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178B1 -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178B1
KR102168178B1 KR1020200026882A KR20200026882A KR102168178B1 KR 102168178 B1 KR102168178 B1 KR 102168178B1 KR 1020200026882 A KR1020200026882 A KR 1020200026882A KR 20200026882 A KR20200026882 A KR 20200026882A KR 102168178 B1 KR102168178 B1 KR 102168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ket
casing
protrus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Priority to KR102020002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36Pressing means
    • F16J15/3452Pressing means the pressing force resulting from the action of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와 조인트 장치의 케이싱의 연결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며 탄성을 가지는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외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내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기설정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내경 사이로 정의되는 상기 파이프의 두께보다 작은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Gasket and Apparatus for joi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력이 우수하고 탈착이 용이한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파이프는 주로 물, 기름, 가스 등과 같은 유체 또는 기체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파이프는 생산되는 길이가 한정되므로 이송 라인 전체의 길이가 긴 경우 중간에 다수의 연결 부위를 가지게 되며, 이 연결부위에는 용접이나 플랜지 연결 외에 별도의 조인트 장치를 통하여 파이프와 파이프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이 중에서 조인트 장치는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맞닿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고 볼트 및 너트로서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을 조여주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두 개의 파이프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맞닿는 부분의 틈새로 유체가 누설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와 파이프의 이음새 부분을 고무나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실링 부재 즉 가스켓으로 밀봉 또는 패킹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조인트 장치는, 두 개의 파이프가 충격을 받거나 또는 파이프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나 흐름 변화에 따라 파이프가 요동을 하더라도 파이프의 연결이 탈관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압착하고 있어야 하며,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파이프 단부의 틈새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연결 고정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에는 상기와 같이 밀봉 및 견고한 이음이 더욱 보장되도록 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력이 우수하고 탈착이 용이한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켓은, 파이프와 조인트 장치의 케이싱의 연결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며 탄성을 가지는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외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내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기설정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내경 사이로 정의되는 상기 파이프의 두께보다 작은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를 향해 사선의 형태로 돌출되는 사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사선부는, 서로 맞닿아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시켜, 상기 내부 공간에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연결되는 부위가 'V'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사선부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사선부의 사선과 2도 내지 3도의 기울기 차이를 가지는 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사선부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사선부의 사선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선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닿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은 상기 제2 돌출부의 진행을 저항하도록 하는 돌출된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면에 제1 톱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향하는 면에 제2 톱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사선부를 향하는 면 상에, 상기 사선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요철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의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제1 공간 형성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의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제2 공간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톱니 구조보다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형성되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더해 탄성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부는, 횡단면이 원의 자취를 가지며, 종단면이 원인 코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는,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확관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확관된 형태를 가진 일단부 또는 타단부와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는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파이프 사이로부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항에 따른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가 상기 케이싱에 삽입 시, 상기 가스켓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횡단면이 중공의 원의 형태를 가지며, 원주 상의 일 지점의 종단면이 역방향의 'ㄱ'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커버는,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인 상기 보호 커버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보호 커버의 중심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직선의 형태를 가지거나 점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부분의 일단부에서 상기 보호 커버의 중심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분의 종방향의 기설정 길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의 종방향 거리 차이 이내 만큼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는, 밀봉력이 우수하고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의 사선부와 제2 돌출부 사이의 배치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보호 커버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파이프 분리부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 및 파이프 분리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3 내지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서, 파이프 스토퍼, 리테이너링, 링케이스 및 제1 백업링이 설치된 조인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서, 파이프 스토퍼, 리테이너링, 링케이스 및 제2 백업링이 설치된 조인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백업링의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백업링에 설치되는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백업링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시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가스켓의 사선부와 제2 돌출부 사이의 배치를 횡단면으로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보호 커버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파이프 분리부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을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1)는, 케이싱(10), 가스켓(20), 파이프 스토퍼(30), 보호 커버(40) 및 파이프 분리부(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싱(10)은, 파이프(P)와 파이프(P)를 연결시켜 파이프(P)와 파이프(P) 간의 유체 또는 기체의 이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케이싱(10)은 대략 40mm 내지 50mm의 외경 지름(바람직하게는 48.4mm 내지 48.6mm)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확관된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의 외경 지름은 65mm 내지 70mm를 가지는 크기(바람직하게는 66.9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는 일례로 강관 파이프일 수 있다.
케이싱(10)은, 일단부(11)에서 타단부(12)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11)와 타단부(12) 사이에 파이프 고정부(13) 및 파이프 연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고정부(13)는, 파이프 연결부(1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양측으로의 파이프(P)의 도입을 가이드하며, 내경이 파이프(P)의 외경에 맞닿을 수 있는 크기의 내경 지름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14)는, 일례로 케이싱(10)의 중앙에 위치하여 양측에 파이프 고정부(1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파이프(P)와 파이프(P) 간의 유체 또는 기체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공간일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14)는 파이프 고정부(13)를 통해 유입되는 파이프(P)가 정지될 수 있도록, 파이프 고정부(13)보다 작은 지름으로 설계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일단부(11)와 타단부(12) 중 적어도 하나가 파이프 고정부(13) 및 파이프 연결부(14)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싱(10)은, 일단부(11) 및 타단부(12) 중 적어도 하나가 확관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단부(11)와 타단부(12)는, 파이프 연결부(14)에서 양측의 파이프 고정부(13)로의 방향인 양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확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싱(10)의 일단부(11)와 타단부(12)는, 파이프(P)와의 사이에 후술할 가스켓(20)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확관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싱(10)의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마무리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마무리부(101)는, 최초 케이싱(10)에 파이프(P)가 삽관되기 전, 각 단부의 외측을 향한 채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가스켓(20)과 파이프 스토퍼(30)가 삽입되고 난 후 파이프 스토퍼(30)를 향해 구부러져 끼워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케이싱(10)은, 파이프(P)가 삽관되기 전에, 가스켓(20) 및 파이프 스토퍼(30)와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며, 이후 케이싱(10)에 파이프(P)가 삽관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P)의 끝단의 절단 상태에 따라 후술할 보호 커버(40)를 파이프(P)에 끼우고 케이싱(10)에 파이프(P)를 삽입할 수 있다.
즉, 마무리부(101)는, 내측면(101a) 및 하측면(101b)을 포함하고, 가스켓(20)과 파이프 스토퍼(30)가 삽입되고 난 후에, 내측면(101a)이 후술할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몸체부(31), 지지 몸체 연장부(34) 또는 지지 몸체 굽힘부(36)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하측면(101b)이 지지 팔부(32)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0)은, 파이프 스토퍼(30)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서 고정 턱(102)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턱(102)은, 확관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싱(10)의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와 마무리부(101)가 접하는 부분에 파이프 스토퍼(3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0)을 통해서, 파이프(P)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직경에 대하여 양단부의 확관 정도를 그에 대응하게 설계함으로써,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P) 간의 연결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스켓(20)은,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며,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 탄성을 통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다.
즉, 가스켓(20)은, 케이싱(10)의 확관된 형태를 가진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와 케이싱(10)에 삽입되는 파이프(P) 사이에 배치되며, 케이싱(10)과 파이프(P) 사이로부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켓(20)은, 내경의 길이가 파이프(P)의 외경의 길이보다 적고, 외경의 길이가 케이싱(10)의 내경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20)은, 제1 몸체부(21), 제2 몸체부(22), 연결부(23) 및 스프링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21)는, 외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211)에서 타단부(212)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제1 몸체부(21)는, 횡방향으로 대략 12 mm 내지 2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6 mm 내지 8 mm의 종방향 기설정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횡방향 두께는 대략 2.0 mm ~ 2.8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부(21)는,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로부터 제2 몸체부(22)의 타단부(222)를 향해 사선의 형태로 돌출되는 사선부(213),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면에 제1 톱니 구조(214),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의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일례로 라운드 형태 또는 사선 형태)를 가지는 제1 공간 형성부(215) 및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의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일례로 라운드 형태 또는 사선 형태)를 가지는 제2 공간 형성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선부(213)는, 제2 돌출부(224)와 서로 맞닿아 내부 공간(24)을 형성시켜, 내부 공간(24)에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만약,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에서 제2 몸체부(22)의 일단부(221)를 향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면, 제2 몸체부(22)의 제2 돌출부(224)가 파이프(P)에 의해 계속 끌려가 내부 공간(24)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간(24)이 형성되지 못하게 되어 내부 공간(24)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소실될 수 있고, 이러한 소실된 압력으로 인해 가스켓(20)의 외부의 방향으로 팽창되지 못하게 되어, 파이프(P)와 케이싱(10) 사이의 밀봉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2 돌출부(224)와 서로 맞닿게 되는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 상에 사선의 형태로 돌출되는 사선부(213)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간(24)을 형성시킬 수 있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 공간(24)의 압력이 매우 신뢰성있게 발생하므로, 파이프(P)와 케이싱(10) 사이의 밀봉 또는 고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사선부(213)는, 제2 돌출부(224)와 맞닿는 플레이트(2131) 및 플레이트(2131)에 맞닿은 제2 돌출부(224)의 진행을 저항하도록 하는 돌출된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 구조(2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31)는, 제2 돌출부(224)와 맞닿아 내부 공간(24)을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단차 구조(2132)는, 플레이트(2131)와 맞닿은 제2 돌출부(224)의 미끄러짐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24)는, 파이프(P)의 진행으로 인해 안쪽으로의 이동힘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제2 돌출부(224)는 플레이트(2131)와 맞닿은 후 계속해서 안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돌출부(224)는, 계속해서 안쪽으로 이동하다가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를 벗어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면, 사선부(213)는 제2 돌출부(224)와 맞닿지 못하게 되고 이탈하게 되며, 그로 인해 내부 공간(24)의 밀폐가 불가능하게 되고 결국 내부 공간(24)의 압력 발생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선부(213)를 형성함과 동시에 단차 구조(2132)를 형성하여, 제2 돌출부(224)가 플레이트(2131)와 맞닿은 후 지속적인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2 돌출부(224)가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톱니 구조(214)는, 제1 몸체부(21)에서,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케이싱(10)과 가스켓(2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톱니 구조(214)는, 케이싱(10)의 확관된 타단부(12)와 가스켓(20) 사이에 유체가 누설된 경우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어, 누설된 유체를 원둘레로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톱니 구조(214)는, 횡방향 높이가 대략 1.0 mm 내지 1.4 mm를 가질 수 있다.
제1 공간 형성부(215)는,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에서,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의 외측 방향 면 상에 사선의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공간 형성부(216)는,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에서,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의 외측 방향 면 상에 사선의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 형성부(216)는, 제1 톱니 구조(214)보다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2 공간 형성부(216)는, 사선이 아닌 일정한 곡률(일례로 1.5mm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톱니 구조(214), 제1 공간 형성부(215) 및 제2 공간 형성부(216)의 구조는, 공간의 여유 즉, 여유 공간이 발생하므로, 케이싱(10)과 가스켓(20)의 과도한 밀착 시, 여유 공간으로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제2 몸체부(22)는, 내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제1 몸체부(21)의 기설정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221)에서 타단부(222)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몸체부(22)는, 제2 몸체부(22)와 제1 몸체부(21) 사이의 종방향 간격 차가 대략 1.8mm 내지 2.2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2mm의 종방향 간격 차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부(22)는, 횡방향 두께가 대략 2.0mm ~ 2.8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부(22)는, 제1 몸체부(21) 대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제2 몸체부(22)와 제1 몸체부(21) 사이의 간격 차를 발생하게 하고, 이로 인해 내부 공간(24)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몸체부(22)는, 제1 몸체부(21) 사이의 간격 차에 후술할 보호 커버(4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몸체부(22)는, 제2 몸체부(22)의 타단부(222)로부터 제1 몸체부(2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223), 제2 몸체부(22)의 타단부(222)로부터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를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224) 및 제2 돌출부(224)에 대향하는 면에 제2 톱니 구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23)는, 파이프(P)의 외경과 내경 사이로 정의되는 파이프의 두께(T1)보다 작은 경사진 돌출 길이(T2)를 가진다.
제1 돌출부(223)는, 제2 몸체부(22)의 타단부(222)로부터 제1 몸체부(2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파이프(P)가 케이싱(10)에 삽입 시, 제1 돌출부(223)를 건드리게 되고, 제1 돌출부(223)는 파이프(P)와 함께 전진하게 되어, 가스켓(20)은 케이싱(10)의 확관된 타단부(12)에서 더욱 깊숙히 끌려들어가게 되고, 가스켓(20)이 파이프(P)와 케이싱(10) 사이의 밀봉력 및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현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제1 돌출부(223)는, 파이프(P)의 외경과 내경 사이로 정의되는 파이프의 두께(T1)보다 작은 경사진 돌출 길이(T2)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돌출부(223)가 파이프(P)에 지속적으로 끌려가지 않고, 사선부(213)와 제2 돌출부(224) 간의 접촉 시의 저항으로 중간에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돌출부(223)는, 파이프(P)의 전진에 계속해서 함께하지 않고, 제1 돌출부(223)가 일정 거리 파이프(P)와 함께 진행하다가 파이프(P)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제1 돌출부(223)는, 파이프(P) 상에 안착하면서, 제1 몸체부(21) 방향으로 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밀착은, 제2 몸체부(22)가 파이프(P)에 의해 제1 몸체부(21) 방향으로 밀착하는 것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제1 돌출부(223)는, 제2 돌출부(224)와 연결되는 부위가 'V'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226)는, 제1 돌출부(223)가 파이프(P)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돌출부(223)가 제2 돌출부(224)와 연결되는 부분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돌출부(223)가 파이프(P)를 따라 계속해서 전진 후 용이하게 이탈하기 어렵다. 즉, 제1 돌출부(223)가 제2 돌출부(224)와 연결되는 부분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제1 돌출부(223)가 파이프(P)에서 이탈하지 못하고 방해를 받게 되어, 이로 인해 결국 가스켓(20)은 형태가 무너지게 되고, 케이싱(10)과 파이프(P) 사이의 밀봉을 수행하고 고정하는 역할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돌출부(223)와 제2 돌출부(224)가 연결되는 부위가 'V'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226)를 구비하여, 제1 돌출부(223)가 파이프(P)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1 돌출부(223)는, 제2 톱니 구조(225)보다 제2 몸체부(22)의 일단부(221)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종방향 길이는 대략 1mm 전후일 수 있다.
제2 돌출부(224)는, 사선부(213)와 서로 일부 맞닿아 내부 공간(24)을 형성시켜, 내부 공간(24)에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가스켓(20)은, 제2 돌출부(224)가 사선부(213)와 맞닿는 경우, 제1 몸체부(21)에서 제2 몸체부(22)까지의 거리 즉,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파이프(P)의 외경까지의 거리를 높이라 할 때 파이프(P) 외경이 대략 48.6mm인 40A용 소켓에 있어서, 대략 7.2mm 내지 7.8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의 높이는 대략 6.4mm 내지 7.0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에서 일단부(211)로 갈 수록 높이가 커지는 즉, 대략 6.4mm ~ 7.8mm의 점증적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스켓(20)의 경도는 60 내지 65를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부(224)는, 사선부(213)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가지도록 사선부(213)의 사선과 2도 내지 10도의 기울기 차이를 가지는 사선을 형성하거나 또는 사선부(213)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사선부(213)의 사선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24)는, 사선부(213)를 향하는 면 상에 사선부(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요철구(2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철구(2241)는, 제2 돌출부(224)를 둘러싸는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2 개씩 쌍을 지어 복수의 쌍(일례로 8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구(2241)는, 사선부(213)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내부 공간(24)으로 유체가 유입 가능하게 하되, 내부 공간(24)으로부터 유출되는 양은 적도록 그 구멍의 크기가 제2 돌출부(224) 대비 상당히 적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2 돌출부(224)와 사선부(213)의 맞닿음으로 인해 밀폐되는 내부 공간(24)에 유체의 유입이 한결 수월해지도록 함으로써, 가스켓(20)의 외측 방향 팽창 힘을 손 쉽게 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요철구는 그 숫자나 서로간의 간격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요철구(2241)는, 사선부(213)를 향하는 면 상에 사선부(21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몸체부(21)의 일단부(211)와 제2 돌출부(224)가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파이프(P)가 가스켓(20)을 밀고 감으로써, 제2 돌출부(224)가 제1 몸체부(21)의 사선부(213)와 접촉 시, 제2 돌출부(224)가 반동으로 다시 후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2 돌출부(224)와 사선부(213)의 일부 맞닿음으로 인해 밀폐되는 내부 공간(24)에 유체 또는 기체의 유입이 한결 수월해지도록 함으로써, 가스켓(20)의 외측 방향 팽창 힘을 손 쉽게 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톱니 구조(225)는, 제2 몸체부(22)의 일단부(221)에서, 사선부(213)에 대면하는 면, 즉 제2 돌출부(224)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파이프(P)와 가스켓(2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톱니 구조(225)는, 파이프(P)와 가스켓(20) 사이로 유체의 누설 시 누설된 유체를 이중 또는 삼중으로 원주 방향의 여유 공간에 저장하고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2 톱니 구조(225)는, 횡방향 높이가 대략 1.0mm 내지 1.6mm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23)는, 제1 몸체부(21)와 제2 몸체부(22)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와 제2 몸체부(22)의 타단부(222)를 연결한다.
연결부(23)는, 탄성력을 통해서, 제2 몸체부(22)가 제1 몸체부(21)로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키며, 4OA의 파이프 소켓의 경우 대략 6.4mm 내지 7.0mm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부(25)는, 내부 공간(24)에 위치되며, 내부 공간(24)에서 형성되는 유체의 압력에 더해 탄성력을 추가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프링부(25)는, 가스켓(20)이 파이프(P) 또는 케이싱(10)으로 밀착되는 힘을 더욱 향상시키며, 내부 공간(24)의 형성에 효과가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25)는, 횡단면이 원의 자취를 가지며, 종단면이 원의 코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파이프 스토퍼(30)는,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파이프(P)와 조인트 장치(1)의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스토퍼(30)는, 가스켓(20)으로부터 케이싱(10)에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PD)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스켓(20)이 케이싱(10)과 파이프(P)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스토퍼(30)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단의 지지 방식을 통해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을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 6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에 대해서 하기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 및 파이프 분리부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3 내지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지지 몸체 연장부(34),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 지지 몸체 굽힘부(36), 지지 몸체 조임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스토퍼(30)는, 기본 적으로 지지 다리부(32)가 파이프(P)를 지지하면서,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 다리부(32)의 파이프(P)에 대한 지지력을 케이싱(10)에 전달하기 위해 지지 몸체부(31)의 상부와 지지 팔부(33)가 케이싱(10)에 맞닿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 속에서 가스켓(20)은 파이프 스토퍼(30)와 케이싱(10) 사이에 존재하므로, 자연스레 파이프 스토퍼(30)에 의해 케이싱(1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 실시예(도 6 참조),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실시예(도 8 및 도 9 참조),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몸체 연장부(34)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 실시예(도 10(a), 도 11 및 도 12 참조),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지지 몸체 연장부(34)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4 실시예(도 10 (b) 및 도 13 참조),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몸체 조임부(37)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5 실시예(도 10 (c) 및 도 14참조),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몸체 굽힘부(36)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6 실시예(도 15 참조)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파이프 스토퍼(30)의 실시 예는 상기 6 개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지지 몸체 연장부(34),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 지지 몸체 굽힘부(36) 및 지지 몸체 조임부(37)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서 다양한 실시 예로 적용될 수 있다.
<파이프 스토퍼(30)의 제1 실시 예>
이하 파이프 스토퍼(30)의 제1 실시 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및 지지 팔부(33)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가 본체 즉, 프레임(frame)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지 몸체부(31)의 상부로 케이싱(10)에 1차 지지되고, 지지 팔부(33)로 케이싱(10)에 2차 지지되며, 지지 다리부(32)로 파이프(P)에 3차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3단으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부(31)는, 횡단면이 원의 자취를 가지며, 원주 상의 일 지점의 종단면이 상하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지지 몸체부(31)는, 본체 즉, 프레임(fram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 몸체부(31)는, 상부가 케이싱(10)에 지지되되, 가스켓(20)과 대면하여,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몸체부(31)는, 상부가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지지되되, 가스켓(20)과 대면하여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할 수 있다.
지지 다리부(32)는, 지지 몸체부(3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가스켓(20)을 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다리부(32)는, 파이프(P)에 지지되되, 가스켓(20)의 하측과 대면하여 가스켓(20)의 하측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할 수 있다.
지지 다리부(32)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다리부(32)는, 지지 팔부(33)의 기설정 간격보다 더 작은 간격으로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팔부(33)는, 지지 몸체부(31)의 상측에서 케이싱(10)에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PD)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팔부(33)는, 지지 몸체부(31)에 대해 케이싱(10)으로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PD)의 반대 방향으로 케이싱(10)이 위치 및 고정되도록 하여, 지지 몸체부(31)가 케이싱(10)에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에 저항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팔부(33)는,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하측면(101b)에 지지되되,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가 지지 몸체부(31)에 대해 케이싱(10)으로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PD)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팔부(33)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추가적인 저항을 생성함으로써, 파이프(P)가 내부 공간(24)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스켓(2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여, 가스켓(20)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케이싱(10)을 통한 2차 지지와 함께 파이프(P)를 통한 1차 지지를 추가하여, 파이프(P)의 이탈 방지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를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 스토퍼(30)의 제2 실시 예>
다음으로, 파이프 스토퍼(30)의 제2 실시 예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및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부로 케이싱(10)에 1차 지지되고, 지지 팔부(33)로 케이싱(10)에 2차 지지되며, 지지 다리부(32)로 파이프(P)에 3차 지지되고,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로 케이싱(10)에 4차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4단으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및 지지 팔부(33)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제1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가스켓(20)을 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외측이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맞닿고, 내측이 가스켓(20)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케이싱(10)에 삽입된 가스켓(20)에 배치된 후,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가 굽혀지면서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의 외측이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맞닿게 되고, 내측이 가스켓(20)에 맞닿게 된다.(도 9 참조)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케이싱(10)에 지지되되, 가스켓(20)의 상측과 대면하여 가스켓(20)의 상측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확관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싱(10)의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와 케이싱(10)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싱(10)에 지지됨으로써,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는, 지지 팔부(33)와 횡단면이 동일한 원의 자취를 가지되, 동일한 원의 자취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와 지지 팔부(33)는,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35)가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고 지지 팔부(33)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동일한 원의 자취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하로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에 고정되어 지지 다리부(32)의 지지력을 케이싱(10)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추가적인 저항을 생성함으로써,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 및 가스켓(20)이 내부 공간(24)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가스켓(20)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케이싱(10)을 통한 3차 지지와 함께 파이프(P)를 통한 1차 지지를 추가하여,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를 더욱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 스토퍼(30)의 제3 실시 예>
다음으로, 파이프 스토퍼(30)의 제3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0의 (a)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몸체 연장부(3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부로 케이싱(10)에 1차 지지되고, 지지 몸체 연장부(34)로 케이싱(10)에 2차 지지되며, 지지 다리부(32)로 파이프(P)에 3차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3단으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제3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31) 및 지지 다리부(32)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제1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한다.
다만, 본 제3 실시 예에서 케이싱(10)은, 추가로 고정 턱(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턱(102)은, 확관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싱(10)의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와 마무리부(101)가 접하는 부분에 후술할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몸체 연장부(34)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턱(102)은, 케이싱(10)의 일단부(11) 또는 타단부(12)와 마무리부(101)가 접하는 부분에 마무리부(101)의 하측면(101b)에 수직하고,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평향한 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턱(102)의 깊이에는 지지 몸체 연장부(34)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케이싱(1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케이싱(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외측이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맞닿게 되고, 내측이 가스켓(20)에 맞닿게 된다.
즉,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케이싱(10)에 삽입된 가스켓(20)에 배치됨과 동시에 케이싱(10)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후,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가 굽혀지면서 지지 몸체 연장부(34)의 외측이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맞닿게 되고, 내측이 가스켓(20)에 맞닿게 된다.(도 12 참조)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케이싱(10)에 삽입되어, 지지 몸체부(31)가 케이싱(1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P)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하게 할 수 있다. 즉, 파이프(P)의 이탈을 막는 지지 다리부(32)의 지지력을 효과적으로 케이싱(1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케이싱(10)의 고정 턱(102)에 삽입되어, 지지 몸체부(31)가 케이싱(10)의 고정 턱(102)에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지지 몸체부(31)와 함께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추가적인 저항을 생성함으로써,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 및 가스켓(20)이 내부 공간(24)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가스켓(20)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케이싱(10)을 통한 2차 지지와 함께 파이프(P)를 통한 1차 지지를 추가하여,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를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파이프 스토퍼(30)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파이프 스토퍼(30)를 케이싱(10) 자체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력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 스토퍼(30)의 제4 실시 예>
다음으로, 파이프 스토퍼(30)의 제4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0의 (b) 및 도 1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지지 몸체 연장부(3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부로 케이싱(10)에 1차 지지되고, 지지 몸체 연장부(34)로 케이싱(10)에 2차 지지되며, 지지 다리부(32)로 파이프(P)에 3차 지지되고, 지지 팔부(33)로 케이싱(10)에 4차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4단으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제4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및 지지 몸체 연장부(34)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제3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지지 팔부(33)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제2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추가적인 저항을 생성함으로써,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 및 가스켓(20)이 내부 공간(24)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가스켓(20)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케이싱(10)을 통한 3차 지지와 함께 파이프(P)를 통한 1차 지지를 추가하여,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를 더욱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파이프 스토퍼(30)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파이프 스토퍼(30)를 케이싱(10) 자체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력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 스토퍼(30)의 제5 실시 예>
다음으로, 파이프 스토퍼(30)의 제5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0의 (c) 및 도 1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지지 팔부(33), 지지 몸체 조임부(37)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는, 지지 몸체 조임부(37)로 케이싱(10)에 1차 지지되고, 지지 다리부(32)로 파이프(P)에 2차 지지되고, 지지 팔부(33)로 케이싱(10)에 3차 지지되어, 파이프(P)의 이탈을 3단으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몸체부(31)는, 케이싱(10)에 지지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지지 몸체 조임부(37)가 형성될 수 있도록 몸체의 역할을 한다.
본 제5 실시 예에서 지지 다리부(32)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제3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하도록 하며, 지지 팔부(33)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제2 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갈음할 수 있다.
지지 몸체 조임부(37)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굽혀져 조임쇠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 조임부(37)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몸체 조임부(37)는, 지지 팔부(33)와 횡단면이 동일한 원의 자취를 가지되, 동일한 원의 자취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몸체 조임부(37)와 지지 팔부(33)는, 모두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동일한 원의 자취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 조임부(37)는, 최초 제작 시, 지지 몸체부(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곧게 연장 된 후,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가 접히면서 함께 굽혀져 조임쇠의 형상을 가져 마무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몸체 조임부(37)는, 파이프 스토퍼(30)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굽혀진 조임쇠 형상이 케이싱(10)에 맞닿아 고정됨으로써,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력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케이싱(10)을 통한 2차 지지와 함께 파이프(P)를 통한 1차 지지를 추가하여,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를 더욱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 스토퍼(30)의 제6실시 예>
다음으로, 파이프 스토퍼(30)의 제6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6 실시 예의 파이프 스토퍼(3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서 결합되는 파이프 스토퍼(30a) 및 스토퍼 백업부 (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a)는, 케이싱(10), 파이프(P) 및 스토퍼 백업부(30b)에 의해 지지되어,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을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스토퍼(30a)는, 지지 몸체부(31), 지지 다리부(32) 및 지지 몸체 굽힘부(36)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스토퍼(30a)는, 지지 몸체부(31)로 스토퍼 백업부(30b)에 1차 지지되고, 지지 다리부(32)로 파이프(P)에 2차 지지되고, 지지 몸체 굽힘부(36)로 스토퍼 백업부(30b)에 3차 지지되되, 케이싱(10)에 4차 지지되도록 하여, 파이프(P)의 이탈을 4단으로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부(31)는, 횡단면이 원의 자취를 가지며, 원주 상의 일 지점의 종단면이 상하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지지 몸체부(31)는,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P)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32)의 지지력을 스토퍼 백업부(30b)에 전달 및 지지 몸체 굽힘부(36)로 케이싱(10)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몸체부(31)는, 스토퍼 백업부(30b)에 지지되되, 가스켓(20)과 대면하여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과 궁극적으로 파이프(P)의 이탈에 저항할 수 있다.
지지 다리부(32)는, 지지 몸체부(3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가스켓(20)을 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다리부(32)는, 파이프(P)에 지지되되, 가스켓(20)의 하측과 대면하여 가스켓(20)의 하측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할 수 있다.
지지 다리부(32)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다리부(32)는, 지지 몸체 굽힘부(36)의 기설정 간격보다 더 작은 간격으로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지지 몸체부(31)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U'자 형태로 굽혀져 형성된다.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직각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경우, 스토퍼 백업부(30b)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위로는 케이싱(10)에 지지되고 아래로는 스토퍼 백업부(30b)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일례로 'U'자 형태로 굽혀져 형성되는 경우 자유 단부인 일단부(361) 지지 몸체부(31)에 연결되는 타단부(362)보다 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토퍼 백업부(30b)가 지지 몸체 굽힘부(36)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스토퍼 백업부(30b)의 상측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위로는 케이싱(10)에 지지되고 아래로는 스토퍼 백업부(30b)에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스토퍼 백업부(30b)가 끼워지도록 하여 스토퍼 백업부(30b)에 지지되되, 자유 단부인 일단부(361)가 케이싱(10)에 대면하여 케이싱(10)에 지지되어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하게 할 수 있다.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일례로 'U'자 형태로 굽혀져 형성되는 경우 스토퍼 백업부(30b)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되, 자유 단부인 일단부(361)가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의 내측면(101a)에 맞닿도록 하여, 스토퍼 백업부(30b) 및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에 의해 2차 지지됨으로써, 가스켓(20)의 외부로의 이탈에 저항하게 할 수 있다.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지지 몸체부(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몸체 굽힘부(36)는, 일례로 'U'자 형태로 굽혀져 형성되는 경우 파이프(P)와 케이싱(1)의 연결 부분에서 결합되기 전, 지지 몸체부(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케이싱(10)에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PD)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사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형태를 가지며,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서 결합된 후, 'U'자 형태로 굽혀져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백업부(30b)는, 파이프 스토퍼(30a)에 대해 케이싱(10)에 파이프(P)가 삽입되는 방향(PD)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며, 지지 몸체 굽힘부(36)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백업부(30b)는,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 삽입 시, 파이프(P)로부터 파이프 스토퍼(30a)의 지지 몸체부(31) 상단까지 상하로 기설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 백업부(30b)는, 횡단면이 원의 자취를 가지며, 원주 상의 일 지점의 종단면이 상하로 기설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 길이는,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 삽입 시, 파이프(P)로부터 파이프 스토퍼(30a)의 지지 몸체부(31) 상단까지 상하로의 길이이다.
또한, 스토퍼 백업부(30b)는, 횡단면의 내경이 경사진 사선(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종단면으로 볼 때 상측은 상하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며 하측은 지지 다리부(32)에 대면하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내경의 경사진 사선은 파이프 스토퍼(30a)의 지지 다리부(32)를 지지하도록, 지지 다리부(32)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지지 다리부(32)와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추가적인 저항을 생성함으로써,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 및 가스켓(20)이 내부 공간(24)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가스켓(20)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케이싱(10)을 통한 1차 지지 및 파이프(P)를 통한 1차 지지와 함께 스토퍼 백업부(30b)의 2차 지지를 추가하여,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를 견고히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스토퍼(30)는, 파이프 스토퍼(30)의 구조를 분리된 2 개의 구조로 형성하여, 파이프 스토퍼(30)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파이프(P) 및 가스켓(20)의 이탈 방지 신뢰도가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호 커버(40)는, 파이프(P)가 케이싱(10)에 삽입 시, 가스켓(2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 참조)
보호 커버(40)는, 횡단면이 중공의 원의 형태를 가지며, 원주 상의 일 지점의 종단면이 역방향의 'ㄱ'자 형상을 가지고, 파이프(P)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커버(40)는, 파이프(P)와 함께 케이싱(10)으로 삽입되어 전진하며, 가스켓(20)의 제1 돌출부(223)를 넘어 가면서 케이싱(10)의 파이프 고정부(13)에 부딪혀 파이프(P)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탈락된 보호 커버(40)는, 가스켓(20)의 제2 몸체부(22)의 전방에 잔류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켓(20)은 제2 몸체부(22)와 제1 몸체부(21) 사이에 간격 차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간격 차에는 탈락된 보호 커버(40)가 잔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보호 커버(40)는, 파이프(P)와 함께 케이싱(10)으로 삽입되어 전진하며, 가스켓(20)의 제1 돌출부(223)를 넘어 가면서 케이싱(10)의 파이프 고정부(13)에 부딪혀 파이프(P)로부터 탈락되는 경우, 상기의 제2 몸체부(22)와 제1 몸체부(21) 사이의 간격 차에 잔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보호 커버(40)가 파이프(P)를 감싼 채로 파이프(P)와 함께 케이싱(10)으로 삽입되어 전진하므로, 파이프(P)의 제조 시 발현될 수 있는 이물질(속칭 이바리(BUR); 파이프의 제조 과정인 절단 시 발생)이 가스켓(2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커버(40)는,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411)에서 타단부(412)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부분(41), 제1 부분(41)의 타단부(412)에서 수직한 방향인 보호 커버(4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42), 제1 부분(41)의 일단부(411)에서 보호 커버(40)의 중심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제3 부분(43), 제1 부분(41)에서 종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제1 개구(44) 및 제2 부분(42)에서 보호 커버(40)의 중심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제2 개구(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41)은, 종방향의 기설정 길이가 제1 몸체부(21)의 타단부(212)와 제2 몸체부(22)의 타단부(222)의 종방향 거리 차이 이내만큼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대, 제1 부분(41)은, 제2 부분(42)과 함께 파이프(P)의 절단 시 발현될 수 있는 이물질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42)은, 제1 부분(41)의 타단부(412)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파이프(P)의 단부에 보호 커버(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제1 부분(41)과 함께 파이프(P)에 발현될 수 있는 이물질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분(43)은, 제1 부분(41)의 일단부(411)에서 외측 상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44)와 제2 개구(45)는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의 형태를 가지거나 점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44)와 제2 개구(45)는, 보호 커버(40)가 파이프(P)로부터 탈락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보호 커버(40)는, PVC 박판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분리부(50)는, 'U'자 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U'자 형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파이프 스토퍼(30)의 지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파이프 스토퍼(30)가 파이프(P)와 케이싱(10)의 연결 부분에 가스켓(20)과 함께 장착된 경우, 파이프 분리부(50)는, 파이프(P)와 가스켓(20) 사이로 파고들어 간극을 형성 후, 파이프(P)에 밀착된 가스켓(20)에 간극을 주는 역할을 하여, 파이프(P)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C) 및 도 7 참조)
구체적으로, 파이프 분리부(50)는, 전방 단부(51)에서 후방 단부(52)로 연장 형성되는 판의 형태에서(도 7의 (a) 또는 (b)) 측면이 말아지면서 (도 7의 (c))'U'자 형으로 형성(도 7의 (d))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방 단부(51)는, 가스켓(20)에 맞닿아 가스켓(20)을 밀어내도록 뾰족한 형태로 구성되며, 일례로 예각의 삼각형(바람직하게는 사선의 형태; 도 7의 (a)) 또는 둔각의 삼각형 형태(도 7의 (b))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 분리부(50)는, 전방 단부(51)가 뾰족하게 형성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가스켓(20)을 높은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어, 손쉽게 가스켓(20)과 파이프(P)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므로,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방 단부(52)는, 일례로 직선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말아지면서 'U'자 형으로 형성된 후 사용자의 손(도시하지 않음)이 쥐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후방 단부(52)는, 사용자의 손이 쥐어지기 편하도록 두께를 가지는 손잡이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단부(52)는, 전반 단부(51)가 가스켓(20)과 파이프(P) 사이로 깊게 파고들어 가스켓(20)과 파이프(P) 사이의 간극을 벌리는 과정에서, 파이프 스토퍼(30) 또는 스토퍼 백업부(30b)와 맞닿아 파이프 스토퍼(30) 또는 스토퍼 백업부(30b)를 밀게 되어(가압됨), 파이프(P)가 케이싱(10)으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1)는, 백업링(60), 리테이너링(70), 링케이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d)와 도 16 내지 도 20을 토대로 하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서, 파이프 스토퍼, 리테이너링, 링케이스 및 제1 백업링이 설치된 조인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에서, 파이프 스토퍼, 리테이너링, 링케이스 및 제2 백업링이 설치된 조인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백업링의 개념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백업링에 설치되는 파이프 스토퍼의 개념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백업링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백업링(60)은, 파이프 스토퍼(30)의 후방에 설치되며,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다리부(32)를 지지하여, 파이프(P)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전방부(61)가 외력을 받는 경우, 파이프(P)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 즉, 파이프(P) 해제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백업링(60)은 전술한 파이프 분리부(50)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백업링(60)은, 전방부(61), 후방부(62) 및 돌출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백업링(60)은, 전방부(61)가 외부로부터 가압받는 경우, 후방부(62)가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다리부(32)를 밀어, 후방부(62)가 지지 다리부(32) 사이로 파고들게 되어, 파이프(P)와 파이프 스토퍼(3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백업링(60)은, 후방부(62)가 파이프 스토퍼(30)를 가스켓(20) 방향으로 밀어, 가스켓(20)의 탄성에 의해 파이프 스토퍼(30)가 제거되도록 하며, 백업링(60)은 파이프(P)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전방부(61)는, 외부로부터 가압받도록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를 너머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61)는 전술한 파이프 분리부(50)의 전방 단부(51)가 통과하며 손잡이부(521)와 맞닿아 가압받게된다. 이때, 파이프 분리부(50)의 전방 단부(51)는, 전방부(61)를 너머 후방부(62)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후방부(62)는, 경사가 지지 다리부(32)의 경사보다 더 급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지지 다리부(32)의 경사가 파이프(P)를 기준으로 30 내지 40도(바람직하게는 34도)의 경사를 이루는 경우, 34도 미만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방부(62)는, 지지 다리부(32)를 밀면서 지지 다리부(32)와 파이프(P)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63)는, 후술할 링 케이스(80)와 파이프 스토퍼(30) 사이에 배치되어, 파이프 스토퍼(30)의 견고한 지지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š, 돌출부(63)는, 링 케이스(80)가 지지되고 맞닿도록 전방부(61)를 향하는 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백업링(60)은, 돌출부(63)가 생략된 채, 전방부(61)와 후방부(62)만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백업링(60)은, 추가로 날개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64)는,후방부(62)를 따라 4 개 내지 8 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백업링(60)은, 도 16 및 도 18과 달리 날개부(64)가 아닌 하부 돌출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 링(70)은, 가스켓(20)과 파이프 스토퍼(30)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 스토퍼(30)가 가스켓(20)을 누르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테이너 링(70)이 설치되는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10)의 단부들(11, 12)에서 추가 확관된 추가 확관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추가 확관부(15)에는, 리테이너 링(70), 파이프 스토퍼(30), 링케이스(80)가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 링(70)은, 추가 확관부(15)에 얹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테이너 링(70)은 중공을 가지는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리테이너링(70)의 상단부(71)는 추가 확관부(15)에 맞닿고, 하단부(72)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다리부(32)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케이스(80)는, 파이프 스토퍼(30)의 후방과 백업링(60)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이프 스토퍼(30)의 견고한 지지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링케이스(80)는,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팔부(3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링케이스(80)가 설치되는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10)의 단부들(11, 12)에서 추가 확관된 추가 확관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추가 확관부(15)에는, 리테이너 링(70), 파이프 스토퍼(30), 링케이스(8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리테이너 링(70) 및 링케이스(80)가 생략된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파이프 스토퍼(30)는, 상부 날개부(381)와 하부 날개부(283)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날개부(381)는 지지 몸체부(31) 사이의 각도가 설치 전 대략 75도를 이룰 수 있고, 설치 후 지지 몸체부(31)와 9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부 날개부(381)는, 백업링(60)과 함께 파이프(P)에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싱(10)과 파이프(P) 간의 분리되려는 힘이 발생 시,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다리부(3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날개부(382)는, 상부 날개부(38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파이프(P) 삽입 시 파이프 스토퍼(30)의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링(70) 및 링케이스(80)가 설치되는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10)의 단부들(11, 12)에서 추가 확관된 추가 확관부(15)가 형성되는 데, 이 실시 예들은, 일반 강관을 확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일반 강관들은 진원(정원)이 아닌 경우가 많아, 상부 확관과, 마무리 벤딩 시 형상 변형이 발생되어 내부 부품들, 즉, 파이프 스토퍼(30), 가스켓(20), 리테이너링 (70), 백업링(60) 등이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때, 링 케이스(80)는, 마무리 벤딩 시 형상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내부 부품들에 고정력을 발생시켜, 내부 부품들이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일반 강관 뿐 아니라, SUS 파이프나 황동 파이프에 적용가능하다. 이때, 링 케이스(80)는 삭제된 상태에서 확관이 적용될 수 있으며, 파이프 스토퍼(30)의 상부 날개부(381)는 이를 보충하기 위해 추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확관과 마무리 벤딩이 일정하게 되는 설계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술한 구성들을 토대로 본 발명의 가스켓(20)이 조인트 장치(1)에 삽입되는 과정을 하기 기술하도록 한다.
가스켓(20)의 삽입 작업은, 도 2를 참고로 하여 보면, 가스켓(20)이 케이싱(10)의 확관된 타단부(12)에 삽입되고, 가스켓(20)의 외측으로 파이프 스토퍼(30)가 배치된다.
이 후, 케이싱(10)의 마무리부(101)가 파이프 스토퍼(30)의 지지 팔부(33)에 굽혀져 고정되는 작업을 수행된다.
마무리부(101)의 굽힘 작업이 이루어진 후, 파이프(P)는, 케이싱(10)으로 삽입되며, 이때, 파이프(P)는, 가스켓(20)의 제2 몸체부(22)의 일단부(221)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23)를 건드리게 되고, 이 제1 돌출부(223)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제1 돌출부(223)의 전진으로 가스켓(20)은 케이싱(10)의 확관된 타단부(12)에서 더욱 깊숙히 끌려들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몸체부(22)는 파이프(P)에 부딪혀 제1 몸체부(21) 방향으로 밀착(회전)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2 돌출부(224)가 제1 몸체부(21)의 사선부(213)와 맞닿게 된다.
파이프(P)는 계속해서 파이프 고정부(13)의 가이드를 통해 케이싱(10)의 내부로 삽입되다가 파이프 연결부(14)로 진입되기 전에 작아지는 케이싱(10)의 직경에 의해서 정지 및 고정된다.
이러한 파이프(P)의 계속되는 진행으로 제1 돌출부(223)는 전진 후, 제1 몸체부(21) 방향으로의 밀착을 하게 되고, 이러한 밀착은 제2 몸체부(22)가 제1 몸체부(21) 방향으로 밀착하는 힘을 도와주게 된다. 밀착이 완료되면, 제1 돌출부(223)가 파이프(P)로부터 벗어나 파이프(P) 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제1 몸체부(21)의 사선부(213)와 제2 몸체부(22)의 제2 돌출부(224)는 서로 맞닿아 내부 공간(24)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후, 파이프(P)에서 누설되는 유체는 서로 맞닿은 제1 몸체부(21)의 사선부(213)와 제2 몸체부(22)의 제2 돌출부(224)로 유동하게 되고, 제2 돌출부(224)에 형성되는 요철구(2241)로 인해 내부 공간(24)으로 유입된다. 이때 내부 공간(24)은 유체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여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스켓(20)은 파이프(P)와 케이싱(10) 사이를 더욱 강하게 밀봉 또는 고정하게 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켓(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1)는, 밀봉력이 우수하고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 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 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조인트 장치
10: 케이싱 101: 마무리부
101a: 내측면 101b: 하측면
102: 고정 턱 11: 일단부
12: 타단부 13: 파이프 고정부
14: 파이프 연결부 15: 추가 확관부
20: 가스켓 21: 제1 몸체부
211: 일단부 212: 타단부
213: 사선부 2131: 플레이트
2132: 단차 구조 214: 제1 톱니구조
215: 제1 공간 형성부 216: 제2 공간 형성부
22: 제2 몸체부 221: 일단부
222: 타단부 223: 제1 돌출부
224: 제2 돌출부 2241: 요철구
225: 제2 톱니구조 226: 오목부
23: 연결부 24: 내부 공간
25: 스프링부
30: 파이프 스토퍼 30a: 파이프 스토퍼
30b: 스토퍼 백업부 31: 지지 몸체부
32: 지지 다리부 33: 지지 팔부
34: 지지 몸체 연장부 35: 지지 몸체 사선 연장부
36: 지지 몸체 굽힘부 361: 일단부
362: 타단부 37: 지지 몸체 조임부
381: 상부 날개부 382: 하부 날개부
40: 보호 커버 41: 제1 부분
411: 일단부 412: 타단부
42: 제2 부분 43: 제3 부분
44: 제1 개구 45: 제2 개구
50: 파이프 분리부 51: 전방 단부
52: 후방 단부 521: 손잡이부
60: 백업링 61: 전방부
62: 후방부 63: 돌출부
64: 날개부 65: 하부 돌출부
70: 리테이너 링 71: 상단부
72: 하단부 P: 파이프
PD: 파이프가 케이싱으로 유입하는 방향
T1: 파이프의 두께
T2: 돌출 길이

Claims (16)

  1. 파이프와 조인트 장치의 케이싱의 연결 부분에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며 탄성을 가지는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외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내곽에 위치되어, 횡단면이 원의 형태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상기 제1 몸체부의 상기 기설정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내경 사이로 정의되는 상기 파이프의 두께보다 작은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게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가 상기 케이싱에 삽입 시,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상기 가스켓이 상기 파이프와 함께 끌려들어가도록 구성되 며,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를 향해 사선의 형태로 돌출되는 사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사선부는,
    서로 맞닿아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시켜, 상기 내부 공간에 압력을 형성시키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연결되는 부위가 'V'자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사선부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사선부의 사선과 2도 내지 3도의 기울기 차이를 가지는 사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사선부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사선부의 사선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사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닿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은 상기 제2 돌출부의 진행을 저항하도록 하는 돌출된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면에 제1 톱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향하는 면에 제2 톱니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사선부를 향하는 면 상에, 상기 사선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요철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의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제1 공간 형성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단부의 상기 사선부에 대향하는 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제2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톱니 구조보다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형성되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더해 탄성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횡단면이 원의 자취를 가지며, 종단면이 원인 코일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2.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확관된 형태를 가지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확관된 형태를 가진 일단부 또는 타단부와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는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파이프 사이로부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 1 항에 따른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상기 케이싱에 삽입 시, 상기 가스켓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횡단면이 중공의 원의 형태를 가지며, 원주 상의 일 지점의 종단면이 역방향의 'ㄱ'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종방향으로 기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인 상기 보호 커버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2 부분에서 상기 보호 커버의 중심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직선의 형태를 가지거나 점선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부분의 일단부에서 상기 보호 커버의 중심 방향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종방향의 기설정 길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타단부의 종방향 거리 차이 이내 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장치.

KR1020200026882A 2020-03-04 2020-03-04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KR102168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82A KR102168178B1 (ko) 2020-03-04 2020-03-04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82A KR102168178B1 (ko) 2020-03-04 2020-03-04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178B1 true KR102168178B1 (ko) 2020-10-20

Family

ID=7302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882A KR102168178B1 (ko) 2020-03-04 2020-03-04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1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170A (ja) * 2002-12-06 2006-03-16 プラスティック・トレンズ・インク 合成ガスケットアセンブリを有する管継手
KR20090106296A (ko) * 2008-04-04 2009-10-08 (주)위더스 파이프용 연결물
JP2014211233A (ja) * 2013-04-18 2014-11-13 バル・シ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al Seal Engineering,Inc. 係合式の面シール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方法
JP3200662U (ja) * 2015-08-18 2015-10-29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
US20160052688A1 (en) * 2014-08-22 2016-02-25 Drader Manufacturing Industries Ltd. Interior and exterior pipe end cover
KR20170133927A (ko) * 2016-05-27 2017-12-06 김병섭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170A (ja) * 2002-12-06 2006-03-16 プラスティック・トレンズ・インク 合成ガスケットアセンブリを有する管継手
KR20090106296A (ko) * 2008-04-04 2009-10-08 (주)위더스 파이프용 연결물
JP2014211233A (ja) * 2013-04-18 2014-11-13 バル・シ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al Seal Engineering,Inc. 係合式の面シール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方法
US20160052688A1 (en) * 2014-08-22 2016-02-25 Drader Manufacturing Industries Ltd. Interior and exterior pipe end cover
JP3200662U (ja) * 2015-08-18 2015-10-29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
KR20170133927A (ko) * 2016-05-27 2017-12-06 김병섭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5420A1 (en) Coupling and joint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JP5541624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US7073796B2 (en) Metal packing
US8870188B2 (en) Gasket for parabolic ramp self restraining bell joint
MX2012004119A (es) Dispositivo sellador simplificado de baja fuerza de insercuión capaz de auto-restringir y desviar junta.
AU2011258534B2 (en) Simplified low insertion force sealing device capable of self restraint and joint deflection
RU269760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быстр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AU2014236478B2 (en) Pipe end seal assembly
KR102168178B1 (ko)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JP6289122B2 (ja) 離脱防止管継手
US10174874B2 (en) Pipe fitting with inner and outer seals
KR101003942B1 (ko) 관체 연결 장치
JP4827171B2 (ja) 管用栓を用いた管端閉塞工法
KR20210111962A (ko) 파이프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KR102250806B1 (ko)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조인트 장치
JP4140931B2 (ja) 差込み式管継手
CN110499815B (zh) 复合管道结构
KR20100096955A (ko) 고러게이트관의 이음관
WO2017037541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olymer lined pipes
KR20140026205A (ko)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JP5033509B2 (ja) 差込式管継手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JP5266174B2 (ja) 水道配管系のt字管交換工法及び新設t字管の接続構造
KR101435576B1 (ko) 부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KR102510309B1 (ko) 이중 실링구조를 구비하는 배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