또는 수소 농도 감지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생화학 변수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또한, 공지의 드론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자력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기압 센서, GPS 센서 및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은 초음파, 레이저 또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레이저 또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이 저온 저장고 내부의 어느 위치를 비행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저온 저장고 내부 이동을 파악 및 제어할 수 있다.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200)는, 저온 저장고에 보관되는 농축수산물의 종류, 보관 기간 및 저온 저장고 위치 등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200)는, 예를 들면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의 구동 제어부 내에 포함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연산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200) 이전에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실시간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구동 제어부 상으로 불러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200) 이전에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구동 제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수신부로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 구동부를 구동시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수행된다.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예를 들면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 상의 구동 제어부에 포함되는 작업 구동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의 움직임 및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움직임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의 구동 여부을 제어할 수 있다.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이 위치하는 저온 저장고 내부의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상기 단계(300) 이전에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은 정지 운행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2 드론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시점에서의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의 정지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의 정지 운행 위치로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드론(2000)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중심부인 제 1 영역(1002)을 이동하고, 제 2 드론(3000)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제 1 영역(1002)을 제외한 제 2 영역(1003)을 이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300)는, 제 2 영역(1003)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1003)으로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의 조절이 곤란한 영역(제 2 영역)에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키고,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저장고 내부의 균일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의 제어 대상인 작업 구동부는 고정형 작업 구동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작업 구동부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통해,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데,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은,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또는 전술한 생화학 변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은 냉방기, 난방기, 송풍기, 내부 순환장기, 물공급기, 오존발생기, 급기팬 및 배기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구동부는 고정형 작업 구동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형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은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른 종류의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일반적인 저온 저장고에서 이용되는 고정형 작업 구동부 이외에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추가 구성하고,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영역에서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저온 저장고의 목적하는 농축수산물 신선도 및 보관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동형 작업 구동부(4002)가 저온 저장고의 하부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이며, 이동형 작업 구동부(4002)의 위치 및 세부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이동형 작업 구동부(4002)는 제 2 영역(1004)에 위치하여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저온 저장고의 상부면 또는 측면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이동형 작업 구동부(4002)는, 제 2 영역(1004)의 상부면 또는 측면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제 2 영역(1004)의 하부면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형 작업 구동부(400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1003)의 상부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여,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영역(1003)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상기와 같이 고정형 작업 구동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작업 구동부를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통해 제어하되,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이 위치하는 저온 저장고 내부의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저장고 내부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온도, 습도 및 압력 등을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또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저온 저장고 어느 한 영역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위치; 및 작업 구동부의 구동 여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위치를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저온 저장고 시스템의 구동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의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이루질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 동작에 의해 저온 저장고 시스템 전반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저온 저장고의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한 별도의 외부 단말기에 제시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블루투스, 직비 통신 모듈, Wifi 또는 NFC 등 다양한 방식이 예시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부의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방법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농축수산물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벽체 구조물(1001)로 폐쇄되고,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 시 순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1002)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1000);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이동하고, 온도, 습도, 압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 감지하는 제 1 드론(2000) 및 제 2 드론(3000); 상기 제 1 드론(2000) 및 제 2 드론(2000)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여, 작업 구동부(4000)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 구동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나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뿐 이며,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균등물 내지는 동일성 범주의 치환물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
1000 : 저온 저장고
1001 : 벽체 구조물
1002 :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
1003, 1004 : 제 1, 2 영역
2000, 3000 : 제 1, 2 드론
4000 : 작업 구동부
4001 : 고정형 작업 구동부
4002 : 이동형 작업 구동부

Claims (9)

  1. 저온 저장고 내부의 온도, 습도, 압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제어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실시간 감지하는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에 의해 감지되는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작업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구동부는,
    고정형 작업 구동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드론은,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중심부인 제 1 영역을 이동하고,
    상기 제 2 드론은,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의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제 2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영역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으로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를 이동시킨 후, 상기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고는,
    벽체 구조물로 폐쇄되고, 농축수산물의 입하 및 출하 시 순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농축수산물을 입하 및 출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바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저장고의 벽체 구조물는,
    단열재층, 및 상기 단열재층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습층을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작업 구동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이동형 작업 구동부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부면 또는 측면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하부면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동부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조절 수단은,
    냉방기, 난방기, 송풍기, 내부 순환장기, 물공급기, 오존발생기, 급기팬 및 배기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드론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가 기 설정값을 벗어나는 시점에서의 상기 제 1 드론 또는 제 2 드론의 정지 운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저온 저장고 어느 한 영역의 농축수산물 보관 변수; 상기 제 1 드론 및 제 2 드론의 위치; 및 작업 구동부의 구동 여부 및 이동형 작업 구동부의 위치를 상기 저온 저장고 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9. 삭제
KR1020180103303A 2018-08-31 2018-08-31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KR10217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03A KR102171870B1 (ko) 2018-08-31 2018-08-31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03A KR102171870B1 (ko) 2018-08-31 2018-08-31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35A KR20200025635A (ko) 2020-03-10
KR102171870B1 true KR102171870B1 (ko) 2020-10-29

Family

ID=6980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03A KR102171870B1 (ko) 2018-08-31 2018-08-31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6072A (ja) 2015-01-23 2016-07-28 富士電機株式会社 冷蔵倉庫
WO2016159274A1 (ja) 2015-03-31 2016-10-06 クアン テイン グエン 生鮮食品の保存方法および生鮮食品用貯蔵システム
JP2018043815A (ja) 2016-09-12 2018-03-22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ドローンを活用した倉庫内の荷物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4391B2 (ja) * 1995-12-05 1998-01-26 クールコントロール株式会社 倉庫の空調装置
KR101269068B1 (ko) 2012-01-05 2013-05-29 (주)쿨테이너 중소형 저온저장고 운전 제어방법
KR101866990B1 (ko) * 2016-08-30 2018-06-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제 화물 적재부 온도를 기준으로 설정온도 유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및 그 동작 방법
KR101885459B1 (ko) * 2017-01-24 2018-08-0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드론을 이용한 콜드체인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6072A (ja) 2015-01-23 2016-07-28 富士電機株式会社 冷蔵倉庫
WO2016159274A1 (ja) 2015-03-31 2016-10-06 クアン テイン グエン 生鮮食品の保存方法および生鮮食品用貯蔵システム
JP2018043815A (ja) 2016-09-12 2018-03-22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ドローンを活用した倉庫内の荷物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35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521B1 (ko) 냉각고
EP2850372B1 (en) Cargo temperature monitoring and control for a refrigerated container
KR100354935B1 (ko) 부패성물품의수송또는저장방법
KR102171869B1 (ko)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
CN101730826B (zh) 冰箱解冻及冷却室
JP6824905B2 (ja) 収容庫および温度制御システム
US20160107561A1 (en) Storage racking system for cold chain logistics
US202000460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illing or freezing
JP2015209987A (ja) 野菜ケースおよび冷蔵庫
KR102171870B1 (ko) 농축수산물 보관용 저온 저장고 제어 방법
TR201808660T4 (tr) Ürün olgunlaştırma haznesi.
KR102129134B1 (ko) 저온 저장고 시스템 제어용 드론 및 이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 제어 시스템
JP6313935B2 (ja) 冷却庫
JP2006057945A (ja) 冷凍コンテナ
WO2018009947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losure environmental control
CN106895629A (zh) 用于运输的蓄冷系统
JP2021119317A (ja) 着脱式保温装置
KR101898937B1 (ko) 농산물의 예냉 및 저장 시스템
JP6777410B2 (ja) 食品熟成用装置
JP3981062B2 (ja) 保冷システム
KR20240008007A (ko) 저온저장고 내 이동식 냉기 순환 시스템
JP5315931B2 (ja) 農作物用保冷庫
EP2811243A1 (en) Transport container for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e
JP2006057946A (ja) 冷凍コンテナ
de Wild WUR post-harvest consultancy, No. 7: Pre-cooling: optimize your forced-air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