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31B1 - 식품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31B1
KR102171331B1 KR1020190022518A KR20190022518A KR102171331B1 KR 102171331 B1 KR102171331 B1 KR 102171331B1 KR 1020190022518 A KR1020190022518 A KR 1020190022518A KR 20190022518 A KR20190022518 A KR 20190022518A KR 102171331 B1 KR102171331 B1 KR 10217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container
concave
protrus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077A (ko
Inventor
장중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엠
Priority to KR102019002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철부형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몸체에 요부형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커버가 절첩편에 의하여 닫혀지거나 열려지도록 구비된 식품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상부만이 개방된 몸체 측벽의 상부에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의 전방측 모서리 외측에 걸림홈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지지편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기 커버는 하부만이 개방된 커버 측벽의 하부에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는 전방측 모서리에 걸림돌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가압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사용자가 용기 몸체와 용기 커버의 모서리를 엄지와 검지로 잡은 상태에서 누름과 동시에 철부형 플랜지부와 요부형 플랜지부가 서로 들떠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오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포장 용기{FOOD PACKAGING CONTAINERS}
이 건 발명은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용기 몸체와 용기 커버의 모서리를 엄지와 검지로 누름과 동시에 철부형 플랜지부와 요부형 플랜지부가 서로 들떠지도록 하여 용기 커버가 용이하게 오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 엽채류 및 과실류 등 원예식품의 대부분은 용기에 담아 운반 및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원예식품을 담는 용기로는 골판지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골판지상자, 두꺼운 종이로 제작된 종이상자, PP·PE·PS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소재로 하여 제작된 합성수지제 용기, 비닐로 만들어진 비닐봉투 등이 있다.
여러 종류의 용기 중에서 딸기, 방울토마토 또는 마늘, 고추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과채류를 포장하는 용기로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으로 제작된 합성수지제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합성수지제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체가 착탈이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며, 용기 본체에 뚜껑체를 결착시킨 상태에서도 용기 본체에 수납 포장된 식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포장용기는 양손가락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체의 전면을 상하부로 젖힘으로써, 결착된 부분이 서로 분리되면서 뚜껑체가 열려 내부로 수납 포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게 되나, 두께가 매우 얇은 필름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손가락으로 젖히기 힘든 원인이 있었다. 즉, 용기 본체와 뚜껑체가 결합된 모서리의 외측단이 서로 맞대어진 동일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손톱이나 손가락 끝으로 벌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포장용기를 오픈시킬 때 과도한 힘을 주거나 아예 가위나 칼을 이용하여 절취되도록 할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70743호(2002.03.22) 등록실용신안 제20-0434591호(2006.12.18)
이 건 발명은 용기 몸체의 철부형 플랜지부에 오픈 지지편이 구비되도록 하며, 오픈 지지편에 용기 커버의 요부형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픈 가압편이 맞대어지게 구비되도록 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로 누름에 따라 철부형 플랜지부와 요부형 플랜지부가 서로 들떠 용이하게 오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철부형 플랜지부(110)를 갖는 용기 몸체(10)에 요부형 플랜지부(210)를 갖는 용기 커버(20)가 절첩편(30)에 의하여 닫혀지거나 열려지도록 구비된 식품 포장 용기(A)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는 상부만이 개방된 몸체 측벽(120)의 상부에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전방측 모서리 외측에 걸림홈부(1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지지편(13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오픈 지지편(130)은 평판형태를 갖는 지지편 몸체(131)의 상부에
Figure 112020050533282-pat00021
형태를 갖는 지지돌부(132)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기 커버(20)는 하부만이 개방된 커버 측벽(220)의 하부에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는 전방측 모서리에 걸림돌부(2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가압편(23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오픈 가압편(230)은 평판형태를 갖는 가압편 몸체(231)에 오목한 가압돌부(232)가 하부를 향하여 함몰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는 상기 오픈 지지편(130)의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의 길이보다 더 짧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돌부(232)의 하부가 상기 지지돌부(132)의 외측 상부에 얹혀지게 맞닿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압편 몸체(231)의 가압돌부(232)는 상부에 가압 보강부(23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 보강부(233)는 용기 커버(20)의 요부형 플랜지부(210)의 모서리에 연장된
Figure 112020050533282-pat00022
형태를 갖는 제1엠보싱 보강부(233a)와 상기 제1엠보싱 보강부(233a)의 단부에서 가압편 몸체(231)의 외측을 향하여
Figure 112020050533282-pat00023
형태를 갖는 제2엠보싱 보강부(233b)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편 몸체(231)의 양측에는 프레스로 가압된 요철 보강부(2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의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Figure 112020050533282-pat00002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커버(20)의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는 내측 하부에서 외측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Figure 112020050533282-pat00003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편 몸체(231)의 양측에는 프레스로 가압된 요철 보강부(2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 건 발명은 용기 몸체의 철부형 플랜지부에 오픈 지지편이 구비되도록 하며, 오픈 지지편에 용기 커버의 요부형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픈 가압편이 맞대어지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엄지와 검지로 누름에 따라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철부형 플랜지부와 요부형 플랜지부가 서로 들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적은 힘으로 용기 몸체로부터 용기 커버가 분리되어 오픈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 가압편의 가압편 몸체의 양측에는 프레스로 가압된 요철 보강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 커버의 가압편 몸체가 반복되게 눌려지는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용기 커버를 오픈시키는 과정에서 용기 커버나 용기 몸체의 일부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러번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로부터 용기 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에서 있어 철부형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픈 지지편과 요부형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픈 가압편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4a 및 도4b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에서 용기 커버가 오픈 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로부터 용기 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에서 있어 철부형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픈 지지편과 요부형 플랜지부에 형성된 오픈 가압편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4a 및 도4b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에 있어 용기 몸체에서 용기 커버가 오픈 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용기(A)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누르는 과정에서 적은힘에 의한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용기 커버(20)가 용기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오픈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일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부형 플랜지부(110)를 갖는 용기 몸체(10)에 요부형 플랜지부(210)를 갖는 용기 커버(20)가 절첩편(30)에 의하여 닫혀지거나 열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는 용기 몸체(10)에 구비된 상부만이 개방된 몸체 측벽(120)의 상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전방측 모서리 외측에는 걸림홈부(111)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요부형 플랜지부(210)에 대응되게 구비된 걸림돌부(211)가 맞대어지는 형태로 걸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용기 몸체(10)의 상부로 용기 커버(20)가 닫혀진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지지편(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에 구비된 오픈 지지편(130)은 평판형태를 갖는 지지편 몸체(131)의 상부에
Figure 112019020148975-pat00006
형태를 갖는 지지돌부(132)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돌부(132)는 박판형태를 갖는 PP·PE·PS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과정에서 엠보싱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이 이격된 형태를 갖는 곳으로부터 양측이 모여지는 부분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상부를 향하여 높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Figure 112019020148975-pat00007
형태로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진 부분의 외측으로는 후술하는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의 하부가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름과 동시에 내측 즉, 경사각이 낮아지는 부분으로 가압돌부(232)가 슬라이드식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지렛대의 지렛점이되어 적은 힘으로도 요부형 플랜지부(210)에 형성된 걸림돌부(211)가 철부형 플랜지부(110)에 형성된 걸림홈부(111)로부터 분리된 후 상부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 커버(20)는 하부만이 개방된 커버 측벽(220)의 하부에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는 전방측 모서리에 철부형 플랜지부(110)에 구비된 걸림홈부(111)에 걸려지는 걸림돌부(2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가압편(23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기 커버(20)에 형성된 오픈 가압편(230)은 용기 몸체(10)에 형성된 오픈 지지편(130)과 동일한 위치 즉, 직상부로 위치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오픈 지지편(130)이 검지에 의하여 상부로 눌려지도록 하는 가운데 상기 오픈 가압편(230)은 엄지에 의하여 하부로 눌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오픈 가압편(230)은 평판형태를 갖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가압돌부(232)가 하부를 향하여 함몰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엄지손가락의 가압력에 의하여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가압력이 용기 몸체(10)에 형성된 오픈 지지편(13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는 내측 하부에서 외측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Figure 112020050533282-pat00008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분한 지렛대의 지점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엄지손가락의 가압력에 의하여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는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의 길이보다 더 짧게 구비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압돌부(232)의 하부가 지지돌부(132)의 외측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일부가 맞닿게 구비됨으로써, 제조와 보관 및 운반과정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가압시키는 과정에서 더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용기 몸체(10)로부터 용기 커버(20)가 더 용이하게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압편 몸체(231)의 가압돌부(232)는 상부에는 별도의 가압 보강부(233)가 더 구비되어 부분적인 보강이 이루어져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가압시키는 과정에서 부분적인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 보강부(233)는 용기 커버(20)의 요부형 플랜지부(210)의 모서리에 연장된
Figure 112020050533282-pat00009
형태를 갖는 제1엠보싱 보강부(233a)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엠보싱 보강부(233a)의 단부에서 가압편 몸체(231)의 외측을 향하여
Figure 112020050533282-pat00010
형태를 갖는 제2엠보싱 보강부(233b)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돌부(232)는 용기 커버(20)가 제조되어지는 과정에서 금형의 형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픈 가압편(230)의 가압편 몸체(231)의 양측에는 프레스로 가압된 요철 보강부(2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 커버(20)의 가압편 몸체(231)가 반복되게 눌려지는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식품 표장 용기(A)는 먼저, 용기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과채류, 엽채류 및 과실류 등 원예식품의 담겨진 상태에서 용기 커버(20)의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용기 몸체(10)의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상부로 일치되도록 한 후 용기 커버(20)를 용기 몸체(10)의 상부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철부형 플랜지부(110)에 삽입됨과 동시에 걸림돌부(211)가 걸림홈부(111)에 끼워짐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커버(20)가 역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담겨진 원예식품이 안정되게 저장 또는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몸체(10)에 담겨진 원예식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에 오픈 가압편(230)과 오픈 지지편(130)이 위치되도록 한 후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오무림과 동시에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이 가압편 몸체(231)를 하부로 누르게 된다.
이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부(232)가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의 상부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가압돌부(232)를 중심으로 일측은 엄지에 의하여 하부로 눌려지게 되며, 타측은 가압돌부(232)에 의하여 들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제1엠보싱 보강부(233a)에 연결된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부(211)가 걸림홈부(1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용기 커버(20)의 구속력이 해제되어 용기 몸체(10)로부터 용기 커버(20)가 오픈될 수 있게 된다.
10:용기 몸체 20:용기 커버
30:절첩편 110:철부형 플랜지부
111:걸림홈부 120:몸체 측벽
130:오픈 지지편 131:지지편 몸체
132:지지돌부 210:요부형 플랜지부
211:걸림돌부 220:커버 측벽
230:오픈 가압편 231:가압편 몸체
232:가압돌부 232:가압돌부
233:가압 보강부 233a:제1엠보싱 보강부
233b:제2엠보싱 보강부 240:요철 보강부

Claims (6)

  1. 철부형 플랜지부(110)를 갖는 용기 몸체(10)에 요부형 플랜지부(210)를 갖는 용기 커버(20)가 절첩편(30)에 의하여 닫혀지거나 열려지도록 구비된 식품 포장 용기(A)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는 상부만이 개방된 몸체 측벽(120)의 상부에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전방측 모서리 외측에 걸림홈부(1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철부형 플랜지부(110)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지지편(13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오픈 지지편(130)은 평판형태를 갖는 지지편 몸체(131)의 상부에
    Figure 112020050533282-pat00024
    형태를 갖는 지지돌부(132)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용기 커버(20)는 하부만이 개방된 커버 측벽(220)의 하부에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는 전방측 모서리에 걸림돌부(2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플랜지부(210)의 전방측 모서리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오픈 가압편(23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오픈 가압편(230)은 평판형태를 갖는 가압편 몸체(231)에 오목한 가압돌부(232)가 하부를 향하여 함몰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는 상기 오픈 지지편(130)의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의 길이보다 더 짧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돌부(232)의 하부가 상기 지지돌부(132)의 외측 상부에 얹혀지게 맞닿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압편 몸체(231)의 가압돌부(232)는 상부에 가압 보강부(23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 보강부(233)는 용기 커버(20)의 요부형 플랜지부(210)의 모서리에 연장된
    Figure 112020050533282-pat00025
    형태를 갖는 제1엠보싱 보강부(233a)와 상기 제1엠보싱 보강부(233a)의 단부에서 가압편 몸체(231)의 외측을 향하여
    Figure 112020050533282-pat00026
    형태를 갖는 제2엠보싱 보강부(233b)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편 몸체(231)의 양측에는 프레스로 가압된 요철 보강부(2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지지편 몸체(131)에 구비된 지지돌부(132)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Figure 112020050533282-pat00012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20) 가압편 몸체(231)에 구비된 가압돌부(232)는 내측 하부에서 외측 상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는
    Figure 112020050533282-pat00013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2518A 2019-02-26 2019-02-26 식품 포장 용기 KR10217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18A KR102171331B1 (ko) 2019-02-26 2019-02-26 식품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18A KR102171331B1 (ko) 2019-02-26 2019-02-26 식품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77A KR20200104077A (ko) 2020-09-03
KR102171331B1 true KR102171331B1 (ko) 2020-10-28

Family

ID=7245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18A KR102171331B1 (ko) 2019-02-26 2019-02-26 식품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6961A (ja) * 2015-09-15 2017-03-23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200487921Y1 (ko) * 2017-03-15 2018-11-21 이성희 식품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43Y1 (ko) 2001-12-19 2002-04-03 엄영식 캐릭터가 설치된 음료수용 페트병의 뚜껑따개
KR200434591Y1 (ko) 2006-09-27 2006-12-22 김동호 식품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6961A (ja) * 2015-09-15 2017-03-23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200487921Y1 (ko) * 2017-03-15 2018-11-21 이성희 식품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77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902A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per articles
WO2015088744A1 (en) Container for a cylindrical object
JP5938505B1 (ja) 包装用容器
JP5837768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KR102171331B1 (ko) 식품 포장 용기
JP6157187B2 (ja) 易開封容器
JP3213110U (ja) 包装用容器の蓋
KR200487577Y1 (ko) 비주름형 일회용 용기
JP7144029B2 (ja) 包装用容器
KR20200001945U (ko) 식품 포장 용기
JP7011492B2 (ja) 蓋及び容器
JP3220615U (ja) 包装用容器の蓋
JP7493803B2 (ja) 蓋付き容器
EP3640151A1 (en) Packaging box for fruit, berries and vegetables
JP3219570U (ja) 包装用容器の蓋
JP5340650B2 (ja) 合成樹脂製のケーキ収納容器
JP6754567B2 (ja) 物品収納ケース
TWI718854B (zh) 具有雙重扣夾結構的紙塑杯蓋及成型方法
JPH08183551A (ja) 食品容器
JP2002370727A (ja) 梱包箱
JP6752539B2 (ja) 包装用容器の蓋
KR20240028098A (ko) 간편 개봉구조를 포함하는 스낵 포장용기
JP3218653U (ja) 包装用容器の蓋
EP1555211A1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