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204A -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204A
KR20140026204A KR1020120093311A KR20120093311A KR20140026204A KR 20140026204 A KR20140026204 A KR 20140026204A KR 1020120093311 A KR1020120093311 A KR 1020120093311A KR 20120093311 A KR20120093311 A KR 20120093311A KR 20140026204 A KR20140026204 A KR 2014002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joint
fasten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근
Original Assignee
강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근 filed Critical 강석근
Priority to KR102012009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204A/ko
Publication of KR2014002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형성된 ‘고정구조’와, 체결구(20)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체결구조를,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을 오로지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에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는, 외부에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인데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합성수지관과의 체결고정이 견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Three steps apparatus fixing joint of plastics pipe under pressure by one touch and method constructing plastics pipes thereof}
본 발명은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형성된 ‘고정구조’와, 체결구(20)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체결구조를,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을 오로지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에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는, 외부에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인데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합성수지관과의 체결고정이 견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이음작업이 가능한 것이어서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가 방지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상수도관, 송유관, 개스관과 같이 유체가 만관되어 압력차로 인하여 흐르는 관을 압력관이라 부른다.
압력관의 유체흐름은 압력관 양단의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흐른다.
물이나 기름 또는 가스와 같은 유체는 상수도관이나 송유관을 통하여 수십 수백km로 이송된다.
압력관의 길이는 제작 및 운반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제작된다.
단위 길이를 연이어 압력관이 설치된다. 이때 단위길이를 이음 하는 연결관을 통상 “이음관”이라한다. (도1a참조) “이음관”은 그 형태가 다양하다. 즉, 일(ㅡ)자형, 엘(L)자형, 티(T)자형, 십(+)자형 등의 형태이다.
압력관의 직경역시 그 크기가 다양하다. 통상 그 직경이 15mm에서 3m까지 이른다.
압력관은 제작되는 재질에 따라 크게 합성수지관과, 그리고 철관 및 비철금속관으로 나누어진다.
압력관의 압력의 세기도 다양하다. 상수도의 경우 보통 수압이 10~30kg/㎠에 이른다.
특히, “이음관”과 압력관이 연결되는 접속부위는 강한 유체압력에 견디는 구조라야 한다.
압력관은 고압이 작용되기 때문에 바늘구멍만한 틈만 생겨도 누수(또는 누기)의 정도가 심각하게 된다. 인체에 유해한 인화성물질인 경우 그 피해는 헤아릴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보강기술, 즉 “이음관”과 압력관이 연결되는 접속부위를 보강한 종래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283812호(이하 ‘종래기술-1’이라한다.)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종래기술-1’의 이음관(100)은 파이프(300)가 결합되는 각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경면은 파이프(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단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단은 이음관(100)의 내경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내측절곡단(105)과 외측절곡단(106)이 형성된다. 내측절곡단(105)에는 파이프(3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외측절곡단(106)에는 가압돌기(110)가 원형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있다.
이음관 연결기구(200)는 크게 실링재(210), 클립(220) 그리고 캡(230)으로 구성된다.
실링재(210)는 고무재질로서 수밀을 목적으로 하는 부재이다. 가압돌기(110)에 대응하여 밀폐홈(215)이 실링재(2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있다. 링형상의 실링재(210)의 내경면에
파이프의 외경면이 삽입된다. 실링재(210)의 내면과 파이프(300)의 외면이 서로 밀착되어 수밀성이 증대된다.
실링재(210)의 내면과 파이프(300)의 외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실링재(210)와 밀접되게 클립(220)이 접면되어 설치되어있다. 이때 클립(220)의 내경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밀림방지수단(225)과 파이프(300)가 서로 접면된 상태이다.
캡(230)은 실링재(210)와 클립(220)을 감싸면서 최종적으로 이음관(100)과 파이프(300)를 결속하는 수단이다. 도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분리된 캡(230)은 볼트(226)와 체결홀(227))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1’은 실링재(210)와 클립(220)과 그리고 캡(230)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수밀성을 갖는 이음관(100)과 파이프(300)의 연결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그 연결 작업이 이음관(100)의 외부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즉, 실링재(210)와 클립(220)의 설치작업이 외부에서 이루어지고, 반원형상의 캡(230)에 의하여 실링재(210)와 클립(220)을 감싼 상태에서 이음관(100)과 파이프(300)를 고정하는 작업도 외부에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체결홀(227))과 볼트(226)에 의하여 반원형상의 캡(230)의 체결도 이음관(10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달리 말하면 연결 작업이 이음관(10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는 파이프(300)가 실링재(210)와 클립(22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이음관(100)에 삽입된 이후에도 후속작업으로 반원형상의 캡(230)의 체결작업이 남게 된다.
이러한 후속작업은 구조가 간단하지 않아 연결 작업의 공기를 지연시켜 연결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작업이 이음관(100)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므로 굴착공간에 더하여 별도의 외부작업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 아니라 파이프(300)가 이음관(100)삽입되었다 해서 파이프(300)가 이음관(100)에 곧바로 고정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또 다른 후속작업이 뒤따라야만 고정되는 투 터치(two touch)고정방식이어서 연결 작업이 한 번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등록특허 제10-116622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기술-2’의 이음관의 연결부(20)에 고무패킹(30)과 고정캡(40)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배수관(10)은 이음관의 연결부(20)에 인입된다. 배수관(10)이 인입된 때는 고무패킹(30)과 고정캡(40)의 중앙부를 이미 배수관(10)이 관통된 상태다.(도2a, 도2b, 도2c 참조)
배수관(10)이 연결부(20)에 인입되었다고 해서 배수관(10)이 연결부(20)에 곧바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을 위해 그 후속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정 작업이 이음관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외부구조이기 때문이다.
고정 작업이 이음관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2’의 외부구조의 문제점은 외부구조가 갖는 태생적 문제점인 투 터치(two touch)고정방식이므로 ‘종래기술-1’에서 밝힌 문제점과 동일하다.
한편, 압력관의 압력이 아주 강한 경우 이음관과 배수관(10)사이에 보강이 필요하다.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와 같이 외부구조방식인 경우 이음관과 배수관(10)사이에 보강이 더욱 필요하다.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10-0775411호(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가 제안되어있다.
도3a에서와 같이 커플링 날개 지지부재(26)가 형성된 이송배관(10)과 이송배관(10)을 서로 맞대어놓고 양 이송배관(10)을 커플링 구조(30)와, 그리고 커플링 날개 지지부재(26)의 체결공(261)에 삽입ㆍ고정된 체결부재(4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형태이다.
다시 말하면, 통상 커플링 구조(30)만으로 양 이송배관(10)의 압력에 저항ㆍ지지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이송배관(10)의 압력이 고압으로 증대된 경우 커플링 구조(30)만으로 지지하는 것이 부족하다. 이를 보강하기위하여 양 이송배관(10)에 커플링 날개 지지부재(26)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다시 체결부재(40)에 의하여 서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부족한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
이송배관(10)에 고압이 걸릴 경우 ‘종래기술-3’과 같이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 하더라도 이송배관(10)의 고정에 대한 보강이 외부구조에 의한 것이다. 보강이 외부구조에 의한 것이라면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원 터치(one touch)고정방식이 아니므로 외부구조가 갖는 태생적 문제점과 동일한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이음관”이 엘(L)자형이나 티(T)자형과 같이 곡선인 경우 일(-)자형에 비하여 “이음관”에 더 강한 고압이 걸리게 된다. “이음관”에 강한 고압이 걸리게 되면 “이음관”과 배수관이 조립된 조립부에 그대로 고압이 걸리게 된다. 이때 “이음관”에 배수관의 고정이 외부구조에 의할 경우 배수관이 “이음관”으로부터 이탈되기가 더 용이하다. 외부구조는 “이음관”에 배수관의 고정이 단순히 볼트에 의한 체결ㆍ고정구조이기 때문이다.
특히, 압력관에 물(유체)을 처음 통수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물(유체)의 흐름에서 오는 압력에다 갑자기 통수되는 순간의 물(유체)의 충격이 “이음관”에 더해지게 된다. 물(유체)의 충격에너지가 더해지면서 “이음관”에 걸리는 압력이 최대가 되게 된다. 더해진 물(유체)의 충격에너지로 인하여 배수관이 “이음관”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의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체결고정이 외부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체결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볼트, 너트, 플랜지 클램프, 용접 등)가 많아 배관이음작업의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체결고정이 외부구조에 의존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이음ㆍ고정 작업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별도의 작업공간이 더 필요하여 굴착공간이 상수도관의 직경보다 훨씬 넓게 굴착하여야한다. 그뿐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들어가서 이음ㆍ고정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형성된 ‘고정구조’와, 체결구(20)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체결구조를,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을 오로지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에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가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원터치방식의 체결구조는, 외부에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인데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합성수지관과의 체결고정이 견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체결구조의 이음ㆍ고정이 원터치방식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이음ㆍ연결 작업이 효율적이어서 공기를 줄이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력관이 삽입ㆍ연결되는 삽입부를 갖는 일자형, 엘(L)형, 티(T)형 등의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에 있어서
합성수지관(50)이 삽입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는,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지고, 삽입부(S)의 직경은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외부를 향하여 점차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삽입되는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삽입되는 부싱(40)에 의하여 체결장치(10)가 이루어지되 체결구(20)에는 탄성 돌출부(22)가 일정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고,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은, 체결구(20)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합성수지관(50)의 삽입방향으로 돌출ㆍ경사되어있으면서 수압(유체압)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50)이 이탈되려고 하는 이탈방향에 대하여 이탈을 저항하는 저항구조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구성이다.
체결구(20)에는 탄성 돌출부(22)가 일정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고,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은, 체결구(20)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합성수지관(50)의 삽입방향으로 돌출ㆍ경사되어있으면서 수압(고압)으로 인한 합성수지관(50)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저항하는 방향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구성이다.
여기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이를 이하 ‘연결용 이음관(J)’이라한다]은 강한 압력을 받는 부재이므로 철제 및 비철금속과 같이 견고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결용 이음관(J)’의 직경은 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50)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합성수지관(50)의 직경은 통상 15~3000mm까지 광범위하다. 직경의 크기에 따라 수압의 세기도 달라지므로 적합한 합성수지(PE, PP, PVC 등)도 ‘연결용 이음관(J)’의 재질로서 유용한 재질이다.
합성수지관(50)은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를 통하여 삽입ㆍ고정된다. 합성수지관(50)이 삽입부(S)에 삽입되는 순서는, 부싱 삽입ㆍ밀착부(D)→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체결구 삽입ㆍ밀착부(B)→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순이다.
그런데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는 부싱(40)이,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는 수밀고무패킹(30)이, 그리고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는 체결구(20)가 부착ㆍ고정된다.
합성수지관(50)은, 부싱(40)→수밀고무패킹(30)→체결구(20)를 관통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합성수지관(50)과 관련하여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 체결구(20), 수밀고무패킹(30), 그리고 부싱(40)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는 합성수지관(50)의 일측단부를 단단히 밀착ㆍ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진과 같은 외적요인이나 수압과 같은 내적요인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50)이 수평밀림이나 상하유동 되지 않도록 하기위해서다.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고정은 이에 대칭된 부싱(40)에 의한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고정과 함께 균형 잡힌 안정된 ‘고정구조’를 이루고 있다. ‘고정구조’는 합성수지관(50)의 수평밀림과 상하유동을 억제하는 구조이다.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고정은, 합성수지관(50)의 외경이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내경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내경은 합성수지관(50)의 외경과 같은 크기이면서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단차는 합성수지관(50)의 두께(t)와 같다.
그런데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내경과 합성수지관(50)의 외경의 크기가 같다면 합성수지관(50)을 삽입할 수가 없다. 여기서 크기가 같다는 의미는 합성수지관(50)이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여유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둘째,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는 체결구(20)의 구조 및 이에 대한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체결구(20)는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된다. 또한 합성수지관(50)은 체결구(2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의 내경에는 체결구(20)의 외경이 밀착된 상태이고, 또 체결구(20)의 내경에는 합성수지관(50)의 외경이 삽입되는 상태이다.
체결구(2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이다. 체결구(20)의 형상은 일정한 폭을 갖는 원형상의 링 형상이다. 체결구(20)의 원형상의 링에는 탄성 돌출부(22)가 체결구(20)로부터 펀칭되어 돌출경사각을 갖으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탄성 돌출부(22)의 돌출방향은 원형상 링의 원의 중심방향이면서 탄성 돌출부(22)의 경사방향은 합성수지관(50)이 삽입되는 방향이고, 그 경사각(θ)은 합성수지관(5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15~30°로 이탈ㆍ경사되어있다.
경사각(θ) 15~30°에서 탄성 돌출부(22)의 탄성ㆍ수축 및 탄성ㆍ복원(확대)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경사각(θ) 15~30°에서 탄성 돌출부(22)의 합성수지관(50)에 대한 마찰저항강도가 가장 크게 작용되기 때문이다. 이때 경사각(θ)이 15°보다 작게 되면 마찰저항강도가 작아지게 되고, 30°보다 크게 되면 쉽게 뒤로 제껴지게 되어 마찰저항강도가 작아지게 된다.
여기에다 합성수지관(50)에 대한 마찰저항강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탄성 돌출부(22)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5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그리고 탄성 돌출부(22)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합성수지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 및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는 마찰저항에 대하여 뒤로 제껴지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마찰저항지지강도를 크게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은 탄성 돌출부(22)의 선단접면부가 큰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 바람직하다. 탄성 돌출부(22)의 선단접면부에 의한 마철저항을 크게 하는데 탄성 돌출부(22)의 주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을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돌출부(22)의 선단접면부가 큰 형상이라면 어느 형상이든지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에 포함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제,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과, 그리고 합성수지관(50)의 삽입 및 마찰저항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과 합성수지관(50)의 삽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4, 도6, 도7, 도8 참조)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은 원형체결구(20)의 내측방향(즉, 원의 내부)이면서 합성수지관(5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관(50)이 체결구(20)의 내경으로 삽입될 때 합성수지관(50)의 외주면에 접면된 탄성 돌출부(22)는 합성수지관(50)의 외주면에 밀리면서 펀칭부(226)쪽으로 탄성ㆍ수축되게 된다. 탄성 돌출부(22)의 탄성ㆍ수축에 의하여 합성수지관(50)의 삽입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
두 번째,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과 합성수지관(50)에 대한 마찰저항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와 같이 삽입된 합성수지관(50)의 외주면에 의하여 탄성 돌출부(22)가 탄성ㆍ수축되었다하더라도 탄성ㆍ수축된 탄성 돌출부(22)는 원래의 돌출경사방향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합성수지관(50)의 외주면에 작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수축된 탄성 돌출부(22)가 복원되려는 탄성복원력이 합성수지관(50)에 작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압과 같은 힘이 합성수지관(50)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즉, 합성수지관(50)을 이탈되게 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 탄성복원력의 탄성 돌출부(22)와 합성수지관(50)이 이루는 마찰저항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탄성 돌출부(22)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15~30o의 경사각으로 복원ㆍ확대되려고 한다.
이때 탄성 돌출부(22)의 경사각의 방향은 합성수지관(50)의 이탈방향에 대하여 서로 정반대 방향이다.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확대되려는 탄성 돌출부(22)가 합성수지관(50)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가면서 합성수지관(5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마찰 저항을 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탄성 돌출부(22)와 합성수지관(50)이 이루는 마찰저항구조이다.
탄성 돌출부(22)는 합성수지관(50)의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탄성ㆍ수축하는 구조이고, 합성수지관(50)의 이탈방향에 대해서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탄성ㆍ확대작용을 하는 구조이다.
마찰저항구조는 탄성 돌출부(22)의 개수가 많을수록 마찰저항이 커진다.
원형상의 체결구(20)에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22)의 개수는 합성수지관(50)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는 설계사항이다. 일정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다.
셋째,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삽입되는 수밀고무패킹(30)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수밀고무패킹(30)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밀착된다.
수밀고무패킹(30)의 외경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의 내경과 밀착되고, 수밀고무패킹(30)의 내경은 합성수지관(50)의 외경과 밀착된다. 수밀고무패킹(30)은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밀고무패킹(30)은 종래에 사용된 구조 및 형상을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의 내측에는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가, 그 외측에는 부싱 삽입ㆍ밀착부(D)가 형성된 구조가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원터치 방식에 의한 이음ㆍ고정이 가능하게 된 점에서 종래기술의 구조와 크게 다르다.
수밀고무패킹(30)의 상부돌출부(32)는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의 반원상의 돌출부(C1)에 삽입ㆍ고정된다. 수밀고무패킹(30)의 하부 수평돌출부(34)는 체결구(20)하부까지 연장ㆍ설치된다.
넷째,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삽입되는 부싱(40)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부싱(40)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밀착ㆍ고정된다.
부싱(40)의 형상은 수직의 삽입방지턱(42)과 수평의 외경(44)과 내경(46)으로 이루어진다.
부싱(40)의 외경(44)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부싱(40)의 내경(46)은 합성수지관(50)의 외경에 밀착된다.
부싱(40)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내경과 합성수지관(50)의 외경과의 틈새간격에 삽입되어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합성수지관(5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부싱(40)의 재질은 ‘연결용 이음관(J)’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싱(40)삽입에 의한 부싱 삽입ㆍ밀착부(D)구간의 고정력을 더한층 강화시키기 위해서다.
‘연결용 이음관(J)’에 삽입된 합성수지관(50)이 고정되는 곳은 2곳이다. 2곳은 서로 좌우대칭이다. 좌우 대칭된 2곳의 고정에 의하여 합성수지관(50)이 안정된 ‘고정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곳의 고정은 부싱(40)에 의한 부싱 삽입ㆍ밀착부(D)의 고정이고, 다른 한곳의 고정은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의 고정이다.
합성수지관(50)의 ‘고정구조’가 먼저 안정되어야 체결구(20)에 의한 마찰저항구조가 안정되고, 이와 함께 수밀고무패킹(30)에 의한 수밀구조가 안정된다.
합성수지관(50)이 조립된 ‘연결용 이음관(J)’에는 강한 수압이 작용되는 곳이다.
강한 수압은 ① 합성수지관(50) 또는 ‘연결용 이음관(J)’을 수압의 작용방향으로 이탈시키게 되고, 또한 ② 진동을 발생시켜 합성수지관(50) 또는 ‘연결용 이음관(J)’의 이탈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때 ‘연결용 이음관(J)’과 합성수지관(50)은 상대적 관계에 있다. 즉, ‘연결용 이음관(J)’이 고정되었다는 관점에서 보면, 합성수지관(50)이 상대적으로 수압에 의하여 이탈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합성수지관(50)이 고정되었다는 관점에서 보면, ‘연결용 이음관(J)’이 상대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된다. 이는 실제 일어나는 현상그대로다.
‘연결용 이음관(J)’은, 합성수지관(50)의 안정된 ‘고정구조’와, 탄성 돌출부(22)에 의한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고무패킹에 의한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유기적 저항구조체이다. 유기적 저항구조체는 합성수지압력관(50)의 이탈 및 진동을 억제ㆍ저항한다.
특히 합성수지관(50)의 ‘고정구조’는 마찰저항구조와 수밀구조의 전제가 되는 기본 구조이다.
합성수지관(50)의 ‘고정구조’가 안정되어야만 마찰저항구조에 의한 이탈방지기능 및 수밀구조에 의한 수밀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진은 가장 큰 진동의 요인이다. 또 유체흐름의 급격한 변화는 진동 및 수압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유체흐름의 급격한 변화는 예컨대, 직선구간에서 갑자기 급한 곡선구간을 만나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엘(L)자형이나 티(T)자형과 같은 급한 곡선의 연결용 이음관을 만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되고, 갑작스런 통수로 인한 물의 충격에너지가 발생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 원터치 3단 체결의 기본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에는 고정구조와,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구조에 의한 유기적 저항구조체가 형성되어있다.
원터치 3단 체결의 기본개념은, 유기적 저항구조체가 형성된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에 압력관(50)을 밀어 넣기만 하면 압력관(50)의 이음고정이 완료되는 원터치방식이다.
이제, 물의 흐름과 관련하여 탄성 돌출부(22)와, 그리고 합성수지관(50) 또는 ‘연결용 이음관(J)’과의 마찰저항관계를 도8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의 흐름은 ⒜에서 ⒝로 흐른다. ⒜에서는 탄성 돌출부(22)가 물의 흐름방향으로 경사져있고, ⒝에서는 탄성 돌출부(22)가 물의 흐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있다.
탄성 돌출부(22)는 ‘연결용 이음관(J)’과 일체인 상태이다.
‘연결용 이음관(J)’의 ⒜에는 합성수지관50a가, ⒝에는 합성수지관50b가 삽입되어있다.
⒝의 경우는, ‘연결용 이음관(J)’이 고정된 상태이고, 합성수지관50b가 상대적으로 물의 흐름방향으로 이탈된다고 보는 관점이다. 실제 이러한 현상이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과 압력관50b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 경우는, ‘연결용 이음관(J)’의 탄성 돌출부(22)의 경사방향이 이탈되려는 합성수지관50b에 대하여 합성수지관50b를 파고 들어갈 정도의 마찰저항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합성수지관50b의 이탈이 방지된다.
⒜의 경우는, 합성수지관50a가 고정된 상태이고, ‘연결용 이음관(J)’이 상대적으로 물의 흐름방향으로 이탈된다고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의 경우는, 이탈되려는 ‘연결용 이음관(J)’의 탄성 돌출부(22)의 경사방향이 합성수지관50a에 대하여 합성수지관50b를 파고 들어갈 정도의 마찰저항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연결용 이음관(J)’이 합성수지관50b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마찰저항구조를 이루고 있는 탄성 돌출부(22)는 탄성의 강성금속재질이고, 이에 대하여 합성수지관(50a)(50b)의 재질은 상대적으로 연성이므로 탄성 돌출부(22)가 합성수지관(50a)(50b)을 약간 파고 들어갈 정도의 마찰저항하게 된다.
그러나 ⒜의 경우나 ⒝의 경우모두 ‘연결용 이음관(J)’에 합성수지관(50)이 삽입될 때는 탄성 돌출부(22)의 경사방향이 마찰저항구조와 반대방향이므로 합성수지관(50)의 삽입에 방해되지 않는다.
3단 체결에서 1단은 부싱 삽입ㆍ밀착부(D)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를 말하고, 2단은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를 말하며, 3단은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말한다.
원터치방식은 현장에서의 이음ㆍ고정 작업이 간편하다. 유기적 저항구조체가 형성된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에 압력관(50)을 삽입장비에 의해 밀어 넣기만 하면 압력관(50)의 이음고정이 완료되기 때문이다.
⒜ 본 발명은 고정구조와, 마찰저항구조와, 그리고 수밀구조에 의해 형성된 유기적인 저항구조를,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형성한 구성이므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에 오로지 합성수지관을 밀어 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완료되는 것이어서 이음ㆍ연결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되어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 원터치방식의 유기적 마찰저항구조는, 외부에 설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인데다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합성수지관과의 체결고정이 견고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원터치방식의 이음ㆍ고정이 가능한 구성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음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별도의 작업굴착공간이 필요치 않아 굴착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장비에 의한 이음작업이 가능하여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 원터치방식에 의한 간단한 체결구조이므로 합성수지관의 이음ㆍ연결 작업이 용이하여 이음ㆍ연결 작업이 효율적이고 작업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종래기술-1의 이음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1b] 종래기술-1의 이음관에 외부구조의 연결기구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1c] 종래기술-1의 클립의 분리사시도
[도2a] 종래기술-2의 'T'자형 배수관 연결용 이음관을 보인 사시도
[도2b] 종래기술-2의 'T'자형 배수관 연결용 이음관의 단면상태를 보인 분리도
[도2c] 종래기술-2의 'T'자형 배수관 연결용 이음관에 배수관이 연결된 상태도
[도3a] 종래기술-3의 이송배관 결합구조에 커플링구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3b] 종래기술-3의 이송배관 결합구조에 커플링구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결합 상태도
[도4] 본 발명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5] 도4의 A-A 단면도
[도6] 본 발명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체결구의 사시도
[도7] 도4의 결합단면도
[도8] 본 발명 원터치 3단 체결의 기본개념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
본 발명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합성수지관(50)을 설치하기위하여 지하를 오픈 컷 방식에 의해 굴착하되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이음작업공간을 굴착하지 않고, 합성수지관(50)이 설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 갖도록 합성수지관(50)의 길이방향으로 지하를 굴착하는 단계;
⒝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에, 15~30o의 경사각(θ)을 갖는 탄성 돌출부(22)가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40)을 차례로 삽입ㆍ고정하는 한편, 상기의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40)을 복수 개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1, J2, ㆍㆍㆍJn)에 각각 조립ㆍ설치하여 복수 개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1, J2, ㆍㆍㆍJn)을 제작하는 단계;
⒞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에 합성수지관(K)을 이음ㆍ결합하기위해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1)의 일측 삽입부(SR)에, 합성수지관(K1)의 일측 단부(EL)를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상기의 합성수지관(K1)을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1)의 삽입부(S)의 부싱(40)내경에 밀어 넣어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까지 삽입하여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1)과 합성수지관(K1)을 서로 이음ㆍ연결 완료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합성수지관(K1) 타측 단부(ER)에,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새로운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2)의 일측 삽입부(SL)를 삽입ㆍ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2)의 타측 삽입부(SR)에, 새로운 합성수지관(K2)의 타측 단부(EL)를 밀어 넣어 삽입ㆍ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3, J4, ㆍㆍㆍJn에, 합성수지관 K3, K4,ㆍㆍㆍKn을 순차적으로 이음ㆍ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의 체결구(2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탄성 돌출부(22)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은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탄성 돌출부(22)의 경사각(θ)은 체결구(20)로부터 15~30o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이다.
또한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5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그리고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합성수지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1, J2,ㆍㆍㆍ Jn는, 설명의 편의상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이음 순서를 나타낸 것이고, 이에 대응되는 합성수지압력관 K1, K2,ㆍㆍㆍ Kn은,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1, J2,ㆍㆍㆍ Jn에 합성수지압력관(50)의 삽입ㆍ이음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SR은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선단부(S)중 오른쪽에 있는 선단부이고, SL은 왼쪽에 있는 선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ER은 합성수지관(K)의 단부에서 오른쪽에 있는 단부이고, EL은 왼쪽에 있는 단부를 나타낸 다.
이와 같이 고정구조와 마찰저항구조와 수밀구조가 형성된 ‘연결용 이음관(J)’을 제작한 다음, 이를 설치하기위해 굴착된 현장에 운반한 후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에 위치된 합성수지관(50)을 삽입장비를 이용하여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에 밀어 넣음으로써 합성수지관(50)의 이음고정이 원터치방식으로 완료된다.
또한 체결고정이 외부구조에 설치된 종래기술은 체결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볼트, 너트, 플랜지 클램프, 용접 등)가 많아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체결고정이 내부구조에 설치되고 그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원터치방식에 의한 이음고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작업공간의 굴착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이음고정이 장비에 의한 원터치방식이므로 작업자가 작업공간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토사붕괴로 인한 산업재해도 발생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J;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S; 삽입부
A;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
B; 체결구 삽입ㆍ밀착부
C;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 C1; 반원상의 돌출부
D; 부싱 삽입ㆍ밀착부
10; 체결장치
20; 체결구,
22; 탄성 돌출부, 222; 측면부, 222a; 제껴짐 방지보강부, 224;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 226; 펀칭부,
30; 수밀고무패킹, 32; 상부돌출부, 34; 하부 수평돌출부
40; 부싱, 42; 삽입방지턱, 44; 외경, 46; 내경
50; 합성수지관

Claims (7)

  1. 압력관이 삽입ㆍ연결되는 삽입부를 갖는 일자형, 엘(L)형, 티(T)형 등의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에 있어서

    합성수지관(50)이 삽입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는,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지고, 삽입부(S)의 직경은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외부를 향하여 점차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에 삽입되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에 삽입되는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 삽입ㆍ밀착부(D)에 삽입되는 부싱(40)에 의하여 체결장치(10)가 이루어지되 체결구(20)에는 탄성 돌출부(22)가 일정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고,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방향은, 체결구(20)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합성수지관(50)의 삽입방향으로 돌출ㆍ경사되어있으면서 수압(유체압)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50)이 이탈되려고 하는 이탈방향에 대하여 이탈을 저항하는 저항구조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구(20)는 탄성재질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탄성 돌출부(22)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이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면서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각(θ)이 15~30o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돌출부(22)의 양측면부(222)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5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합성수지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5. ⒜ 합성수지관(50)을 설치하기위하여 지하를 오픈 컷 방식에 의해 굴착하되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이음작업공간을 굴착하지 않고, 합성수지관(50)이 설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만 갖도록 합성수지관(50)의 길이방향으로 지하를 굴착하는 단계;

    ⒝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를 기점으로 차례로 체결구 삽입ㆍ밀착부(B), 수밀고무패킹 삽입ㆍ밀착부(C), 부싱 삽입ㆍ밀착부(D)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삽입부(S)에, 15~30o의 경사각(θ)을 갖는 탄성 돌출부(22)가 일정한 간격으로 열을 이루면서 다수 개 형성되어있는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40)을 차례로 삽입ㆍ고정하는 한편, 상기의 체결구(20)와, 수밀고무패킹(30)과, 그리고 부싱(40)을 복수 개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1, J2, ㆍㆍㆍJn)에 각각 조립ㆍ설치하여 복수 개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1, J2, ㆍㆍㆍJn)을 제작하는 단계;

    ⒞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에 합성수지관(K)을 이음ㆍ결합하기위해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1)의 일측 삽입부(SR)에, 합성수지관(K1)의 일측 단부(EL)를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력관 삽입장비에 의하여 상기의 합성수지관(K1)을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1)의 삽입부(S)의 부싱(40)내경에 밀어 넣어 합성수지관 삽입ㆍ밀착부(A)까지 삽입하여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1)과 합성수지관(K1)을 서로 이음ㆍ연결 완료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합성수지관(K1) 타측 단부(ER)에,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새로운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2)의 일측 삽입부(SL)를 삽입ㆍ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2)의 타측 삽입부(SR)에, 새로운 합성수지관(K2)의 타측 단부(EL)를 밀어 넣어 삽입ㆍ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J3, J4, ㆍㆍㆍJn에, 합성수지관 K3, K4,ㆍㆍㆍKn을 순차적으로 이음ㆍ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J)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체결구(2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이고, 탄성 돌출부(22)는 체결구(20)를 펀칭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형상이 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면서 탄성 돌출부(22)의 돌출경사각(θ)이 15~30o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22)의 양측면부(222)에는 합성수지관(50)쪽으로 경사진 제껴짐 방지보강부(222a)가, 그리고 탄성 돌출부(22)의 중앙부에는 V자의 꼭지점이 합성수지관(50)쪽에 위치된 V자형 제껴짐 방지보강부(2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KR1020120093311A 2012-08-24 2012-08-24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KR20140026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311A KR20140026204A (ko) 2012-08-24 2012-08-24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311A KR20140026204A (ko) 2012-08-24 2012-08-24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204A true KR20140026204A (ko) 2014-03-05

Family

ID=5064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311A KR20140026204A (ko) 2012-08-24 2012-08-24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2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34B1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US20070267139A1 (en) PVC seismic coup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953134B2 (en) Mechanical fitting for a plastic pipe connec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PT103946A (pt) Junta multimateriais com garras de bloqueio
US7114752B2 (en) Slip coupling for pipe
KR20140026205A (ko)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20140026204A (ko) 합성수지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시공방법
KR20140027696A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 및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체결장치
KR20140026206A (ko) 합성수지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압력관의 시공방법
JPH11148582A (ja) プラスチック管継手
JP2012206471A (ja) プロファイル
KR1018105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300161B2 (ja) 管路曲線部用耐震離脱防止継手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中管路
JP4833607B2 (ja) 補修用被覆体
JP7422064B2 (ja) 六角形セグメント
CN214368160U (zh) 一种非开挖牵引管
JP2000008504A (ja) コンクリート製接合物の止水工法および止水用接合部材
JP4467763B2 (ja) シールド工法用可撓セグメント
KR20110066305A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JP2002013669A (ja) 管路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異形管
JP2002122287A (ja) 埋設管の性能向上が可能な更生工法
JPH026129Y2 (ko)
KR101206785B1 (ko) 관로의 보수 및 보강유닛,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수관 보수공법
JP4541164B2 (ja) 配管内面継手
KR200280294Y1 (ko) 분할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