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772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772B1
KR102170772B1 KR1020200064876A KR20200064876A KR102170772B1 KR 102170772 B1 KR102170772 B1 KR 102170772B1 KR 1020200064876 A KR1020200064876 A KR 1020200064876A KR 20200064876 A KR20200064876 A KR 20200064876A KR 102170772 B1 KR102170772 B1 KR 10217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tacked
height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연철
이인구
이동은
김원일
Original Assignee
(주)대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이엔씨 filed Critical (주)대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6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단면확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에서, 상부구조물 인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층형지지대를 간단하게 조립 설치한 후, 높이조절을 통해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상부구조물 인상이 가능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는 상,하 중간 링밴드가 서로 끼워져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 링적층부; 및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된 유압잭 작동으로,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와 베이스플레이트부를 통하여 하부지지대로 전달되고,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밀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MULTI LAYERED TYPED SUPPORT FOR HEIGHT CONTROL AND THE STRUCTURAL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면확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에서, 상부구조물 인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층형지지대를 간단하게 조립 설치한 후, 높이조절을 통해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상부구조물 인상이 가능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의 시공예시도이다.
상기 구조물은 예컨대, 교량구조물로서 교량하부구조물(20,교대 또는 교각) 상부에 교량받침(30)에 의하여 교량상부구조물(10, 거더등)이 거치된 상태로 시공된다. 이때 교량상부구조물의 형고를 증가시킬 필요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도 1a에서는 교량하부구조물(20) 상면에 적층형지지대(1)를 별도 설치하고, 적층형지지대(1)의 상면에는 새로운 교량받침(30)을 설치한 후, 교량상부구조물(10)을 새로운 교량받침(30) 상면에 거치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교량하부구조물(20) 상면으로부터 새로운 교량받침(30)의 저면까지 콘크리트를 거푸집을 이용하여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면확대 공법이 소개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적층형지지대(1)는 제작 및 설치문제를 고려하여 다수를 제작하여 형고에 맞추어 적층시켜 조립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층형지지대(1) 상면에 새로운 교량받침(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새로운 교량받침(30) 저면에 높이조절볼트(40)를 적층형지지대(1) 상면과 접하도록 함으로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층형지지대(1)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상기 종래 적층형지지대(1)의 예시도이다.
즉, 종래 적층형지지대(1)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자중이 크지 않으면서도 상,하 연결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타설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적층 설치 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하로 연결볼트에 의하여 적층시키면서,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십자형 보강재(14)를 설치하고, 상기 상판(11), 하판(12) 및 십자형 보강재(14)에는 관통홀(13)을 다수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c는 종래 교량상부구조물 인상공법에 있어 인상잭 사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교량하부구조물(20) 상면으로부터 교량상부구조물(10)은 다수개가 적층된 적층형지지대(1)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량하부구조물(20) 상면에 설치된 유압잭(50)의 상면에는 십자형보강재(61)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 보강관(60)과 다수의 고정판(70)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교량상부구조물과 같은 상부구조물을 교량하부구조물과 같은 하부지지대로부터 인상시켜 시공하는 단면확대공법에 있어 사용되는 적층지지대(1)는 일정한 높이와 단면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된 것을 다수 상,하 연결시켜 사용되기 때문에 1개의 적층지지대(1) 높이는 정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밀한 인상높이 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유압잭을 수용할 수 없어 조합 사용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이는 곧 안전성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대한민국 특허 제 10-1282333호(발명의 명칭: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3년07월04일) 0002)대한민국 특허 제 10-0707312호(발명의 명칭: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공개일자: 2007년04월16일)
이에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을 하부지지대로부터 인상시켜 시공하는 단면확대공법에 있어서, 적층지지대의 높이를 소켓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상높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잭을 간단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인상작업의 구조적 효율성을 높이면서, 보다 정밀한 교량받침 세팅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는,
하부지지대에 내부판은 중간 링밴드 내측면에 끼워져 세팅되어 보강재 역할을 하면서, 상,하 중간 링밴드가 서로 끼워져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 링적층부; 및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된 유압잭 작동으로,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와 베이스플레이트부를 통하여 하부지지대로 전달되고,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밀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의 노출된 상면에 신규 교량받침(A)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는, 서로 상하로 이격된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유압잭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에는 높이조절용볼트가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상판과 하판 사이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이조절용볼트의 체결 고정 상태를 조절하여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신규 교량받침(A)의 안정적인 지지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유압잭은, 단면 확장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해체되더라도, 상기 높이조절용볼트에 의하여 높이조절플레이트부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은,
(a) 베이스플레이트부를 하부지지대 상면에 위치 세팅하고,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부를 하부지지대 상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에 내부판은 중간 링밴드 내측면에 끼워져 세팅되어 보강재 역할을 하면서, 상,하 중간 링밴드가 서로 끼워져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 링적층부 다수를 소켓방식으로 적층시켜 설치하는 단계; (c)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유압잭이 설치된 높이조절플레이트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압잭을 작동시켜,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와 베이스플레이트부를 통하여 하부지지대로 전달되고,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의 노출된 상면에 신규 교량받침(A)가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적층지지대는 연결볼트와 같은 상하체결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적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층지지대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작업성이 개선되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적층지지대 상부에는 유압잭을 수용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가 설치되어 있어, 유압잭을 이용함으로서 상부구조물 인상 및 지지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높이조절플레이트부는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여 유압잭을 해체해도 정밀한 인상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 상면에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하여 안정적인 교량상부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의 시공예시도
도 1b는 상기 종래 적층형지지대의 예시도,
도 1c는 종래 교량상부구조물 인상공법에 있어 인상잭 사용도,
도 2a ,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구성사시도 및 설치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
도 2a ,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 구성사시도 및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는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플레이트부(110) 상면에는 중간 링적층부(120) 다수가 서로 연결볼트가 아닌 소켓방식으로 끼워져 적층 설치되며, 중간 링적층부(120) 상면에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유압잭(14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유압잭(140) 작동으로 상부구조물(2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통해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120)와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통하여 하부지지대 (300)로 전달시키고, 유압잭(140)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상부구조물(200)의 저먼에 밀착된 후, 유압잭(140)을 해체하여 안정적인 적층형지지대(100)에 의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용볼트(133)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압잭(140)은 해체하고,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구성하는 상판(131)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면확장 작업 후, 상기 노출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 상면에 신규 교량받침(A)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단면확장이 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는 매립되며, 유압잭(140)은 최종 해체되어 추가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는 도 2a ,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부(110), 중간 링적층부(120),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 유압잭(140)을 포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110)는 도 2a , 도 2b 및 도 2c와 같이,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를 안착 및 고정시키는 가진 받침판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대(300)는 교대, 교각과 같은 교량하부구조물로서 콘크리트 제작되지 때문에 예컨대, 사각판 형태의 하부플레이트(111) 상면에 후술되는 중간 링적층부(120)가 상면에 위치 세팅될 수 있도록 상면지지구(112)가 모서리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모서리 상면에 형성된 상면지지구(112) 내측에 중간 링적층부(12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중간 링적층부(12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111)는 앵커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앵커홀을 관통하는 앵커볼트가 하부지지대(300)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베이스플레이트부(110)가 하부지지대(30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중간 링적층부(120)는 도 2a ,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부(110) 상면에 끼워져 세팅되는 방식으로 다수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달리 연결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지 않아 적층시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하 끼움방식인 소켓방빗으로 상,하 적층시키게 된다.
이에 중간 링적층부(120)는 중간 링밴드(121), 내부판(122)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상기 중간 링밴드(121)는 원형단면의 링 형태의 밴드로서 다수가 적층되어 원통형의 중간 링적층부(12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링 형태의 밴드가 다수가 적층된 상태의 중간 링밴드(121) 내부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기 때문에 달리 타설 방해가 되지 않고,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단면확장에 의한 콘크리트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중간 링밴드(121)는 관통홀(123)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연통되어 타설압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게 된다.
상기 내부판(122)은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에 끼워져 세팅되어 보강재 역할을 하면서, 상,하 중간 링밴드(121)가 서로 끼워져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내부판(122)은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을 가로질러 끼워지는 수직판 형태의 제 1내부판(122a)과 제 1내부판(122a)의 양 측면으로 서로 단차져 형성된 제 2내부판(1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내부판(122b)은 제 1내부판(122a) 일내측면에 제 1내부판(122a)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되고, 다른 제 2내부판(122b)은 제 1내부판(122a) 타내측면에 제 1내부판(122a)의 저면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된다.
이에 중간 링밴드(1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중간 링밴드(121)의 상면과 저면으로부터 제 1내부판(122a)의 상방 및 하방으로 더 돌출된 제 2내부판(122b)은 끼움구로서 소켓 역할을 하여 상,하 중간 링밴드(121)가 소켓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함으로서, 결국 종래와 달리 연결볼트 다수개를 체결시켜야 하는 작업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제 1내부판(122a), 2내부판(122b)의 상부 측면에는 밀림방지구(124)이 더 돌출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하여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으로부터 내부판(122)이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2a의 경우에는 중간 링밴드(121) 4개가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1개의 중간 링밴드(121) 높이가 크지 않도록 제작하여 다수를 이용하더라도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내부판(122)에 의하여 중강 링밴드(121)를 보강하면서 소켓방식으로 상,하 적층되도록 하기 때문에 적층을 위한 작업성도 매우 증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상단 중간 링밴드(121)에는 후술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평탄해지도록 밀림방지구(124)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는 도 2a ,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유압잭(140)이 내층 중앙에 수용되도록 하여 유압잭이 작동함에 따라 신규 교량받침(A)과 그 하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이 서로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설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유압잭(140)을 수용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신규 교량받침(A)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을 서로 압착시켜 밀착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타설된 콘크리트 양생 전에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유압잭(140)이 분담하여 하중에 따른 전도 방지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벌플레이트부(130)는 상판(131), 하판(132), 높이조절용볼트(133)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131)과 하판(132)은 사각판등의 수평판으로서 서로 상,하 이격되어 있으며 상판과 하판(132) 사이에는 후술되는 유압잭(140)이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판(131)과 하판(132)의 모서리에는 높이조절용볼트(133)가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상판(131)과 하판(132) 사이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이조절용볼트(133)의 체결 고정 상태를 조절하여 상판(131)의 상면에 설치되는 신규 교량받침(A)의 안정적인 지지와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유압잭(140)을 해체해도 달리 높이 변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유압잭(140)은 도 2a ,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의 상판(131)과 하판(13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함으로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 상부의 신규 교량받침(A)과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120), 베이스플레이트부(110)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를 서로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밀착(압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하중 분산에 의한 지지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미도시된 유압라인에 의하여 유압이 전달되며, 단면 확장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분리(해체)되며 앞서 살펴본 높이조절용볼트(133)에 의하여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는 단면 확장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내부으 철근배근에 달리 큰 방해가 되지 않게 되며, 관통홀이 중간 링적층부(120)에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에 유리하고, 중간 링적층부(120)의 내부 콘크리트 구속효과에 의하여 기둥구조물 작용에 의하여 신규 교량받침(A) 하방의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상부구조물(200)의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와 유압잭(140)에 의한 하중 분산 및 안정적인지지, 중간 링적층부(120)의 적층에 의한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측형지지대를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라 지칭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물인상공법은 상부구조물(200)로서 교량상부구조물, 하부지지대(300)로서 교량하부구조물을 예시로 하기로 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는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일정한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새로운 하부지지대(300) 상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새로운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신규 교량받침(A)을 설치하고, 신규 교량받침(A)에 거더를 거치함으로서 결국 새로운 하부지지대(300) 상면이 형성되는 높이로 거더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3a와 같이, 교량하부구조물로서 하부지지대(300)는 이미 기존에 시공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앞서 살펴본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먼저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위치 세팅하고,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의 설치개수는 신규 교량받침(A)의 설치개수에 대응하여 다수를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면 된다.
다음으로는 도 3a와 같이,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부(110)에 중간 링적층부(120) 다수를 소켓방식으로 적층시켜 설치하게 된다. 달리 연결볼트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중간 링적층부(120)는 베이스플레이트부(110)의 상면지지구(112)가 모서리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면지지구(112) 내측에 중간 링적층부(12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인 중간 링적층부(12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간 링적층부(120)는 최하단 중간 링적층부(120)와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120)만 정해지면 나머지 중간 링적층부(120)는 임의 조정하여 적층시키면 되며 도 3a의 경우에는 최하단 및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120)를 포함하여 총 8개의 중간 링적층부(120)가 적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120) 상면에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설치하면서, 유압잭(140)도 함께 수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용볼트(133)는 체결 고정시키지 않는 상태로 세팅하고, 유압잭(140)을 작동시켜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밀착이 가능하도록 상태에서 높이조절용볼트(133)를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유압잭(140)을 해체한 후,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정높이 타설하게 된다.
이로서, 하부지지대(300)의 단면이 확장되면서 신규 교량받침(A)을 노출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상에 고정 설치하고, 신규 교량받침(A)을 받침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마감 시공하게 된다.
이로서 신규 교량받침(A) 상면에 거더를 거치하는 등 작업으로 교량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되며, 작용하중은 신규 교량받침(A)을 통해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가 주지지대로서 작용하여 저항하면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110: 베이스플레이트부 120: 중간 링적층부
121: 중간 링밴드 122: 내부판
122a: 제 1내부판 122b: 제 2내부판
123: 관통홀 124: 밀림방지구
130: 높이조절플레이트부 131: 상판
132: 하판 133: 높이조절용볼트
140: 유압잭
200: 상부구조물 300: 하부지지대
A: 신규 교량받침

Claims (10)

  1. 하부지지대(300)에 내부판(122)은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에 끼워져 세팅되어 보강재 역할을 하면서, 상,하 중간 링밴드(121)가 서로 끼워져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 링적층부(120); 및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120)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된 유압잭(140) 작동으로, 상부구조물(2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120)와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통하여 하부지지대(300)로 전달되고, 상부구조물(200)의 저면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밀착되는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의 노출된 상면에 신규 교량받침(A)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는, 서로 상하로 이격된 상판(131)과 하판(132) 사이에 유압잭(140)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판(131)과 하판(132)에는 높이조절용볼트(133)가 너트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상판(131)과 하판(132) 사이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이조절용볼트(133)의 체결 고정 상태를 조절하여 상판(131)의 상면에 설치되는 신규 교량받침(A)의 안정적인 지지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유압잭(140)은, 단면 확장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해체되더라도, 상기 높이조절용볼트(133)에 의하여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플레이트(111) 상면에 중간 링적층부(120)가 상면에 위치 세팅될 수 있도록 상면지지구(112)가 모서리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면지지구(112) 내측에 중간 링적층부(12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중간 링적층부(12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링적층부(120)는,
    원형단면의 링 형태의 밴드로서 다수가 적층되어 원통형의 중간 링적층부(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중간 링밴드(121); 및 상기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을 가로질러 끼워지는 수직판 형태의 제 1내부판(122a)과 제 1내부판(122a)의 양 측면으로 서로 단차져 형성된 제 2내부판(122b)를 포함하는 내부판(122);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내부판(122b)은 제 1내부판(122a) 일내측면에 제 1내부판(122a)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되고, 다른 제 2내부판(122b)은 제 1내부판(122a) 타내측면에 제 1내부판(122a)의 저면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되어, 중간 링밴드(1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중간 링밴드(121)의 상면과 저면으로부터 제 1내부판(122a)의 상방 및 하방으로 더 돌출된 제 2내부판(122b)은 끼움구로서 소켓 역할을 하여 상,하 중간 링밴드(121)가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는,
    상부구조물(2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신규 교량받침(A)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잭(140)의 작동에 의하여, 신규 교량받침(A)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100)을 서로 압착시켜 밀착 설치가 가능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 양생 전에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유압잭(140)이 분담하여 하중에 따른 전도 방지도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6. 삭제
  7. 삭제
  8. (a)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위치 세팅하고,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하부지지대(300) 상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110)에 내부판(122)은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에 끼워져 세팅되어 보강재 역할을 하면서, 상,하 중간 링밴드(121)가 서로 끼워져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다수의 중간 링적층부(120) 다수를 소켓방식으로 적층시켜 설치하는 단계;
    (c) 최상단 중간 링적층부(120)에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유압잭(140)이 설치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압잭(140)을 작동시켜, 상부구조물(2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의 중간 링적층부(120)와 베이스플레이트부(110)를 통하여 하부지지대(300)로 전달되고, 상부구조물(200)의 저면에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부의 노출된 상면에 신규 교량받침(A)가 설치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유압잭(140)을 해체한 후,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정높이 타설하여 하부지지대(300)의 단면이 확장되면서 신규 교량받침(A)을 노출된 높이조절플레이트부(130)상에 고정 설치하고, 신규 교량받침(A)을 받침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마감 시공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중간 링적층부(120)는,
    원형단면의 링 형태의 밴드로서 다수가 적층되어 원통형의 중간 링적층부(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중간 링밴드(121); 및 상기 중간 링밴드(121) 내측면을 가로질러 끼워지는 수직판 형태의 제 1내부판(122a)과 제 1내부판(122a)의 양 측면으로 서로 단차져 형성된 제 2내부판(122b)를 포함하는 내부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내부판(122b)은 제 1내부판(122a) 일내측면에 제 1내부판(122a)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되고, 다른 제 2내부판(122b)은 제 1내부판(122a) 타내측면에 제 1내부판(122a)의 저면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되어, 중간 링밴드(12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중간 링밴드(121)의 상면과 저면으로부터 제 1내부판(122a)의 상방 및 하방으로 더 돌출된 제 2내부판(122b)은 끼움구로서 소켓 역할을 하여 상,하 중간 링밴드(121)가 소켓방식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를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KR1020200064876A 2020-05-29 2020-05-29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KR10217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76A KR102170772B1 (ko) 2020-05-29 2020-05-29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76A KR102170772B1 (ko) 2020-05-29 2020-05-29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772B1 true KR102170772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76A KR102170772B1 (ko) 2020-05-29 2020-05-29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7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394A (zh) * 2020-12-29 2021-04-30 南通市交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拼装式公路桥梁减震支架
KR102341093B1 (ko) 2021-01-26 2021-12-21 주식회사 씨엔알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KR102355830B1 (ko) 2021-03-08 2022-02-08 (주)엔텍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KR102371638B1 (ko) 2021-09-03 2022-03-07 주식회사 무진건설 교량 상부구조물의 회전식 인상시스템
KR102420970B1 (ko) * 2022-02-18 2022-07-15 (주)유진기업 돔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전도방지 방법
KR102437062B1 (ko) 2021-04-01 2022-08-26 강대흥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기계식 인상장치
CN115262415A (zh) * 2022-09-06 2022-11-01 中铁北京工程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的智能顶升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12B1 (ko) 2006-01-20 2007-04-16 황병호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100834098B1 (ko) * 2008-02-20 2008-06-0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교량 상부 구조물의 안정적 인상방법
KR101153431B1 (ko) * 2012-03-16 2012-06-07 심규숙 교량인상용 상부구조물의 정밀변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부구조물 단면증설방법
KR101282333B1 (ko) 2013-02-27 2013-07-04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12B1 (ko) 2006-01-20 2007-04-16 황병호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100834098B1 (ko) * 2008-02-20 2008-06-02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교량 상부 구조물의 안정적 인상방법
KR101153431B1 (ko) * 2012-03-16 2012-06-07 심규숙 교량인상용 상부구조물의 정밀변위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부구조물 단면증설방법
KR101282333B1 (ko) 2013-02-27 2013-07-04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394A (zh) * 2020-12-29 2021-04-30 南通市交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拼装式公路桥梁减震支架
KR102341093B1 (ko) 2021-01-26 2021-12-21 주식회사 씨엔알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KR102355830B1 (ko) 2021-03-08 2022-02-08 (주)엔텍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KR20220126199A (ko)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나눔종합건설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시스템
KR102437062B1 (ko) 2021-04-01 2022-08-26 강대흥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기계식 인상장치
KR102371638B1 (ko) 2021-09-03 2022-03-07 주식회사 무진건설 교량 상부구조물의 회전식 인상시스템
KR102420970B1 (ko) * 2022-02-18 2022-07-15 (주)유진기업 돔형 콘크리트 구조물용 전도방지 방법
CN115262415A (zh) * 2022-09-06 2022-11-01 中铁北京工程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的智能顶升方法及装置
CN115262415B (zh) * 2022-09-06 2023-10-24 中铁北京工程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的智能顶升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77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적층형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인상공법
US7143555B2 (en) Hybrid precast concrete and metal deck floor panel
US20090151298A1 (en) Method of Making Monolithic Concrete Structures
US10202734B2 (en) Prefabricated resu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US10378173B2 (en) Method of building a foundation comprising a steel monopile and a concrete part and associated foundation for construction work
CN104583510A (zh) 升降车操作的堆叠模板台系统及其操作方法
US20040134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ast and framed block element construction
KR100947297B1 (ko) 바닥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건축 모듈러 유닛
US10641247B2 (en) Pre-assembly slab system for concrete wind turbine tower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re-assembly slab system for concrete wind turbine towers
US10422465B2 (en) Prefabricated reus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JP5944732B2 (ja) 弾性支承の設置方法
CN108104345B (zh) 一种大跨度预应力轻骨料混凝土叠合板
GB2371313A (en) Partially prefabricated waffle slab
CN105951983A (zh) 一种建筑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00790B1 (ko) 무진동 무폐기물 무소음 무변형 친환경 교량받침 교체공법
US5806273A (en) Multi-storey concrete construction system
JP2011017246A (ja) 建物の基礎構造
KR102266630B1 (ko) 모듈러 바닥판을 이용한 합성보 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2177745B1 (ko) 기둥식 옥탑 pc 프레임
KR102119228B1 (ko) 기성바닥판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6621161B1 (ja) 免震装置交換に備えたプレストレス導入法
KR102425501B1 (ko) 프리캐스트와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JP4844930B2 (ja) 免震建物の増築方法
US20220170229A1 (en) Groundworks method for a foundation for an onshore wind turbine
JP2024029300A (ja) ドーム状部材網の構築に使用する中空鉛直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