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205A -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205A
KR20140026205A KR1020120093314A KR20120093314A KR20140026205A KR 20140026205 A KR20140026205 A KR 20140026205A KR 1020120093314 A KR1020120093314 A KR 1020120093314A KR 20120093314 A KR20120093314 A KR 20120093314A KR 20140026205 A KR20140026205 A KR 2014002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pressure
fastener
joint
elastic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근
Original Assignee
강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근 filed Critical 강석근
Priority to KR102012009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205A/ko
Publication of KR2014002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형성된 ‘고정구조’와, 체결구(20)에 의한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유기적인 체결구조를, 압력관 이음부(J)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압력관을 오로지 압력관 이음부(J)에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를 갖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원터치방식이므로 이음ㆍ연결 작업이 용이하여 연결 작업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이고, 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한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Three steps apparatus fixing joint of pipe under pressure by one touch and method constructing plastics pipes thereof}
본 발명은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형성된 ‘고정구조’와, 체결구(20)에 의한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유기적인 체결구조를, 압력관 이음부(J)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압력관을 오로지 압력관 이음부(J)에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를 갖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원터치방식이므로 이음ㆍ연결 작업이 용이하여 연결 작업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이고, 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한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상수도관, 송유관, 개스관과 같이 유체가 만관되어 압력차로 인하여 흐르는 관을 압력관이라 부른다.
압력관의 유체흐름은 압력관 양단의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흐른다.
물이나 기름 또는 가스와 같은 유체는 상수도관이나 송유관을 통하여 수십 수백km로 이송된다.
압력관의 길이는 제작 및 운반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제작된다.
단위 길이를 연이어 압력관이 설치된다.
압력관의 직경은 그 크기가 다양하다. 통상 그 직경이 15mm에서 3m까지 이른다.
압력관은 제작되는 재질에 따라 크게 합성수지관과, 그리고 철관 및 비철금속관으로 나누어진다.
압력관의 압력의 세기도 다양하다. 상수도의 경우 보통 수압이 10~30kg/㎠에 이른다.
특히, ‘압력관’과 ‘압력관’이 연결되는 접속부위는 강한 유체압력에 견디는 구조라야 한다.
이러한 접속부위는 고압이 작용되기 때문에 바늘구멍만한 틈만 생겨도 누수(또는 누기)의 정도가 심각하게 된다. 인체에 유해한 인화성물질인 경우 그 피해는 헤아릴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보강기술, 즉 ‘압력관’과 ‘압력관’의 접속부위를 보강한 종래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213625호(이하 ‘종래기술-1’이라한다.)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종래기술-1’은 원통형상의 이음관(20)의 양단 또는 일단에 파이프 끼움부(10)를 형성하고, 파이프 끼움부(10)에 패킹(50)을 삽입한다. 그리고 패킹(50)이 끼워진 파이프 끼움부(10)에 파이프(30)를 삽입한다. 고정 볼트(70)에 의하여 이음관(20)과 플랜지(40)가 체결ㆍ고정된다.
파이프 끼움부(10)의 내주연에는 상기 패킹(50)의 밀폐부 (52)가 끼워지는 씰링용 홈(14)과, 내진용 홈(16)이 형성되어있고, 파이프 끼움부(10)의 외주연에는 볼트 고정대(12)가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1’은 고정 볼트(70)에 의하여 이음관(20)과 플랜지(40)가 체결ㆍ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체결ㆍ고정구조는 끼움부(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달리 말하면 체결ㆍ고정 작업이 끼움부(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는, 파이프(30)를 삽입 파이프 끼움부(10)에 삽입하고 난 후에도, 고정 볼트(70)에 의하여 플랜지(40)를 체결ㆍ고정해야하는 후속작업이 뒤따르는 투터치(two touch)방식이기 때문에 단한 번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작업이 그만큼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현장에서의 후속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굴착공간에 내려가서 체결ㆍ고정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을 포함한 굴착공간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후속작업은 현장작업의 공기를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등록특허 제10-1103783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기술-2’의 클램프형 파이프 이음장치(1)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2)의 패킹결합홈(2b)에 삽입되는 패킹(3)과, 패킹(3)에 접하는 가압구(4)와, 이음관(2)의 걸림테(2c)와, 그리고 가압구(4)가 내입되는 산형 걸림홈(6b)(6b')이 형성된 클램프(5)로 이루어졌다.
이음관(2)내부에는 파이프(10)의 선단이 접하는 단턱(2a)과, 패킹 결합홈(2b)이 형성되어있다.
클램프(5)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6)(6')와 결합편(6a)(6a')으로 형성되어있다.
파이프(10)는 한 쌍의 클램프부재(6)(6')를 볼트(7)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2’는 볼트(7)에 의하여 한 쌍의 클램프부재(6)(6')가 체결ㆍ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체결ㆍ고정구조는 이음관(2)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바꿔 말하면 체결ㆍ고정 작업이 이음관(2)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는, 파이프(10)를 이음관(2)의 선단부에 삽입하고 난 후에도, 한 쌍의 클램프부재(6)(6')에 의하여 파이프(10)를 체결ㆍ고정해야하는 후속작업이 뒤따르는 투터치(two touch)방식이기 때문에 단한 번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현장작업이 그만큼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2’의 문제점은, ‘종래기술-1’의 문제점과 동일하다.
‘종래기술-1’이나 ‘종래기술-2’는 체결ㆍ고정이 외부구조에 의존된 투터치(two touch)방식이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기술-1, -2의 체결고정이 외부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체결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볼트, 너트, 플랜지 클램프, 용접 등)가 많아 배관이음작업의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1, -2의 체결고정이 외부구조에 의존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일일이 이음ㆍ고정 작업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별도의 작업공간이 더 필요하여 굴착공간이 상수도관의 직경보다 훨씬 넓게 굴착하여야한다. 작업자가 직접 작업공간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 본 발명은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형성된 ‘고정구조’와, 체결구(20)에 의한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유기적 체결구조를, 압력관 이음부(J)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압력관의 직선부(P)를 오로지 압력관 이음부(J)에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는, 외부에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압력관 이음부(J)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인데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ㆍ외측 탄성 돌출부에 의하여 압력관의 직선부(P)와의 체결고정이 견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체결구조의 이음ㆍ고정이 원터치방식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압력관의 이음ㆍ연결 작업이 효율적이어서 공기를 줄이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압력관(50)은 이음부(J)와 직선부(P)로 이루어진다.
이음부(J)와 직선부(P)로 이루어진 압력관의 이음연결에 있어서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되는 압력관의 이음부(J)는,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지고, 이음부(J)의 직경은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외부를 향하여 점차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삽입되는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삽입되는 부싱(40)에 의하여 체결장치(10)가 이루어지되 체결구(20)에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고, 상기 내측탄성 돌출부(2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압력관(50)의 직선부(P)에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52)이, 그리고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는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B2)이 각각 형성되어있되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은 압력관(50)직선부(P)의 삽입 시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을 갖으면서 유체압의 작용 시 압력관(50)직선부(P)의 이탈을 저항하는 형상이고,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은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체결구(20)의 삽입 시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을 갖으면서 유체압의 작용 시에는 압력관 이음부(J)의 이탈을 저항하는 형상이며,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에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삽입되어 2중의 마찰저항구조를 이루면서 압력관(50) 직선부(P)의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이다.
<0040>여기에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경사각 θ와, 그리고 압력관(50)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경사각 θ를 같게 형성한 구성이다.
압력관(50)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형상은 경사각 θ를 갖는 직각3각형형상이다. 걸림홈52와 걸림홈B2는 도6에서와 같이 경사각 θ이 직각3각형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펀칭부(226)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돌출되어있으면서 펀칭부(226)를 서로 공유하되 탄성축소에 대하여 전혀 방해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구성이다.
또한 체결구(20)는 탄성재질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경사각(θ)이 15~30o가 되게 한 구성이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형상은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압력관(50)직선부(P)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경사각(θ)이 15~30o가 되게 한 구성이다.
<0044>또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압력관(50)직선부(P)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압력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형성된 구성이다.
<0045>본 발명의 압력관(50)은 이음부(J)와 직선부(P)이 일체로 형성된 관이다.
여기서 압력관은 철제 및 비철금속재질의 강관과, 합성수지재질의 합성수지관 모두 포함한다.
압력관(50)의 이음부(J)에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ㆍ연결되는 곳이다.
직선부(P)가 삽입ㆍ연결되는 압력관(50)의 이음부(J)는 강한 압력을 받는 곳이므로 철제 및 비철금속과 같이 견고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통상 압력관(50)의 직경은 15~3000mm까지 광범위하다. 직경의 크기에 따라 수압의 세기가 달라지므로 합성수지(PE, PP, PVC 등)재질도 압력관(50)의 재질로서 유용하다.
압력관(50) 이음부(J)의 삽입부(S)에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되는 순서는, 부싱 삽입ㆍ밀착부(D)→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순이다.
또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는 부싱(40)이,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는 수밀고무패킹(30)이, 그리고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는 체결구(20)가 부착ㆍ고정된다.
압력관(50)의 직선부(P)는, 부싱(40)→수밀고무패킹(30)→체결구(20)의 내경에 밀접 되어 관통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압력관(50)의 직선부(P)와 관련하여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 체결구(20), 수밀고무패킹(30), 그리고 부싱(40)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는 압력관(50)의 직선부(P)를 단단히 밀착ㆍ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진과 같은 외적요인이나 수압과 같은 내적요인으로 인하여 압력관(50)의 직선부(P)의 수평밀림이나 상하유동을 방지하기위해서다.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고정은 이에 대칭된 부싱(40)에 의한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고정과 함께 균형 잡힌 안정된 ‘고정구조’를 이루고 있다. ‘고정구조’는 압력관(50)의 수평밀림과 상하유동을 억제하는 구조이다.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고정은, 압력관(50)의 직선부(P)의 외경이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내경에 밀착ㆍ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내경은 압력관(50)의 직선부(P)의 외경과 같은 크기이면서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단차는 압력관(50)의 직선부(P)의 두께(t)와 같다.
그런데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의 내경과 압력관(50)의 직선부(P)의 외경의 크기가 같다면 압력관(50)의 직선부(P)를 삽입할 수가 없다. 여기서 크기가 같다는 의미는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여유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둘째,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는 체결구(20)의 구조 및 이에 대한 역할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체결구(20)는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고, 압력관(50)은 체결구(20)를 관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내경에는 체결구(20)의 외경이 밀착된 상태이고, 또 체결구(20)의 내경에는 압력관(50)의 외경이 삽입되는 상태이다.
체결구(2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이다. 체결구(20)의 형상은 일정한 폭을 갖는 원형상의 링 형상이다. 체결구(20)의 원형상의 링에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체결구(20)에서 펀칭되어 돌출경사각을 갖으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있다. 그 경사각(θ)의 크기는 동일하다. 경사각(θ)은 수평면 기준으로 15~30o가 바람직하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의 경사는, 압력관(50)의 직선부(P)를 향한 내측방향이면서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있고,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경사는,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를 향한 외측방향이면서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있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를 체결구(20)의 링 상에 여러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를 도5의 ⒜와 같이, 체결구(20)의 링 상에 한 열씩 교번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고, 도5의 ⒝와 같이,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를 서고 맞댄 상태를 1조로 하여 다수 열 배열할 수도 있다.
경사각(θ) 15~30o에서 탄성 돌출부(22)의 탄성ㆍ수축 및 탄성ㆍ복원(확대)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경사각(θ) 15~30o에서 탄성 돌출부(22)의 압력관(50) 및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대한 마찰저항강도가 가장 크게 작용되기 때문이다. 이때 경사각(θ)이 15o보다 작게 되면 마찰저항강도가 작아지게 되고, 30o보다 크게 되면 쉽게 뒤로 제껴지게 되어 마찰저항강도가 작아지게 된다.
여기에다 압력관(50)의 직선부(P)에 대한 마찰저항강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탄성 돌출부(22)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압력관(5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그리고 탄성 돌출부(22)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압력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 및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는 마찰저항에 대하여 뒤로 제껴지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마찰저항지지강도를 크게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은 탄성 돌출부(22)의 선단접면부가 큰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 바람직하다. 탄성 돌출부(22)의 선단접면부에 의한 마철저항을 크게 하는데 탄성 돌출부(22)의 주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을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돌출부(22)의 선단접면부가 큰 형상이라면 어느 형상이든지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에 포함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0070>이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돌출경사방향과, 그리고 압력관(50)의 직선부(P) 및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52)(B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있기 때문에 압력관(50)의 삽입에는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체결구(20)의 내경으로 삽입될 때 압력관(50) 직선부(P)의 외주면에 접면된 내측탄성 돌출부(22a)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외주면에 밀리면서 펀칭부(226)쪽으로 탄성ㆍ수축되게 된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의 탄성ㆍ수축에 의하여 압력관(50) 직선부(P)의 삽입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
압력관(50) 직선부(P)의 외주면에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52)이 형성되어있다.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에 삽입된 상태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다. 이 상태에서 압력관(50) 직선부(P)를 삽입 시와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면 내측탄성 돌출부(22a)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에 대하여 마찰저항구조가 된다. 마찰저항구조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삽입 시와는 정반대 구조이다.
압력관(50) 직선부(P)의 외주면에 의하여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탄성ㆍ수축되었다하더라도 압력관(50) 직선부(P)을 분리시키려는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탄성ㆍ수축된 내측탄성 돌출부(22a)는 원래의 돌출경사방향으로 복원ㆍ확대되려는 복원력이 발휘되게 된다. 내측탄성 돌출부(22a)의 복원력과,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강력한 마찰저항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내측탄성 돌출부(22a)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탄성ㆍ수축하는 구조이고, 압력관(50)의 분리ㆍ이탈방향에 대해서는 탄성복원력이 발휘되어 탄성ㆍ확대되는 마찰저항구조이다.
마찰저항구조는 탄성 돌출부(22)의 개수가 많을수록 마찰저항이 커진다.
원형상의 체결구(20)에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22)의 개수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는 설계사항이다. 다수 열을 이루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0079>다음으로,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는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B2)이 형성되어있다.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동일방향의 경사각에 의하여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0082>외측탄성 돌출부(22b)와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를 도6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은 F의 방향으로 흐른다.
내측탄성 돌출부(22a)는 F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F의 방향으로 경사져있다.
내측탄성 돌출부(22a)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과, 그리고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과 마찰저항구조를 이루고 있다.
<0086>압력관(50)에 작용하는 수압이 커지게 되면, 압력관(50)의 걸림홈(52)과 내측탄성 돌출부(22a)에 의한 마찰저항은 결국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구(20)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걸림홈(5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는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걸림홈(B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와 함께 강한 수압을 저항할 수 있는 2중의 마찰저항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셋째,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삽입되는 수밀고무패킹(30)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수밀고무패킹(30)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밀착된다.
수밀고무패킹(30)의 외경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의 내경과 밀착되고, 수밀고무패킹(30)의 내경은 압력관(50)의 외경과 밀착된다. 수밀고무패킹(30)은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밀고무패킹(30)은 종래에 사용된 구조 및 형상을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의 내측에는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가, 그 외측에는 부싱 삽입ㆍ밀착부(D)가 형성된 구조가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원터치 방식에 의한 이음ㆍ고정이 가능하게 된 점에서 종래기술의 구조와 크게 다르다.
수밀고무패킹(30)의 상부돌출부(32)는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의 반원상의 돌출부(C1)에 삽입ㆍ고정된다. 수밀고무패킹(30)의 하부 수평돌출부(34)는 체결구(20)하부까지 연장ㆍ설치된다.
넷째,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삽입되는 부싱(40)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부싱(40)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밀착ㆍ고정된다.
부싱(40)의 형상은 수직의 삽입방지턱(42)과 수평의 외경(44)과 내경(46)으로 이루어진다.
부싱(40)의 외경(44)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부싱(40)의 내경(46)은 압력관(50)의 외경에 밀착된다.
부싱(40)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내경과 압력관(50)의 외경과의 틈새간격에 삽입되어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압력관(5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부싱(40)의 재질은 ‘압력관 이음부(J)’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싱(40)삽입에 의한 부싱 삽입ㆍ밀착부(D)구간의 고정력을 더한층 강화시키기 위해서다.
‘압력관 이음부(J)’에 삽입된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고정되는 곳은 2곳이다. 2곳은 서로 좌우대칭이다. 좌우 대칭된 2곳의 고정에 의하여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안정된 ‘고정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곳의 고정은 부싱(40)에 의한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고정이고, 다른 한곳의 고정은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에 의한 압력관(50) 직선부(P)의 고정이다.
압력관(50) 직선부(P)의 ‘고정구조’가 먼저 안정되어야 체결구(20)에 의한 마찰저항구조가 안정되고, 이와 함께 수밀고무패킹(30)에 의한 수밀구조가 안정된다.
압력관(50)이 조립된 ‘압력관 이음부(J)’에는 강한 수압이 작용되는 곳이다.
강한 수압은 ① 압력관(50) 직선부(P)를 수압의 작용방향으로 이탈시키게 되고, 또한 ② 진동을 발생시켜 압력관(50)의 이탈을 가중시키게 된다.
‘압력관 이음부(J)은, 압력관(50) 직선부(P)의 안정된 ‘고정구조’와,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에 의한 2중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의 수밀구조에 의하여 이탈 및 진동을 저항하는 유기적 저항구조체를 이루고 있다.
유기적 저항구조체는 압력관(50) 직선부(P)의 이탈 및 진동을 억제ㆍ저항한다.
특히 압력관(50)의 ‘고정구조’는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수밀구조의 전제가 되는 기본 구조이다.
압력관(50)의 ‘고정구조’가 안정되어야만 마찰저항구조에 의한 이탈방지기능 및 수밀구조에 의한 수밀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진은 가장 큰 진동의 요인이다. 또 유체흐름의 급격한 변화는 진동 및 수압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유체흐름의 급격한 변화는 예컨대, 직선구간에서 갑자기 급한 곡선구간을 만나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엘(L)자형이나 티(T)자형과 같은 급한 곡선의 이음관을 만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되고, 갑작스런 통수로 인한 물의 충격에너지가 발생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된다.
이제, 위에서의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 원터치 3단 체결의 기본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압력관 이음부(J)’는, 고정구조와,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구조에 의해 형성된 유기적 저항구조체이다.
원터치 3단 체결의 기본개념은, 유기적 저항구조체가 형성된 ‘압력관 이음부(J)’에 압력관 직선부(P)(50)를 밀어 넣기만 하면 한 동작에 의하여 압력관(50)의 이음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이다.
3단 체결에서 1단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를 말하고, 2단은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를 말하며, 3단은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말한다.
원터치방식은 현장에서의 이음ㆍ고정 작업이 간편하다. 유기적 저항구조체가 형성된 ‘압력관 이음부(J)’에 압력관(50)을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해 밀어 넣기만 하면 압력관(50)의 이음고정이 완료되기 때문이다.
⒜ 본 발명은 고정구조와,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구조에 의한 유기적인 저항구조를 압력관 이음부(J)의 내부에 형성한 구성이므로 압력관 이음부(J)에 오로지 압력관을 밀어 넣는 한 동작만으로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것이어서 이음ㆍ연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되어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 원터치방식의 2중의 유기적 마찰저항구조는, 외부에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압력관 이음부(J)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인데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압력관과의 체결고정이 견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한 구성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장비에 의한 이음작업이 가능하여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 원터치방식에 의한 간단한 체결구조이므로 압력관의 이음ㆍ연결 작업이 용이하여 이음ㆍ연결 작업이 효율적이고 작업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종래기술-1의 이음관의 분해사시도
[도1b] 도1a의 결합사시도
[도2a] 종래기술-2의 이음관의 분해사시도
[도2b] 도2a의 결합사시도
[도3] 본 발명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4] 도4의 A-A 단면도
[도5] 본 발명 압력관 이음부(J)의 체결구의 사시도
[도6] 도4의 결합단면도
본 발명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압력관(50)을 설치하기위하여 지하를 오픈 컷 방식에 의해 굴착하되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작업공간을 굴착하지 않고, 압력관(50)이 설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 갖도록 압력관(50)의 길이방향으로 지하를 굴착하는 단계;
<0119>⒝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B2)이 형성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진 압력관의 이음부(J)의 삽입부(S)에, 15~30o의 경사각(θ)을 갖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40)을, 복수개의 이음부 J1, J2, J3, ㆍㆍㆍㆍㆍJn에 삽입ㆍ고정하되 체결구(20)의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의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직각3각형형상의 걸림홈(B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압력관 K1, K2,ㆍㆍㆍ Kn을 제작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압력관K1의 이음부 J1의 삽입부(S)와, 상기의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다수의 직각3각형형상의 걸림홈(52)이 형성된 압력관 K2의 직선부(P2)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상기 압력관 K2의 직선부(P2)를 상기 압력관K1의 이음부 J1의 삽입부(S)에 밀어 넣되 상기 압력관 K2의 직선부(P2)쪽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52)에, 상기의 압력관K1의 이음부 J1의 삽입된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탄성 삽입ㆍ고정되게 하는 단계;
⒟ 상기 압력관K2의 이음부 J2의 삽입부(S)에 삽입된 내측탄성 돌출부(2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52)이 상기 ⒝단계에서 이미 제작된 새로운 압력관 K3의 직선부(P3)와, 그리고 상기 압력관K2의 이음부 J2의 삽입부(S)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상기 압력관K2의 이음부 J2의 삽입부(S) 부싱(40)내경에 압력관 K3의 직선부(P3)를 밀어 넣되 압력관K2의 이음부 J2에 삽입된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압력관 K3의 직선부(P3)의 걸림홈(52)에 탄성 고정되게 하는 단계;
⒠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압력관의 이음부 J3, J4, ㆍㆍㆍㆍㆍJn의 삽입부(S)에 압력관K4, K5,ㆍㆍㆍKn을 순차적으로 이음ㆍ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의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탄성재질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이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한편,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압력관(50)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경사각(θ)이 15~30o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이다.
또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펀칭부(226)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돌출되어있으면서 펀칭부(226)를 서로 공유하되 탄성축소에 대하여 전혀 방해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이다.
상기 ⒝단계의 체결구(2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탄성 돌출부(22)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은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탄성 돌출부(22)의 경사각(θ)은 체결구(20)로부터 15~30o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이다.
또한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압력관(5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그리고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압력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서 압력관 K1, K2, ㆍㆍㆍKn은, 설명의 편의상 압력관(50)의 이음순서를 나타낸 것이고, 압력관 이음부 J1, J2, ㆍㆍㆍJn은, 압력관 K1, K2, ㆍㆍㆍKn에 대응되는 이음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구조와, 2중의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구조에 의해 유기적 저항구조체의 ‘압력관 이음부(J)’을 제작한 다음, 이를 연결ㆍ이음하기위해 굴착된 현장에 운반한 후 ‘압력관 이음부(J)의 삽입부(S)에 압력관(50)을 일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를 이용하여 압력관(50)을 ‘압력관 이음부(J)에 밀어 넣음으로써 원터치방식에 의해 압력관(50)의 이음고정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체결고정이 외부에 설치된 종래기술은 체결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볼트, 너트, 플랜지 클램프, 용접 등)가 많아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체결고정이 내부에 설치되면서 그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원터치방식의 이음고정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작업공간의 굴착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이음고정이 장비에 의한 원터치방식이므로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도 발생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0132>P; 직선부
J; 압력관 이음부
S; 삽입부
A; 직선부 삽입ㆍ밀착부
B; 체결구 삽입ㆍ밀착부, B2; 걸림홈
C;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 C1; 반원상의 돌출부
D; 부싱 삽입ㆍ밀착부
10; 체결장치
20; 체결구,
22; 탄성 돌출부, 22a; 내측 탄성 돌출부, 22b; 외측 탄성 돌출부, 222; 측면부, 222a; 제껴짐 방지보강부, 224;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 226; 펀칭부,
30; 수밀고무패킹, 32; 상부돌출부, 34; 하부 수평돌출부
40; 부싱, 42; 삽입방지턱, 44; 외경, 46; 내경
50; 압력관, 52; 걸림홈

Claims (9)

  1. 이음부(J)와 직선부(P)로 이루어진 압력관의 이음연결에 있어서

    압력관(50)의 직선부(P)가 삽입되는 압력관의 이음부(J)는,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지고, 이음부(J)의 직경은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외부를 향하여 점차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삽입되는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삽입되는 부싱(40)에 의하여 체결장치(10)가 이루어지되 체결구(20)에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고, 상기 내측탄성 돌출부(2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압력관(50)의 직선부(P)에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52)이, 그리고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는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B2)이 각각 형성되어있되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은 압력관(50)직선부(P)의 삽입 시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을 갖으면서 유체압의 작용 시 압력관(50)직선부(P)의 이탈을 저항하는 형상이고,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은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체결구(20)의 삽입 시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을 갖으면서 유체압의 작용 시에는 압력관 이음부(J)의 이탈을 저항하는 형상이며, 압력관(50) 직선부(P)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에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삽입되어 2중의 마찰저항구조를 이루면서 압력관(50) 직선부(P)의 이탈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경사각 θ와 압력관(50)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경사각 θ를 같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펀칭부(226)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돌출되어있으면서 펀칭부(226)를 서로 공유하되 탄성축소에 대하여 전혀 방해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결구(20)는 탄성재질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경사각(θ)이 15~30o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형상은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압력관(50)직선부(P)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경사각(θ)이 15~30o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압력관(50)직선부(P)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7. ⒜ 압력관(50)을 설치하기위하여 지하를 오픈 컷 방식에 의해 굴착하되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작업공간을 굴착하지 않고, 압력관(50)이 설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 갖도록 압력관(50)의 길이방향으로 지하를 굴착하는 단계;

    ⒝ 직선부(P)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B2)이 형성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진 압력관의 이음부(J)의 삽입부(S)에, 15~30o의 경사각(θ)을 갖는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40)을, 복수개의 이음부 J1, J2, J3, ㆍㆍㆍㆍㆍJn에 삽입ㆍ고정하되 체결구(20)의 외측탄성 돌출부(22b)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의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직각3각형형상의 걸림홈(B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압력관 K1, K2,ㆍㆍㆍ Kn을 제작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압력관K1의 이음부 J1의 삽입부(S)와, 상기의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다수의 직각3각형형상의 걸림홈(52)이 형성된 압력관 K2의 직선부(P2)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상기 압력관 K2의 직선부(P2)를 상기 압력관K1의 이음부 J1의 삽입부(S)에 밀어 넣되 상기 압력관 K2의 직선부(P2)쪽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52)에, 상기의 압력관K1의 이음부 J1의 삽입된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탄성 삽입ㆍ고정되게 하는 단계;

    ⒟ 상기 압력관K2의 이음부 J2의 삽입부(S)에 삽입된 내측탄성 돌출부(2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동일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걸림홈(52)이 상기 ⒝단계에서 이미 제작된 새로운 압력관 K3의 직선부(P3)와, 그리고 상기 압력관K2의 이음부 J2의 삽입부(S)를 서로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상기 압력관K2의 이음부 J2의 삽입부(S) 부싱(40)내경에 압력관 K3의 직선부(P3)를 밀어 넣되 압력관K2의 이음부 J2에 삽입된 내측탄성 돌출부(22a)가 압력관 K3의 직선부(P3)의 걸림홈(52)에 탄성 고정되게 하는 단계;

    ⒠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압력관의 이음부 J3, J4, ㆍㆍㆍㆍㆍJn의 삽입부(S)에 압력관K4, K5,ㆍㆍㆍKn을 순차적으로 이음ㆍ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탄성재질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이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한편,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압력관(50)의 걸림홈(52)과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걸림홈(B2)의 경사각(θ)이 15~30o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내측탄성 돌출부(22a)와 외측탄성 돌출부(22b)가 펀칭부(226)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서 돌출되어있으면서 펀칭부(226)를 서로 공유하되 탄성축소에 대하여 전혀 방해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관 이음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1020120093314A 2012-08-24 2012-08-24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20140026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314A KR20140026205A (ko) 2012-08-24 2012-08-24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314A KR20140026205A (ko) 2012-08-24 2012-08-24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205A true KR20140026205A (ko) 2014-03-05

Family

ID=5064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314A KR20140026205A (ko) 2012-08-24 2012-08-24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2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922A (ko) *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파이프 연결 방법 및 파이프 연결 장치
CN110410194A (zh) * 2018-04-27 2019-11-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涡轮增压器和中间冷却器的连接结构
CN115299424A (zh) * 2022-08-30 2022-11-08 西峡县农业农村局 一种农业病虫害防治用喷药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922A (ko) *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파이프 연결 방법 및 파이프 연결 장치
CN110410194A (zh) * 2018-04-27 2019-11-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涡轮增压器和中间冷却器的连接结构
CN115299424A (zh) * 2022-08-30 2022-11-08 西峡县农业农村局 一种农业病虫害防治用喷药系统
CN115299424B (zh) * 2022-08-30 2024-01-26 西峡县农业农村局 一种农业病虫害防治用喷药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372B2 (ja) 管継手
US7404872B2 (en) PVC seismic coup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207634B1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MX2015001623A (es) Conector de union de conducto sismico.
KR101915492B1 (ko) 무용접 조립식 배관 플랜지 연결구
KR20140026205A (ko)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US20120217743A1 (en) Pipe coupling assembly with sleeve locking tab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3130282A (ja) 既設管路の補修用被覆体
US10041613B1 (en) Universal coupling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JP2015024561A (ja) 更生管の支保工装置および支保工工法
KR20120056142A (ko) 내진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BR112019019412B1 (pt) Sistema de fechamento positivo para juntas restringidas de tubulações repuxadas de ferro dúctil e acessórios
KR20140026206A (ko) 합성수지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압력관의 시공방법
KR20140027696A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및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체결장치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CN113154154B (zh) 一种消防管件及其安装方法
KR20140026204A (ko)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1018105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013167140A (ja) 管体のスラブ埋設部構造
KR10108870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100096955A (ko) 고러게이트관의 이음관
JP6300161B2 (ja) 管路曲線部用耐震離脱防止継手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中管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