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458B1 - 유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7458B1 KR102167458B1 KR1020200095033A KR20200095033A KR102167458B1 KR 102167458 B1 KR102167458 B1 KR 102167458B1 KR 1020200095033 A KR1020200095033 A KR 1020200095033A KR 20200095033 A KR20200095033 A KR 20200095033A KR 102167458 B1 KR102167458 B1 KR 1021674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guide rod
- manhole
- unit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5—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endless tracks or bel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부로 투입되어 맨홀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며, 맨홀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관리할 수 있는, 유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맨홀 내부의 유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구멍이며, 맨홀에는 수도관, 하수도관 및 배선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설물들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맨홀 내부에 구비된 시설물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맨홀의 내부로 들어가야 한다.
특히, 맨홀에 구비된 하수도를 통과하는 하수의 유량은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량 센서를 들고 직접 맨홀 내부로 들어가 하수에 유량 센서를 담가, 유량을 체크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맨홀의 내부 공간은 매우 비좁기 때문에, 작업자가 유량을 체크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맨홀 내부에서 작업자가 예상하지 못한 사고가 발생된 경우, 맨홀 외부의 또 다른 작업자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기 매우 어려우며, 따라서, 맨홀 내부의 사소한 사고가 매우 큰 사고로 전환되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유량측정용 유압, 유속을 측정하는 센서 및 본체는 방수에 취약하여 숙련된 작업자를 필요로 하며, 유량 변동 및 급물살 등에 의해 센서 및 본체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도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부로 투입되어 맨홀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며, 맨홀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관리할 수 있는, 유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은,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맨홀의 벽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세 개의 이송부(120)들;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이송부(120)들을 구동하여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이송부(120)들이 돌출된 거리들을 제어하는 구동부(150);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160); 상기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신부(170); 및 상기 통신부(17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 또는 유량을 판단하는 관리 서버(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더라도 맨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유압 및 유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각종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촬영할 맨홀 마다 배치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유량 측정을 필요로 할 때 지하로 원하는 위치에 센서를 이동시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으며, 측정 완료후에는 상부로 이동 배치시켜 방수 및 유실 위험으로부터 본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와 관리 서버를 연동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유량을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를 맨홀의 상단면(A)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를 맨홀의 상단면(A)에서 바라본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에 구비되는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를 맨홀의 상단면(A)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를 맨홀의 상단면(A)에서 바라본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에 구비되는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를 맨홀의 상단면(A)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를 맨홀의 상단면(A)에서 바라본 또 다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맨홀 내부 촬영 장치에 구비되는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부 촬영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맨홀의 벽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세 개의 이송부(120)들,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이송부(120)들을 구동하여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이송부(120)들이 돌출된 거리들을 제어하는 구동부(150),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160), 상기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신부(170) 및 상기 통신부(17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 또는 유량을 판단하는 관리 서버(10)를 포함한다. 상기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본(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120)는 맨홀(200)의 벽면(300)에 밀착되어, 벽면(300)을 따라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적어도 세 개의 이송부(120)들 각각은,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제1 롤러(121b)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지지대(121),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끝단에는 제2 롤러(122b)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Z)에서 상기 제1 지지대(121)와 중첩되어 있는 제2 지지대(122) 및 상기 제1 롤러(121b)와 상기 제2 롤러(122b)를 감싸고 있는 벨트(123)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2 지지대(122)는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Z)에서 중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은 상기 본체(110)의 상단 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A방향에서 상기 본체(110)를 바라본 예시도이다. 이 경우, 사기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2 지지대(122)는 서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제1 지지대(121)만이 보여진다. 그러나, 상기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2 지지대(122)가 완벽하게 중첩될 필요는 없다.
특히, 상기 제1 지지대(121)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롤러(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122)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Z)에서 상기 제1 가이드봉(121a)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제2 가이드봉(122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2 롤러(122b)를 포함한다.
둘째,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은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중첩되어있는 바(bar)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중첩되어 있는 두 개의 바(bar)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연장됨에 따라, 제1 가이드봉(121a)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봉(121a)도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중첩되어있는 바(bar)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중첩되어 있는 두 개의 바(bar)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연장됨에 따라, 제1 가이드봉(121a)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이송부(120)들의 길이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맨홀(200)의 벽면(3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인 경우에는 이송부(120)들의 길이는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맨홀(200)의 벽면(3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인 경우, 이송부(120)들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120)들 각각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50)가 상기 이송부(120)들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켜, 상기 이송부(120)들 각각을 벽면(300)에 밀착시킬 때, 이송부(120)가 벽면(300)에 밀착되면, 상기 센서에는 압력이 인가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150)는 기 설정된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120)의 길이를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120)는 벽면(300)에 밀착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은 제1 회전축(121c)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축(121c)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Z)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은 제2 회전축(122c)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축(122c)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이 상기 제1 회전축(121c)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Z)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상기 제2 회전축(122c)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상기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도 5에 도시된 S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가이드봉(121a) 및 제2 가이드봉(122a)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로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듯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벽면(310)을 통과하는 경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는 짧아져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상기 제2 회전축(122c)을 기준으로 회전해야만, 상기 벨트(123)가 벽면(3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 각각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의 변경량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을 위한 특별한 구동신호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밀한 구동을 위해,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제1 회전축(121c) 및 상기 제2 회전축(122c)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넷째,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탄성체(121d)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탄성체(122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듯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벽면(310)을 통과하는 경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는 짧아져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상기 제2 회전축(122c)을 기준으로 회전해야만, 상기 벨트(123)가 벽면(3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가 짧아져야 한다는 것은, 상기 본체(110)의 측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가 짧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봉(122a) 자체의 길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탄성체(122d)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인가되면 수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상기 제2 가이드봉(122a) 자체의 길이는 가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평한 벽면(300)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에는 기 설정된 압력보다 작은 압력이 인가된다. 그러나,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벽면(310)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에는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인가된다.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탄성체(122d)가 수축된다면,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은 상기 제2 탄성체(122d)의 수축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은 상기 제2 회전축(122c)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로로 울퉁붕퉁한 벽면(310)을 통과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가이드봉(121a)과 상기 제1 롤러(121b)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체결부(121x)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121x)는 상기 제1 롤러(121b)의 양쪽 끝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롤러(121b)는 상기 제1 체결부(121x)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봉(122b)의 끝단에는, 상기 제2 가이드봉(122a)과 상기 제2 롤러(122b)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2 체결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롤러(122b)의 양쪽 끝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2 롤러(122b)는 상기 제2 체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벨트(123)의 내주면은 상기 제1 롤러(121b)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롤러(122b)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롤러(121b) 및 상기 제2 롤러(122b)가 회전할 때, 상기 벨트(123) 역시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벨트(123)는 벽면(3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121b) 및 상기 제2 롤러(122b)는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고정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 중 상기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2 지지대(122)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벨트(123)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벽면(300)을 이동하던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고정부(130)의 연결바(131)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바(131)의 끝단에 장착된 밀착부(132)가 상기 벨트(123)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벨트(123)는 벽면(30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는 안정적으로 벽면(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맨홀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맨홀 내부의 모습을 보면서 상기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가 특정한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50)를 구동시켜, 상기 고정부(130)를 상기 벨트(12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123)가 벽면(300)에 밀착되어 상기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가 벽면(300)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의 회전에 따라, 맨홀 내부의 다양한 정보들이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맨홀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더라도, 맨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 내부에는 작업자의 단말기(20),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PC, 노트북 및 PC 등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통신부(170)는 상기 단말기(20)에서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120),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 및 상기 고정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23)의 내주면 중 벽면(300)에 인접되어 있는 벨트(123)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벨트(123)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130)의 상기 연결바(131)의 끝단은 상기 제1 체결부(121x)의 형태와 유사하게 두 갈래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갈래로 구분된 부분들이 상기 벨트(123)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132)의 양쪽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섯째, 흡착빨판(123a)은 상기 벨트(123)의 외부표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빨판(123a)은 상기 벨트(123)를 벽면(300)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벨트(123)의 외부표면에는 복수의 흡착빨판(123a)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에는 카메라가 장착된다.
다음,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이송부(120)들을 구동하여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이송부(120)들이 돌출된 거리들을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를 구동하여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의 돌출된 거리를 제어하거나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상기 감지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맨홀(300)을 통과하는 유체(500), 예를 들어, 하수의 유속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유속 및 유압 측정 센서(169)는 상기 감지부(16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감지부(160)에 탈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60)는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화면을 통해, 맨홀 내부 촬영 장치(100)가 맨홀의 하단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감지부(160)를 구동시킨다.
상기 감지부(160)가 구동되면, 상기 감지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500)에 잠긴다.
상기 감지부(160)는 방수처리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들은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된다.
상기 감지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부(161), 유속 및 유압 측정 센서(169)가 거치되는 거치부(162), 상기 거치부(161)와 연결되는 연장부(163) 및 상기 연장부(163)와 상기 연결부(161)를 연결시키며,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결부(161)를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64)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연결부(161)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1)는 복수의 바(bar)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61)의 길이는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거치부(162)에는 유속 및 유압 측정 센서(169)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유속 및 유압 측정 센서(169)는 상기 거치부(162)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거치부(162)에 탈부착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연장부(163)는 상기 거치부(161)에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63)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 끝단은 상기 거치부(161)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 끝단은 상기 회전부(164)를 통해 상기 연결부(16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61)는 상기 연장부(163)의 일측 끝단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161)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 연결부(163a)를 통해 상기 연장부(16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63)는 복수의 바(bar)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163)의 길이는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회전부(164)는 상기 연장부(163)와 상기 연결부(161)를 연결시키며,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결부(161)를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164)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Y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부(161) 또는 상기 연장부(16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Z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치부(161)에 장착되는 유속 및 유압 측정 센서(169)는 다양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맨홀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다양한 방향에서의 유속 또는 유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구동부(15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상기 거치부(161)는 Z방향 및 Y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착부(140) 역시, 상기 감지부(160)와 유사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맨홀 내부의 다양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구동부(15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상기 거치부(141)는 Z방향 및 Y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통신부(170)는 상기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관리 서버(10)는 상기 통신부(17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유체(500)의 유속 또는 유압 또는 유량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자는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10)로부터 유속 또는 유압 또는 유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맨홀(200)의 유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70) 및 상기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11), 작업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기(13),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기(14),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기(15) 및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기(12)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10)와 통신부(170)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 오류를 최소화하고 정확성을 기하며,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통신은 CTR통신 방식을 수행한다.
즉, 관리 서버(10)의 제어부는 통신부(170)로부터 수신된 유속 및 유압에 대한 감지 정보를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관리 서버(10)의 제어반으로 전송하고, 상기 2단 CTR 암호화 방식은, 통신부(170)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정보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해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모든 정보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 정보를 관리 서버(10)의 제어반으로 유입 및 유출시킨다.
이에 따라 이러한 2단 CTR 암호화 방식은 외부로부터의 부정한 방법에 의한 해킹 및 매크로 입력을 차단하고 무선 통신에 있어서 오류 및 데이터 전송시의 부하를 절감시키는 특징을 갖으며, 이러한 방식에 의해 통신부(170)로부터 감지된 유속 및 유압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 통신이나 별도의 모바일 디바이스 통신으로도 보다 객관적이고 확실한 정보를 선택 조합,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하고 오류 없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맨홀 내부 촬영 장치
Claims (6)
- 삭제
-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맨홀의 벽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세 개의 이송부(120)들;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이송부(120)들을 구동하여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이송부(120)들이 돌출된 거리들을 제어하는 구동부(150);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160);
상기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신부(170); 및
상기 통신부(17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속 또는 유압 또는 유량을 판단하는 관리 서버(10)를 포함하되,
적어도 세 개의 이송부(120)들 각각은,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제1 롤러(121b)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지지대(121);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끝단에는 제2 롤러(122b)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에서 상기 제1 지지대(121)와 중첩되어 있는 제2 지지대(122); 및
상기 제1 롤러(121b)와 상기 제2 롤러(122b)를 감싸고 있는 벨트(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121)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제1 가이드봉(121a); 및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롤러(121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대(122)는,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에서 상기 제1 가
이드봉(121a)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제2 가이드봉(122a); 및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2 롤러(122b)를 포함하는 유량 관리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은 제1 회전축(121c)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축(121c)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은 제2 회전축(122c)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축(122c)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가이드봉(121a)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탄성체(121d)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가이드봉(122a)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탄성체(122d)에 의해 지지되는 유량 관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측면 중 상기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2 지지대(122)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벨트(123)에 압력을 가하는 고정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123)의 외부표면에는 흡착빨판들이 장착되어 있는 유량 관리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단면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부(161);
유속 및 유압 측정 센서(169)가 거치되는 거치부(162);
상기 거치부(162)와 연결되는 연장부(163); 및
상기 연장부(163)와 상기 연결부(161)를 연결시키며, 상기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결부(161)를 상기 본체(110)의 상하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64)를 포함하는 유량 관리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033A KR102167458B1 (ko) | 2020-07-30 | 2020-07-30 | 유량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033A KR102167458B1 (ko) | 2020-07-30 | 2020-07-30 | 유량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7458B1 true KR102167458B1 (ko) | 2020-10-19 |
Family
ID=7304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5033A KR102167458B1 (ko) | 2020-07-30 | 2020-07-30 | 유량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745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3693B1 (ko) | 2013-12-30 | 2015-08-11 | 주식회사 블루폭스시스템즈 | 맨홀의 내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KR101597723B1 (ko) * | 2014-09-04 | 2016-02-29 |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 맨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KR20170005933A (ko) * | 2015-07-06 | 2017-01-17 | 이운갑 | 이송관로의 검사장치 |
KR20190113104A (ko) | 2018-03-27 | 2019-10-08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맨홀 조사 로봇 |
-
2020
- 2020-07-30 KR KR1020200095033A patent/KR1021674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3693B1 (ko) | 2013-12-30 | 2015-08-11 | 주식회사 블루폭스시스템즈 | 맨홀의 내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
KR101597723B1 (ko) * | 2014-09-04 | 2016-02-29 |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 맨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KR20170005933A (ko) * | 2015-07-06 | 2017-01-17 | 이운갑 | 이송관로의 검사장치 |
KR20190113104A (ko) | 2018-03-27 | 2019-10-08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맨홀 조사 로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9521B2 (ja) |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 |
KR101688045B1 (ko) | 내부변위 및 간극수압 통합 계측기 | |
EP2071427A2 (en) | Field device search system | |
KR101615362B1 (ko) | 토양의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유류 누출 탐지 장치 | |
KR102167458B1 (ko) | 유량 관리 시스템 | |
KR20160131518A (ko) | 길이 변위 측정이 가능한 3차원 변위 계측장치 | |
JP2005344418A (ja) | トンネル工事現場用総合管理システム | |
KR101591342B1 (ko) | 하수관로용 수위측정장치 | |
KR100406239B1 (ko) | 노후수도관로의 누수감시시스템 | |
JP6190596B2 (ja) | 擁壁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 |
JP2007256051A (ja) | 移動体の位置検出方法 | |
KR100821622B1 (ko) | 내공 변위 측정 시스템 | |
KR102151530B1 (ko) |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방법 | |
KR102213141B1 (ko) | 맨홀 내부 촬영 장치 | |
KR102105985B1 (ko) | 크랙 게이지 장치 | |
JP2005345179A (ja) | 光ファイバセンサ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システム | |
DE102005032132A1 (de) | Vorrichtung zur positionsabhängigen Detektion einer Leckage in einem verdeckten, von außen unzugänglichen Rohrleitungssystem | |
JP2004163294A (ja) | 光ファイバケーブル使用の構造物変位・変状検知装置 | |
KR101738426B1 (ko) | 관내 이동형 누수 탐지장치 | |
KR101944817B1 (ko)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굴삭 작업 검측 자동화 시스템 | |
KR20140090903A (ko) | 계측센서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 |
KR102274165B1 (ko) | 수처리 시설물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 |
KR102232580B1 (ko) |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 |
KR102057223B1 (ko) | 지반 정보 측정 장치 | |
Treiberg et al. | Wireless Sensor Technology to Monitor Rod Rotator Perform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