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351B1 -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 Google Patents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351B1
KR102169351B1 KR1020200042548A KR20200042548A KR102169351B1 KR 102169351 B1 KR102169351 B1 KR 102169351B1 KR 1020200042548 A KR1020200042548 A KR 1020200042548A KR 20200042548 A KR20200042548 A KR 20200042548A KR 102169351 B1 KR102169351 B1 KR 10216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machine
cover body
cover
support frame
m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식
Original Assignee
이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식 filed Critical 이유식
Priority to KR102020004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기의 주축대에 설치된 커버체를 작업공간까지 하강시키는 행위만으로 비드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밀링기가 자동으로 즉시 가동되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신속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뿐 아니라, 커버체의 하강 위치가 세밀하게 조절되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삭재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밀링바디(110)와 피삭재을 가공하는 주축대(120) 및 주축(130)으로 이루어진 범용밀링기에 설치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면서 주축대(120)의 정면에서 좌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부(20);와, 승강부에 결합되어 동반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밀링바디(110)의 작업공간 차폐여부를 결정하는 커버체(30);와, 커버체에서 수평방향 설치되고, 좌우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지지프레임에 결부되어 승하강된 커버체를 위치구속시키는 락킹유닛(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A milling machine's semi-automatic protector}
본 발명은 밀링기용 커버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밀링기의 주축대에 설치된 커버체를 작업공간까지 하강시키는 행위만으로 비드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밀링기가 자동으로 즉시 가동되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신속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뿐 아니라, 커버체의 하강 위치가 세밀하게 조절되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밀링기라 함은 원판 위의 절삭공구를 회전시켜서 금속 표면을 평탄하게 절삭가공하는 장치로써 종래의 밀링기는 피삭재 가공시 밀링커터의 회전에 의해 피삭재로부터 발생한 비드가 사방으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화상을 일으킴과 더불어 비산하는 비드가 시야를 가려 피삭재의 정밀가공이 불가능해짐으로써 가공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각고의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물 중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4-027211호 "밀링머신의 칩 비산방지 커버"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하는 기술은 고정테와 커버 및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되, 고정테의 일측에는 조임부를 형성하고 고정체의 하방으로는 다수의 지지대를 부착시켜 해당 지지대의 하단에 도넛 형상의 커버를 수평으로 부착시킨 구조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은 밀링커터와 함께 회전되며 밀링커터로부터 비산되는 비드를 커버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커버를 기준으로 더이상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손과 안면을 적극적으로 보호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밀링커터와 함께 회전하는 커버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커버의 크기는 최소화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비드 방지의 효율을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1614호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연동식 방호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주축대의 일측에 기동레버와 주축을 가진 범용밀링머신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일단은 기동레버의 회동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바와 연동되게 결합된 링크편으로 구성되는 조작부와, 상기 슬라이드바가 끼움결합된 채 승하강되게 안내하는 가이드케이스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단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장착되어 슬라이드바와 연동되어 승하강되는 방호판을 갖는 방호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호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바의 하강 조작에 연동되어 기동레버가 회동되면서 주축의 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방호부가 하강됨으로써 주축의 밀링커터와 피삭재가 접하는 가공부가 커버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방호장치는 범용밀링머신의 작동 전에 수동조작으로 방호부가 항상 가공보를 커버함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 협착사고 및 피삭재 파편의 비래에 의한 부상사고를 예방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방호부의 승하강 조작을 위해 슬라이드바와 가이드케이스를 가압하는 작동손잡이의 풀림 및 조이는 불편한 행위가 이루지고, 구조적 특성상 정확한 위치에 견고한 위치구속이 불가능하여 사용상 또 다른 위험이 발생할 요지가 된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밀링기용 커버는 비산하는 비드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으나 사용이 불편하고 그 효과가 극히 미비하였다.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간편하여 사용 및 편의성이 제공되고 특히 커버체의 위치구속이 완벽하게 이루어져 안전성이 확보된 밀링기용 가이드 커버 관련 기술사상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실1994-027211호 "밀링머신의 칩 비산방지 커버"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1614호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연동식 방호장치"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밀링기의 작업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밀링가공 중 피삭재로부터 비산하는 비드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 협착사고 및 각종 부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사용성이 뛰어남은 물론, 작업자의 키높이에 맞춰 커버의 위치가 다단으로 조절 가능하여 사용상의 다양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축대에 설치된 커버체를 하강시켜 작업공간의 보호가 확보되는 것과 동시에 밀링기의 구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작업환경이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삭재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밀링바디(110)와 피삭재을 가공하는 주축대(120) 및 주축(130)으로 이루어진 범용밀링기에 설치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면서 주축대(120)의 정면에서 좌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부(20);와, 승강부에 결합되어 동반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밀링바디(110)의 작업공간 차폐여부를 결정하는 커버체(30);와, 커버체에서 수평방향 설치되고, 좌우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지지프레임에 결부되어 승하강된 커버체를 위치구속시키는 락킹유닛(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설정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11)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30)는 승하강 후 락킹유닛(40)을 해당하는 위치와 근접하게 마련된 고정공(11)에 삽입하여 위치 구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30)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슬롯(31)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유닛(40)은 커버체의 정면에서 슬롯(31)에 관통설치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41);과, 커버체의 배면으로 노출된 핸들의 양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입설블록(42);과, 입설블록의 사이마다 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43);과, 입설블록과 브라켓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핸들의 좌우 조작에 따라 수평방향의 위치 전환이 이루어지는 고정봉(44);과, 입설블록과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수평 이동된 고정봉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어느 하나의 측면에 볼플랜저(5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20)는 볼플랜저와 마주하는 면에 고정공(11)과 동일한 간격으로 걸림공(21)이 복수 형성되어 승강부의 승하강시 볼플랜저와 걸림공의 조합으로 다단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단부의 어느 일면을 외향으로 연장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제1접촉부(12) 및 제1접촉부 상단에 설치되는 밀링기 구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20)는 제1접촉부(12)와 동일선상의 상단부에 외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제2접촉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22)는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1접촉부에 구비된 구동스위치를 가압시켜 밀링기의 구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밀링기의 작업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밀링가공 중 피삭재로부터 비산하는 비드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 협착사고 및 각종 부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주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밀링기에 설치가 용이하고 핸들의 간편 조작으로 커버체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에 따라 사용성이 우수함은 물론, 락킹유닛과 볼플랜저의 조합으로 작업자의 키높이에 맞춰 커버의 다단 위치조절이 이루어져 사용상의 다양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축대에 설치된 커버체를 하강시켜 작업공간의 보호가 확보됨과 동시에 승강부의 제2접촉부가 지지프레임의 제1접촉부에 구비된 밀링기 구동스위치를 가압함으로써 밀링기의 구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작업환경이 제공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밀링기에 설치된 가이드커버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사용과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승강부의 다단 위치이동을 위한 볼플랜저의 구조와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및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가이드커버가 설치된 밀링기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밀링기용 커버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밀링기의 주축대에 설치된 커버체를 작업공간까지 하강시키는 행위만으로 비드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밀링기가 자동으로 즉시 가동되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신속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뿐 아니라, 커버체의 하강 위치가 세밀하게 조절되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에 관련된 기술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밀링기에 설치된 가이드커버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가이드커버(1)가 설치되는 장치는 피삭재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밀링바디(110)와 피삭재을 가공하는 주축대(120) 및 주축(130)으로 이루어진 범용밀링기이고, 도면 역시 범용밀링기를 바탕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 중 하나일 뿐 범용밀링기에 국한되어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커버(1)는 크게 밀링기 주축대(120)에 결부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승하강 위치 가변되는 승강부(20);와, 승강부에 결부되어 함께 승하강 위치 가변되면서 밀링기의 작업공간을 차폐하는 커버체(30);와, 승하강된 커버체의 위치를 구속하는 락킹부재(4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커버(1)는 밀링기의 주축대(12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가이드커버(1)는 최초 주축대(120)에 배치되어 있다가 작업공간에 피삭재를 고정시킨 후 커버체(30)에 구비된 핸들(41)을 조작하여 커버체를 주축(130)까지 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1)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커버(1)는 주축대(120)의 정면에서 좌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부(20);와, 승강부에 결합되어 동반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밀링바디(110)의 작업공간 차폐여부를 결정하는 커버체(30);와, 커버체에서 수평방향 설치되고, 좌우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지지프레임에 결부되어 승하강된 커버체를 위치구속시키는 락킹유닛(40);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10)은 상하 내통된 사각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좌우 설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주축대(120)의 정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배면 상측에 주축대(120)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연결바(10a)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는 저면측으로 확장된 좌우 한쌍의 브라켓이 주축대의 좌우 양측에 결부되면서 결과적으로 지지프레임(10)을 밀링기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바(10a)의 브라켓은 주축대(120)에 고정하는 결합홀(10a-1)과 결합홀을 기준으로 설정각도 회동되게 하는 반원형태의 회동슬롯(10a-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좌우 한쌍 중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 내측면에 복수개의 고정공(11)이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20)는 지지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위치 가변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의 내부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고정공(11)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의 일면과 마주하는 승강부(20)의 일면 하단에는 고정공과 대응하는 크기의 끼움공(2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체(30)는 승강부(20)의 정면에 볼트 결합된다. 한편, 지지프레임(10)은 정면을 절개하여 상기 볼트가 승강부(2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할 때 지지프레임에 간섭되는 것을 차단함과 더불어 정확한 상하 수직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도모한다.
상기 커버체(30)는 사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좌우 이격배치된 한쌍의 지지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된 승강부(2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체(30)는 밀링기의 작업공간 정면을 차폐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 스틸로 이루어져도 되지만 작업자의 시야확보를 위해 아크릴판 같은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락킹유닛(40)은 커버체의 정면에서 슬롯(31)에 관통설치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41)과, 커버체의 배면으로 노출된 핸들의 양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입설블록(42)과, 입설블록의 사이마다 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43)과, 입설블록과 브라켓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핸들의 좌우 조작에 따라 수평방향의 위치 전환이 이루어지는 고정봉(44);과, 입설블록과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수평 이동된 고정봉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체(30)의 상단부에는 설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슬롯(31)이 관통 형성된다. 해당 슬롯(31)에 핸들(41)이 관통 설치되어 파지부는 커버체의 정면에 배치되고, 핸들의 양측 단부는 커버체의 배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커버체(30)의 배면으로 노출된 핸들(41)의 양단부에는 각각 슬롯(31)에 비해 확장된 지름을 가진 입설블록(42)이 결합되어 핸들이 슬롯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당연하겠지만 상기 입설블록(42)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핸들과 함께 슬롯(31)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커버체(30)의 배면에는 입설블록(42)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한쌍의 브라켓(43)이 더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브라켓(43)은 입설블록(42)의 좌측방향마다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입설블록(42)과 브라켓(43)은 동일한 수평선상에 천공이 형성되어 고정봉(4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44)은 입설블록(42)에 고정되며, 핸들(41)의 수평 조작에 따라 입설블록과 함께 좌우 슬라이딩하면서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11) 중 어느 하나에 진입한 후 최종적으로 승강부(20)의 끼움공(23)에 안착됨에 따라 승강부와 커버체의 승강 위치를 구속한다.
상기 스프링(45)은 고정봉(44)에 삽입되되, 상기 입설블록(42)과 브라켓(43) 사이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45)은 그 인장력으로 핸들(41)과 고정봉(44)을 상시 지지프레임(10)의 고정공(11)으로 유도하여 커버체(30)를 위치 구속시키고, 작업자가 핸들을 잡아당겨 고정봉을 고정공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커버체를 승강 또는 하강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핸들을 놓았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고정봉이 해당 위치에 근접한 고정공으로 자동 진입하여 커버체의 위치를 구속시키게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사용과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용커버(1)는 승강부(20)가 지지프레임(10)의 상측으로 최대한 승강된 상태로 커버체(30)가 작업공간의 상부 즉 주축대(120)에 배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커버체(30)와 락킹유닛(40)은 지지프레임(10)의 가장 상단에 형성된 고정공(11)에 끼움된 상태로 준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커버체(30)의 정면에 구비된 핸들(41)을 파지한 후 우측방향으로 밀면 지지프레임(10)의 고정공(11)에 삽입되었던 고정봉(44)이 이탈하고, 동시에 브라켓(43)과 입설블록(42)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45)이 수축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공(11)으로부터 고정봉(44)의 이탈을 유지한 상태로 핸들(41)을 아래로 당기면 승강부(20)와 커버체(30)가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하강이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커버체가 도달할 경우 당기고 있던 핸들(41)을 놓음과 동시에 수축되었던 스프링(45)에 복원력이 발생하면서 고정봉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11)으로 고정봉이 삽입된다.
한편, 도 7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지지프레임(10)과 승강부(20)의 상단을 보면 서로 접지되는 지지프레임의 제1접촉부(12)와, 승강부의 제2접촉부(2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단부의 어느 일면을 외향으로 연장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제1접촉부(12) 및 제1접촉부 상단에 설치되는 밀링기 구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20)는 제1접촉부(12)와 동일선상의 상단부에 외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제2접촉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접촉부(22)는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1접촉부에 구비된 구동스위치를 가압시켜 밀링기의 구동을 유발한다.
도 8은 승강부의 다단 위치이동을 위한 볼플랜저의 구조와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어느 하나의 측면에 볼플랜저(5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20)는 볼플랜저와 마주하는 면에 고정공(11)과 동일한 간격으로 걸림공(21)이 복수 형성된다.
상기 볼플랜저(50)는 승강부(20)의 승하강시 걸림공(21)마다 볼플랜저가 걸림되어 다단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밀링기의 작업공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밀링가공 중 피삭재로부터 비산하는 비드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 협착사고 및 각종 부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밀링기에 설치가 용이하고 핸들의 간편 조작으로 커버체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에 따라 사용성이 우수함은 물론, 락킹유닛과 볼플랜저의 조합으로 작업자의 키높이에 맞춰 커버의 다단 위치조절이 이루어져 사용상의 다양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주축대에 설치된 커버체를 하강시켜 작업공간의 보호가 확보됨과 동시에 승강부의 제2접촉부가 지지프레임의 제1접촉부에 구비된 밀링기 구동스위치를 가압함으로써 밀링기의 구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작업환경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11. 고정공
12. 제1접촉부
20. 승강부 21. 걸림공
22. 제2접촉부 23. 끼움공
30. 커버체 31. 슬롯
40. 락킹유닛 41. 핸드
42. 입설블록 43. 브라켓
44. 고정봉 45. 스프링
50. 볼플랜저

Claims (5)

  1. 피삭재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밀링바디(110)와 피삭재을 가공하는 주축대(120) 및 주축(130)으로 이루어진 범용밀링기에 있어서,
    주축대(120)의 정면에서 좌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10);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부(20);
    승강부에 결합되어 동반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밀링바디(110)의 작업공간 차폐여부를 결정하는 커버체(30);
    커버체에서 수평방향 설치되고, 좌우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지지프레임에 결부되어 승하강된 커버체를 위치구속시키는 락킹유닛(40);
    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설정 간격마다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11)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30)는 승하강 후 락킹유닛(40)을 해당하는 위치와 근접하게 마련된 고정공(11)에 삽입하여 위치 구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체(30)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슬롯(31)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유닛(40)은,
    커버체의 정면에서 슬롯(31)에 관통설치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41);
    커버체의 배면으로 노출된 핸들의 양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입설블록(42);
    입설블록의 사이마다 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43);
    입설블록과 브라켓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핸들의 좌우 조작에 따라 수평방향의 위치 전환이 이루어지는 고정봉(44);
    입설블록과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수평 이동된 고정봉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4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어느 하나의 측면에 볼플랜저(5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20)는 볼플랜저와 마주하는 면에 고정공(11)과 동일한 간격으로 걸림공(21)이 복수 형성되어 승강부의 승하강시 볼플랜저와 걸림공의 조합으로 다단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단부의 어느 일면을 외향으로 연장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제1접촉부(12) 및 제1접촉부 상단에 설치되는 밀링기 구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20)는 제1접촉부(12)와 동일선상의 상단부에 외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제2접촉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22)는 승강부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1접촉부에 구비된 구동스위치를 가압시켜 밀링기의 구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KR1020200042548A 2020-04-08 2020-04-08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KR10216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48A KR102169351B1 (ko) 2020-04-08 2020-04-08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48A KR102169351B1 (ko) 2020-04-08 2020-04-08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351B1 true KR102169351B1 (ko) 2020-10-23

Family

ID=7303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548A KR102169351B1 (ko) 2020-04-08 2020-04-08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921A (zh) * 2020-11-05 2022-05-06 苏州锴之誉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铣床的防撞刀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494A (en) * 1984-05-14 1985-11-12 Wix Douglas R Safety shield for drill press
KR940027211A (ko) 1993-05-31 1994-12-10 김광호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030021614A (ko) 2001-09-07 2003-03-15 장우영 광고 관리 시스템
KR20040087404A (ko) * 2003-04-07 2004-10-14 한국산업안전공단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연동식 방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494A (en) * 1984-05-14 1985-11-12 Wix Douglas R Safety shield for drill press
KR940027211A (ko) 1993-05-31 1994-12-10 김광호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030021614A (ko) 2001-09-07 2003-03-15 장우영 광고 관리 시스템
KR20040087404A (ko) * 2003-04-07 2004-10-14 한국산업안전공단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연동식 방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921A (zh) * 2020-11-05 2022-05-06 苏州锴之誉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铣床的防撞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49134A (en) Saw and dado guard
EP0502350B1 (en) Circular saw arrangement
KR102169351B1 (ko) 비드의 비산을 방지하는 밀링기용 가이드커버의 구조
EP3408059B1 (en) A work bench
KR20200065266A (ko) 절삭용 기계장치의 헤드 안전 커버 및 헤드 안전 커버가 구비된 절삭용 기계 장치
US4043701A (en) Safety shield assembly
US3476161A (en) Tool guide support and saw guard
EP2591898B1 (en) Chop saw with top table
CN117123813A (zh) 一种移动式的法兰端面车削设备
WO2017103806A1 (en) System for coupling safety apparatuses to machines
DE202018102266U1 (de) Schutzvorrichtung für Tischkreissägen
US6857347B1 (en) Safety guard for band saws
KR100516225B1 (ko)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연동식 방호장치
KR100497542B1 (ko) 범용밀링머신용 자동연동식 방호장치
KR20040087401A (ko)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식 방호장치
GB2580786A (en) Work bench
KR200326866Y1 (ko) 범용밀링머신용 수동연동식 방호장치
CN219633276U (zh) 一种操作间防护结构以及机床
CN213115421U (zh) 一种工程机械维修工作架
CN218397230U (zh) 一种新型切割机活动护罩
CN211044811U (zh) 一种教学用机械加工装置
KR200320205Y1 (ko) 범용밀링머신용 자동연동식 방호장치
US20060130608A1 (en) Articulated machine guard
KR200361930Y1 (ko) 산업기기용 안전커튼
US20220379366A1 (en) B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Workpiece By Means Of A B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