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30B1 - 편조 케이블 및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편조 케이블 및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30B1
KR102171330B1 KR1020187034278A KR20187034278A KR102171330B1 KR 102171330 B1 KR102171330 B1 KR 102171330B1 KR 1020187034278 A KR1020187034278 A KR 1020187034278A KR 20187034278 A KR20187034278 A KR 20187034278A KR 102171330 B1 KR102171330 B1 KR 10217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wires
color
bundle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585A (ko
Inventor
준 고바야시
히로시 사다나리
오사무 마키노
Original Assignee
산요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3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the form of the insulation o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1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the colour of the insulation or condu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66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braided layers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센서에 접속하는 소선을 편조선으로서 구성하고, 상기 소선끼리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 소선의 표면에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 및 상기 편조선을 구성하는 편조 번들의 꼬임 방향의 2가지 지표에 의해,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을 특정한다. 이에 의해, 다수의 센서를 탑재해도 충분히 가늘고 굴곡성이 우수한 케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조 케이블 및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본 발명은, 온도를 측정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에 다수의 온도 센서를 구비한 온도 센서 탑재 케이블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일정한 공간이나 영역에서의 온도 측정을 보다 상세하게 행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예를 들어, 인체를 수술함에 있어서 인체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관상 장기 내주면의 온도)을 미세하게 측정하고 싶다는 요망이나, 비닐 하우스 내 등의 일정한 공간 내의 온도를 미세하게 측정하고 싶다는 요망이다. 이러한 경우, 온도 센서를 케이블 등의 어떠한 디바이스 상에 두고 측정하게 되는데, 미세하게 측정하려고 생각하면 할수록 불가피하게 다수의 센서 탑재가 필요하게 된다.
케이블을 디바이스로 하여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는 등의 경우에서는, 센서의 수에 연동하여 그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기 위한 심선의 수가 많아져, 마무리 지름이 굵고 굴곡성이 부족해진다. 또한,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심선인지를 명확하게 판별할 필요가 있다. 이 점은, 예를 들어 일본공개실용신안 평6-5040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심선의 피복의 색 조합 등에 의해 식별한다는 발명은 이미 공지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공개실용신안 평6-504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법으로 심선을 식별하고자 하면, 케이블이 상당히 굵어져 전혀 실용적인 레벨로 실현할 수 없다.
발명자는, 종래의 개념에 구애받지 않고 발상을 전환하여, 센서에 연결되는 소선(素線)을 「편조선(編組線)」으로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착상에 이르렀다. 즉, 통상적으로 전자파 등의 실드(차폐)를 목적으로 하여 배치되는 편조선은, 각 소선이 서로 도통함으로써 실드 효과를 발휘하는데, 굳이 각 소선끼리를 절연 처리함으로써 이 도통을 풀고, 다수의 센서에 연결하기 위한 소선으로서 기능시킨다는 발상이다.
그러나 그러자면, 편조된 다수의 소선 중에서 특정의 센서에 연결되는 소선이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부상한다.
편조선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소선이 보빈(2)으로부터 풀려 나오고, 이 풀려 나오는 복수의 소선이 편조 번들(3)이 되어 편조기(1)에 의해 엮어져 완성품(편조 케이블)(4)이 제조된다. 보빈(2)으로부터 풀려 나오는 복수의 소선의 배열까지를 제어하는 것은 기술면 및 비용면에서 현시점에서는 현실적이지 않지만, 보빈(2)마다의 소선의 배색을 연구함으로써,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을 식별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함을 깨달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센서를 탑재해도 충분히 가늘고 굴곡성이 우수한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은, 센서에 접속하여 그 센서의 신호를 수취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상기 센서에 접속하는 소선을 편조선으로서 구성하고, 상기 소선끼리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 소선의 표면에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 및 상기 편조선을 구성하는 편조 번들의 꼬임 방향의 2가지 지표에 의해, 상기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센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만큼의 소선의 수를 확보함과 아울러, 편조선 특유의 유연한 굴곡성을 제공한 케이블이 된다. 나아가 편조선에는 「꼬임 방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꼬임 방향」도 편조 번들 식별을 위한 지표로서 이용함으로써, 절연층의 색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저비용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은, 상기 편조 번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선 중 적어도 2개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의 색을 동일한 색으로 하고, 상기 편조 번들의 그 밖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의 색이 각각 다르며, 또한 상기 2개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에 배색한 색과 다른 색으로 배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편조 번들을 구성하는 소선 중 적어도 2개의 절연층의 색을 동일한 색으로 함으로써, 편조 번들의 식별이 용이해진다. 즉, 꼬임 방향과 함께 「편조 번들 중에 무슨 색이 2개 이상 들어가 있는지」를 봄으로써,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매우 좁히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소선 자체는 매우 가는 선이며, 그 가는 선이 다수 짜여져 편조선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색 조합만으로는 편조 번들을 식별하는 것조차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편조 번들 중에 적어도 2개 동일한 색을 배색해 둠으로써, 편조 번들 전체적으로 그 색이 눈에 띄게 되어 식별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편조 번들을 구성하는 소선은 4개이며, 그 중 2개의 절연층의 배색이 동일한 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절연층의 배색이 불과 4색이어도, 상당수의 편조 번들, 더욱이 이들을 구성하는 소선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은, 꼬임 방향마다 동일한 조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절연층의 배색의 색 수를 줄일 수 있어 식별이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잘못 식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점을 바꾸면,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에 다수의 센서를 장착할 때, 특정의 상기 센서가 어떤 상기 소선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에 접속하는 소선을 편조선으로서 구성하고, 상기 소선끼리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 소선의 표면에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 및 상기 편조선을 구성하는 편조 번들의 꼬임 방향의 2가지 지표에 의해, 상기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으로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다수의 센서를 탑재해도 충분히 가늘고 굴곡성이 우수한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편조 케이블로서, 편조 번들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편조 케이블로서, 개략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편조 번들 식별을 위한 배색의 일례를 나타낸 배색표이다.
도 4는, 편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편조 케이블(100)에 대해 설명을 더한다. 또, 도면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부의 크기나 치수를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는 부분이 있고, 실제 제품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음을 부기해 둔다. 또한, 각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하고, 이러한 방향을 기본으로 상하좌우, 앞, 안이라고 표현한다.
<편조 케이블의 구성>
편조 케이블(100)은, 온도 센서 등의 센서(도시생략)를 탑재하는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기 위한 케이블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130)의 주위에 각각 절연 처리(예를 들어 에나멜 처리)된 4개의 소선이 하나의 번들이 되어 편조 번들(110, 120)이 편조되어 편조 케이블(100)을 구성하고 있다. 코어(130)는 충분한 강도 및 굴곡성을 갖는 한에서 특별히 재질은 선택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코어(130)가 없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편조 번들(110, 120) 전체를 피복하도록 외주에는 필요에 따라 보호층이 설치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조 번들의 2가지 꼬임 방향을 「S 꼬임」 및 「Z 꼬임」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 꼬임의 편조 번들(110)이 12번들(S-1~S-12) 및 Z 꼬임의 편조 번들(120)이 12번들(Z-1~Z-12)의 합계 24번들의 편조 번들이 편조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소선수는 24×4=96개가 되고, 하나의 센서에 대해 2개의 소선이 접속된다고 가정하면, 최대 48개의 온도 센서의 탑재가 가능해진다. 물론 편조 번들을 구성하는 소선의 수나 편조 번들의 수는 일례이며,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참고로 부기해 둔다.
각 편조 번들(110, 120)을 구성하는 4개의 소선은 모두 절연 처리되어 있고, 나아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착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배색표에 따른 배색이 된다. 표 중의 「가」 「나」 「다」 「라」는 각각 어떠한 색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가→청색」 「나→무색」 「다→녹색」 「라→적색」 등의 상태이다. 여기서는 4색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현실적인 식별을 생각하면, 무턱대고 다수의 색을 사용하면 오히려 식별이 곤란해지고, 또한 이에 연동하여 비용도 높아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적은 색 수로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표와 같이, 모든 편조 번들(110, 120)(S-1~S-12 및 Z-1~Z-12)에 있어서, 2개는 동일한 색이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S-1에서는 「가」의 색이 2개가 되어 있고, Z-2에서는 「라」의 색이 2개가 되어 있다. 동일한 색의 2개 이외의 소선에서는, 각각이 다른 색이 됨과 동시에 각 편조 번들에서의 2개 동일한 색의 색과는 다른 색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S 꼬임의 편조 번들(S-1~S-12)과 Z 꼬임의 편조 번들(Z-1~Z-12)의 배색은 마찬가지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편조 케이블(100)에 온도 센서(도시생략)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어떤 소선에 접속할지를 정확하게 식별한 후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으로 나타낸 소선의 절연층의 색 조합 및 꼬임 방향을 2가지 지표로 하여 처음에 특정의 편조 번들(110, 120)을 골라내고, 나아가 그 중의 소선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꼬임 방향을 봄으로써, 24개의 편조 번들에서 12개로 좁힐 수 있다.
다음에, 그 12개의 편조 번들 중에서, 「무슨 색이 2개 포함되어 있는지(식별선의 색)」를 봄으로써, 3개의 편조 번들로 좁힐 수 있다.
3개까지 좁힐 수 있으면, 그 후는 그 이외의 배색(도 4의 표에서의 배선용 소선의 색)의 조합에 의해, 특정의 편조 번들을 식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특정의 편조 번들을 식별할 수 있으면, 그 중 특정의 2개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센서에 접속하는 소선을 편조선으로서 구성하고, 소선끼리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 소선의 표면에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 및 편조선을 구성하는 편조 번들(110, 120)의 꼬임 방향의 2가지 지표에 의해, 다수의 편조 번들(110, 120)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110, 120)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센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만큼의 소선의 수를 확보함과 아울러, 편조선 특유의 유연한 굴곡성을 제공한 케이블(100)이 된다. 나아가 편조선에는 「꼬임 방향」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꼬임 방향」도 편조 번들 식별을 위한 지표로서 이용함으로써, 절연층의 색 종류를 줄일(예를 들어 상기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색 24개의 편조 번들로 함으로써 최대 48개의 센서 탑재가 가능해질) 수 있어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저비용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의 색 조합은, 편조 번들(110, 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선 중 적어도 2개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의 색을 동일한 색으로 하고, 상기 편조 번들(110, 120)의 그 밖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의 색이 각각 다르며, 또한 상기 2개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에 배색한 색과 다른 색으로 배색되었다.
이와 같이 편조 번들(110, 120)을 구성하는 소선 중 적어도 2개의 절연층의 색을 동일한 색으로 함으로써, 편조 번들의 식별이 용이해진다. 즉, 꼬임 방향과 함께 「편조 번들(110, 120) 중에 무슨 색이 2개 이상 들어가 있는지」를 봄으로써, 다수의 편조 번들(110, 120) 중에서 매우 좁히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소선 자체는 매우 가는 선이며, 그 가는 선이 다수 짜여져 편조선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색 조합만으로는 특정의 편조 번들(110, 120)을 식별하는 것조차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편조 번들(110, 120) 중에 적어도 2개 동일한 색을 배색해 둠으로써, 편조 번들(110, 120) 전체적으로 그 색이 눈에 띄게 되어 식별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편조 번들(110, 120)을 구성하는 소선은 4개이며, 그 중 2개의 절연층의 배색이 동일한 색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연층의 배색이 불과 4색이어도, 상당수의 편조 번들, 더욱이 이들을 구성하는 소선의 식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절연층의 색 조합은, 꼬임 방향마다 동일한 조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절연층의 배색의 색 수를 줄일 수 있어 식별이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잘못 식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편조기
2…보빈
3…편조 번들
4…완성품(편조 케이블)
100…편조 케이블
110…편조 번들(S 꼬임 방향)
120…편조 번들(Z 꼬임 방향)
130…코어

Claims (5)

  1. 센서에 접속하여 그 센서의 신호를 수취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상기 센서에 접속하는 소선(素線)을 편조선(編組線)으로서 구성하고,
    상기 소선끼리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 소선의 표면에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 및 상기 편조선을 구성하는 편조 번들의 꼬임 방향의 2가지 지표에 의해, 상기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은, 상기 편조 번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선 중 적어도 2개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의 색을 동일한 색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소선을 포함한 편조 번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소선을 제외한 그 밖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의 색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소선에서의 절연층에 배색한 색과 다른 색으로 배색되며, 또한 상기 편조 번들에서의 상기 그 밖의 소선이 복수인 경우는 각각이 다른 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편조 번들을 구성하는 소선은 4개이며,
    그 중 2개의 절연층의 배색이 동일한 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은, 꼬임 방향마다 동일한 조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
  5. 복수의 소선으로 구성된 케이블에 다수의 센서를 장착할 때, 특정의 상기 센서가 어떤 상기 소선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에 접속하는 소선을 편조선으로서 구성하고,
    상기 소선끼리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각 소선의 표면에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색 조합 및 상기 편조선을 구성하는 편조 번들의 꼬임 방향의 2가지 지표에 의해, 상기 다수의 편조 번들 중에서 특정의 편조 번들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KR1020187034278A 2017-03-07 2018-02-06 편조 케이블 및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KR102171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2690 2017-03-07
JP2017042690A JP6185684B1 (ja) 2017-03-07 2017-03-07 編組ケーブル及び編組ケーブルにおける編組束の識別方法
PCT/JP2018/003919 WO2018163689A1 (ja) 2017-03-07 2018-02-06 編組ケーブル及び編組ケーブルにおける編組束の識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85A KR20190002585A (ko) 2019-01-08
KR102171330B1 true KR102171330B1 (ko) 2020-10-28

Family

ID=5967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278A KR102171330B1 (ko) 2017-03-07 2018-02-06 편조 케이블 및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72536B2 (ko)
JP (1) JP6185684B1 (ko)
KR (1) KR102171330B1 (ko)
CN (1) CN109196604B (ko)
WO (1) WO2018163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5684B1 (ja) * 2017-03-07 2017-08-23 三陽電工株式会社 編組ケーブル及び編組ケーブルにおける編組束の識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552A (ja) 2001-10-11 2003-04-25 Hitachi Cable Ltd シース付き丸形フラット極細同軸多心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接続部
JP2005166660A (ja) 2004-11-26 2005-06-23 Tokyo Shinpo Denshi Kk Scsiケーブルおよびscsiケーブ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03371A (en) * 1932-06-13 1933-12-13 Charles James Beaver Improvements in electric cables
US3457640A (en) * 1964-12-17 1969-07-29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fabricating an electrical coupler
US3561502A (en) * 1969-03-10 1971-02-09 Storm Products Co Wire twisting apparatus
DE2138239C3 (de) * 1971-07-30 1975-07-10 Felten & Guilleaume Kabelwerke Ag, 5000 Koeln Verfahren zum SZ-Verseilen einzelner oder in Bündeln verdrillt oder unverdrillt zusammengefaßter Verseilelemente
US3965558A (en) * 1974-08-30 1976-06-29 Trw Inc. Wire termination apparatus
US4128736A (en) * 1977-03-30 1978-12-0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able design with limited color coding
FR2446002A1 (fr) * 1979-01-03 1980-08-01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Cable pour transmission numerique
JPS57109514U (ko) * 1980-12-11 1982-07-06
US4528420A (en) * 1983-04-08 1985-07-09 Northern Telecom Limited Color coding identification of conductors in telecommunications cable
JPH04237978A (ja) * 1991-01-18 1992-08-26 Amp Japan Ltd タップコネクタ
US5165003A (en) * 1991-06-28 1992-11-17 Sumitomo Electric Fiber Optics Corp. Optical fiber cable including interlocking stitch binder
JPH065040U (ja) * 1992-06-18 1994-01-21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通信ケーブル
JP2942978B2 (ja) * 1994-11-07 1999-08-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その加工方法
JP3239736B2 (ja) * 1996-03-05 2001-12-17 日立電線株式会社 鳥類衝突防止架空送電線
JP4136069B2 (ja) * 1998-05-15 2008-08-20 吉野川電線株式会社 編組シールド、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及びハーネス加工方法
JP2002253482A (ja) * 2001-03-02 2002-09-1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形状検出プローブ
JP2004158422A (ja) * 2002-11-06 2004-06-03 Yoshio Kaneko スピーカーケーブル
JP2005100756A (ja) 2003-09-24 2005-04-14 Hitachi Cable Ltd らせん状色帯入りケーブル
JP4804860B2 (ja) * 2004-10-27 2011-11-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複合撚線導体
JP2008530738A (ja) * 2005-02-09 2008-08-07 フーバー ウント ズーナ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高温ケーブル及び該高温ケーブルの使用方法
US7740501B2 (en) * 2007-06-06 2010-06-22 Claudio R. Ballard Hybrid cable for conveying data and power
US8467650B2 (en) * 2007-11-09 2013-06-18 Draka Comteq, B.V. High-fiber-density optical-fiber cable
CN201272547Y (zh) * 2008-08-06 2009-07-15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捆绑带
US8382666B1 (en) * 2009-06-03 2013-02-26 Vioptix, Inc. Medical device probe connector
US9052486B2 (en) * 2010-10-21 2015-06-09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903739B2 (ja) * 2012-04-17 2016-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CN204178788U (zh) * 2014-09-05 2015-02-25 东莞市瀛通电线有限公司 一种斜纹编织线
JP6185684B1 (ja) * 2017-03-07 2017-08-23 三陽電工株式会社 編組ケーブル及び編組ケーブルにおける編組束の識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552A (ja) 2001-10-11 2003-04-25 Hitachi Cable Ltd シース付き丸形フラット極細同軸多心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接続部
JP2005166660A (ja) 2004-11-26 2005-06-23 Tokyo Shinpo Denshi Kk Scsiケーブルおよびscsiケーブ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6604A (zh) 2019-01-11
WO2018163689A1 (ja) 2018-09-13
US20190304627A1 (en) 2019-10-03
JP2018147776A (ja) 2018-09-20
KR20190002585A (ko) 2019-01-08
US10672536B2 (en) 2020-06-02
JP6185684B1 (ja) 2017-08-23
CN109196604B (zh)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7395B1 (en) Power and control cable for healthcare facilities
US8704088B2 (en) Electrical connecting cable
KR102171330B1 (ko) 편조 케이블 및 편조 케이블에서의 편조 번들의 식별 방법
JP2018133139A (ja) 保護部材、車両用高圧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CA2999825C (en) Fabricatable data transmission cable
CN203536090U (zh) 多芯线缆
CN203812645U (zh) 耐弯曲抗拉型双绞数据图象传输环保电缆
CN212907153U (zh) 一种电源线
US10825579B2 (en) Shielding layer and a cable provides with the shielding layer
CN202711762U (zh) 高强度耐磨屏蔽控制软电缆
CN208284255U (zh) 一种适用于动态环境的柔性复合线缆结构
CN106229067A (zh) 抑制噪声的线缆
CN201897987U (zh) 工业机器人用耐曲绕拖链电缆
JP7012252B2 (ja) 信号ケーブル、及び電力計測システム
CN112837853A (zh) 医用线缆组件、医用线缆及其制造方法
CN205004061U (zh) 一种72芯综合电缆
CN214505029U (zh) 一种高柔性耐折弯复合拖链电缆
US10416402B2 (en) Aerial optical and electric cable assembly
CN203773990U (zh) 一种带有十字形橡胶骨架的扇形、圆形控制电缆
CN215342000U (zh) 电磁路由数据传输电缆
CN202230770U (zh) 船用综合特种电缆
CN111210928B (zh) 导线和usb数据线
CN212676573U (zh) 一种耐弯折的线缆
CN104505161A (zh) 一种便于快速检测的多芯电缆
CN206471136U (zh) 一种高可靠柔性电缆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