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700B1 - 수축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수축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700B1
KR102168700B1 KR1020200090338A KR20200090338A KR102168700B1 KR 102168700 B1 KR102168700 B1 KR 102168700B1 KR 1020200090338 A KR1020200090338 A KR 1020200090338A KR 20200090338 A KR20200090338 A KR 20200090338A KR 102168700 B1 KR102168700 B1 KR 10216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ring
skin
seated
curv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오
Original Assignee
한양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테크(주) filed Critical 한양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9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3/00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 B65B53/02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 B65B53/06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supplied by gases, e.g. hot-air jets
    • B65B53/063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포장과 건식 포장의 장점을 병합하여 최적의 수축 포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축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을 지어 이동 중인 피부착물로 포장지를 차례로 낙하시켜 상기 포장지의 내측에 상기 피부착물이 안착되도록 하는 포장지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축 포장 장치{SHRINK WRAPPING DEVICE}
본 발명은 수축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포장과 건식 포장의 장점을 병합하여 최적의 수축 포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축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을 위한 열 수축 필름은 포장물의 외면에 덮어 씌워진 후, 포장된 필름의 외면에 열을 가할 경우, 필름이 열 수축에 의해 포장물 외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이루어져 포장물을 외부의 습기 등에 의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품을 포장하는 방법으로는 박스에 의한 방법과 비닐재로 된 포장필름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포장의 효율성이 우수한 포장필름에 의한 방법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포장방법에 있어서 특히, 포장필름에 의한 포장은 2겹으로 되어 폭방향의 일단부가 폐쇄되어 있음과 함께 일측 폭방향이 앞의 작업에 의해 융착 절단되어 있는 포장필름 내에 제품을 수용한 후, 이렇게 포장필름에 포장된 상태로 컨베이어에 의해 가열실로 이송된 제품에 열을 가하거나, 진공 흡입하여 포장필름이 제품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포장필름을 이용하여 제품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장치는 폭방향으로 접힌 포장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연속 공급하는 수단, 반으로 접혀 진행되는 포장필름을 위아래 전개상태로 반전시켜 진행하는 수단, 포장필름 내의 제품 수용 후 포장필름을 융착 절단하여 포장하는 수단, 포장필름의 진행과 연계적으로 배치되는 별도의 제품 이송용 컨베이어 수단, 포장필름에 의해 둘러쌓인 제품을 진공흡착이나 가열을 통해 수축 포장하는 수단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포장필름 공급수단으로부터 롤 형태의 포장필름이 공급되고,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포장필름 내에 제품이 수용되며, 계속해서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포장필름을 융착 절단하는 수단, 즉 탑 실러장치에 의해 의해 포장필름이 융착 절단되고, 최종적으로 진공 흡착 작업을 통해 제품에 대한 포장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384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580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식 회전 방식의 예비 수축을 진행하여 포장 대상 제품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습식 회전 방식의 본 수축을 병행하여 제품의 포장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수축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는, 열을 지어 이동 중인 피부착물로 포장지를 차례로 낙하시켜 상기 포장지의 내측에 상기 피부착물이 안착되도록 하는 포장지 공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는, 상기 포장지 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피부착물의 외측에 상기 포장지가 일정한 높이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지의 상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정리하는 포장지 정리부; 상기 포장지 정리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지가 안착된 상기 피부착물을 순서대로 이동시켜 주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포장지가 안착된 상기 피부착물을 예비 수축시킨 뒤, 본 수축을 통해 상기 피부착물에 상기 포장지를 수축 부착시키는 수축 포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비 수축은, 상기 포장지가 안착된 상기 피부착물을 히터 열풍 터널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건식 수축시켜 상기 포장지의 위치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 수축은, 상기 피부착물을 스팀 터널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상기 예비 수축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기 포장지를 습식 수축시켜 상기 피부착물에 부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장지 정리부는, 상기 포장지 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지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피부착물이 열을 지어 차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수직 플레이트;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전면 일측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동 바아;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양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076010066-pat00001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 바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두 개의 안착홀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며, 상기 구동 바아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승하강 절곡 프레임; 및 세 개의 정리링이 일렬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절곡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절곡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정리링으로 상기 피부착물의 외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포장지의 상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정리하는 가압 정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리링은,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마디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원형의 링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링; 상기 상부링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마디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원형의 링 형태를 형성하는 하부링; 및 상기 상부링과 상기 하부링 사이를 따라 다수 개의 연결 모듈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링과 상기 하부링 사이를 지지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다수 개의 상부 마디의 각 하측 마다 고정 설치되는 안착 플레이트; 제1 곡선형 프레임과 제2 곡선형 프레임의 각 상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ㅅ" 형태를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에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다수 개의 하부 마디의 각 상측 마다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 및 다른 연결 모듈의 제2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링을 거치시키는 거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 블록이 위치하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상기 상부링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 블록이 위치하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상기 상부링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블록은, 상기 하부 마디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블록 본체;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블록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블록 본체의 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2 슬라이딩홈; 및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식 회전 방식의 예비 수축을 진행하여 포장 대상 제품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습식 회전 방식의 본 수축을 병행하여 제품의 포장 퀄리티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수축 포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포장지 정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가압 정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리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거치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10)는, 포장지 공급부(100)를 포함한다.
포장지 공급부(100)는, 열을 지어 이동 중인 피부착물(P)로 포장지(C)를 차례로 낙하시켜 포장지(C)의 내측에 피부착물(P)이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피부착물(P)이라 함은, PET 재질의 병 또는 유리병 등과 같이 외측에 포장 필름 등과 같은 포장지(C)가 수축 포장이 부착되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20)는, 포장지 공급부(100), 포장지 정리부(200), 이송부(300) 및 수축 포장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장지 공급부(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포장지 정리부(200)는, 포장지 공급부(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피부착물(P)의 외측에 포장지(C)가 일정한 높이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포장지(C)의 상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정리한 뒤 이송부(300)로 전달한다.
이송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 정리부(200)의 후단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310)를 이용하여 부착되지 아니한 포장지(C)가 안착된 피부착물(P)을 수축 포장부(400)로 순서대로 이동시켜 준다.
수축 포장부(400)는, 이송부(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지(C)가 안착된 피부착물(P)을 예비 수축시킨 뒤, 본 수축을 통해 피부착물(P)에 포장지(C)를 수축 부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수축 포장부(400)는, 이송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지(C)가 안착된 피부착물(P)을
외주면을 따라 피부착물(P)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411)을 형성하는 원판형 공급판(410)을 이용하여 차례로 수축 포장이 수행되는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켜 줄 수 있고, 수축 포장이 완료된 완제품(P1)을 역시 완제품(P1)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421)을 형성하는 원판형 배출판(420)을 이용하여 차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축 포장부(400)에 의한 예비 수축은, 포장지(C)가 안착된 피부착물(P)을 히터 열풍 터널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건식 수축시켜 포장지(C)의 위치를 고정시켜 준다.
그리고, 수축 포장부(400)에 의한 본 수축은, 피부착물(P)을 스팀 터널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예비 수축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포장지(C)를 습식 수축시켜 피부착물(P)에 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포장 장치(20)는, 건식 회전 방식의 예비 수축을 진행하여 포장 대상 제품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습식 회전 방식의 본 수축을 병행하여 제품의 포장 퀄리티를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포장지 정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장지 정리부(200)는, 이송 레일(210), 수직 플레이트(220), 회전링(230), 구동 바아(240), 지지 플레이트(250), 승하강 절곡 프레임(260) 및 가압 정리부(270)를 포함한다.
이송 레일(210)은, 포장지 공급부(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포장지 공급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피부착물(P)이 열을 지어 차례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수직 플레이트(220)가 설치된다.
수직 플레이트(220)는, 이송 레일(210)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전면 상부에 회전링(230)이 연결 설치되고, 전면 하부에 지지 플레이트(250)가 설치된다.
회전링(230)은, 수직 플레이트(220)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구동 바아(240)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켜 준다.
구동 바아(240)는, 회전링(230)의 전면 일측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링(230)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250)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켜 준다.
지지 플레이트(250)는, 수직 플레이트(220)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승하강 절곡 프레임(260)의 상하 방향 운동을 유도한다.
승하강 절곡 프레임(260)은, 양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076010066-pat00002
"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 바아(24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250)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두 개의 안착홀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며, 구동 바아(24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가압 정리부(270)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켜 준다.
가압 정리부(2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정리링(500-1, 500-2, 500-3)이 일렬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승하강 절곡 프레임(260)의 하측에 설치되며, 승하강 절곡 프레임(26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정리링(500)으로 피부착물(P)의 외측에 안착되어 있는 포장지(C)의 상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정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포장지 정리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세 개의 정리링(500-1, 500-2, 500-3)을 이용하여 한 번의 상하 운동으로 세 개의 포장지(C)의 하측을 각각 눌러 포장지(C)가 피부착물(P)에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정리함으로써, 수축 포장부(400)에 의해 피부착물(P)에 부착되는 포장지(C)의 부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정리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정리링(500)은, 상부링(510), 하부링(520) 및 링 지지부(530)를 포함한다.
상부링(510)은, 하부링(520)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마디(511)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원형의 링 형태를 형성되며, 하측을 따라 링 지지부(530)가 설치된다.
하부링(520)은, 상부링(510)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마디(521)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원형의 링 형태를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설치되는 링 지지부(530)에 의해 상부링(510)의 하측에 이격되어 거치된다.
링 지지부(530)는, 상부링(510)과 하부링(520) 사이를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 개의 연결 모듈(600)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부링(510)과 하부링(520)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리링(500)은, 도 8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수축 및 신장이 가능한 연결 모듈(600)에 의하여 거치되는 하부링(520)을 구비하며, 하부링(520)의 내측 공간으로 피부착물(P)가 삽입됨에 따라 하부링(520)의 하측면으로 포장지(C)의 상측을 눌러 포장지(C)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리링(500)은,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 마디(521)를 이용하여 포장지(C)의 높낮이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높낮이에 대응하여 포장지(C)를 가압하여 다양한 형태의 포장지(C)를 가압하여 일정한 높이로 정리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연결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모듈(600)은, 안착 플레이트(610), 거치 프레임(620) 및 거치 블록(630)을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610)는, 다수 개의 상부 마디(511)의 각 하측 마다 고정 설치되며, 하측(611)에 거치 프레임(620)의 상부가 힌지 결함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거치 프레임(620)은, 제1 곡선형 프레임(621)과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의 각 상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ㅅ" 형태를 형성되며, 상부가 안착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안착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거치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 블록(630)을 거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프레임(621)은, 제2 곡선형 프레임(622)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거치 블록(630)이 위치하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상부링(5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은, 제1 곡선형 프레임(621)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거치 블록(630)이 위치하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상부링(5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 블록(630)은, 다수 개의 하부 마디(521)의 각 상측 마다 고정 설치되며, 제1 곡선형 프레임(621)의 하부 및 다른 연결 모듈(600)의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의 하부가 연결 설치되어 하부링(520)을 거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연결 모듈(600)은, 상부링(510)과 하부링(520) 사이를 따라서 설치되어 상부링(510)의 하측에 하부링(520)을 거치시켜 주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거치 프레임(620)과 거치 블록(630) 간의 탄성력을 이용한 완충 작용을 통해 하부링(520)에 의한 포장지(C)의 가압이 일정한 압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거치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 블록(630)은, 블록 본체(631), 제1 슬라이딩홈(632), 제1 지지 스프링(633), 제2 슬라이딩홈(634) 및 제2 지지 스프링(635)을 포함한다.
블록 본체(631)는, 하부 마디(52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632)을 통해 제1 곡선형 프레임(621)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634)을 통해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이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하부 마디(521)를 거치시켜 줄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홈(632)은, 제1 곡선형 프레임(621)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블록 본체(631)의 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곡선형 프레임(621)의 하부가 안착된다.
제1 지지 스프링(633)은, 제1 슬라이딩홈(632)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 마디(521)가 포장지(C)의 상측을 가압함에 따라 블록 본체(631)가 승강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곡선형 프레임(621)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하부 마디(521)가 일정한 힘으로 포장지(C)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홈(634)은,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블록 본체(631)의 후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의 하부가 안착된다.
제2 지지 스프링(635)은, 제2 슬라이딩홈(634)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 마디(521)가 포장지(C)의 상측을 가압함에 따라 블록 본체(631)가 승강되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곡선형 프레임(622)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하부 마디(521)가 일정한 힘으로 포장지(C)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 블록(630)은, 각각의 하부 마디(521)를 개별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거치와 동시에 하부 마디(521)가 승강되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으로 승강을 저지하여 하부 마디(521)에 의한 포장지(C)의 가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수축 포장 장치
100: 포장지 공급부
200: 포장지 정리부
300: 이송부
400: 수축 포장부
500: 정리링
600: 연결 모듈

Claims (2)

  1. 열을 지어 이동 중인 피부착물로 포장지를 차례로 낙하시켜 상기 포장지의 내측에 상기 피부착물이 안착되도록 하는 포장지 공급부; 상기 포장지 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피부착물의 외측에 상기 포장지가 일정한 높이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지의 상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정리하는 포장지 정리부; 상기 포장지 정리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지가 안착된 상기 피부착물을 순서대로 이동시켜 주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포장지가 안착된 상기 피부착물을 예비 수축시킨 뒤, 본 수축을 통해 상기 피부착물에 상기 포장지를 수축 부착시키는 수축 포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 수축은, 상기 포장지가 안착된 상기 피부착물을 히터 열풍 터널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건식 수축시켜 상기 포장지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상기 본 수축은, 상기 피부착물을 스팀 터널에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상기 예비 수축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기 포장지를 습식 수축시켜 상기 피부착물에 부착시켜 주며,
    상기 포장지 정리부는, 상기 포장지 공급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지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피부착물이 열을 지어 차례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수직 플레이트;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전면 일측에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되는 구동 바아;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양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093065953-pat00003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 바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두 개의 안착홀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며, 상기 구동 바아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는 승하강 절곡 프레임; 및 세 개의 정리링이 일렬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절곡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절곡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정리링으로 상기 피부착물의 외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포장지의 상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정리하는 가압 정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리링은,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부 마디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원형의 링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링; 상기 상부링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마디가 서로 밀착 배치되어 원형의 링 형태를 형성하는 하부링; 및 상기 상부링과 상기 하부링 사이를 따라 다수 개의 연결 모듈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링과 상기 하부링 사이를 지지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다수 개의 상부 마디의 각 하측 마다 고정 설치되는 안착 플레이트; 제1 곡선형 프레임과 제2 곡선형 프레임의 각 상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ㅅ" 형태를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에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다수 개의 하부 마디의 각 상측 마다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 및 다른 연결 모듈의 제2 곡선형 프레임의 하부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링을 거치시키는 거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 블록이 위치하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상기 상부링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곡선형 프레임은, 상기 제1 곡선형 프레임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거치 블록이 위치하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상기 상부링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축 포장 장치.


  2. 삭제
KR1020200090338A 2020-07-21 2020-07-21 수축 포장 장치 KR10216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38A KR102168700B1 (ko) 2020-07-21 2020-07-21 수축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38A KR102168700B1 (ko) 2020-07-21 2020-07-21 수축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700B1 true KR102168700B1 (ko) 2020-10-21

Family

ID=7303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338A KR102168700B1 (ko) 2020-07-21 2020-07-21 수축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70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121A (en) * 1987-05-22 1988-08-23 Pdc International Corporation Banding apparatus with floating mandrel
KR930002195A (ko) * 1991-07-26 1993-02-22 임택근 용기류에 수축 필름을 씰링하는 필름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0338422B1 (ko) 1999-12-11 2002-05-27 소길자 온도 제어가 가능한 수축포장기
KR100658054B1 (ko) 2005-07-11 2006-12-15 박상오 열수축포장기
WO2012052938A1 (en) * 2010-10-21 2012-04-26 Sacmi Verona S.P.A. Device for forming and transferring a sleeve-like label to a container to be labeled
KR200465323Y1 (ko) * 2011-11-30 2013-02-15 (주)아모레퍼시픽 수축포장기용 스팀 회수장치
KR20130092316A (ko) * 2012-02-10 2013-08-20 (주)선진에스엠 수축비닐포장기
US20150375450A1 (en) * 2013-02-15 2015-12-31 Sacmi Verona S.P.A. Method of producing shrink sleeve labels and device for their production
KR101624647B1 (ko) * 2015-10-19 2016-05-30 안형배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KR20170061307A (ko) * 2015-11-26 2017-06-05 고상호 터널식 수축 포장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121A (en) * 1987-05-22 1988-08-23 Pdc International Corporation Banding apparatus with floating mandrel
KR930002195A (ko) * 1991-07-26 1993-02-22 임택근 용기류에 수축 필름을 씰링하는 필름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0338422B1 (ko) 1999-12-11 2002-05-27 소길자 온도 제어가 가능한 수축포장기
KR100658054B1 (ko) 2005-07-11 2006-12-15 박상오 열수축포장기
WO2012052938A1 (en) * 2010-10-21 2012-04-26 Sacmi Verona S.P.A. Device for forming and transferring a sleeve-like label to a container to be labeled
KR200465323Y1 (ko) * 2011-11-30 2013-02-15 (주)아모레퍼시픽 수축포장기용 스팀 회수장치
KR20130092316A (ko) * 2012-02-10 2013-08-20 (주)선진에스엠 수축비닐포장기
US20150375450A1 (en) * 2013-02-15 2015-12-31 Sacmi Verona S.P.A. Method of producing shrink sleeve labels and device for their production
KR101624647B1 (ko) * 2015-10-19 2016-05-30 안형배 로터리식 열수축라벨지 부착장치
KR20170061307A (ko) * 2015-11-26 2017-06-05 고상호 터널식 수축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200B2 (en) Sealing and de-stacking
ES2277644T3 (es) Proceso y aparato para formar etiquetas tubulares de pelicula termocontraible e introducir contenedores en su interior.
US3075330A (en) Apparatus for packaging articles
JP4339765B2 (ja) トレイに対するカバーフイルムのシール包装装置
CN1165456C (zh) 用于生产卷烟盒的方法及设备
KR102131783B1 (ko) 마스크 팩 공급장치
JP2001506955A (ja) 物品取り扱い装置
JP2014508078A (ja) 筒形ラベル移送用の真空移送要素と方法複数の筒形ラベル移送用の真空移送要素と方法
KR102168700B1 (ko) 수축 포장 장치
FR2937308A1 (fr) Dispositif de prehension et de manutention d'objets.
JPS6312434A (ja) 収縮フイルムによつて完全に包まれたパレツトなしの包装体の製造のための装置
FR2663292A1 (fr) Machine plieuse-empaqueteuse de caisses de carton.
EP0323780B1 (fr) Machine pour le groupage d'objets, tels que des boîtes de conserve
JP3723466B2 (ja) 包装体の製造装置
JP5894653B2 (ja) テトラ包装袋用包装機
BRPI0608421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embalar recipientes por encolhimento
JP2754379B2 (ja) 繊維製品の包装装置
CN213445041U (zh) 一种焊丝搬运装置
US2355722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CN210971829U (zh) 一种压缩巾的自动包装系统
JP2987591B2 (ja) カップ包装装置
FR2658157A3 (fr) Appareil de gonflage et de thermosoudage pour sacs d'emballage en matiere plastique.
CN110641788A (zh) 一种压缩巾的自动包装系统
FR2476597A1 (fr) Machine d'emballage d'articles de forme spherique et facilement endommageables, notamment des fruits
US2602416A (en) Apparatus for treating box bl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