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931B1 - Sgr 조절인자의 물리적 형태 - Google Patents

Sgr 조절인자의 물리적 형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931B1
KR102168931B1 KR1020187028158A KR20187028158A KR102168931B1 KR 102168931 B1 KR102168931 B1 KR 102168931B1 KR 1020187028158 A KR1020187028158 A KR 1020187028158A KR 20187028158 A KR20187028158 A KR 20187028158A KR 102168931 B1 KR102168931 B1 KR 10216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resent specification
specification relate
ray powder
mam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178A (ko
Inventor
뎅 차오이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11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61,2-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ind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mplifie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2-디플루오로-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C형)의 결정형,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치료법에서의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SGR 조절인자의 물리적 형태
본 발명은 2,2-디플루오로-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의 새로운 물리적 형태,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치료법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GC)는 수십 년 동안 급성 및 만성 염증 및 면역 증상,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열, 알러지성 비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크론병, 염증성 장 질환 및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GC의 예로는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손 및 프레드니솔론이 있다. 유감스럽게도, GC는 대개 골다공증, 고혈당증, 글루코스 대사에 대한 영향(당뇨병), 피부 박화증, 고혈압, 녹내장, 근위축증, 쿠싱(Cushing) 증후군, 체액 항상성 및 정신병(우울증)과 같은 심각하고 때로는 비가역적인 부작용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특히 만성적 환경에서 GC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GC의 유익한 효과를 갖지만 부작용의 가능성이 감소된 대체 요법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존재한다.
GC는 GC 리셉터(receptor)(GR)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유전자 전사를 조절한다. GC-GR 복합체는 세포핵으로 이동한 다음, 다양한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서 GC 반응인자(GRE)와 결합한다. 생성된 GC-GR-GRE 복합체는 결국 근접하여 위치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한다. GC-GR 복합체는 또한(또는 선택적으로) DNA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과정에 의해 유전자 전사를 네가티브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트랜스억제(transrepression)라고 지칭되는 이 과정에서, GC-GR 복합체는 핵으로 유입되어 다른 전사인자와 직접적으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해) 작용하여 유전자 전사 및, 그에 따른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전사인자들의 작용을 억제한다.
GC 부작용 중 일부는 약간 동종인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갖는 다른 스테로이드 리셉터(예를 들어,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 미네랄코르티코이드, 및 에스트로겐 리셉터)와의 교차반응성의 결과이고/이거나 유전자 발현과 하류(downstream) 시그널링의 선택적 조절 불능성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 리셉터와 비교하여 더 큰 친화성으로 GR과 결합하는 효과적인 선택적 GR 조절인자(modulator)(SGRM)는 GC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 치료요법에 대한 충족되지 않는 요구를 해결하는 동시에 부작용이 더 적은 대체 요법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화합물들이 SGRM 활성을 갖는 것이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WO2007/ 0467747, WO2007/114763, WO2008/006627, WO2008/055709, WO2008/055710, WO2008/052808, WO2008/063116, WO2008/076048, WO2008/079073, WO2008/098798, WO2009/065503, WO2009/142569, WO2009/142571, WO2010/009814, WO2013/001294, 및 EP2072509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향상된 역가, 효능, 스테로이드 비민감성 환자에서의 유효성, 선택성, 경구 투여를 허용하는 용해도, 바람직한 투여 계획을 허용하는 약동학적 프로파일, 보관 시의 안정성(예를 들어, 가수분해, 열적, 화학적 또는 광화학적 안정성), 결정성, 다양한 환자에 대한 내약성(tolerability), 부작용 특성 및/또는 안전 특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SGRM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의약 물질의 제형에서, 의약 물질(활성 화합물)은 용이하게 취급되고 가공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의약 물질 그 자체를 위한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제조 공정을 달성하는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활성 화합물 및 적합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의 후속적인 제조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활성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과 물리적 안정성은 중요한 요인이다. 활성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형은 활성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예컨대, 화학적 조성, 밀도, 흡습성 및 가용성)의 유의미한 변화를 조금도 나타내지 않으면서 상당한 기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보관될 수 있어야 한다.
2,2-디플루오로-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이하 "화합물 (I)")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I]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1
.
우리는 화합물 I이 다수의 결정형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화합물 I의 한 결정형 "C형"은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아래의 적절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 2θ로 표현된) 특징적인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나타내는 화합물 (I)의 물리적 형태를 제공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설명에 기술된 X선 분말 회절 데이터 전부는 CuKα 방사선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결정질 성질을 가지며, 일 양태에서는 적어도 50% 결정질이고, 또 다른 양태에서는 적어도 60% 결정질이며, 또 다른 양태에서는 적어도 70% 결정질이고, 또 다른 양태에서는 적어도 80% 결정질이며, 또 다른 양태에서는 90% 결정질이다. 결정성은 통상적인 X선 회절분석 기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 (I)은 50%, 60%, 70%, 80% 또는 90%에서부터 95%, 96%, 97%, 98%, 99% 또는 100%까지 결정질이다.
화합물 (I) C형의 가장 두드러진 피크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19.0 및/또는 22.9°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19.0 및/또는 22.9°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19.0 및/또는 22.9°에서 적어도 3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6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6 및/또는 25.6°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6°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6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6 및/또는 25.6°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3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6°에서 적어도 3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19.4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2θ 약 = 7.3, 8.7, 12.5, 15.3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2θ 약 = 7.3, 8.7, 12.5 및/또는 15.3°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및/또는 15.3°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15.3 및/또는 19.0°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5, 15.3 및/또는 19.0°에서 적어도 3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2.4, 12.5, 19.4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약 = 7.3, 8.7, 11.4, 12.5, 14.5, 15.3, 17.6, 19.4, 23.6 및 25.7°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2.5, 19.0 및/또는 22.9°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2.5, 19.0 및/또는 22.9°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2.5, 19.0 및/또는 22.9°에서 적어도 3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 25.7°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1.4, 12.5,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2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1.4, 12.5, 15.3, 17.3, 17.6, 19.0, 22.9 및/또는 25.7°에서 적어도 3개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2.5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2.5, 19.4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2.5, 15.3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1.4, 12.5, 15.3, 17.6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1.4, 12.5, 14.5, 15.3, 17.6, 19.4, 23.6 및 25.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2θ = 7.3, 8.7, 11.4, 12.5, 14.5, 15.3, 17.6, 19.4, 23.6 및 25.7°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I) C형으로서, 상기 C형은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시차주사 열량계(DSC)에서 (실시예 부분에 기술된 바에 따른 조건으로) 가열될 때, 화합물 (I) C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60.6℃의 개시 온도 및 약 162.6℃의 피크 온도로 용융을 나타낸다.
당업자는 특정 화합물의 DSC 열분석도에서 관찰된 값 또는 값의 범위가 상이한 순도의 배치(batch) 사이에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점을 이해한다. 그러므로, 한 화합물의 경우 범위가 작을 수 있는데, 다른 화합물의 경우 범위가 꽤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DSC 열 이벤트에서 회절각의 측정 오차는 대략 + 또는 - 5℃이며, 본 설명에 포함된 DSC 데이터를 고려할 때 이러한 측정 오차의 정도는 참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약 160.6℃의 용융 개시 및 약 162.6℃의 피크를 갖는 DSC 흡열을 갖는 결정질 형태인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160.6℃ + 또는 - 5℃에서의 용융 개시 및 162.6℃ + 또는 - 5℃에서 피크를 갖는 DSC 흡열을 갖는 결정질 형태인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160.6℃에서 용융 개시 및 162.6℃에서 피크를 갖는 DSC 흡열을 갖는 결정질 형태인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SC 열분석도를 갖는 결정질 형태인 화합물 (I) C형이 제공된다.
본 설명에 기술된 공정에서의 C형의 결정화는 C형 결정 시딩(seeding)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모결정은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시딩을 이용하는 것은 보다 큰 규모의 제조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설명에서 화합물이 "2θ 약 = ....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으로 기술된 경우, 화합물의 XRPD는 열거된 2θ 값 중 1개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θ 값 중 1개 이상, 2θ 값 중 2개 이상, 또는 열거된 2θ 값 중 3개 이상.
화합물 (I)의 결정질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피크를 정의하는 선행하는 단락에서,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피크의 정확한 위치는 하나의 측정 기구와 다른 측정 기구 사이에서, 하나의 샘플과 다른 샘플 사이에서, 또는 사용된 측정 조건의 약간의 차이의 결과로서, 약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용어 "약 = "은 피크의 정확한 위치(즉, 열거된 2-세타 각도 값)가 절대적인 값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표현 "...2θ 약 = ...에서"에서 사용된다. 또한, 화합물 (I)의 결정질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한다는 점이 선행하는 단락에서 언급되어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은 표 1에 표시된 가장 두드러진 피크(2-세타 각도 값)를 실질적으로 갖는다. 이 맥락에서 용어 '실질적으로'의 사용 또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2-세타 각도 값이 하나의 측정 기구와 다른 측정 기구 사이에서, 하나의 샘플과 다른 샘플 사이에서, 또는 사용된 측정 조건의 약간의 차이의 결과로서, 약간 다를 수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었거나 표에서 인용된 피크 위치가 다시 절대적인 값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이해된다.
X선 분말 회절 분야의 당업자는 피크의 상대 강도가, 예를 들어 대략 3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크기의 입자 및 샘플의 분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 단일 종횡비(non-unitary aspect ratio)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강도는 실험 조건 및 샘플 준비, 예컨대 샘플 중 입자의 바람직한 배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자동 또는 고정 발산 슬릿의 사용 또한 상대 강도 계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당업자는 회절 패턴을 비교할 때 이러한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X-선 분말 회절 분야의 당업자는 또한 샘플 높이의 차이 및 검출기 위치 보정의 오류로 인해, 2θ 위치의 작은 이동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값으로부터 ±0.1°의 차이는 정확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설명에 기술된 화합물 (I) C형은 다른 적합한 분석 기법, 예를 들어, NIR 분광학 또는 고체 상태 핵 자기 공명 분광학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할 수 있고/있거나 다른 물리적 형태와 구별할 수 있다.
본 설명에 기술된 화합물 (I) C형의 화학적 구조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양성자 핵 자기 공명(NMR) 분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화합물 (I) C형은 아래의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질병 및 의학적 상태
화합물 (I) C형은 항염증제로서 유용할 수 있고, 항알러지성, 면역억제성 및 항증식성 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화합물 (I) C형이 포유동물에서 다음 상태(일반적으로 장애) 중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폐 질환, 예를 들어 임의 기원의 만성 폐쇄성 폐 질환(예를 들어, 기관지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상이한 기원의 기관지염, 성인 호흡기 형태의 억제성 폐 질환(예를 들어, 알러지성 폐포염), 모든 형태의 폐 부종(예를 들어, 독성 폐 부종), 사르코이드증 및 육아종증(예를 들어, 뵈크병(Boeck's disease));
(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알러지, 예를 들어 모든 형태의 알러지 반응(예를 들어, 퀸케(Quincke) 부종; 곤충 교상; 약학 제제, 혈액 유도체, 조영제 등에 대한 알러지 반응;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두드러기; 및 알러지성 혈관 질환), 알러지성 혈관염, 및 염증성 혈관염;
(iii) 류마티스 관절염, 급성 류마티스성 열, 류마티스성 다발근육통을 비롯한 모든 형태의 류마티스성 질환을 포함하는,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류마티스성 질환/자가면역 질환/퇴행성 관절 질환, 베체트병, 반응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을 비롯한 척추관절염 및 건선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다발근염,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쇼그렌 증후군, IgG4 관련 질환, 스틸 증후군, 펠티 증후군, 통풍, 백반증, 및 다른 기원의 염증성 연조직 질환, 및 퇴행성 관절 질환에서의 관절염 증상(골관절염); 및 외상성 관절성 피진;
(iv) 혈관 염증(혈관염), 예를 들어, 결절성 홍반, 결절다발동맥염, 다발혈관염 동반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다발혈관염 동반 호산구 육아종증, 다카야수 동맥염, 가와사키병, 거세포동맥염(측두동맥염), 헤노호 쉰라인 자반증 및 한랭글로불린 혈관염.
(v)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신장병증, 예를 들어 신증후군 및 모든 신장염(예를 들어, 사구체신염);
(v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간 질환, 예를 들어 급성 간 세포 분해, 상이한 기원의 급성 간염(예를 들어, 바이러스성, 독성 또는 약학 제제-유발성), 및 만성 공격성 및/또는 만성 간헐성 간염;
(v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위장관 질환, 예를 들어 국소 소장염(크론병(Crohn's disease)), 위염, 역류성 식도염, 궤양성 결장염, 및 다른 기원의 위장염(예를 들어, 선천성 스프루(sprue));
(vi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직장 질환, 예를 들어 항문 습진, 열구, 치질, 및 특발성 직장염;
(ix)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안 질환, 예를 들어 알러지성 각막염, 포도막염, 홍채염, 결막염, 안검염, 시신경염, 맥락막염, 및 교감신경성 안염;
(x)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이비인후 영역의 질환, 예를 들어 알러지성 비염, 고초열, (접촉성 피부염, 감염 등에 의해 유발되는) 외이도염, 및 중이염;
(x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신경계 질환, 예를 들어 원발성 대뇌 혈관염, 뇌 부종(예를 들어, 종양-유발 뇌 부종), 다발성 경화증, 급성 뇌척수염, 상이한 형태의 경련(예를 들어, 영아 점두 연축), 수막염, 척수 손상, 및 뇌졸중;
(x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혈액 질환, 예를 들어 후천성 용혈성 빈혈, 혈소판감소증(예를 들어, 특발성 혈소판감소증), M. 호지킨 또는 비-호지킨 림프종, 혈소판혈증, 및 적혈구증가증;
(xi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종양 질환, 예를 들어 급성 림프 백혈병, 악성 림프종, 림프육아종증, 림프육종, 및 광범위한 전이(예를 들어, 유방암 및 전립선암);
(xiv)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내분비 질환, 예를 들어 내분비 안와병증, 갑상선중독 발증, 드퀘르뱅(de Quervain) 갑상선염, 하시모토(Hashimoto) 갑상선염, 갑상선기능항진증, 바세도우병(Basedow's disease), 육아종성 갑상선염, 림프종성 갑상선종;
(xv)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이식:
(xv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중증 쇼크 상태, 예를 들어 아나필락시스성 쇼크;
(xv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치환 요법, 예를 들어 선천성 원발성 부신 기능부전(예를 들어, 선천성 부신생식기 증후군), 후천성 원발성 부신 기능부전(예를 들어, 애디슨병(Addison's disease), 자가면역 부신염, 메타-감염성, 종양, 전이 등), 선천성 속발성 부신 기능부전(예를 들어, 선천성 뇌하수체저하증), 및 후천성 속발성 부신 기능부전(예를 들어, 메타-감염성, 종양 등);
(xviii)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구토, 예를 들어 세포증식억제제-유발 구토에서 5-HT3-길항제와의 조합;
(xix) 염증 기원의 동통, 예를 들어 요통; 및
(xx) 염증성, 알러지성 및/또는 증식성 과정을 동반하는 피부 질환,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예를 들어, 소아의 아토피 피부염), 박리성 피부염, 건선, 홍반성 질환(여러가지 병독, 예를 들어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예를 들어, 자가면역성 심상성 천포창, 및 수포성 유천포창), 태선모양 종류 질환, 가려움증(알러지 기원 포함), 모든 형태의 습진(예를 들어, 아토피성 습진 또는 지루성 습진), 장미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항문소양증(알러지 기원 포함), 혈관계 질환의 증상, 외음염, 염증성 탈모(예를 들어, 원형탈모증), 피부 T-세포 림프종, 임의의 기원 또는 피부병의 발진, 건선 및 유사건선 그룹, 및 모공성 홍색 비강진(pityriasis rubra pilaris).
전술한 것을 침해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예컨대 제I형 당뇨병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길랑-바레(Guillain-Barre) 증후군, 경피 경관 혈관성형술후 재협착,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급성 및 만성 동통, 동맥경화증, 재관류 손상, 열적 손상, 외상에 대한 이차적 다발성 기관 손상, 급성 화농성 뇌수막염, 혈액투석, 백혈구분리반출법(leukopheresis), 과립구 수혈과 관련된 괴사성 장염 및 증후군, 코니스(Conies) 증후군, 원발성 및 속발성 고알도스테론증, 나트륨 저류 증가, 마그네슘 및 칼륨 배설(이뇨) 증가, 수분 저류 증가, 고혈압(고립성 수축기 및 조합된 수축기/이완기), 부정맥, 심근 섬유증, 심근경색, 바터(Bartter) 증후군, 과량의 카테콜아민 농도와 관련된 장애, 확장기 및 수축기 울혈성 심부전(CHF), 말초 혈관질환, 당뇨병성 신병증, 부종 및 복수가 동반된 간경변증, 식도 정맥류, 근육 약화, 피부의 멜라닌 색소침착 증가, 체중 감소, 저혈압, 저혈당증, 다뇨, 다음증, 염증, 자가면역 장애, 기관 이식과 관련된 조직 거부, 악성종양, 예컨대 백혈병 및 림프종, 류마티스성 열, 육아종성 다발동맥염, 골수 세포주 억제, 면역 증식/아폽토시스, HPA 축 억제 및 조절, 고코르티졸혈증, Th1/Th2 사이토카인 균형의 조절, 만성 신장질환, 고칼슘혈증, 급성 부신 기능부전, 만성 원발성 부신 기능부전, 속발성 부신 기능부전, 선천성 부신 증식증, 리틀(Little) 증후군, 전신 염증, 염증성 장 질환, 베게너 육아종증, 거대 세포 관절염, 골관절염, 혈관신경성 부종, 건염, 윤활낭염, 자가면역 만성 활성 간염, 간염, 경변증, 지방층염, 염증성 낭종, 괴저성 농피증, 호산구성 근막염, 재발성 다발연골염, 사르코이드증 스위트병(Sweet's disease), 제1형 반응성 나병, 모세 혈관종, 편평 태선, 결절성 홍반 여드름, 다모증, 독성 표피 괴사용해, 다형성 홍반, 정신병, 인지 장애(예컨대, 기억 장애), 기분 장애(예컨대, 우울증 및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 및 인격 장애 등의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울혈성 심부전" (CHF) 또는 "울혈성 심장 질환"은 심장이 신체의 조직 및 기관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적절한 부피의 혈액을 효율적으로 펌핑할 수 없는 심혈관계의 질환 상태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CHF는 좌심실 부전(수축기 기능장애) 및 폐에서의 체액 축적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기저 원인은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고혈압, 당뇨병, 판막성 심장병 및 심근병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심장 또는 심혈관 질환 상태에 기인한다. 용어 "이완기 울혈성 심부전"은 적절하게 이완하고 혈액으로 충전되는 심장 능력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CHF의 상태를 지칭한다. 이에 비하여, 용어 "수축기 울혈성 심부전"은 적절하게 수축하고 혈액을 분출하는 심장 능력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CHF의 상태를 지칭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리적 장애는 "만성" 상태 또는 "급성" 에피소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만성"이란 느린 진행과 긴 지속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처럼, 만성 상태는 진단했을 때 치료되고, 치료는 질환의 과정 전체에서 계속된다. 이에 비하여, 용어 "급성"은 짧은 기간의 악화된 이벤트 또는 발작, 이어지는 완화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리적 장애의 치료는 급성 이벤트와 만성 상태를 모두 고려한다. 급성 이벤트에서, 화합물은 증상의 개시에서 투여되고 증상이 사라지면 중지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치료요법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GR 매개 상태(예컨대, 위에 기재한 상태)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스테로이드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손, 및/또는 프레드니솔론)에 반응하는 염증 또는 면역 상태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염증 상태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호흡기 상태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류마티스 상태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천식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중등도 내지 중증의 천식 악화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COPD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중등도 내지 중증의 COPD 악화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콜라겐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신장 이식 거부반응의 예방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사르코이드증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애디슨병(Addison's disease)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만성 림프성 백혈병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급성 림프성 백혈병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신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치료용 의약 제조에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GR 매개 상태(예컨대, 위에 기재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스테로이드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손, 및/또는 프레드니솔론)에 반응하는 염증 또는 면역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염증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호흡기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류마티스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천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중등도 내지 중증의 천식 악화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COPD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중등도 내지 중증의 COPD 악화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콜라겐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신장 이식 거부반응의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사르코이드증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애디슨병(Addison's disease)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만성 림프성 백혈병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급성 림프성 백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호흡곤란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신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화합물 (I) C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GR 매개 상태(예컨대, 위에 기재한 상태)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스테로이드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손, 및/또는 프레드니솔론)에 반응하는 염증 또는 면역 상태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염증 상태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염증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호흡기 상태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류마티스 상태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류마티스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천식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중등도 내지 중증 천식 악화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COPD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COPD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중등도 내지 중증 COPD 악화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이러한 COPD 악화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콜라겐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콜라겐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신장 이식 거부반응의 예방이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신장 이식 거부반응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사르코이드증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사르코이드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애디슨병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애디슨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만성 림프성 백혈병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만성 림프성 백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급성 림프성 백혈병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급성 림프성 백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호흡곤란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신 증후군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신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일부 구현예는 피부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에서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에 기재한 치료방법은 포유동물에게 화합물 (I) C형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경구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에 기재한 치료방법에서 치료된 포유동물은 사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에 기재한 치료방법에서 치료된 포유동물은 사람 이외의 포유동물이다. 이러한 포유동물은, 예를 들어 반려동물(예를 들어, 개, 고양이, 및말), 가축(예를 들어, 소와 돼지); 실험동물(예를 들어, 마우스 및 래트); 야생, 동물원, 서커스 동물(예를 들어, 곰, 사자, 호랑이, 유인원, 및 원숭이)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
본 명세서의 일부 구현예는 화합물 (I) C형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또는 의약), 및 이러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이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단독으로(즉, 임의의 다른 활성 또는 불활성 성분 없이) 투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약학 조성물은 통상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 성분 및/또는 불활성 성분을 대신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약학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불활성 성분은 종종 종합적으로 "첨가제"라 지칭한다. 적합한 약학 제형의 선택 및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절차는 예를 들어, 문헌["Pharmaceuticals -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s", M. E. Aulton, Churchill Livingstone, 2nd Ed. 2002]에 기술되어 있다.
화합물 (I) C형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러 가지의 적합한 경로와 투여 수단,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비강, 국소, 구강, 설하, 질내, 흡입, 통기(insufflation),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경구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정맥 내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근육 내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피하 투여된다. 그리고,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복강 내, 흉막 내, 경막 외, 척수강 내, 뇌혈관 심실 내 및 관절 내 주입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국소 투여된다.
본 명세서의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고체, 수성 또는 유성 용액, 현탁액, 에멀젼, 크림, 연고, 미스트, 젤, 비강 스프레이, 좌약, 미분된 분말, 및 흡입용 에어로졸 또는 네불라이저의 형태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경구 투여할 수 있는 액체 제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경구 투여할 수 있는 고체 제형을 포함한다.
고체 형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산제(powder), 정제, 분산형 과립제, 캡슐제, 카세제(cachet), 및 좌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담체는 하나 이상의 기질 (substanc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질은 일반적으로 불활성이다. 담체는 또한, 예를 들어 희석제, 풍미제, 가용화제, 윤활제, 보존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결합제 또는 붕해제로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캡슐화 물질로도 작용할 수 있다. 대개 적합한 담체의 예는 약학 등급의 만니톨, 락토스, 탄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락토스, 당(예를 들어,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 펙틴, 덱스트린,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스, 셀룰로스 유도체(예를 들어, 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소듐 사카린, 저융점 왁스 및 코코아 버터를 포함한다.
산제(powder)에 있어서, 담체는 전형적으로 미분된 고체이며, 이것은 미분된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이다. 정제에 있어서, 활성 성분은 전형적으로 적합한 비율의 바람직한 결합특성을 갖는 담체와 혼합되어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압착된다.
좌약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저융점 왁스(예를 들어, 지방산 글리세리드와 코코아 버터의 혼합물)를 전형적으로 먼저 용융한 다음, 여기에 활성 성분을, 예를 들어 교반에 의해 분산한다. 이후, 용융된 균질 혼합물을 편리한 크기의 몰드에 부어서 냉각하여 고화한다. 좌약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무자극성 첨가제의 예는,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글리세린화 젤라틴, 수소화 식물성 오일,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혼합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액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담체, 예컨대 물, 물/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함염(saline) 수성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또는 에탄올에 용해하거나 분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경구 투여용 수성 용액은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물 중에서 가용화제(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및 증점제도 첨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경구 용도를 위한 수성 현탁액은 미분된 형태의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물 중에서, 점성 물질, 예컨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천연 합성 검, 수지, 메틸 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다른 현탁화제와 함께 분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액체 조성물은 또한 다른 비독성의 불활성 보조성분, 예컨대 습윤제 또는 에멀젼화제, pH 완충제 등, 예를 들어 소듐 아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소듐 아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리에이트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다른 성분, 예컨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약학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 중에서 화합물 (I) C형의 농도는 약 0.05% 내지 약 99% (중량 기준)이다. 이러한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농도는 약 0.05 내지 약 80%, 약 0.10 내지 약 70%, 또는 약 0.10% 내지 약 50% (중량 기준)이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단독 요법으로 투여할 때, "치료학적 유효량"이란 증상 또는 상태의 다른 유해한 작용을 감소 또는 완전히 경감하거나; 상태를 치유하거나; 상태의 진행을 역전, 완전히 중지 또는 감속하거나; 상태가 악화되는 위험을 줄이거나; 상태의 개시 위험을 지연 또는 감소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 0.1 mg으로부터 그리고 약 10 g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함유하는 정제 또는 캡슐제의 단위 제형으로 경구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치료되기를 원하는 GR 매개 상태(예컨대 위에 기재한 상태)를 치료하는 데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 (I) C형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염증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 (I) C형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류마티스 상태를 치료하는 데 치료적으로 유효한 화합물 (I) C형의 양을 포함한다.
최적의 투여 용량과 빈도는 치료되는 특정 상태와 그의 중증도; 환자 종류; 특정 환자의 연령, 성별, 체구와 체중, 식이, 및 일반적 신체 상태; 뇌 중량/체중 비율; 환자가 섭취할 수 있는 기타 약물처치; 투여 경로; 제제; 및 의사(인간 환자의 경우), 수의사(비인간 환자의 경우), 및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최적량은 전신적으로 투여될 때 적어도 약 0.01 mg/kg 체중/일, 약 0.01 내지 약 100 mg/kg 체중/일, 또는 약 0.01 내지 약 10 mg/kg 체중/일 (예를 들어, 0.5 mg/kg 체중/일)인 것으로 고려된다.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위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조성물은 적절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량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단위 제형은, 예를 들어 캡슐제, 카세제, 또는 정제 자체일 수 있거나, 적절한 수의 임의의 이들을 포장형태로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위 제형은 포장된 조제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포장은 조성물의 개별량, 예컨대 패킷 (packeted) 정제, 캡슐제, 또는 바이알 또는 앰플 중의 산제를 함유한다. 단위 제형은, 예를 들어 약학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복용량은 1일 1회, 또는 분할 투여로, 예컨대 1일 2 내지 4회까지 제공될 수 있다.
조합
본 명세서는 또한 조합 요법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화합물 (I)을 포함하는 화합물 (I)은 임의의 위에서 언급된 상태들의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제제와 (가능한 한 동일 조성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조합 요법이 사용된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의 화합물의 양과 약학적으로 활성인 다른 제제(들)의 양은 조합 시 동물 환자의 표적 장애를 치료하는데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이다. 이 문맥에서, 조합된 양이 조합 시 증상 또는 장애의 다른 유해한 작용을 감소 또는 완전히 경감하거나; 장애를 치유하거나; 장애의 진행을 역전, 완전히 중지 또는 감속하거나; 장애가 악화되는 위험을 줄이거나; 장애의 개시 위험을 지연 또는 감소시키는데 충분하다면 이것이 "치료학적 유효량"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양은 당업자들이라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대해 본원에 기재된 복용량 범위 및 다른 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들)의 인증되거나 달리 공개된 복용량 범위로 출발하여 결정할 수 있다.
조합 요법에서 사용될 때, 본 명세서의 화합물과 다른 활성 성분들은 단일 조성물, 완전히 개별적인 조성물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활성 성분들은 동시에(concurrently), 연이어(simultaneously),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한다. 조합 요법의 특정 조성물(들)과 투여 빈도는 다양한 인자, 예를 들어 투여 경로, 치료되는 상태, 환자의 종류, 단일 조성물로 조합될 때 활성 성분들 간의 임의의 잠재적 상호작용, 활성성분이 동물 환자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들 간의 임의의 상호작용, 및 의사(인간 환자의 경우), 수의사(비인간 환자의 경우), 및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다.
키트
본 명세서는 또한, 부분적으로 화합물 (I) C형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키트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 예를 들어: (a) 화합물 (I) C형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 (b) 화합물 (I) C형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 (c) 첨가제(예를 들어, 재현탁화제); 또는 (d) 추가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이것은 화합물 (I) C형과 동일 및/또는 상이한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C형)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C형)dml DSC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을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i) 온도는 섭씨(℃)로 주어진다; 작업은 실온 또는 주위 온도, 즉, 18~25℃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ii) 일반적으로, 반응 진행 후에는 HPLC가 이어졌으며, 반응 시간은 단지 예시를 위해 주어진 것이다.
(iii) 수율은 단지 예시를 위해 주어진 것으로, 반드시 부지런한 공정 개발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 많은 물질이 필요한 경우, 제조를 반복하였다.
(iv) 화학 기호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다. SI 단위 및 기호가 사용된다.
(v) 용매 비율은 부피:부피(v/v) 용어로 주어진다.
(vi)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출발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했다.
실시예
X선 분말 회절 분석
X선 회절 분석은 일반적인 방법, 예컨대, 문헌[Kitaigorodsky, A.I. (1973), Molecular Crystals and Molecules, Academic Press, New York; Bunn, C.W. (1948), Chemical Crystallography, Clarendon Press, London; or Klug, H.P. & Alexander, L.E. (1974), X-ray Diffraction Procedures, John Wiley & Sons, New York]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샘플을 단일 규소 결정(SSC) 웨이퍼 마운트 상에 실장하고, 분말 X선 회절을 패널리티컬 엑스퍼트 프로(PANalytical X'Pert PRO)(반사 기하구조, X선 파장 1.5418 Å 니켈-여과된 Cu 방사선, 전압 45 kV, 필라멘트 방출 40 mA)로 기록하였다. 자동 가변 발산 및 산란 방지 슬릿을 사용하였고, 측정하는 동안 샘플을 회전시켰다. 샘플을 픽셀(PIXCEL) 검출기(활성 길이 3.35 °2세타)를 사용하여 0.013° 스텝 폭 및 스텝당 1415초를 이용하여 2 내지 50 °2세타로부터 스캔하였다.
(장치, 샘플 준비 또는 사용된 기계와 같은) 측정 조건에 따라 1종 이상의 측정 오차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획득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히,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강도가 측정 조건 및 샘플 제제에 따라 변동할 수 있음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X선 분말 회절 분야의 당업자는 피크의 상대 강도가 시험 중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된 기기의 유형 및 세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반사의 위치가 샘플이 회절계에서 놓이는 정확한 높이 및 회절계의 제로 보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샘플의 표면 평면도 또한 작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설명에 제시된 회절 패턴 데이터가 절대값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설명에 개시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말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임의의 결정질 형태가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포함됨을 인지할 것이다(추가적인 정보는 문헌 [Jenkins, R & Snyder, R.L. 'Introduction to X-Ray Powder Diffractometry' John Wiley & Sons, 1996] 참조).
일반적으로, X선 분말 회절도에서의 회절각의 측정 오차는 대략 + 또는 - 0.1 °2-세타일 수 있고, 이러한 정도의 측정 오차는 X선 분말 회절 데이터를 고려할 때 참작되어야 한다.
CuKα 방사선 이용 측정 시, 화합물 (I) C형의 10개의 두드러진 피크
°2-세타
7.3
8.7
11.4
12.5
14.5
15.3
17.6
19.4
23.6
25.7
화합물 (I) C형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피크는 17.3, 19.0 및 22.9 °2-세타이다. 또한, 화합물 (I) C형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피크는 12.4 및 25.6 °2-세타이다.
일반적 방법
NMR 스펙트럼은 300, 400, 500 또는 600 MHz의 양성자 주파수에서 브루커 애반스(Bruker Avance), 애반스 II 또는 애반스 III 분광계로 기록하였다. 클로로포름-δ (H 7.26 ppm) 또는 DMSO-d 6 (H 2.49 ppm)의 중앙 피크를 내부 참조로서 사용하였다.
LC/MS 실험은 ESI 모드의 시마즈(Shimadzu) 2010EV UPLC 시스템 또는 워터스 제보(Waters Xevo) Q-ToF 매스(Mass)와 조합된 워터스 액퀴티(Acquity)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LC는 다음 2가지 설정으로 실행하였다: 1) 1.0 mL/분의 유속으로 pH 10의 수성 46mM 탄산암모늄/암모니아 완충제 (A) 및 MeCN (B)의 구배(5분 동안 2-95% B)와 조합되거나, 1.0 mL/분의 유속으로 물과 TFA(0.05%) (A) 및 CH3CN과 TFA(0.05%) (B)의 구배(2분 동안 5-95% B)와 조합된 BEH C18 컬럼(1.7 μm 2.1x50 mm).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ee)로서 표시되는 광학 순도는 다음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방법 A: 애질런트(Agilent) 1100 시리즈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한 키랄 HPLC. 키랄팩(Chiralpak) (IB-3, IA-3 또는 IC-3) 50x4.6 mm; 3 μm를 구비한 시스템. 이동상으로서, 헥산(0.1% 트리에틸아민)/EtOH (85:15)을 1 mL/분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주입 부피는 3 μL였고, 화합물은 UV에 의해 254 nm에서 검출하였다.
방법 B: 키랄팩 (IC 또는 AD-H) 150x4.6 mm, 3 μm 또는 키라셀(Chiracel) (OD-H, OJ-3, OD-3) 또는 Lux 5u 셀룰로스-3를 구비한 키랄 SFC 시스템. 용리액으로서, CO2(100g/분, 120 bar, 40℃) (A) 및 5-40% MeOH/디에틸아민(0.1%), EtOH/디에틸아민 (0.1%), 20%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20% 이소프로필알코올/NH3 200:1 (B)의 구배를 4 mL/분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주입 부피는 0.7 μL 또는 10 μL였고, 화합물은 UV에 의해 254 nm 또는 220 nm에서 검출하였다.
정제용(preparative) HPLC는 통합 MS 검출을 갖고 엑스-브리지(X-Bridge) 또는 선파이어(Sunfire)의 Prep C18 OBD 5 μm 19 x 150 mm 컬럼을 구비한 워터스 프랙션링스(FractionLynx) 시스템으로 수행하였다. 대안적으로, 크로마실(Kromasil) C8 10 μm, 20x250 ID 또는 50x250 ID mm를 구비한, 통합 UV 검출을 갖는 길슨(Gilson) GX-281을 사용하였다. 용리액(산성)으로서, 물/MeCN/아세트산(95/5/ 0.1) 또는 물/0.05% TFA (A) 및 MeCN/0.05% TFA (B) 또는 (염기성) MeCN 또는 MeOH (A) 및 0.03% 암모니아 수용액 또는 0.03% NH4HCO3 (B)의 구배를 적용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출발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이전에 문헌에 기술된 것들이다. 모든 용매 및 상업적 시약은 실험실 등급이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공받은 대로 사용하였다.
모든 온도는 섭씨(℃)이다. 일반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논의된 작업은 실온 또는 주위 온도(18 내지 25℃)에서 수행하였고; 반응의 진행은 HPLC, LC-MS 또는 TLC로 모니터하였으며; 오븐 건조된 표준 실험실 유리제품을 사용하였고, 통상적인 조작은 주위 온도에서 N2 분위기 하에 수행하였으며; 증발은 감압 하에 회전식 증발기 또는 기타 일반적인 증류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생성물은 적합한 온도에서 감압 하에 건조하였다.
본 특허에 예시된 화합물의 명칭은 켐드로우 울트라(ChemDraw Ultra) 11.0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이것은 화학 명칭을 작성된 구조식에 버튼을 눌러서 지정하는 화학 명칭 생성 프로그램이다.
시차주사 열량 측정법(DSC)
표준 방법(예를 들면, 문헌[Hoehne, G. W. H. et al (1996),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pringer, Berlin]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고, TA 인스트루먼트 Q2000 시차주사 열량계(TA Instruments Q2000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를 사용하여 증가하는 온도에 대한 시험 샘플의 열량 측정 반응을 조사하였다. 측정은 15℃ 내지 190℃ 사이에서 분당 5℃의 램프(ramp) 속도로 수행하였다. 대략 0.5 내지 5 mg의 시험 샘플을 질소 가스(50 mL/분)의 흐름 하에 뚜껑이 있는 알루미늄 팬(크림핑(crimping) 없음) 중에 넣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SC 개시 및 피크 온도는 샘플의 순도 및 기구의 매개변수, 특히 온도 스캔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당업자는 통상적인 최적화/보정을 사용하여 시차주사 열량계에 대한 기구의 매개변수를 설정하여, 본 설명에 제시된 데이터에 맞먹는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약어
다음 약어가 사용되었다.
Aq: 수성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실시예 1
2,2-디플루오로- N -[(1 R ,2 S )-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 H -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C형)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2
단계 A. 5-[5-[( tert -부틸디메틸실릴)옥시]-1 H -인다졸-1-일]-1-메틸-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3
N2의 불활성 분위기로 퍼지(purge)하여 유지한 2 L의 4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톨루엔 중의 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H-인다졸(805 g, 3.2 mol) 용액(8 L), 5-요오도-1-메틸-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800 g, 3.4 mol) 및 K3PO4(1.2 kg, 5.8 mol)를 투입하였다. 사이클로헥산-1,2-디아민(63 g, 0.5 mol)을 첨가한 다음, CuI(1.3 g, 6.8 mmol)를 다수 회분식으로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밤새 102℃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여 3.0 kg의 표제 화합물을 미정제 검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56[M+H]+.
단계 B. 5-(5-하이드록시-1 H -인다졸-1-일)-1-메틸피리딘-2(1 H )-온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4
2 L의 4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5-[(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1H-인다졸-1-일]-1-메틸-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3.0 kg, 미정제) 및 HCl(2 L, 24 mol, 36%)의 물(2 L)과 MeOH(5 L) 용액을 투입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1 hr 동안 40℃에서 교반한 다음, 증발시켜서 건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물(4 x 5 L)과 에틸 아세테이트(2 x 0.5 L)로 세척하여 480 g(61%, 2 단계)의 표제 생성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42[M+H]+. 1HNMR (300 MHz, DMSO-d6): δ 3.52 (3H, s), 6.61 (1H,m), 7.06 (2H,m), 7.54 (1H,m), 7.77 (1H,m), 8.19 (2H, m) 9.35 (1H,s).
단계 C. tert -부틸((1 R ,2 S )-1-하이드록시-3-메틸-1-페닐부탄-2-일)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5
(S)-tert-부틸 3-메틸-1-옥소-1-페닐부탄-2-일카바메이트(1.0 kg, 3.5 mol)를 톨루엔(4 L)에 용해하였다. 이후, 2-프로판올(2 L), 이어서 트리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0.145 L, 0.73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4 내지 58℃에서 1 hr 동안 감압(300 내지 350 mbar) 하에 가열하여 공비증류를 개시하였다. 0.75 L의 응축물을 수집한 후, 2-프로판올(2 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감압 하에 교반하여 총 4 L의 응축물을 수득하였다. 톨루엔(3 L)을 20℃에서 첨가한 다음, 2M HCl(2 L)을 15분 동안 첨가하고 온도를 28℃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수성상(aqueous phase)의 pH 0~1), 유기층을 물(3 L), 4% NaHCO3(2 L) 및 물(250 mL)로 연속 세척하였다. 유기층의 부피를 50℃, 70 mbar에서 6 L에서 2.5 L로 감소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헵탄(6.5 L)을 47~53℃에서 첨가하여 이 물질을 용액으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서서히 20℃로 낮추고 표제 화합물 결정을 37℃에서 시딩(seeding)하여(모결정을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초기 회분에서 제조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고, 잔류물을 헵탄에 슬러리화하여 결정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였다), 밤새 방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헵탄(2 x 1 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하여 806 g(81%)의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DMSO-d6): δ 0.81 (dd, 6H), 1.16 (s, 8H), 2.19 (m, 1H), 3.51 (m, 1H), 4.32 (d, 1H), 5.26 (s, 1H), 6.30 (d, 1H), 7.13 - 7.2 (m, 1H), 7.24 (t, 2H), 7.3 - 7.36 (m, 3H).
단계 D. (1 R ,2 S )-2-아미노-3-메틸-1-페닐부탄-1-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6
프로판-2-올 중의 HCl 용액(5~6 N, 3.1 L, 16 mol)에 20℃에서 tert-부틸((1R,2S)-1-하이드록시-3-메틸-1-페닐부탄-2-일)카바메이트(605 g, 2.2 mol)를 소량씩 70분 동안 첨가한 다음, MTBE(2 L)를 30분 동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하여 18 hr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단리하고 건조하여 286 g의 표제 화합물을 HCl 염으로서 수득하였다(61% 수율). 모액을 300 mL로 농축하였다. 이후, MTBE(300 mL)를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여 추가로 84 g의 표제 화합물을 HCl 염으로서 수득하였다(18% 수율). 총 370 g(79%). 1HNMR (400 MHz, DMSO-d6): δ 0.91 (dd, 6H), 1.61 - 1.81 (m, 1H), 3.11 (s, 1H), 4.99 (s, 1H), 6.08 (d, 1H), 7.30 (t, 1H), 7.40 (dt, 4H), 7.97 (s, 2H).
단계 E. (2 S ,3 S )-2-이소프로필-1-(4-니트로페닐설포닐)-3-페닐아지리딘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7
(1R,2S)-2-아미노-3-메틸-1-페닐부탄-1-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430 g, 2.0 mol)를 20℃에서 DCM(5 L)과 혼합하였다. 이어서, 4-니트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460 g, 2.0 mol)를 5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27℃로 냉각하였다. 온도를 -18℃로 유지하면서 트리에틸아민(1.0 kg, 10 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하고 온도를 -25℃로 유지하면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460 g, 4.0 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6 hr 동안 교반한 다음, 트리에틸아민(40 mL, 0.3 mol; 20 mL, 0.14 mol 및 10 mL, 0.074 mol)을 0℃에서 소량씩 4 hr 동안 첨가하였다. 물(5 L)을 나중에 20℃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물(5 L)로 세척하고 부피를 진공 하에 1 L로 감소시켰다. MTBE(1.5 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회전식 증발기(rotavap)로 20℃에서 밤새 교반하고 여과하여 500 g (70%)의 표제 화합물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12 (d, 3H), 1.25 (d, 3H), 2.23 (ddt, 1H), 2.89 (dd, 1H), 3.84 (d, 1H), 7.08 - 7.2 (m, 1H), 7.22 - 7.35 (m, 4H), 8.01 - 8.13 (m, 2H), 8.22 - 8.35 (m, 2H).
단계 F. N -((1 R ,2 S )-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 H -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4-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8
(2S,3S)-2-이소프로필-1-(4-니트로페닐설포닐)-3-페닐아지리딘 (490 g, 1.3 mol)을 아세토니트릴 (5 L) 중의 5-(5-하이드록시-1H-인다졸-1-일)-1-메틸피리딘-2(1H)-온 (360 g, 1.4 mol)과 20℃에서 혼합하였다. 탄산세슘 (850 g, 2.6 mol)을 소량씩 5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 L)을 20℃에서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L와 2.5 L)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0.5 M HCl (5 L), 물(3 x 5 L) 및 브라인(brine) (5 L)으로 연속하여 세척하였다. 남아있는 유기층을 진한 오일로 농축한 다음, MTBE(2 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780 g (순도 71% w/w)의 미정제 표제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여,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0.93 (dd, 6H), 2.01-2.19 (m, 1H), 3.50 (s, 3H), 3.74 (s, 1H), 5.00 (d, 1H), 6.54 (d, 1H), 6.78 (d, 1H), 6.95-7.15 (m, 4H), 7.23 (d, 2H), 7.49 (d, 1H), 7.69 (dd, 1H), 7.74 (d, 2H), 8.00 (s, 1H), 8.08 (d, 2H), 8.13 (d, 2H).
단계 G. 2,2-디플루오로- N -[(1 R ,2 S )-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 H -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8096236818-pct00009
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4-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780 g, 71% w/w)를 DMF(4 L)와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DBU(860 g, 5.6 mol)를 10분에 걸쳐 20℃에서 첨가하였다. 2-머캡토아세트산(170 g, 1.9 mol)을 서서히 30분에 걸쳐 첨가하고, 온도를 20℃로 유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 후(이 1시간 동안 상응하는 아민인 5-(5-((1R,2S)-2-amino-3-메틸-1-페닐부톡시)-1H-인다졸-1-일)-1-메틸피리딘-2(1H)-온이 생성되었다), 에틸 2,2-디플루오로프로파노에이트(635 g, 4.60 mol)를 20℃에서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추가적으로 에틸 2,2-디플루오로프로파노에이트(254 g, 1.8 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더 20℃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온도를 20℃로 유지하면서 물(5 L)을 40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물 층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4 L 및 2 x 2 L)로 추출하였다. 한데 모은 유기층을 0.5M HCl(4 L)과 브라인(2 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4-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96 g으로부터 출발하는 대응하는 반응으로부터의 유기층과 합하여, 약 1.5 L까지 농축하였다. 얻어진 갈색 용액을 여과하였다. 필터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2 x 0.5 L)로 2회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고체가 형성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를 99.5% 에탄올(1 L)과 동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93 g(77%, 2단계)을 무정형 고체로 수득하였다.
단계 H. 2,2-디플루오로- N -[(1 R ,2 S )-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 H -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A형)의 제조
이전 단계로부터의 무정형 고체(464 g, 0.94 mol)를 50℃에서 에탄올/물 2:1(3.7 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에 47℃에서 A형(0.5 g)으로서의 표제 화합물의 결정을 시딩하여, 약간 불투명한 혼합물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시켰다. 그 후, 7시간에 걸쳐 온도를 20℃까지 감소시키고, 40시간 동안 20℃로 유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차가운(5℃) 에탄올/물 1:2(0.8 L)로 세척하고, 37℃에서 밤새 진공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356 g(0.70 mol, 74%, 99.9 % ee)을 1수화물(A형)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95 [M+H]+. 1H NMR (600 MHz, DMSO-d6) δ 0.91 (dd, 6H), 1.38 (t, 3H), 2.42 (m, 1H), 3.50 (s, 3H), 4.21 (m, 1H), 5.29 (d, 1H), 6.53 (d, 1H), 7.09 (d, 1H), 7.13 (dd, 1H), 7.22 (t, 1H), 7.29 (t, 2H), 7.47 (d, 2H), 7.56 (d, 1H), 7.70 (dd, 1H), 8.13 (d, 1H), 8.16 (d, 1H), 8.27 (d, 1H).
위의 단계에 사용된 모결정은 다음 절차에 따라 무정형 화합물로부터 제조하였다:
DMF(8 부피) 중 5-(5-((1R,2S)-2-아미노-3-메틸-1-페닐부톡시)-1H-인다졸-1-일)-1-메틸피리딘-2(1H)-온(1.0 몰 당량), 2,2-디플루오로프로파노익(1.2 몰 당량), HATU(1.5 몰 당량) 및 DIPEA(3.0 몰 당량)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몇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물에 따라 붓고, DCM(3 x 20 부피)으로 추출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였다. 이 생성물(401 mg)을 유리 바이알에 칭량하였다. 에탄올(0.4 mL)을 첨가하고, 바이알을 진탕하고, 40℃로 가열하여, 맑고 약간 노란색의 용액을 수득하였다. 에탄올/물(0.4 mL, 50/50% vol/vol)을 첨가하였다. 결정화가 5분 이내에 일어나기 시작하였고, 10분 후, 흰색의 걸쭉한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일수화물(A형)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I. 2,2-디플루오로- N -[(1 R ,2 S )-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 H -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C형)의 제조.
일수화물로서 2,2-디플루오로-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 - A형(100 g)을 50~55℃에서 이소프로판올(1.2 L)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였다. 그런 다음, 이것을 감압 하에서 ≤50℃에서 약 0.3 L까지 증류하고, 용액의 함수량을 확인하였다(목표 <0.20% w/w). 목표 함수량이 달성되지 않았을 경우, 목표가 충족될 때까지 이소프로판올(1.2 L)의 반복된 첨가 및 약 0.3 L까지의 증류로 용액을 더 건조시켰다. 추가적인 이소프로판올(0.3 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3~77℃까지 가열하고, 0.5~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그런 다음, 얻어진 용액을 감압 하에서 45~80℃에서 약 0.3 L까지 증류하고, 0.5~1시간 동안 환류한 다음, 약 1시간에 걸쳐 58~62℃까지 냉각시켰다. 표제 화합물의 모결정(0.1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5~4시간에 걸쳐 22~26℃까지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22~26℃에서 교반한 다음, n-헵탄(0.6 L)을 10~12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이것을 약 1시간에 걸쳐 48~52℃까지 가열하고, 약 1시간에 걸쳐 22~26℃까지 냉각시키고, 약 1시간에 걸쳐 다시 48~52℃까지 가열하고, 마지막으로 5~6시간에 걸쳐 2~7℃까지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6~10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얻어진 고체를 n-헵탄(약 0.1 L)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50~55℃에서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C형)을 수득하였다(80~90 g, 80~90% 수율).
이전 단계에 사용된 모결정은 다음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일수화물로서) 2,2-디플루오로-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15 g)을 약 50℃에서 이소프로판올(180 m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얻어진 용액을 약 45 ml까지 증류하고 교반하였는데, 그 동안 고체가 결정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혼합물을 약 30분에 걸쳐 약 25℃까지 냉각시키고, 약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약 35℃까지 가열하였다. 여기에 약 4시간에 걸쳐 n-헵탄(1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약 50℃에서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C형)을 수득하였다.
생물학적 활성
GRE 작용제(Agonist) 어세이
리포터 세포주(ChagoK1 18:7:2 s4/GRE)는 사람 기관지 암종 세포주, ChaGo K1 (ATCC: HTB 168)을 MMTV-GRE-LacZ 리포터 구조물로 안정하게 형질감염 (transfection)하여 구축되었다. 생성된 세포주는 LacZ 유전자 발현 유도에 의해 사람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리셉터(GR)에서 작용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리간드 활성화 GR은 LacZ 유전자의 프로모터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반응 인자 (GRE)에 결합하여 전사를 개시한다. 생성된 베타-갈락토시다제 활성은 발색 반응(흡광도 변화)에 의해 측정된다.
저온보존된 ChagoK1 18:7:2 s4/GRE 세포를 RPMI 배지에서 10% FBS, 1% NEAA 및 1% 소듐 피루베이트로 현탁하고 96-웰 플레이트에 50000 세포/200ul/웰로서 접종하여 37℃에서 5% CO2 및 95% 습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 μl의 화합물을 상이한 농도로 세포에 첨가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PBS로 1회 세척하고 50 μl의 0.1% 트리톤-X로 10분 동안 실온에서 용균하였다. 40 μl의 반응 혼합물(2.5 mM MgCl2, 0.1 M β-머캡토에탄올, 1.7 mg/ml ONPG 및 42.5 mM 인산나트륨, pH 7.5)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100 μl의 중지 용액(300 mM 글리신, 15 mM EDTA, pH 11.3, NaOH로 조절)을 첨가하여 종료하였다. 플레이트를 420 nm에서 스펙트라맥스(SpectraMax) 판독기(Molecular Device)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상대적 효능(효과 %)은 덱사메타손의 완전 작용제 효과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효과 % = ((샘플 흡광도 - 최소(min) 흡광도) / (최대(max) 흡광도 - 최소 흡광도)) x 100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EC50, max, min 및 기울기 팩터(factor)를 계산하기 위해 농도 반응 곡선을 효과 % 대 화합물 농도를 4 매개변수 로지스틱(logistic) 방정식을 사용하여 플로팅하여 조절하였다:
y = A+(B-A)/(1+((10C)/x)D)
여기서 A = min Y, B = max Y, C = log EC50 및 D = 기울기 팩터이다.
GRE 길항제(Antagonist) 어세이
리포터 세포주(ChagoK1 18:7:2 s4/GRE)는 사람 기관지 암종 세포주, ChaGo K1 (ATCC: HTB 168)을 MMTV-GRE-LacZ 리포터 구조물로 안정하게 형질감염 (transfection)하여 구축되었다. 생성된 세포주는 LacZ 유전자 발현의 감소에 의해 사람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리셉터(GR)에서 길항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덱사메타손 활성화 GR은 LacZ 유전자의 프로모터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반응 인자 (GRE)에 결합하여 전사를 개시한다. 화합물의 길항제 특성은 발색 반응(흡광도 변화)에 의해 덱사메타손을 사용한 사전자극(pre-stimulation)으로부터 베타-갈락토시다제 강도 감소로서 평가된다.
저온보존된 ChagoK1 18:7:2 s4/GRE 세포를 RPMI 배지에서 10% FBS, 1% NEAA 및 1% 소듐 피루베이트로 현탁하고 96-웰 플레이트에 50000 세포/200ul/웰로서 접종하여 37℃에서 5% CO2 및 95% 습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2 μl 덱사메타손 (최종 농도 70 nM)으로 4~5 hr 동안 사전자극한 후, 1 μl의 화합물을 상이한 농도로 첨가하여 다시 24 hr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PBS로 1회 세척하고 50 μl의 0.1% 트리톤-X로 10분 동안 실온에서 용균하였다. 40 μl의 반응 혼합물(2.5 mM MgCl2, 0.1 M β-머캡토 에탄올, 1.7 mg/ml ONPG 및 42.5 mM 인산나트륨, pH 7.5)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반응을 100 μl의 중지 용액(300 mM 글리신, 15 mM EDTA, pH 11.3, NaOH로 조절)을 첨가하여 종료하였다. 플레이트를 420 nm에서 스펙트라맥스(SpectraMax) 판독기(Molecular Device)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상대적 효능(효과 %)은 참조 화합물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RU486)의 완전 길항제 효과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효과 %=((샘플 흡광도 - 최소 흡광도)/(최대 흡광도 - 최소 흡광도)) x 100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IC50, max, min 및 기울기 팩터를 계산하기 위해 농도 반응 곡선을 효과 % 대 화합물 농도를 4 매개변수 로지스틱 방정식을 사용하여 플로팅하여 조절하였다:
y = A+(B-A)/(1+((10C)/x)D)
여기서 A = min Y, B = max Y, C = log IC50 및 D = 기울기 팩터이다.
표 2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사용한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는 GRE 작용제 어세이에서 작용제 모드, 및 GRE 길항제 어세이에서 길항제 모드로 측정된 전사활성화(transactivation)이다.
생물학적 어세이 결과
실시예 TA 작용제
pEC50
TA 작용제
1 μM에서 관찰된 최대 효과(%)
TA 길항제
pIC50
TA 길항제
1 μM에서 관찰된 최대 효과(%)
1 7.9 39 6.8 70
시험관 내 사람 전혈(whole blood)
화합물들과 프레드니솔론의 항염증 활성을 시험관 내에서 LPS로 자극된 전혈로부터 TNFα의 방출을 억제하는 그의 능력에 의해 측정하였다. 사람 공여자로부터 정맥혈을 수집하고 소듐 헤파린으로 항응고처리하여 멸균 폴리스티렌 둥근바닥 플레이트(Corning)에 웰 당 190 μL를 옮겼다.
화합물들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Sigma) 중의 10 mM 저장용액으로부터 DMSO의 1/3 연속 희석으로 준비하여 3.33 mM의 최고 농도와 0.1 μM의 최저 농도를 갖는 마스터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마스터 플레이트의 화합물을 1 μL/웰(1/200) 희석으로 혈액에 첨가하여 16.7 μM 내지 0.5 nM 범위의 최종 농도를 만들었다. 대조용 웰에는 1 μL DMSO만을 가하였고, 모든 웰의 최종 DMSO 농도는 0.5%였다. 샘플을 서서히 혼합하고 37℃의 가습 인큐베이터(95% 공기/5% CO2)에 넣어 4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LPS(이.콜라이(E. coli) 혈청형 0127:B8, Sigma)를 CaCl2/MgCl2가 없는 PBS(Gibco)에 희석하여 600 μg/mL의 작업 용액을 수득하였다. 10 μL를 각 웰에 첨가하여 30 μg/mL의 최종 LPS 농도를 얻었다. 자극되지 않은 대조군은 10 μL/웰의 PBS 만을 가하였다. 샘플을 다시 서서히 혼합하고 플레이트를 밤새 18 hr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혈액을 700 x g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혈장을 제거하여 TNFα 방출 어세이 전에 -20℃로 냉동하기 위해 옮겼다.
TNFα 단백질 수준을 AlphaLISA hTNFα 키트 (Perkin Elmer)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요약하면, 샘플을 실온이 되게 하여 1500 x 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샘플을 1/5 (5 μL 샘플 / 20 μL AlphaLISA 완충액) 희석하였다. 동시에, TNFα의 표준곡선을 저장용액(5000-2 pg/mL)으로부터 연속 1/3 희석으로 준비하였다. 5 μL 샘플/표준곡선을 384-웰 옵티플레이트(Optiplate)™에 옮기고, 여기에 20 μL 항-인간 TNFα 수용체 비즈(beads)/비오틴화 항체 믹스를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한 후, 25 μL 스트렙타비딘 공여체 비즈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다시 60분 동안 암실에서 실온으로 인큐베이션하였다. 샘플을 615 nm에서 680 nm의 여기 (excitation)로 엔비젼(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샘플 중의 TNFα를 표준곡선으로부터의 외삽에 의해 측정하여 pg/mL로서 표시하였다.
TNFα의 억제율 %은 다음 식에 의해 결정하였다:
억제율 % = (1-(A-B)/(C-B)) x 100
여기서, A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LPS 자극 샘플 중의 TNFα이고, B는 자극되지 않은 샘플 중의 TNFα이며, C는 화합물이 없는 LPS 자극 샘플 중의 TNFα이다. 억제율(%)을 농도에 대해 플로팅하고, 4 매개변수 곡선 피트(Xlfit 4.1)를 사용하여 곡선을 그려 pIC50을 결정하였다.
프레드니솔론과 실시예 1의 화합물의 TNFα pIC 50
화합물 pIC 50
프레드니솔론 6.5 (n=31)
실시예 1 6.2 (n=16)
티로신 아미노트랜스퍼라제("TAT") mRNA 발현 시험관 내 어세이
고혈당증 이벤트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영향을 사람 간세포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리셉터의 직접 조절 하에 있는 티로신 아미노트랜스퍼라제(TAT)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mRNA 발현에서의 변화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요약
사람의 저온보존된 프라이머리 간세포(BioreclamationIVT, M00995-P lot EPB)를 24-웰 콜라겐 I-코팅 플레이트(Becton Dickinson, 354408)에 도포하였다. 세포를 시험 화합물로 밤새(18 hr) 시험하기 전에 4 hr 동안 부착을 위해 방치하였다. 세포를 모으고 전체 RNA를 RNeasy 플러스 미니 키트(Qiagen, 74136)를 사용하여 단리한 다음, 하이 커패시티 cDNA 역전사 키트(Applied Biosystems, 4368813)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실시간 RT PCR을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Applied Biosystems) 7500 PCR 사이클러에서 TAT용 타크만(Taqman) 프라이머(Life technologies, Hs00356930_m1)와 참조 유전자 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1(Life technologies, Hs99999909_m1)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토콜
사람의 저온보존된 프라이머리 간세포를 미리 가온(37℃)된 플레이팅 배지(BioreclamationIVT, Z990003)에 옮기고 0.7 x 106 생세포 / mL로 희석하였다. 500 μL의 세포 현탁액을 콜라겐 I 코팅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도포하고 세포를 침강 및 부착을 위해 37℃에서 4 hr 동안 방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배지를 천천히 버리고 인슐린, 글루코스, 글루타민, 피루베이트가 없고 관심 화합물, 1 μM의 프레드니솔론(DMSO에 용해)(최종 DMSO 농도 0.01%) 또는 대조용으로서 DMSO 만을 함유하는 배지(BioreclamationIVT, S00304)로 교환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37℃에서 추가로 18 hr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전체 RNA 단리(Qiagen) 및 cDNA 합성(Applied Biosystems)을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간 RT PCR을 타크만 시약(Life technologies)을 사용하여 7500 PCR 사이클러에서 수행하였고, TAT 유전자 발현의 Ct값을 대조용 유전자에 대해 표준화하고, 2-ΔΔCt방법을 사용하여 DMSO 대조군과 비교한 배수(fold) 변화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대한 티로신 아미노트랜스퍼라제 유전자 발현 배수 변화
화합물 대조군에 대한 배수 변화(1 μM)
프레드니솔론 2.5 (1.4~4.2, n=8)
실시예 1 1.0 (0.8~1.4, n=6

Claims (11)

  1. CuKα 방사선을 이용하여 측정 시, 2θ = 7.3, 8.7, 12.5, 19.4 및 23.6°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디플루오로-N-[(1R,2S)-3-메틸-1-{[1-(1-메틸-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1H-인다졸-5-일]옥시}-1-페닐부탄-2-일]프로판아미드의 결정형:
    Figure 112020029851348-pct00013
    .
  2. 제1항에 있어서, 2θ = 7.3, 8.7, 11.4, 12.5, 14.5, 15.3, 17.6, 19.4, 23.6 및 25.7°에서 특정 피크가 있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결정형을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결정형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7028158A 2016-03-23 2017-03-22 Sgr 조절인자의 물리적 형태 KR102168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6/077095 2016-03-23
PCT/CN2016/077095 WO2017161518A1 (en) 2016-03-23 2016-03-23 New physical form
PCT/EP2017/056838 WO2017162747A1 (en) 2016-03-23 2017-03-22 Physical form of a sgr mod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178A KR20180117178A (ko) 2018-10-26
KR102168931B1 true KR102168931B1 (ko) 2020-10-23

Family

ID=5839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158A KR102168931B1 (ko) 2016-03-23 2017-03-22 Sgr 조절인자의 물리적 형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407404B2 (ko)
EP (1) EP3433248B1 (ko)
JP (1) JP6651648B2 (ko)
KR (1) KR102168931B1 (ko)
CN (1) CN109415348B (ko)
AU (1) AU2017238341A1 (ko)
CA (1) CA3016507C (ko)
CL (1) CL2018002577A1 (ko)
ES (1) ES2926059T3 (ko)
IL (1) IL261367A (ko)
MX (1) MX2018011288A (ko)
SG (1) SG11201807228QA (ko)
WO (2) WO2017161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6429A1 (zh) * 2019-12-31 2021-07-08 南京明德新药研发有限公司 苯并吡唑类化合物
EP4365171A1 (en) * 2021-06-28 2024-05-08 Medshine Discovery Inc. Crystal form of triazolopyridine-substituted indazol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06B1 (ko) * 2014-09-26 2018-06-11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1-알킬-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 화합물과 sgrm 조절인자로서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3780A (ja) * 2005-06-10 2008-12-04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グルココルチコイド模倣薬、それらの製造方法、医薬組成物及びそれらの使用
TW200815361A (en) 2005-10-20 2008-04-01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WO2007114763A1 (en) 2006-03-31 2007-10-11 Astrazeneca Ab Sulphonamide derivates as modulators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EP1878717A1 (en) 2006-07-14 2008-01-16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Benzyl amine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EP1917963A1 (en) 2006-10-31 2008-05-0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Cyclic phenyl-substituted indazol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WO2008055709A1 (en) 2006-11-08 2008-05-15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Indazole and indole derivatives as anti -inflammatory agents
EP1921067A1 (en) 2006-11-08 2008-05-14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Indole and indazole derivatives as anti-inflammatory agents
TW200829578A (en) * 2006-11-23 2008-07-16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537
JO2754B1 (en) * 2006-12-21 2014-03-15 استرازينكا ايه بي Amylendazolei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glucocorticoid-mediated disorders
WO2008079073A1 (en) 2006-12-22 2008-07-03 Astrazeneca Ab Indazolyl sulphon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glucocorticoid receptor mediated disorders
EP1958934A1 (en) 2007-02-16 2008-08-20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Tetrahydronaphthalenylamide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EP2062880A1 (en) 2007-11-22 2009-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5-[(3,3,3-Trifluoro-2-hydroxy-1-arylpropyl)amino]-1H-quinolin-2-one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EP2072509A1 (en) 2007-12-18 2009-06-24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1-Aryl-1H-quinoline-2-on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US8211930B2 (en) 2008-05-20 2012-07-03 Astrazeneca Ab Phenyl and benzodioxinyl substituted indazoles derivatives
EP2149558A1 (en) 2008-07-21 2010-02-03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5-[(3,3,3-Trifluoro-2-hydroxy-1-arylpropyl)amino-1-arylquinolin-2-one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agents
US8268820B2 (en) * 2009-03-26 2012-09-18 Hoffmann-La Roche Inc. 2,3-diaryl- or heteroaryl-substituted 1,1,1-trifluoro-2-hydroxypropyl compounds
CA2839398A1 (en) 2011-06-29 2013-01-03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Crystalline form of indazolyl 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glucocorticoid receptor mediated disor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06B1 (ko) * 2014-09-26 2018-06-11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1-알킬-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 화합물과 sgrm 조절인자로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178A (ko) 2018-10-26
JP6651648B2 (ja) 2020-02-19
MX2018011288A (es) 2019-06-13
US10407404B2 (en) 2019-09-10
CN109415348B (zh) 2021-09-03
EP3433248B1 (en) 2022-06-22
WO2017161518A1 (en) 2017-09-28
CN109415348A (zh) 2019-03-01
JP2019508474A (ja) 2019-03-28
CA3016507A1 (en) 2017-09-28
SG11201807228QA (en) 2018-10-30
AU2017238341A1 (en) 2018-09-13
CA3016507C (en) 2020-10-13
EP3433248A1 (en) 2019-01-30
CL2018002577A1 (es) 2018-12-21
IL261367A (en) 2018-10-31
ES2926059T3 (es) 2022-10-21
US20190106402A1 (en) 2019-04-11
WO2017162747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253B1 (ko) 페닐 및 벤조디옥시닐 치환 인다졸 유도체
JP5845215B2 (ja) 複素環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JP4211394B2 (ja) プロパン−1,3−ジオン誘導体
EP2838895B1 (en) Amino-indolyl-substituted imidazolyl-pyrimidines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KR101866706B1 (ko) 1-알킬-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3-일 화합물과 sgrm 조절인자로서의 용도
JP2011502982A (ja) 好中球エラスターゼの阻害剤としてのある種の2−ピラジノン誘導体およびその使用
KR20180137496A (ko) 인다졸의 합성
CN117756789A (zh) 作为选择性Janus激酶抑制剂的氨基吡唑类化合物
JP2008534460A (ja) 置換オキシインドール誘導体、それを含む医薬品およびそれの使用
JP2003533450A (ja) アントラニルアミドおよび製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US9688662B2 (en) N-(2,3-dihydro-1H-pyrrolo[2,3-b]pyridin-5-yl)-4-quinazolinamine and N-(2,3-dihydro-1H-indol-5-yl)-4-quinazolinamine derivatives as perk inhibitors
BRPI0617654A2 (pt) composto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 mes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uso de um composto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 mesmo, métodos para produzir um efeito inibitório de hdac e do ciclo celular (anti-proliferação celular) e para tratar o cáncer em um animal de sangue quente, e, processo para preparar um composto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o mesmo
KR102168931B1 (ko) Sgr 조절인자의 물리적 형태
JP2019518776A (ja) Egfr阻害剤としてのアニリンピリミジン化合物の結晶
US10202364B2 (en) Forms and compositions of an ERK inhibitor
US20220048914A1 (en) Preparation for 6-amino-1h-pyrazolo[3,4-d]pyrimidine-based jak kinase inhibitor and application thereof
JPH09221475A (ja) 新規なオキシム誘導体
TWI829481B (zh) 雙環吲唑糖皮質素受體拮抗劑
WO2022059700A1 (ja) トリアジン化合物の塩、その結晶形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