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365B1 -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365B1
KR102167365B1 KR1020130128008A KR20130128008A KR102167365B1 KR 102167365 B1 KR102167365 B1 KR 102167365B1 KR 1020130128008 A KR1020130128008 A KR 1020130128008A KR 20130128008 A KR20130128008 A KR 20130128008A KR 102167365 B1 KR102167365 B1 KR 10216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ntent
user terminal
display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310A (ko
Inventor
반승환
정두식
임보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13012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365B1/ko
Priority to CN201480058734.3A priority patent/CN105706142B/zh
Priority to JP2016526152A priority patent/JP6440707B2/ja
Priority to PCT/KR2014/009950 priority patent/WO2015060640A1/ko
Priority to US15/032,006 priority patent/US10212488B2/en
Publication of KR2015004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컨텐츠 중계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접한 사용자 단말이나 또는 특정 그룹에 기반한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채널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중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ING CONTENT BASED ON CHANNEL}
본 발명은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역 또는 그룹에 따라 생성된 채널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게임을 하면서 누군가와 함께 플레이하는 것을 즐긴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보급되면서, 모바일 단말을 통한 게임 플레이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이를 함께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은 부족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특정 장소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과 사진, 동영상, 음악 등과 같은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이러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은 단순히 컨텐츠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하여 공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쇼핑몰, 공항, 지하철역, 식당 등 다양한 공공 장소에 수많은 TV 등이 설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의 스크린도 유동 인구가 밀집된 장소에 설치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TV, 스크린 등은 단순히 미리 설정된 방송이나 광고 등을 표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가정, 직장, 공공 장소나 많은 인구들이 밀집한 지역에 위치한 TV, 스크린 등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바, 이러한 TV, 스크린 등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공공 장소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중계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이벤트에 참여하고 경쟁하기 위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구 관계가 아닌 임의의 사용자들이 함께 모여서 디스플레이 장치라는 하나의 도구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인간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채널을 통해 컨텐츠와 별도로 다양한 수익 상품을 제공할 수 있어서, 새로운 시장 확대가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의 활용 기회를 높일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노출에 따른 비즈니스 사업이 확대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중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채널의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옵션에 따라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은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중계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의 접속 순위, 랜덤 순위, 또는 임의 지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 상기 옵션은, 채널 이름, 채널과 연동되는 네트워크의 SSID,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비밀번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안내 문구, 컨텐츠 이름, 채널 운영자, 또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선택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를 중계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가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은 채널 운영자 단말이 생성한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채널을 접속하기 위해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채널에 접속하여 채널에서 설정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채널과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 상기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서 특정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채널과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지역에서 인접 거리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중계하기 위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은 사용자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검색에 대응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이 생성한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이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되도록 미러링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채널별, 또는 그룹별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 상기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한 네트워크와 관련된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검색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서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중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채널의 옵션을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 및 상기 옵션에 따라 채널을 생성하는 채널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에서 상기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중계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단말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에서 상기 단말 선택부는, 상기 채널의 접속 순위, 랜덤 순위, 또는 임의 지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에서 상기 옵션은, 채널 이름, 채널과 연동되는 네트워크의 SSID,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비밀번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안내 문구, 컨텐츠 이름, 채널 운영자, 또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역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운영자 단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선택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를 중계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가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채널 운영자 단말이 생성한 채널을 검색하는 채널 검색부; 상기 검색된 채널을 접속하기 위해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채널에 접속하여 채널에서 설정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채널과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채널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서 특정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채널과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지역에서 인접 거리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중계하기 위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검색에 대응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이 생성한 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부; 및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이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되도록 미러링 요청하는 컨텐츠 미러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채널별, 또는 그룹별로 업데이트하는 결과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 서버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한 네트워크와 관련된 채널을 검색하는 채널 검색부;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검색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컨텐츠 중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중계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이벤트에 참여하고 경쟁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친구 관계가 아닌 임의의 사용자들이 함께 모여서 디스플레이 장치라는 하나의 도구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인간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채널을 통해 컨텐츠와 별도로 다양한 수익 상품을 제공할 수 있어서, 새로운 시장 확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의 활용 기회를 높일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노출에 따른 비즈니스 사업이 확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중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여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행하고 있는 컨텐츠에 채널이 표시되거나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채널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채널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비교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별 그룹의 리더보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을 검색하여 중계할 채널을 지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채널 운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실행 전, 실행 중 및 실행 후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 운영자 단말에서 지정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채널에 접속한 순서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로그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 운영과 관련된 세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널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중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1)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은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은 채널 운영자 단말(103)이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 각각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방송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채널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표시할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은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채널 운영자 단말(103)의 소유자는 채널 운영자로 표현하고,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는 사용자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을 채널을 통해 하나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이 서로 친구 관계이거나 또는 친구 관계가 아니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인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별도의 구성 요소로 기재되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채널 운영자 단말(103)의 동작은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채널은 특정 기준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이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채널은 채널 운영자 단말(103)이 생성하거나 또는 채널 서버가 생성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103)과 채널 서버가 생성한 채널은 채널 서버를 통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은 채널 서버에 설정된 채널에 접속하여 자신의 단말 각각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라는 의미는 사용자 단말들(102-1~102-N)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이 컨텐츠의 실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은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유선 연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서버 또는 채널 운영자 단말(103)이 사용자 단말들(102-1~102-N)과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미러링 대상을 전달하면, 미러링 대상인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동적으로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해당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미러링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서버 또는 채널 운영자 단말(103)이 사용자 단말들(102-1~102-N)과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스트리밍 대상을 전달하면, 스트리밍 대상인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동적으로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해당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스트리밍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이 물리적인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들(102-1~102-N)에서 컨텐츠가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해당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기준은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설치된 지역, 특정 그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사용자들은 서로 친구 관계이거나 또는 친구 관계가 아닐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사용자들은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은 동일한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사용자들이 가입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공유되는 컨텐츠는 메신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등과 계정을 연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사용자들은 메신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관련하여 친구 관계(또는 지인 관계)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주변에서 접속가능한 채널을 검색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에 제공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휴대폰, 셋톱박스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포함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1) 자체일 수 있다.
일례로, 채널 운영자 단말(103)이 휴대폰인 경우,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 각각에서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운영자 단말(103)이 셋톱박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경우,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채널 서버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서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스트리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미러링을 위해서,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중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공유할 컨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요청이나 또는 내부 기준에 따라 우선 순위가 부여된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다음 순위의 사용자 단말이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대기시킬 수 있다. 한편, 채널 운영자 단말(103)의 기능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주변에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채널을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 각각에서 게임이 플레이되는 경우, 게임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된 게임의 실행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의 실행 화면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게임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친구가 아닌 임의의 사용자들이 모여서 함께 게임과 같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중심으로 특정 채널을 통해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1)와 연동된 채널을 통해 게임을 한 사용자들끼리 게임 점수로 경쟁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들은 같은 지역에 있거나 또는 같은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고, 채널에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컨텐츠를 통해 서로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103)의 소유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소유자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2-1~102-N)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들(102-1~102-N)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이든지 가능하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TV, 백스크린, 모니터, 휴대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장소(쇼핑몰, 백화점, 시청 광장, 공항, 기차역, 지하철역, 식당 등)와 같은 공공 장소에 설치된 TV,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TV,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통해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들(102-1~102-N) 각각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02-1~102-N)과 채널 운영자 단말(103)은 네트워크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PC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은 컨텐츠가 게임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언급된 컨텐츠는 게임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화, 게임 등의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API(Aplication Program Interface)을 통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API는 컨텐츠에서 채널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의 화면(201)을 참고하면, 채널 운영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서 채널을 찾을 수 있는 식별자(채널 바(bar))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202)을 참고하면, "주변 채널 찾기" 또는 "채널 만들기"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채널 찾기"는 채널 운영자 단말들이 생성한 채널들을 찾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채널 만들기"는 새로운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화면(203)을 참고하면, 채널 운영자 단말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지역, 또는 그룹에 기초하여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 이름, 채널과 연동되는 네트워크의 SSID,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비밀번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안내 문구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채널은 컨텐츠의 종류, 네트워크의 SSID, 채널 이름 등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채널과 연동되는 네트워크의 SSID(도 2의 경우, beer_free_wifi)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이어야 생성된 채널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이 생성한 채널은 채널 서버를 통해 검색될 수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채널에 하나의 채널 운영자 단말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여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API를 통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컨텐츠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서도, 채널을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링크가 컨텐츠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채널 운영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지역, 또는 그룹에 기초하여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화면(301)을 참고하면, 채널 운영자 단말 주변에 현재 특정 네트워크에서 접속 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면, 화면(302)에서, 채널 생성과 관련된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자(버튼 등)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조건을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제한하거나 또는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채널 운영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조건으로 채널 운영자 단말이 설정한 WiFi의 SSID, WiFi의 MAC Addres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채널 운영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조건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사용자 단말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아이디, 인증키, 패스워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화면(303)을 참고하면,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 이름, 채널과 연동되는 네트워크의 SSID,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비밀번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안내 문구(경품, 광고, 이벤트 등)를 설정하여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네트워크의 MAC address도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채널 운영자 단말은 컨텐츠 이름, 채널 운영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정된 지역 범위 등을 설정하여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범위는 채널이 생성된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채널이 생성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들이 채널에 참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는 GPS,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 또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Wi-Fi AP(access point)의 위치 등으로 식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역 범위는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채널이 생성된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신 감도 이상으로 접속 가능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역 범위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까지의 인접 지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채널은 컨텐츠의 종류, 채널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SSID, MAC address 등), 채널 이름 등을 통해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채널과 연동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이어야 생성된 채널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이 생성한 채널은 채널 서버를 통해 검색될 수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채널에 하나의 채널 운영자 단말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행하고 있는 컨텐츠에 채널이 표시되거나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화면(401)과 화면(402)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채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상태창이 포함될 수 있다. 화면(401)은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H 스퀘어 맥주 창고"라는 채널이 이미 생성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해당 채널에 식별된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또는 화면(402)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생성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는 별도의 상태창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생성된 채널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상태창을 구현하는 API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창은 컨텐츠의 실행 화면의 특정 위치에 노출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채널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화면(50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이 현재 접속 중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채널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실행 화면에 현재 참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한 지역 또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관련된 채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식당에 있는 경우, A 식당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이 생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는 A 식당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B학교 소속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채널이 생성된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는 B학교 소속의 사용자가 가진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화면(502)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이 현재 접속 중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채널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리스트에 표시된 채널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 화면(502)에서, 사용자 단말이 "H 스퀘어 맥주창고"라는 이름을 가진 채널에 접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화면(503)은 "H 스퀘어 맥주창고"라는 채널에 방문했던 사용자 단말의 채널 참여자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참여자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들은 서로 친구 관계이거나 동일한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또는 채널 참여자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들은 서로 친구 관계는 아니지만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했던 이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참여자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들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공유되는 컨텐츠는 메신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계정을 연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들은 메신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관련하여 친구 관계(또는 지인 관계)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다.
화면(503)에서 볼 수 있듯이, 컨텐츠가 게임인 경우, 채널 참여자 리스트는 게임을 플레이한 사용자의 이름, 랭킹 및 점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503)에서, 사용자 단말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식별자("게임 시작")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실행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601)은 화면(503)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자를 선택하여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화면(602)와 같이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603)는 다양한 표시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다양한 표시 방식은 미러링, 스트리밍, 유선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603)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
즉, TV, 모니터, 휴대폰, 테블릿 PC,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컨텐츠가 표시됨으로써, 컨텐츠의 실행 상황은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채널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비교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701)은 특정 채널에서 컨텐츠를 공유했던 사용자 단말의 채널 참여자 리스트가 표시되고, 또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의 실행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화면(702)과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가 실행되고 종료되면, 화면(703)과 같이 사용자 단말이 실행한 컨텐츠의 최종 결과가 채널 참여자 리스트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참여자 리스트는 채널과 연동하는 채널 서버에 기록되며,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가 실행되어 종료되는 경우 계속해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의 실행 결과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된 채널에 참여하고 다른 사용자와 경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별 그룹의 리더보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는 채널마다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 A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과 연동된 채널 1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행한 결과와, 장소 B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와 연동된 채널 2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행한 결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소 A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과 연동된 채널 1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행한 결과와 장소 A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와 연동된 채널 2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행한 결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컨텐츠를 실행한 결과는 채널별로 식별될 수 있다. 그래서, 채널별로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별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 결과는 채널별 리더 보드로 표현될 수 있다. 리더 보드는 채널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랭킹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채널별 리더보드는 그룹별 리더보드로 구분될 수 있다.
화면(801)을 참고하면, 채널 1에 그룹 A에 속한 그룹원들 각각의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802)은 복수의 그룹들 중 그룹 A에 속한 그룹원들의 실행 결과가 합산된 결과와 그룹 A의 순위가 표시된다. 여기서, 그룹은 클랜(clan)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별, 그룹별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채널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을 검색하여 중계할 채널을 지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화면(901)은 채널을 검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내부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화면(902)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채널들을 검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채널에 설정된 네트워크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는 서로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화면(903)은 채널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중계하기 위해 검색된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채널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 서버(904)와 연동하여 중계하고자 하는 채널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1(1001)과 사용자 단말 2(1002)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때, 채널 서버(10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채널 서버(1003)가 사용자 단말 1(1001)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 1(1001)은 채널 서버(1003)에 컨텐츠의 실행이 시작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채널 서버(1003)는 사용자 단말 1(1001)와 관련된 표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요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4)가 표시를 수락하면, 사용자 단말 1(1001)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의 실행이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 1(1001)은 표시를 종료한 후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채널 서버(1003)에 업데이트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서버(10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사용자 단말 1(1001)의 컨텐츠 실행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 1(1001)의 컨텐츠 실행이 종료되면, 채널 서버(1003)가 사용자 단말 1(1001) 이후에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사용자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사용자 단말 1(1001) 이후에 사용자 단말 2(1002)를 지정하였다. 사용자 단말 2(1002)의 컨텐츠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표시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 1(1001)의 컨텐츠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 표시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채널 운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1(1101)과 사용자 단말 2(1102)는 각각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채널 운영자 단말(1103)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채널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채널 운영자 단말(1103)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채널 운영자 단말(1103)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104)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운영자 단말(1103)은 채널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104)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채널 운영자 단말(1103)은 실질적으로 컨텐츠를 실행하지 않지만, 채널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1104)를 통해 중계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채널 운영자 단말(1103)은 채널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들에서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위칭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104)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실행 전, 실행 중 및 실행 후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화면(1201)은 컨텐츠가 실행되기 전인 경우를 나타내고, 화면(1202)은 컨텐츠가 실행 중인 경우를 나타내며, 화면(1203)은 컨텐츠가 종료된 경우를 나타낸다.
컨텐츠가 실행되기 전인 경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채널의 리더보드가 디스플레이 장치(1204)에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가 실행 중인 경우, 채널의 리더보드 및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204)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가 실행된 후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의 실행 결과가 채널의 리더보드에 업데이트되며, 업데이트된 채널의 리더보드가 디스플레이 장치(1204)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과정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204)와 사용자 단말이 서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경우를 가정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204)와 사용자 단말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었다고 하더라도, 채널 운영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1204)에 로그인하여 페어링된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된 과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 운영자 단말에서 지정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하나의 채널에서 접속한 경우, 채널 운영자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다. 즉,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어떤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중계하여 공유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채널에 사용자 단말 1(1301), 사용자 단말 2(1302), 및 사용자 단말 3(1303)이 접속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채널 운영자 단말(1305)에 사용자 단말 1(1301), 사용자 단말 2(1302), 및 사용자 단말 3(1303)이 표시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1305)이 사용자 단말 3(1303)을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301)는 사용자 단말 3(1303)에서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를 통해 중계할 수 있다.
결국, 하나의 채널에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하여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채널 운영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중계할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채널에 접속한 순서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하나의 채널에 순차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한 것을 가정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402)이 가장 먼저 채널에 접속하고 그 뒤를 이어서 사용자 단말 2(1403), 사용자 단말 3(1404)이 접속한다. 그러면, 채널 운영자 단말의 현재 상태와 무관하게, 채널에 접속한 순서에 따라 사용자 단말 1(1402)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401)에 중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2(1403)은 사용자 단말 1(1402)에서 컨텐츠가 종료될 때까지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대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 3(1404)은 사용자 단말 1(1402)과 사용자 단말 2(1403)에서 컨텐츠가 종료될 때까지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대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채널 운영자가 부재중인 경우 채널에 먼저 접속한 순서대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중계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중계 리스트에 사용자 단말들의 리스트 뿐만 아니라 채널 서버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채널 운영자 단말(1502)은 채널 서버의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도 15의 경우, 전국 최고점수 play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501)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더라도, 채널 운영자 단말(1502)은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전이나 또는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이후에 일정 시간동안 채널 서버의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5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운영자 단말(1502)에서 사용자 단말이 아닌 채널 서버를 선택하는 경우, 채널 서버에서 미리 설정한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도 15의 경우, 전국 최고점수 play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501)로 전달되어 중계될 수 있다.
즉, 채널 서버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501)에 디폴트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채널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1501)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채널 서버에서 이벤트, 광고 등 원하는 형태의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501)를 통해 중계할 수 있다.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5는 컨텐츠가 게임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 16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종류와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이나 채널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여 중계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중계 리스트에 사용자 단말들의 리스트 뿐만 아니라 채널 서버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채널 운영자 단말(1602)은 채널 서버의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도 16의 경우, 제목이 완벽한 날인 음악)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더라도, 채널 운영자 단말(1602)은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전이나 또는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이후에 일정 시간동안 채널 서버의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운영자 단말(1602)에서 사용자 단말이 아닌 채널 서버를 선택하는 경우, 채널 서버에서 미리 설정한 디폴트 컨텐츠의 실행 화면(도 15의 경우, 제목이 완벽한 날인 음악)이 디스플레이 장치(1601)로 전달되어 중계될 수 있다.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로그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임시 로그인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701)와 관련된 채널에 이미 사용자 단말(1702)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702)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들(1703)이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임시 로그인은 디스플레이 장치(1701)와 관련된 채널을 통해 미러링 또는 스트리밍 중인 사용자 단말(1702)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용자들(1703)들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 "one click"하여 사용자 단말(170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701)로 중계되고 있는 컨텐츠에 임시로 로그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공공 장소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중계되는 게임을 보다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 중인 제2 사용자의 게임에 용이하게 로그인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임시 로그인의 경우,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 로그인 및 컨텐츠의 이용을 함께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 로그인하고,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시 로그인은 1회성일 수도 있고, 일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채널 서버는 임시 로그인이 이루어질 때마다 임시 로그인을 수행한 사용자에게 과금을 할 수도 있다.
도 1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사용자 단말 1은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상태이고, 사용자 단말 2는 사용자 단말 1을 통해 임시 로그인을 수행하고자 한다. 화면(1801)을 참고하면, Step 1에서 임시 로그인과 관련된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 1에 표시된다. 화면(1802)를 참고하면, step 2에서 "Lester"라는 아이디로 사용자 단말 1에 로그인하는 과정이 표시된다.
이를 위해, 화면(1804)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 2에 "1 click"이라는 임시 로그인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 때, 화면(1805)를 참고하면, "1 click"이라는 임시 로그인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2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참여 가능한 채널이 검색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된 채널은 이미 사용자 단말 1이 접속한 상태이다. 만약, 검색된 채널이 선택되면, 화면(1802)와 같이 채널 서버(1807)를 통해 사용자 단말 2가 사용자 단말 1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로그인 하는 경우, 화면(1806)과 같이 사용자 단말 2에 임시 로그인이 되었다는 안내 메시지가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화면(1803)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 1을 통해 사용자 단말 2의 사용자가 진행하고 있는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사용자 단말 1에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된 이후에는 임시 로그인이 해제되고 다시 화면(1801)로 되돌아온다.
도 1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기 위해서 API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컨텐츠와 관련된 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이 지정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자유롭게 컨텐츠의 중계를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API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API에 악성 코드가 설치되는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몰래 다른 장치를 통해 볼 수 있어서 사생활 침해와 같은 보안상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의 OS(operating system)에서 지원하는 인증받은 어플리케이션에서만 동작하는 API(private API)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private API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 사용자 단말의 제조사와 통신사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한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도 19와 같이 사용자 단말(1905)에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906)에 중계하기 위해서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인증받는 것이 필요하다. 또는 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자가 private API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즉, 보안상 취약할 수 있는 기능을 private API를 통해 인증받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0은 일실시예에 따라 채널 운영과 관련된 세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01), 채널 서버(2002), 채널 운영자 단말(2003)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4)가 도시된다. 도 20에서 사용자 단말(2001)은 하나만 표시되었으나, 실제로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2003)은 채널 설정부(2011), 채널 생성부(2012) 및 단말 선택부(2013)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설정부(2011)는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옵션은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SSID, MAC Address), 채널 이름, 채널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 종류 및 컨텐츠 이름, 채널 개설자, 네트워크 커버 범위, 디스플레이 장치(2004)에 연결하기 위한 패스워드, 또는 채널과 관련된 안내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생성부(2012)는 설정된 옵션에 기초하여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2004)가 위치한 지역 또는 사용자 단말(2001)의 소유자인 사용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 그룹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들은 채널 운영자 단말(2003)에서 생성한 채널에 접속하고, 사용자 단말(2001)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은 표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4)를 통해 중계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4)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다.
단말 선택부(2013)는 채널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1)들이 접속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4)에 중계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 선택부(2013)는 채널 운영자의 선택, 채널의 접속 순서, 랜덤 방식, 단말 전환 시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1)은 채널 검색부(2005), 채널 선택부(2006), 및 컨텐츠 실행부(2007)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검색부(2005)는 채널 운영자 단말(2003)에서 생성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1)이 채널에서 특정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채널과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4)의 설치 지역에서 인접 거리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1)은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채널은 디스플레이 장치(2004)마다 구분되어 검색될 수 있다.
채널 선택부(2006)는 검색된 채널 중 접속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실행부(2007)는 선택된 채널을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며, 컨텐츠의 실행 화면은 채널 운영자 단말(2003)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4)에 중계될 수 있다.
채널 서버(2002)는 채널 제공부(2008), 컨텐츠 표시부(1809), 결과 업데이트부(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제공부(2008)는 사용자 단말(200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4)의 채널 검색에 대응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2003)이 생성한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표시부(2009)는 채널 운영자 단말(2003)이 선택한 사용자 단말(2001)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004)를 통해 중계되도록 표시 요청을 할 수 있다.
결과 업데이트부(2010)는 사용자 단말(2001)에서 처리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채널별, 또는 그룹별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4)는 채널 검색부(2014), 채널 선택부(2015) 및 컨텐츠 중계부(2016)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검색부(2014)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한 네트워크와 관련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채널 선택부(2015)는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검색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중계부(2016)는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지원됨으로써 다양한 제휴 비즈니스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신규의 컨텐츠가 발매가 되면,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컨텐츠의 노출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채널 관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새로운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어서 컨텐츠의 매출이 확대될 수 있다.
컨텐츠를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채널을 통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지원할 수 있고, 컨텐츠의 활용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수익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운영자 단말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 간의 유익한 경쟁을 유도하고 재미를 부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접속 횟수마다 과금을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서버는 생성된 채널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마케팅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추가적인 이벤트, 광고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서버는 컨텐츠가 실행되기 전에 광고를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 영역에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노출을 통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디스플레이 장치
102-1~102-N: 사용자 단말
103: 채널 운영자 단말

Claims (12)

  1. 채널 서버가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이 특정 컨텐츠와 연계하여 생성한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실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컨텐츠의 실행 정보를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로부터 상기 채널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의 중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 정보 및 상기 중계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접속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널과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실행한 상기 컨텐츠의 최종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최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지역 또는 특정 그룹에 기초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서 접속가능한 채널을 검색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 접속할 수 있는, 컨텐츠 중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최종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기록된 상기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채널별, 또는 그룹별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은,
    상기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사용자 단말 각각의 채널의 접속 순위, 랜덤 순위, 또는 임의 지정을 통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중계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와 계정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가입자인 컨텐츠 중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1회적으로 임시 로그인하는 컨텐츠 중계 방법.
  6. 삭제
  7. 사용자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이 특정 컨텐츠와 연계하여 생성한 채널을 제공하는 채널 제공부;
    상기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이 선택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요청하는 컨텐츠 표시부; 및
    상기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업데이트하는 결과 업데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속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채널 운영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지역 또는 특정 그룹에 기초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서 접속가능한 채널을 검색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이 채널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채널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의 실행 정보를 채널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은
    채널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의 실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의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텐츠의 실행 화면이 중계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채널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업데이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된 컨텐츠의 실행 결과를 채널별, 또는 그룹별로 업데이트하는
    채널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운영자 단말은,
    상기 채널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사용자 단말 각각의 채널의 접속 순위, 랜덤 순위, 또는 임의 지정을 통해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중계할 사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채널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와 계정을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가입자인 채널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1회적으로 임시 로그인하는 채널 서버.
  12. 삭제
KR1020130128008A 2013-10-25 2013-10-25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16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08A KR102167365B1 (ko) 2013-10-25 2013-10-25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CN201480058734.3A CN105706142B (zh) 2013-10-25 2014-10-22 基于信道的内容广播方法及系统
JP2016526152A JP6440707B2 (ja) 2013-10-25 2014-10-22 チャネルベースのコンテンツ中継方法及びシステム
PCT/KR2014/009950 WO2015060640A1 (ko) 2013-10-25 2014-10-22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US15/032,006 US10212488B2 (en) 2013-10-25 2014-10-22 Channel-based method and system for relay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08A KR102167365B1 (ko) 2013-10-25 2013-10-25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10A KR20150048310A (ko) 2015-05-07
KR102167365B1 true KR102167365B1 (ko) 2020-10-20

Family

ID=5338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008A KR102167365B1 (ko) 2013-10-25 2013-10-25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3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286A (ja) * 2002-03-28 2003-10-10 Daiichikosho Co Ltd 携帯ブラウザホンの画面情報を中継装置を介して汎用表示装置に表示する方法、携帯ブラウザホン、中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017B1 (ko) * 2001-08-13 2005-06-13 이군상 공중 디스플레이 매체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사용자에게 광고를 겸한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그 방법
KR102023609B1 (ko) * 2011-09-26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286A (ja) * 2002-03-28 2003-10-10 Daiichikosho Co Ltd 携帯ブラウザホンの画面情報を中継装置を介して汎用表示装置に表示する方法、携帯ブラウザホン、中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10A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5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me play in a dynamic communication network
US8521824B2 (en) Venue-centric social network
US9852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e unit connectivity for computer server to process specific orders
CN101553290B (zh) 用于管理具有移动功能的大型多人在线角色扮演游戏(mmorpg)中映射到现实位置的虚拟世界的系统和方法
JP6649506B2 (ja) モバイル端末連携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配信方法
CN106484543B (zh) 虚拟物品派送方法、装置及其移动终端
US106611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171577B2 (en) Local area networking system
JP6440707B2 (ja) チャネルベースのコンテンツ中継方法及びシステム
Aneja et al. Profile‐Based Ad Hoc Social Networking Using Wi‐Fi Direct on the Top of Android
KR101543425B1 (ko) 채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37626A (ko) 장소기반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67365B1 (ko)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167366B1 (ko)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283669B1 (ko) 채널 기반의 컨텐츠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965759B1 (ko) 위치 기반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KR101690265B1 (ko)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컨텐츠 제공시스템, 제공장치, 제공단말 및 제공방법
US11694279B1 (en) Dynamic creation of interactive user device pools
KR101761214B1 (ko)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컨텐츠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TW201607356A (zh) 自動授權行動裝置連接網際網路之系統及方法
US20120158510A1 (en) Targeted Service Delivery to Location and Event Specific Audiences
WO2013116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me play in a dynamic communication network
KR20160111342A (ko) 휴대 전화 번호를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6680A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1089630A1 (en)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on via anonymous sms text messages authenticated in separated non-communicating real r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