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824B1 -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824B1
KR102171824B1 KR1020180133953A KR20180133953A KR102171824B1 KR 102171824 B1 KR102171824 B1 KR 102171824B1 KR 1020180133953 A KR1020180133953 A KR 1020180133953A KR 20180133953 A KR20180133953 A KR 20180133953A KR 102171824 B1 KR102171824 B1 KR 10217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in
plate
stopper
no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825A (ko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우 filed Critical 박준우
Priority to KR102018013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9/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 B21L9/02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of roller-chain or other plate-link type
    • B21L9/04Punching or bend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hai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9/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 B21L9/02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of roller-chain or other plate-link type
    • B21L9/06Sorting, feeding, assembling, riveting, or finishing parts of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틀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장치에 지지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이 제한되는 노백체인에 있어서, 핀 양측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에는 각 판면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맞물려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제한시키는 내부스토퍼 및 외부스토퍼;가 포함되되, 상기 외부스토퍼에는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체인이 맞물리는 부분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절곡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상호 맞물려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Noback Cha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Window Open and Close Device}
본 발명은,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노백 체인의 구조를 변경하고 그 제조 방법을 개선한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 다양한 기계 부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 부품은 기계나 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품의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부품의 기능 중에 모터 등에서 발생된 동력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동력 전달 기능도 포함되고 체인은 이러한 동력 전달 기능을 하는 기계 부품이다. 체인은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체인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구부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체인을 통상 '뒤로 구부러지지 않는 체인' (No back bent type chain)이라고 하고 줄여서 '노백 체인' (Noback chain)이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이러한 노백 체인의 일예가 화재 발생시 창문을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자동 창문 개폐장치 내지 배연창 개폐장치에 적용된된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본 발명인의 특허등록공보 제10-1469409호, 제10-1416074호에, 타인의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 0421667호 (2006.07.18. 공고)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체인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핀에 체인을 가조립하는 과정에서 고무줄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고무줄 등의 사용으로 가조립된 체인의 이동.운반 내지 이송하는 과정, 핀에 외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가조립된 체인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이 불균일하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체인에서 어느 한 부분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맞물리는 부분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절곡하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과도한 힘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인이 맞물리는 부분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절곡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상호 맞물려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이 가조립된 상태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운반, 이송하거나 핀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조립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인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창문 등에 결합 시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조립된 체인의 핀에 힘을 가하여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를 핀에 고정시키는 제조 과정이 자동이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틀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장치에 지지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이 제한되는 노백체인에 있어서, 핀 양측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에는 각 판면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맞물려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제한시키는 내부스토퍼 및 외부스토퍼;가 포함되되, 상기 외부스토퍼에는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 체인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반원형,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함몰되어 상기 내부스토퍼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절곡에 소요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에 한 쌍의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가조립되어 결속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함몰부에 결합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스토퍼와 상기 내부스토퍼가 맞물려 상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이 연속되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길이방향의 가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를 상기 핀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틀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장치에 지지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이 제한되는 노백 체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핀 양측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에는 상기 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성형되고, 각 판면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맞물려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제한시키는 내부스토퍼 및 외부스토퍼가 성형되는 과정과; 상기 외부스토퍼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성형되어 절곡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 체인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핀에 한 쌍의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가조립되어 결속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함몰부에 결합되는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스토퍼와 상기 내부스토퍼가 맞물려 상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이 연속되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과; 상기 길이방향의 가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를 상기 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에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이 결합된 후 상기 결속수단이 제거되는 과정;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이 맞물리는 부분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절곡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상호 맞물려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인이 가조립된 상태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운반, 이송하거나 핀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조립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인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창문 등에 결합 시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조립된 체인의 핀에 힘을 가하여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를 핀에 고정시키는 제조 과정이 자동이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가 부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 및 개략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노백 체인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외부스토퍼 절곡 과정을 본 발명과 종래기술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비교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백 체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원발명과 종래기술에 따른 노백 체인이 가조립된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100, 이하에서 '노백 체인'이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가 부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 및 개략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노백 체인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3은 외부스토퍼 절곡 과정을 본 발명과 종래기술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비교표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백 체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원발명과 종래기술에 따른 노백 체인이 가조립된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a 및 도 2b를 기준으로 노백 체인(100)의 길이방향인 좌우 방향을 'X' 축선 방향, 핀이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전후 방향을 'Z'축선 방향, X-Z 평면에 수직인 상하 방향을 'Y' 축선 방향으로 각각 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백 체인(100)은, 창문틀(20)에 결합되어 창문(10)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장치(30)에 지지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이 제한되고, 핀(110) 양측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130) 및 외부플레이트(150)와; 상기 내부플레이트(130)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150)에는 각 판면(131, 151)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맞물려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제한시키는 내부스토퍼(135) 및 외부스토퍼(155);가 포함되되, 상기 외부스토퍼(155)에는 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된 함몰부(155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장치(30)는 창문틀(20)에 고정되어 본체(33) 내부에 노백 체인(100)을 미도시된 스프로킷과 결합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수용하고 있다.
핀(1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상을 가압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중앙에 스프로킷과 결합되는 핀롤러부(111)와, 핀롤러부(111)에서 양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내부플레이트(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핀축(113)과, 내부핀축(113)에서 양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외부플레이트(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핀축(115)과, 외부핀축(115)의 단부가 되는 핀단부(117)로 이루어져 있다. 금형(50)에 의하여 외부의 힘인 외력이 양측으로 가해지는 부분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단부(117)이고, 외력의 가압에 의해 핀단부(117)가 넓게 변형되어 외부플레이트(150)의 외핀홀(153)보다 커져 외부플레이트(150)가 핀(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고 핀(110)에 결합된 내부플레이트(130)와 내부플레이트(130)는 핀(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백 체인(10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노백 체인(100)의 단부에는 창문(10)과 결합되는 어태치먼트(161)가 결합되어 있고, 개폐장치(30)의 본체(33)에 개구된 체인출입구(35)를 어태치먼트(161) 또는 노백 체인(100)이 출입하게 된다.
외부플레이트(150) 및 내부플레이트(13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를 원소재로 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해 순차적으로 성형을 하고 노백 체인(100)이 전달하려는 전달력 등에 따라 그 크기와 두께를 상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연창이나 창문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노백 체인(100)의 두께는 일 예로 2mm이고 체인 피치(도 2b의 'P' 참조)는 약 12.5mm이다. 창문(10)이 커거나 창문(10)에 작용하는 힘이 과도해지면 노백 체인(100)이 두 개를 포함하는 다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부플레이트(130)와 외부플레이트(150)는 노백 체인(100)의 길이방향으로 지그 재그로 순차적으로 핀(110)에 결합된다.
내부플레이트(130)는 도 2a와 같이 성형된 판 형상의 내판면(131)과, 내판면(131)의 양측에 핀(110)과 결합되는 내핀홀(133)과, 내판면(131)으로부터 내절곡선(137)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내부스토퍼(135)로 구성된다.
내부스토퍼(135)는, 양 측면에 외부스토퍼(155)와 맞물려 접촉되는 내맞물림부(135b)와, 외측 단부인 내스토퍼단부(135c)로 구성된다.
외부플레이트(150)는 도 2a와 같이 성형된 판 형상의 외판면(151)과, 외판면(151)의 양측에 핀(110)과 결합되는 외핀홀(153)과, 외판면(151)으로부터 외절곡선(157)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외부스토퍼(155)로 구성된다.
외부스토퍼(155)는, 양 측면에 내부스토퍼(135)와 맞물려 접촉되는 외맞물림부(155b)와, 외측 단부인 외스토퍼단부(155c)와, 외스토퍼단부(155c)에서 함몰 형성된 함몰부(155a)로 구성된다.
즉, 외부플레이트(150)는 내부플레이트(130)와 달리 함몰부(155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함몰부(155a)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곡되는 힘을 저감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내부플레이트(130)에도 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함몰부(155a)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긴 반원형, 반원형, V자형, U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함몰부(155a)는 원형의 관통홀일 수도 있다.
또한, 제조하는 과정에서 함몰부(155a)에 결합되는 결속수단(170)을 구비하여 함몰부(155a)에 결속수단(170)이 결합됨으로 인해 핀(110)에 내부플레이트(130) 및 외부플레이트(150)이 가조립된 상태를 훨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성으로 인해 가조립된 노백 체인(100)을 운반, 이송시키는 과정이 용이하고 자동으로 핀(110)에 내부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1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속수단(170)의 형상은 핀(110)에 내부플레이트(130)와 외부플레이트(150)를 가조립하여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수단(170)의 형상은 함몰부(155a)에 결합되도로록 함몰부(155a)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U자형의 끝 단부가 외부플레이트(150)의 판면(151)을 둘러싸도록 절곡된 것(도 5a의 사진 참조)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결속수단(170)은 노백 체인(100)에 가조립되면서 하측이 벌어지고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외부플레이트(150)를 핀(110)측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고, 도 4c에서와 같이 핀()이 성형된 상태에서 함몰부(153a)로부터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함몰부(155a)의 존재로 인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종래기술과 성형 및 제조 과정에서 차이를 보이며 그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기술과 본원발명에서 외부플레이트(150, 350)의 외맞물림부(155b, 355b)를 성형하기 전의 상태가 도 3a1 및 도 3b1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종래기술의 참조번호의 십단위 번호와 일단위 번호는 동일하고 백단위 번호만 상이하다.
즉, 본원발명의 판면의 외측 단부인 향후 절곡되어 외맞물림부(155b)가 될 영역에는 함몰부(155a)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음, 외부플레이트(150)를 외절곡선(157)을 따라 절곡을 하여 판면(151)과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본원발명의 외부플레이트(150)에는 함몰부(155a)가 형성되어 있어 절곡하는 데 소요되는 힘(도 3b2의 'F2' 참조)도 적게 소요되고 외절곡선(157)에 절곡 반경(도 3b2의 'R2' 참조)도 부드럽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155a)에 의해 절곡을 한 후에도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는 스프링백 현상도 매우 적어지게 되어 절곡되어 판면(151)과 외부스토퍼(155)가 이루는 각도(도 3b2 및 도 3b3의 'θ2' 참조)가 전 작업 공정에 걸쳐 일정하고 균일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의 외부플레이트(350)에는 함몰부(355a)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절곡하는 데 소요되는 힘(도 3b1의 'F1' 참조)도 본원발명에 비하여 많이 소요되고 외절곡선(357)에 절곡 반경(미도시)도 부드럽게 형성시키기 어렵다. 이는 절곡에 소요되는 힘이 커야 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큰 힘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도 3b2와 같은 절곡 반경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원발명의 함몰부에 대응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절곡을 한 후에도 원래 상태로 복귀하려는 스프링백 현상이 본원발명보다 많이 발생하여 절곡되어 판면(351)과 외부스토퍼(355)가 이루는 각도(도 3a2 및 도 3a3의 'θ1' 참조)가 전 작업 공정에 걸쳐 일정하지 않으며 균일하기 어렵다.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본원발명에서는 도 3b3에서와 같이 외부플레이트(150)와 내부플레이트(130)가 상호 맞물려 접촉하는 영역의 면적(도 3b3의 'A2' 참조)도 넓어질 수 있고 전체에 걸쳐 면적이 균일(경사각이 적어지고 경사되는 각도가 균일)할 수 있어 다른 한 방향으로 절곡이 제한되는 량이 각 피치에서 일정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에서는 도 3a3에서와 같이 외부플레이트(350)와 내부플레이트(330)가 상호 맞물려 접촉하는 영역의 면적(도 3a3의 'A1' 참조)도 좁아지고 전체에 걸쳐 면적이 불균일(경사각이 크고 경사되는 각도가 불균일)하여 다른 한 방향으로 절곡이 제한되는 량이 각 피치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각 피치가 모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노백 체인(100)에서 본원발명은 종래기술보다 보다 절곡이 제한되는 량이 안정적이고 균일하며 불균일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노백 체인(100)이 비틀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래는 도 2a에서와 같이 노백 체인(100)이 핀(110)을 중심으로 'Y' 축선의 양(+)의 방향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Y' 축선의 음(-)의 방향으로 구부러져야 하고(즉, 'X-Y' 평면 내에서 구부러짐), 불균일한 외력(특히, 노백 체인(100)의 길이가 긴 경우)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맞물린 부분의 접촉 면적이 균일하여 노백 체인(100)이 'X-Y' 평면에 대하여 비틀려지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에서는 노백 체인(300)에 불균일한 외력(특히, 노백 체인(100)의 길이가 긴 경우)이 작용하는 경우에 맞물린 부분의 접촉 면적이 불균일하여 노백 체인(300)이 'X-Y' 평면에 대하여 비틀려져 노백 체인(300)에서 전달하여야 하는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노백 체인(100)의 제조 과정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 성형된 핀(110), 내부플레이트(130) 및 외부플레이트(150)에 결속수단(170)을 이용하여 핀(110)에 내부플레이트(130) 또는 외부플레이트(150)를 교대로 결합하고 외부플레이트(150)의 함몰부(155a)에 결속수단(170)을 결속시켜 핀(110)에 외부플레이트(150)와 내부플레이트(130)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조립하여 금형(50)이 있는 곳에 연속적으로 이송 가능하게 위치시킨다.
가조립된 노백 체인(100)은 측면도인 "VIEW K"에서와 같이 노백 체인(100)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송 과정에서 종래기술에서 고무줄을 이용(도 5b의 종래기술 사진 참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노백 체인(10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매우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금형(50)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가조립된 상태의 노백 체인(100)을 보관, 운반 등을 하는 경우에도 결속수단(170)이 견고하게 외부플레이트(150)와 결합되어 노백 체인(100)의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a에서는 내부스토퍼(135) 및 외부스토퍼(155)가 상측으로 위치하고 핀(110)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가조립된 노백 체인(100)이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조립된 노백 체인(100)의 길이 방향은 'X' 축선 방향이고, 핀(110)은 'Z' 축선 방향이다.
다음, 가조립된 노백 체인(100)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금형(50)이 핀(110)의 양 핀단부(117)측을 향하여 노백 체인(100)의 길이방향('X' 축선 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Z' 축선 방향)하면서 핀(110)에 외부의 힘인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핀단부(117)는 넓어져 핀(110)에 내부플레이트(130)와 외부플레이트(1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핀(110)을 두 개씩 가압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핀(110)을 가압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결속수단(170)은 가조립된 상태의 노백 체인(100)이 자동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금형(50)으로 가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된 위치에 핀(110)이 도달하였는지를 센서 등이 감지하는 감지 대상이 되어 가조립된 상태의 노백 체인(100)이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였지를 감지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10)에 외부플레이트(150)와 내부플레이트(130)가 결합되고 금형(50)이 다음의 핀(110)을 가압할 수 있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가조립된 노백 체인(100)이 미도시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또는 이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결속수단(170)을 함몰부(155a)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결속수단제거지그(53)에 의하여 노백 체인(100)으루부터 결합 해제되어 적재될 수 있는 용기 등에 담겨지고 이러한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수단제거지그(5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결속수단(170)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 다수의 고무줄을 노백 체인(100) 전체 길이에 걸쳐 이동시키면서 제거 내지 분리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고 편리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5b의 종래기술과 관련된 사진은 언급한 바와 같이 핀에 외부플레이트 및 내부플레이트를 고무줄을 이용하여 가조립한 상태를 보여주고, 본원발명과 관련된 사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핀에 외부플레이트 및 내부플레이트를 고무줄을 이용하여 가조립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본원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과 달리 결속수단(170)이 견고하게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의 제조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제조에 따른 비용인 제조단가를 매우 절감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이 맞물리는 부분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절곡되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상호 맞물려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인이 가조립된 상태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운반, 이송하거나 핀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조립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인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창문 등에 결합 시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조립된 체인의 핀에 힘을 가하여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를 핀에 고정시키는 제조 과정이 자동이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창문 20 : 창문틀
30 : 개폐장치 33 : 본체
35 : 체인출입부 53 : 결속수단제거지그
100 : 노백 체인
110 : 핀 111 : 핀롤러부
113 : 내부핀축 115 : 외부핀축
117 : 핀단부
130 : 내부플레이트 131 : 내판면
133 : 내핀홀 135 : 내부스토퍼
135b : 내맞물림부 135c : 내스토퍼단부
137 : 내절곡선
150 : 외부플레이트 151 : 외판면
153 : 외핀홀 155 : 외부스토퍼
155a : 외함몰부 155b : 외맞물림부
155c : 외스토퍼단부 157 : 외절곡선
161 : 어태치먼트 170 : 결속수단

Claims (7)

  1. 창문틀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장치에 지지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이 제한되는 노백체인에 있어서,
    핀 양측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에는 각 판면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맞물려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제한시키는 내부스토퍼 및 외부스토퍼;가 포함되되, 상기 외부스토퍼에는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포함되며,
    상기 핀에 한 쌍의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가조립되어 결속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함몰부에 결합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부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반원형,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 체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스토퍼와 상기 내부스토퍼가 맞물려 상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이 연속되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길이방향의 가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를 상기 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 체인.
  5. 창문틀에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개폐장치에 지지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이 제한되는 노백 체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핀 양측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에는 상기 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성형되고, 각 판면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호 맞물려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제한시키는 내부스토퍼 및 외부스토퍼가 성형되는 과정과;
    상기 외부스토퍼에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성형되어 절곡되는 과정과;
    상기 핀에 한 쌍의 상기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가조립되어 결속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함몰부에 결합되는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스토퍼와 상기 내부스토퍼가 맞물려 상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이 연속되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과;
    상기 길이방향의 가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상기 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를 상기 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 체인 제조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에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플레이트이 결합된 후 상기 결속수단이 제거되는 과정;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백 체인 제조 방법.
KR1020180133953A 2018-11-02 2018-11-02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953A KR102171824B1 (ko) 2018-11-02 2018-11-02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953A KR102171824B1 (ko) 2018-11-02 2018-11-02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825A KR20200050825A (ko) 2020-05-12
KR102171824B1 true KR102171824B1 (ko) 2020-10-29

Family

ID=7067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953A KR102171824B1 (ko) 2018-11-02 2018-11-02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295Y1 (ko) 2002-07-25 2002-10-18 김두진 케이블체인의 완충구
KR200421667Y1 (ko) * 2006-05-03 2006-07-18 서광민 배연창의 개폐장치
WO2007076761A1 (de) * 2005-12-24 2007-07-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Laschenket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3723B2 (ja) * 2015-09-09 2017-11-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295Y1 (ko) 2002-07-25 2002-10-18 김두진 케이블체인의 완충구
WO2007076761A1 (de) * 2005-12-24 2007-07-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Laschenkette
KR200421667Y1 (ko) * 2006-05-03 2006-07-18 서광민 배연창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825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09701A1 (en) Two-way push-pull chain and reciprocating actuator
US9550628B2 (en) Module for a modular conveyor belt
JPH0159466B2 (ko)
EP1818290A1 (en) Metal chain link for chain conveyor with perfected structure
KR102234943B1 (ko) 횡형 밴딩 장치
KR102171824B1 (ko)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821B1 (ko)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377310A1 (en) Gripping method and component
US11370112B2 (en) Assembly apparatus and structure fabricating method
CN103722099B (zh) 一种热管折弯压扁装置
JPH0665652U (ja)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と結合杆との係止構造
US11504861B2 (en) Gripping mechanism and assembly apparatus
CN215097614U (zh) 一种锻造件转运双轮式单人推车
CN208960786U (zh) 铝箔外框成型模具
ITTO970082A1 (it) Metodo di fabbricazione di una ventola in lamiera e relativa ventola cosi' fabbricata
JP6424021B2 (ja) 搬送装置
CN211614038U (zh) 一种u型零件的二次冲压模具
CN212797490U (zh) 对齐机构和制证装置
CN214108348U (zh) 一种移送整形装置
CN216548317U (zh) 一种瓶盖垫片组装机
EP2119645A1 (en) Link plate for a metal waste conveyer
CN217993228U (zh) 一种具有凸凹密封筋的密封件加工用自动成型装置
CN216369899U (zh) 工件收纳装置
KR102309206B1 (ko) 곡률반경이 상이한 창문 개폐장치용 노백 체인 및 이를 갖는 창문 개폐장치
KR20190071259A (ko) 디스크 챔버에 적용되는 클램프 링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