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104B1 -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104B1
KR102169104B1 KR1020190067149A KR20190067149A KR102169104B1 KR 102169104 B1 KR102169104 B1 KR 102169104B1 KR 1020190067149 A KR1020190067149 A KR 1020190067149A KR 20190067149 A KR20190067149 A KR 20190067149A KR 102169104 B1 KR102169104 B1 KR 10216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device
steel frame
detection sensor
roller
transf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재복
Original Assignee
여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재복 filed Critical 여재복
Priority to KR102019006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91Speed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볍고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해,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정 핀을 활용한 체결 및 분리로 길이 조절이 간편하여 다양한 용도의 수레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 속도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roller carpet based on steel frame with exelerating conveyer}
본 발명은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볍고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해,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정 핀을 활용한 체결 및 분리로 길이 조절이 간편하여 다양한 용도의 수레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안정적인 이송 속도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인을 따라 운반되는 물품은 일반적으로 벨트형 콘베이어에 적재시켜 이송시키게 되는데, 무거운 밧데리 등을 운반할 경우에는 일일이 밀어주어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벨트형 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물품은 직선구간용과 각도가 있는 구간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벨트형으로 사용시 회전형 구간에서는 구성의 설치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회전 각이 어려운 벨트형 콘베이어가 아닌 각 롤러의 길이에 따라 회전 및 상하 구간에 대한 제어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하도록 롤러형 이송수단인 롤러형 콘베이어를 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롤러형 콘베이어는 전체의 프레임에 복수의 롤러를 형성함으로써, 무겁고 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해, 조립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어 왔다.
또한, 평면, 단턱, 오르막길, 내리막길 등에 상관없이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을 확보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개발의 필요성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410926호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볍고 이동이 편리하고분해,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정 핀을 활용한 체결 및 분리로 길이 조절이 간편하여 다양한 용도의 수레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 속도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연결 구성부에 따라 스틸 프레임의 구조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평면, 단턱, 오르막길, 내리막길 등에 상관없이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 속도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 제 1 구동 모터인 구동 모터부(310), 제 2 구동 모터인 제어 모터부(320), 센서모듈(400), 제어부(500), 송수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로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8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제어부(500)는, 네트워크(700)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한 뒤,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의한 물품에 대한 이송 명령을 수신한 뒤, 센서모듈(400)을 구성하며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상부로 물품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에 따른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속도를 획득하여 획득된 회전속도에 따라 제 1 주동롤러(212)와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모듈(510); 및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의 길이값에 따른 물품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제 2 벨트부(221)로의 도달 시간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획득한 뒤, 획득된 도달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센서모듈(400)을 구성하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에서 제 2 텐션롤러(223)에 형성된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는, 환형의 제 1 벨트부(211), 제 1 벨트부(211)를 회송시키는 제 1 주동롤러(212), 제 1 벨트부(211)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1 텐션롤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서 보다 이격된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인 물품이 진입하는 위치에 제 1 주동롤러(212)가 형성되며, 제 1 주동롤러(212)에 대해서 제 1 벨트부(212)를 중심으로 그 반대 끝단에는 제 1 텐션롤러(213)가 위치하며, 제 1 주동롤러(212)가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는, 환형의 제 2 벨트부(221), 제 2 벨트부(221)를 회송시키는 제 2 주동롤러(222), 제 2 벨트부(221)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2 텐션롤러(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서 보다 이격된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인 물품이 배출되는 위치에 제 2 텐션롤러(223)가 형성되며, 제 2 텐션롤러(223)에 대해서 제 2 벨트부(221)를 중심으로 그 반대 끝단에는 제 2 텐션롤러(223)가 위치하며, 제 2 주동롤러(222)가 제어 모터부(320)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달 시간의 획득시, 구동 제어모듈(5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 속도 정보에 따라 물품을 전방으로 이송시킨 뒤,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물품의 중량만큼 감소된 시점에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속도 측정값을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이 네트워크(600)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로 전송하여 회전속도 측정값, 그리고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각각의 길이, 넓이, 높이 정보과 매칭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가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도달 시간이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에 의해 추출되면, 추출된 도달 시간 정보를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이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방법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 제 1 구동 모터인 구동 모터부(310), 제 2 구동 모터인 제어 모터부(320), 센서모듈(400), 제어부(500), 송수신부(600)를 포함하며, 외부로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8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를 기반으로 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500)가 네트워크(700)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한 뒤,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의한 물품에 대한 이송 명령을 수신한 뒤, 센서모듈(400)을 구성하며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상부로 물품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에 따른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속도를 획득하여 획득된 회전속도에 따라 제 1 주동롤러(212)와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하는 제 1 단계; 및 제어부(500)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의 길이값에 따른 물품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제 2 벨트부(221)로의 도달 시간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획득한 뒤, 획득된 도달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센서모듈(400)을 구성하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에서 제 2 텐션롤러(223)에 형성된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가볍고 이동이 편리하고 분해,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고정 핀을 활용한 체결 및 분리로 길이 조절이 간편하여 다양한 용도의 수레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 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각 연결 구성부에 따라 스틸 프레임의 구조를 다르게 제공함으로써,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의 동력을 받아 평면, 단턱, 오르막길, 내리막길 등에 상관없이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의 길이에 따른 안정적인 이송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 그리고 시스템 제어를 위한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의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의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의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의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2)에 사용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가 복열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각 단위 프레임(110u)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 그리고 시스템 제어를 위한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 제 1 구동 모터인 구동 모터부(310), 제 2 구동 모터인 제어 모터부(320), 센서모듈(400), 제어부(500), 송수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로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800),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는 스틸 프레임(110) 및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틸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스틸 재질로 형성되며,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는 원통형으로 ABS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틸 프레임(110)은 강한 외력에 의해서도 깨지지 않고,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복구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게 사용하실 수 있으며, 각 단위 프레임(110u) 간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며 고정 핀(10) 및 핀 고정단(20)의 연결로 쉽게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핀(10)은 볼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핀 고정단(20)은 너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한편, 스틸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을 원하는 길이만큼 고정 핀(10) 및 핀 고정 핀 고정단(20)로 연결한 뒤, 각 단위 프레임(110u) 중앙 영역의 상단으로 회전축 고정 너트(30)를 활용하여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양측 회전단의 끝단을 고정함으로써,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회전축이 양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틸 프레임(110)은 2 내지 3m의 길이로 형성되며 복수의 스틸 프레임(110)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는 각각 1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는 환형의 제 1 벨트부(211), 제 1 벨트부(211)를 회송시키는 제 1 주동롤러(212), 제 1 벨트부(211)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1 텐션롤러(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서 보다 이격된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인 물품이 진입하는 위치에 제 1 주동롤러(212)가 형성되며, 제 1 주동롤러(212)에 대해서 제 1 벨트부(212)를 중심으로 그 반대 끝단에는 제 1 텐션롤러(213)가 위치하며, 제 1 주동롤러(212)가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도 환형의 제 2 벨트부(221), 제 2 벨트부(221)를 회송시키는 제 2 주동롤러(222), 제 2 벨트부(221)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2 텐션롤러(2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서 보다 이격된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인 물품이 배출되는 위치에 제 2 텐션롤러(223)가 형성되며, 제 2 텐션롤러(223)에 대해서 제 2 벨트부(221)를 중심으로 그 반대 끝단에는 제 2 텐션롤러(223)가 위치하며, 제 2 주동롤러(222)가 제어 모터부(320)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모듈(400)은 중량 감지 센서(410), 속도 감지 센서(420)를 포함하며, 중량 감지 센서(410)는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 및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를 구비하며, 속도 감지 센서(420)는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 및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구동 제어모듈(510),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 목적지 조건 감지 모듈(530), 속도 제어 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모듈(510)은 네트워크(700)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한 뒤,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의한 물품에 대한 이송 명령을 수신한다.
물품에 대한 이송 명령을 수신한 구동 제어모듈(510)은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상부로 물품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에 따른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속도를 획득하여 획득된 회전속도에 따라 제 1 주동롤러(212)와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하면서,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 토크를 제 1 단계부터 제 p 단계(p는 양의 정수 또는 음의 정수)로 획득된 회전속도로 수렴하도록 단계적으로 제어하면서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텐션롤러(213)의 회전속도 측정값을 수신하여 연산된 회전속도로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진행방향 끝단부에 형성된 제 1 텐션롤러(213)의 상부위치로 물품이 최종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제어모듈(510)이 수행하는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로부터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에 따른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속도를 연산하는 것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 도 4a, 도 5a, 도 6a와 같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가 각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동 제어모듈(510)은 네트워크(700)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로 액세스하여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을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그리고 물품에 대한 중량 측정값을 전송한 뒤,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로부터 네트워크(600)를 통해 최적의 회전 속도 정보를 반환받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b, 도 4b, 도 5b, 도 6b와 같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가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구동 제어모듈(510)은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로부터 네트워크(600)를 통해 최적의 회전 속도 정보를 반환받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그리고 물품의 구분범위 별로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데이터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그리고 물품의 구분범위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하게 근사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에 저장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그리고 물품의 구분범위, 그리고 각 물품의 중량 측정값에 따른 회전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3b, 도 4b, 도 5b, 도 6b와 같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가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도 정보 그리고 물품의 구분범위 별로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파라미터 데이터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도 정보, 그리고 물품의 구분범위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하게 근사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회전 속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에 저장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 길이, 넓이, 높이 정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각도 정보, 그리고 물품의 구분범위, 그리고 각 물품의 중량 측정값에 따른 회전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는 각 파라미터 별로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각 파라미터 데이터와 대칭되게 전송된 각 파라미터 데이터 간의 매칭 또는 매칭되지 않음을 각각 점수로 생성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매칭 점수의 총합을 각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대한 추출 여부를 분석하고, 각 추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대해서 다른 수많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의 평균 매칭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매칭도를 갖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의 파라미터 데이터 중 평균 매칭도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다른 수많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한 학습을 통해 학습한 결과로 다른 수많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보다 높은 특징 데이터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대한 추출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는 각 파라미터 데이터별 유사 또는 동일 상태 여부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900)는 머신러닝 이후 정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와 다른 유사 또는 동일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대해서 딥러닝을 통해 각 파라미터 데이터별로 패턴 데이터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각 소요시간의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패턴 정형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의 길이값에 따른 물품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제 2 벨트부(221)로의 도달 시간을 획득한 뒤, 획득된 도달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 및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달 시간의 획득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 제어모듈(5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 속도 정보에 따라 물품을 전방으로 이송시킨 뒤,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물품의 중량만큼 감소된 시점에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속도 측정값을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이 네트워크(600)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로 전송하여 회전속도 측정값, 그리고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각각의 길이, 넓이, 높이 정보과 매칭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가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도달 시간이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에 의해 추출되면, 추출된 도달 시간 정보를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이 반환받을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이 도달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은 상술한 회전 속도 정보 추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목적지 조건 감지 모듈(530)은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2 중량 감지 센서(421)에 의해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상부로 물품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 그리고 제 2 텐션롤러(223)에 형성된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로부터 물품의 외력에 의해 제 2 벨트부(221)로 유입에 따라 제 2 텐션롤러(223)의 회전속도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속도 제어 모듈(540)은 제 2 텐션롤러(223)의 회전속도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치에 미달하는지 여부,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제 2 텐션롤러(223)의 회전속도 측정값은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끝단에서 안정적으로 이송 속도를 확보하기 위해 설정된 제 1 임계치 이상 제 2 임계치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후, 속도 제어 모듈(540)은 제 1 임계치에 미달하는 경우, 제어 모터부(320)를 정방향(F1)으로 제 1 임계치와 회전속도 측정값 간의 차이값에 비례하는 제 1 내지 제 n 단계별 회전값(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따라 제 2 주동롤러(222)와 회전축이 연결된 제어 모터부(32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속도 제어 모듈(540)은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모터부(320)를 역방향(F2)으로 회전속도 측정값과 제 2 임계치 간의 차이값에 비례하는 제 1 내지 제 m 단계별 회전값(m은 n과 같거나 다른 2 이상의 자연수)에 따라 제 2 주동롤러(222)와 회전축이 연결된 제어 모터부(32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속도 제어 모듈(540)은 물품의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에서의 초기 속도에 따라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거쳐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로 도달시의 센싱값에 따라 물품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진행방향의 끝단에서의 예상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물품이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를 거쳐 다시 다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거쳐 이송로를 따라 진행하는 속도를 제어하거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진행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물품 트레이로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의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스틸 프레임(110)의 각 단위 프레임(110u)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8a를 참조하면, 스틸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은 중앙단(121), 전방 돌출단(122), 후방 돌출단(123),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단(121)은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핀 보조홀(120a)을 후방 돌출단(123) 방향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중앙단(121) 내에서 구비할 수 있다.
전방 돌출단(122)은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상부면은 제 1 곡률을 갖고 하향하는 곡선형, 하부면은 제 2 곡률을 갖고 상향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핀 통과홀(122a)을 구비함으로써, 전방 핀 통과홀(122a)이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후방 돌출단(123)에 구비된 후방 핀 통과홀(123a)과 포개지는 위치로 후면 및 전면 방향에서 맞닿은 뒤, 고정 핀(10)과 고정 핀 고정단(2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곡률과 제 2 곡률의 곡률비는 1 : 1.13 내지 1.25로 형성되는 것이 바닥면에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설치한 뒤, 상향으로 접어서 보관 또는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시 바닥면과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스틸 프레임(110) 하향으로 접어서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시, 두 개가 통과홀을 중심으로 전면 및 후면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접촉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 간의 고정 핀(10)과 고정 핀 고정단(20)을 통해 고정시의 고정 핀(10) 및 고정 핀 고정단(20)을 중심으로 한 하방 압력과 상방 압력에 의한 균형에 의해 고정력을 극대화시켜서 각도 조절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방 돌출단(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핀 통과홀(123a)을 구비하며, 전방 돌출단(122)과 마찬가지로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상부면은 제 1 곡률을 갖고 하향하는 곡선형, 하부면은 제 2 곡률을 갖고 상향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은 각각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후방 돌출단(123)의 뒷면으로 접촉되며, 또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전방 돌출단(122)의 앞면으로 접촉됨으로써, 각 단위 프레임(110u)의 연속단위로 구성되는 스틸 프레임(110)은 이웃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이 전면과 후면에 수평면상에서 지그재그로 위치함으로써, 각 단위 프레임(110u) 간에 등간격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체결력을 견고하게 하고, 각도 조절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 형상의 중앙단(121)의 상부로는 반원 형상의 패널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축 돌출 홀(120a)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통과한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회전축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이 통과된 외측으로 회전축 고정 너트(30)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회전축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단위 프레임(110u) 중앙 영역의 상단으로 회전축 고정 너트(30)를 활용하여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양측 회전단의 끝단을 고정함으로써,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회전축이 양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8b를 참조하면, 스틸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은 도 4 및 도 8b와 같이 중앙단(121), 전방 돌출단(122), 후방 돌출단(123),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단(121)은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핀 보조홀(120a)을 후방 돌출단(123) 방향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전방 돌출단(122)은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상부면은 하향하는 곡선형, 하부면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핀 통과홀(122a)을 구비함으로써, 전방 핀 통과홀(122a)이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후방 돌출단(123)에 구비된 후방 핀 통과홀(123a)과 포개지는 위치로 후면 및 전면 방향에서 맞닿은 뒤, 고정 핀(10)과 고정 핀 고정단(2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후방 돌출단(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핀 통과홀(123a)을 구비하며,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여 상부면은 하향하는 곡선형, 하부면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은 각각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후방 돌출단(123)의 뒷면으로 접촉되며, 또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전방 돌출단(122)의 앞면으로 접촉됨으로써, 각 단위 프레임(110u)의 연속단위로 구성되는 스틸 프레임(110)은 이웃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이 전면과 후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함으로써, 각 단위 프레임(110u) 간에 등간격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체결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 형상의 중앙단(121)의 상부로는 반원 형상의 패널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축 돌출 홀(120a)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통과한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회전축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이 통과된 외측으로 회전축 고정 너트(30)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회전축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단위 프레임(110u) 중앙 영역의 상단으로 회전축 고정 너트(30)를 활용하여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양측 회전단의 끝단을 고정함으로써,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회전축이 양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8c를 참조하면, 스틸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은 도 3(도 8a) 및 도 4(도 9b)와 동일하게 중앙단(121), 전방 돌출단(122), 후방 돌출단(123),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단(121)은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돌출단(122)은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직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핀 통과홀(122a)을 구비함으로써, 전방 핀 통과홀(122a)이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후방 돌출단(123)에 구비된 후방 핀 통과홀(123a)과 포개지는 위치로 후면 및 전면 방향에서 맞닿은 뒤, 맞닿은 전후면을 각각 고정 핀(10)과 고정 핀 고정단(2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후방 돌출단(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핀 통과홀(123a)을 구비하며,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직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나, 후방 돌출단(123)의 길이가 전방 돌출단(122)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후방 돌출단(123)의 길이를 통해 각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 3(도 8a) 및 도 4(도 8b)의 스틸 프레임(110)은 각 단위 프레임(110u)의 각도 조절을 통해 굴곡이 있는 레일을 형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에 비해 도 5(도 8c)의 스틸 프레임(110)은 직선형의 레일을 형성하데 바닥면에 요철이나 수평이 맞지 않는 곳에서 적합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도 8c)의 스틸 프레임(110)도 도 3(도 8a) 및 도 4(도 8b)4와 동일하게 하나의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은 각각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후방 돌출단(123)의 뒷면으로 접촉되며, 또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전방 돌출단(122)의 앞면으로 접촉됨으로써, 각 단위 프레임(110u)의 연속단위로 구성되는 스틸 프레임(110)은 이웃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후방 돌출단(123)이 전면과 후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한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중앙단(121)의 상부로는 반원 형상의 패널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축 돌출 홀(120a)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통과한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회전축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이 통과된 외측으로 회전축 고정 너트(30)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동일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d을 참조하면, 스틸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은 중앙단(121), 전방 돌출단(122),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단(121)은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핀 보조홀(120a)을 후방 돌출단(123) 방향으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전방 돌출단(122)은 중앙단(121)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여 상부면은 하향하는 곡선형, 하부면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핀 통과홀(122a)을 구비함으로써, 전방 핀 통과홀(122a)이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중앙단(121)에 구비된 핀 보조홀(120a)과 포개지는 위치로 후면 및 전면 방향에서 맞닿은 뒤, 고정 핀(10)과 고정 핀 고정단(2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중앙단(121)은 양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중앙단(121)의 뒷면으로 접촉되며, 또 다른 단위 프레임(110u)의 전방 돌출단(122)의 앞면으로 접촉됨으로써, 각 단위 프레임(110u)의 연속단위로 구성되는 스틸 프레임(110)은 이웃하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단(122) 및 중앙단(121)이 전면과 후면에 지그재그로 위치함으로써, 오밀조밀한 구조에서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돌출 홀(120a) 및 회전축 돌출 홀(120a)을 중심으로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의 체결구조는 도 3 내지 도 5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의 길이가 커질 경우 보관시의 부피와 보관 방법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도 3와 같은 구조의 스틸 프레임(110)을 형성시 각 단위 프레임(110u) 간의 결합을 위해 체결된 수많은 고정 핀(10) 및 핀 고정단(20)을 분해할 필요없이 말아서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는 복열타입으로 3개의 스틸 프레임(110)을 형성하고, 두 개의 스틸 프레임(110)을 이루는 각 단위 프레임(110u)의 회전축 돌출 홀(120a)을 활용하여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를 체결하여 보다 중량 및 부피가 많이 나가는 물품의 이동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은 복열타입을 2열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3열 이상으로 확장되어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100 :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210 :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
220 :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
310 : 구동 모터부
320 : 제어 모터부
400 : 센서모듈
500 : 제어부
600 : 송수신부
700 : 네트워크
800 : 모바일 디바이스
900 : 빅데이터 기반 AI 서버

Claims (7)

  1.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 제 1 구동 모터인 구동 모터부(310), 제 2 구동 모터인 제어 모터부(320), 센서모듈(400), 제어부(500), 송수신부(600)를 포함하며, 외부로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8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센서모듈(400)이 중량 감지 센서(410), 속도 감지 센서(420)를 포함하며, 중량 감지 센서(410)는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 및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를 구비하며, 속도 감지 센서(420)는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 및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네트워크(700)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한 뒤,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의한 물품에 대한 이송 명령을 수신한 뒤,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상부로 물품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에 따른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속도를 획득하여 획득된 회전속도에 따라 제 1 주동롤러(212)와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모듈(510); 및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의 길이값에 따른 물품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제 2 벨트부(221)로의 도달 시간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획득한 뒤, 획득된 도달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에서 제 2 텐션롤러(223)에 형성된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는,
    환형의 제 1 벨트부(211), 제 1 벨트부(211)를 회송시키는 제 1 주동롤러(212), 제 1 벨트부(211)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1 텐션롤러(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서 보다 이격된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인 물품이 진입하는 위치에 제 1 주동롤러(212)가 형성되며, 제 1 주동롤러(212)에 대해서 제 1 벨트부(212)를 중심으로 그 반대 끝단에는 제 1 텐션롤러(213)가 위치하며, 제 1 주동롤러(212)가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는,
    환형의 제 2 벨트부(221), 제 2 벨트부(221)를 회송시키는 제 2 주동롤러(222), 제 2 벨트부(221)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2 텐션롤러(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에서 보다 이격된 끝단에 해당하는 위치인 물품이 배출되는 위치에 제 2 텐션롤러(223)가 형성되며, 제 2 텐션롤러(223)에 대해서 제 2 벨트부(221)를 중심으로 그 반대 끝단에는 제 2 텐션롤러(223)가 위치하며, 제 2 주동롤러(222)가 제어 모터부(320)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달 시간의 획득시,
    구동 제어모듈(51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 속도 정보에 따라 물품을 전방으로 이송시킨 뒤,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물품의 중량만큼 감소된 시점에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에 의해 측정되는 회전속도 측정값을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이 네트워크(600)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로 전송하여 회전속도 측정값, 그리고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 강화 플라스틱 롤러(120) 각각의 길이, 넓이, 높이 정보과 매칭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가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에 의해 추출되고, 추출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정보에 포함된 도달 시간이 빅데이터 기반의 AI 서버(900)에 의해 추출되면, 추출된 도달 시간 정보를 구동 조건 감지 모듈(520)이 반환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7.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 제 1 구동 모터인 구동 모터부(310), 제 2 구동 모터인 제어 모터부(320), 센서모듈(400), 제어부(500), 송수신부(600)를 포함하며, 외부로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800)와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1)를 기반으로 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서모듈(400)이 중량 감지 센서(410), 속도 감지 센서(420)를 포함하며, 중량 감지 센서(410)는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 및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를 구비하며, 속도 감지 센서(420)는 제 1 속도 감지 센서(421) 및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500)가 네트워크(700)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800)의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600)를 제어한 뒤,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의한 물품에 대한 이송 명령을 수신한 뒤,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1 중량 감지 센서(411)에 의해 제 1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10)의 상부로 물품을 감지하고, 감지된 물품의 중량 측정값을 수신한 뒤, 수신된 중량 측정값에 따른 구동 모터부(310)의 회전속도를 획득하여 획득된 회전속도에 따라 제 1 주동롤러(212)와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 모터부(310)에 대한 회전을 제어하는 제 1 단계; 및
    제어부(500)가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100)를 구성하는 스틸 프레임(110)의 길이값에 따른 물품의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제 2 벨트부(221)로의 도달 시간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획득한 뒤, 획득된 도달 시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의 받침 프레임에 위치한 제 2 중량 감지 센서(412)와, 제 2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220)에서 제 2 텐션롤러(223)에 형성된 제 2 속도 감지 센서(422)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프레임 기반의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방법.
KR1020190067149A 2019-06-07 2019-06-07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16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49A KR102169104B1 (ko) 2019-06-07 2019-06-07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49A KR102169104B1 (ko) 2019-06-07 2019-06-07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104B1 true KR102169104B1 (ko) 2020-10-22

Family

ID=7303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49A KR102169104B1 (ko) 2019-06-07 2019-06-07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9884A (zh) * 2022-04-01 2022-07-26 中石化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沙市钢管分公司 基于激光技术的防腐自动追管装置及追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341B2 (ja) * 1991-10-31 2000-07-10 アンリツ株式会社 物品選別機
KR200410926Y1 (ko) 2005-12-13 2006-03-15 명화기계(주)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KR101097613B1 (ko) * 2011-07-20 2011-12-26 현대콘베어주식회사 카펫형 컨베이어
KR101203639B1 (ko) * 2010-11-08 2012-11-23 주식회사 포스코 분체 정량 절출장치
KR20180064756A (ko) * 2016-12-06 2018-06-1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컨베이어 벨트의 아이들러 센싱 정보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341B2 (ja) * 1991-10-31 2000-07-10 アンリツ株式会社 物品選別機
KR200410926Y1 (ko) 2005-12-13 2006-03-15 명화기계(주)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롤러형 콘베이어
KR101203639B1 (ko) * 2010-11-08 2012-11-23 주식회사 포스코 분체 정량 절출장치
KR101097613B1 (ko) * 2011-07-20 2011-12-26 현대콘베어주식회사 카펫형 컨베이어
KR20180064756A (ko) * 2016-12-06 2018-06-1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컨베이어 벨트의 아이들러 센싱 정보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9884A (zh) * 2022-04-01 2022-07-26 中石化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沙市钢管分公司 基于激光技术的防腐自动追管装置及追管方法
CN114789884B (zh) * 2022-04-01 2023-12-05 中石化石油机械股份有限公司沙市钢管分公司 基于激光技术的防腐自动追管装置及追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1298C (en) Conveyor with probability estimator
KR102169104B1 (ko) 이송 컨베이어 추진장치가 구비된 스틸 프레임 기반의 하이브리드 롤러 카페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6264042B1 (en) Bilateral sorter
EP3383769B1 (en) Sorter with reduced polygon effect
CN111093846B (zh) 称重和分拣辊式带传送机和相关方法
KR101003606B1 (ko) 적재물의 수송 및 제어된 하역을 위한 기구
US8240563B2 (en) Self checkout stands
KR102487997B1 (ko) 물품 분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180148271A1 (en)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CN105611859A (zh) 用于结账柜台的传送机系统
US20080264765A1 (en) Skewed slat control system for article conveyor
JP2021109719A (ja) 仕分け設備
JP2003500310A (ja) 傾倒機構を有するソーティングコンベヤ
US20180162644A1 (en) Conveyor chute comprising a width adjusting mechanism
JP2987053B2 (ja) ピッキング装置
NL8200638A (nl) Verbeterde arm voor stapel- en/of afvoerinrichting, voorzien van eindloze gelede kettingen en borden.
US20050258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s
US12012291B2 (en) Parcel singulation systems and methods
JPH08504729A (ja) 品物類別装置
WO2023042242A1 (ja) 搬送システム、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220072926A (ko) 소포구분기 인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504444B1 (ko) 수하물 분리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이송방법
TWM626522U (zh) 物品運輸裝置
CN113759432A (zh) 安检系统、数据采集速率调节方法和物品信息检测方法
EP3024763A1 (en) Conveyor system for transporting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