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234B1 -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234B1
KR102169234B1 KR1020190031261A KR20190031261A KR102169234B1 KR 102169234 B1 KR102169234 B1 KR 102169234B1 KR 1020190031261 A KR1020190031261 A KR 1020190031261A KR 20190031261 A KR20190031261 A KR 20190031261A KR 102169234 B1 KR102169234 B1 KR 102169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terior
fabric
interior material
manufactur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500A (ko
Inventor
심영수
Original Assignee
심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수 filed Critical 심영수
Priority to KR102019003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2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55/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23/00 - B32B233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합성수지를 융해한 후 압출을 통해 실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실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직물을 준비된 기초판에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건물 내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ND A BUILDING INTERIOR MATERIAL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ASA수지 및 각종 기능성 재료 기반의 실로 제조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용이성 및 난연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체의 내부면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겸하는 재료인 건물 내장재는 건축물 내부공간의 기능과 요구되는 각종 성능을 충족시키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기 위한 소재로서, 풍우, 한서, 일사, 불, 열, 소음의 차단구실을 한다.
이러한 건물 내장재는 그 공법과 사용재료에 따라 구조체 자체로서 내장을 겸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구조와는 별도로 붙이거나 발라 마무리한다.
이때 대부분 각종 소재로 된 판형재료가 주가 되어 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은 내구성·질감·촉감 등 각종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테면, 통상적인 판 혹은 보드형 건물 내장재는 일정한 크기의 패널 모양, 즉 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벽이나 천정 등에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건물 내장재 제조를 위해 폴리염화비닐(PVC)을 사용하였으나(한국등록특허 제10-0600065호 참조), PVC는 열에 의해 분해되며 분해 시 염화수소(HCL)와 시안화수소(HCN) 등 유독가스가 대량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PVC를 사용한 건물 내장재는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불연 성능이 없어 화재 발생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이고 불연 성능을 가지며 제조가 용이한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ASA수지 및 각종 기능성 재료 기반의 실로 제조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용이성 및 난연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합성수지를 융해한 후 압출을 통해 실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실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직물을 준비된 기초판에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건물 내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이고 불연 성능을 가지며 제조가 용이한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가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가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단계(S10), 준비된 합성수지를 융해한 후 압출을 통해 실을 제조하는 단계(S20), 제조된 실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S30) 및 제조된 직물을 준비된 기초판에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건물 내장재를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단계(S10)는, 직물(10)을 제조하기 위한 실의 재료인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합성수지는 ASA수지일 수 있으며, ASA수지는 i)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ii)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55~98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2~45중량%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시안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고무 20~50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20~65중량%, 비닐시안 단량체 15~30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위 공중합체의 성분들이 전술한 범위로 혼합됨에 따라 ASA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직물(10)은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다. 따라서, 직물(10)은 기초판(20)과의 접착성도 우수해지는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초판(2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아울러, 알킬아크릴레이트계 고무는 평균입경이 100~500nm일 수 있다.
다만, ASA수지를 이루는 공중합체의 조성비, 공중합체의 성분 및 물성은 전술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합성수지로 ASA수지를 설명했으나 제조 환경 및 요구하는 기능에 따라 다른 합성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준비된 합성수지를 융해한 후 압출을 통해 실을 제조하는 단계(S20)는, 직물(10)을 제조할 재료인 실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합성수지로 ASA수지를 이용할 경우, ASA수지는 압출기의 수지 공급부로 투입된 후 융해될 수 있으며, 융해된 ASA수지는 압출 과정을 통해 실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융해된 합성수지가 실로 제조되기 전에 융해된 합성수지에 기능성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기능성 재료는 난연성, 불연성, 난변색성, 발수성 및 친환경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출기에는 수지 공급부와는 별도로 기능성 재료 공급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기능성 재료 공급부에 원하는 기능성 재료를 투입하여 융해된 합성수지에 기능성 재료를 부가할 수 있다.
이렇게, 기능성 재료를 부가함으로써 후에 제조될 직물(10)에 특정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불연성능을 가지는 기능성 재료가 부가될 경우 불연성능을 가지는 건물 내장재(30)가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실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건물 내장재(30)의 표면을 이루는 구성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융해 및 압출을 통해 ASA수지로 실을 제조한 후에 실을 직물가공기에 투입하여 직물(10)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직물을 준비된 기초판에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건물 내장재를 제조하는 단계(S40)는, 최종적으로 건물 내장재(30)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직물(10)을 제조한 후에, 준비된 기초판(20)에 접합하게 되는데, 이때 열 및 압력을 이용하는 라미네이팅 방식이 아닌 열을 사용하는 열융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준비된 기초판(20)이 직물(10)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합성수지로 제조될 경우, 예를 들어 ASA수지 기반으로 직물(10) 및 기초판(20)을 제조하여 직물(10) 및 기초판(20)이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을 경우, 라미네이팅 방식이 아닌 열융착 방식으로 직물(10) 및 기초판(20)의 안정적인 접합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직물(10)을 기초판(20)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열융착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접합 공정이 단순해지고 좀 더 효율적으로 건물 내장재(3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다시 도 2 및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를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가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장재(30)는 전술한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기초판(20) 및 직물(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판(20)은 ASA수지 기반의 판 내지 보드 형상일 수 있으며, 즉 ASA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기초판(20)은 건물의 내부에 직물(10)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직물(10)을 바로 건물의 내부에 부착하는 대신에 직물(10)이 접합된 기초판(20)을 건물의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 과 같이, 건물의 욕실 내부에 직물(10) 및 기초판(20)으로 구성된 건물 내장재(30)를 부착할 수 있다.
직물(10)은 기초판(20)에 접합되며, ASA수지 및 기능성 재료로 이루어진 실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직물(10)은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짜인 어떤 넓이의 평면체가 된 천을 말한다.
이때, ASA수지는 i)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ii)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지고, 기능성 재료는 난연성, 불연성, 난변색성, 발수성 및 친환경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직물 20: 기초판
30: 건물 내장재

Claims (5)

  1. 합성수지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합성수지를 융해한 후 압출을 통해 실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실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직물을 준비된 기초판에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건물 내장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상기 합성수지는 ASA수지이고, 상기 기초판도 ASA수지로 제조되어,
    상기 직물 및 기초판은 동일한 재질을 기반으로 하고,
    상기 ASA수지는 i)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ii)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진 것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고무 20~50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20~65중량%, 비닐시안 단량체 15~30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되어 이루어진 것인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융해된 상기 합성수지에 기능성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재료는 난연성, 불연성, 난변색성, 발수성 및 친환경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가지는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기재된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물 내장재로서,
    상기 건물 내장재는,
    ASA수지 기반의 기초판; 및
    상기 기초판에 접합되며, 상기 ASA수지 및 기능성 재료로 이루어진 실로 형성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ASA수지는 i) 알킬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ii)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용융혼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능성 재료는 난연성, 불연성, 난변색성, 발수성 및 친환경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가진 것인 건물 내장재.
KR1020190031261A 2019-03-19 2019-03-19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KR10216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61A KR102169234B1 (ko) 2019-03-19 2019-03-19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261A KR102169234B1 (ko) 2019-03-19 2019-03-19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00A KR20200111500A (ko) 2020-09-29
KR102169234B1 true KR102169234B1 (ko) 2020-10-23

Family

ID=7266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261A KR102169234B1 (ko) 2019-03-19 2019-03-19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2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1129A1 (en) * 2013-01-15 2014-07-24 Arkema France Multilayer composite composition,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article obtained thereof
KR101961866B1 (ko) * 2015-12-30 2019-03-26 세원정공 주식회사 내후성이 우수한 2층 구조의 수지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00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0810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54758B2 (ja)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70410A1 (en) Fire-resistant board
KR102169234B1 (ko) 건물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물 내장재
CN106381717A (zh) 多功能户外发泡涂层材料以及制备方法
KR101025303B1 (ko)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KR200414348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CN101044288B (zh) 吸音织物
JP2018084097A (ja) ガラスクロス複合不燃シー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建築物
CN207544854U (zh) 一种阻燃隔音避光窗帘布
CN202128277U (zh) 一种编织复合地毯
DE60125556D1 (de) Flammwidrige Zusammensetzung
JPH0266251A (ja) 硬質屋根材用光透過性構成部材及びその製造法
JP2004025586A (ja) 熱線遮断性フッ素樹脂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屋根材
JP2001030440A (ja) 膜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65232B1 (ko) 준불연성 인테리어 장식물
JP2017020295A (ja) 吸音膜材
CN215166696U (zh) 一种复合型多功能的保温玄岩板
CN220075782U (zh) 一种防水阻燃纺织面料
KR100947216B1 (ko) 단순 구조의 카펫 타일
CN215662196U (zh) 一种难燃烧壁纸
CN210733472U (zh) 一种隔热阻燃板材
CN215211645U (zh) 一种阻燃效果强的保温板
CN211251572U (zh) 一种双面夹层型阻燃面料
CN215620495U (zh) 一种耐高温防粘复合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