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961B1 - 우레탄 도막 방수재 - Google Patents

우레탄 도막 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961B1
KR102166961B1 KR1020200036602A KR20200036602A KR102166961B1 KR 102166961 B1 KR102166961 B1 KR 102166961B1 KR 1020200036602 A KR1020200036602 A KR 1020200036602A KR 20200036602 A KR20200036602 A KR 20200036602A KR 102166961 B1 KR102166961 B1 KR 10216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intermediate layer
weight
layer
di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강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강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강건설
Priority to KR102020003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우레탄 프라이머를 사용하며, 바닥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하도층과, 우레탄, 경화제, 희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도층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중도층과, 우레탄, 경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도층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레탄 도막 방수재{Urethane Waterproof Agent}
본 발명은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희석제의 함량에 따라 중도층을 3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를 시간차를 두고 도포함으로써 바닥면의 기포를 빼낼수 있고, 중도층에 부직포층을 추가함으로써,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가 높으며, 기존의 발명에 비해 공법이 비교적 간단한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붕·외벽·바닥 등 비가 새거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사이다. 방수처리될 부위에 따라,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등의 바탕재료에 따라서, 바탕 상태에 따라, 또는 방수재료에 따라 그 구조와 시공방법 등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아스팔트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들을 복합하여 조합 적층하는 방법 등 상황에 맞는 복합 방수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현재는 도막 방수 공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소재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그 중 우레탄 방수 공법이 대표적이다.
우레탄 방수 공법은 시공할 바닥 등을 정리하고, 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액상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방수를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우레탄 방수공법은 비교적 하지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이 잘되고, 신축성이 우수하여 하지 균열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곳이나 복잡한 부위에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이음매 없는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수가 비교적 용이한 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우레탄 방수 공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레탄만 사용하여 중도층을 도포하는 공법으로 인해 바닥상태, 온도상태에 따라 기포나, 부풀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포와 부풀음이 반복되다가 터지는 등 균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기존의 우레탄 방수 공사는 부직포가 얇고, 부직포를 넣는 공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6997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희석제의 함량에 따라 중도층을 3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를 시간차를 두고 도포함으로써 바닥면의 기포를 빼낼수 있고, 중도층에 부직포층을 추가함으로써,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가 높으며, 기존의 발명에 비해 공법이 비교적 간단한 우레탄 도막 방수재 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는, 우레탄 프라이머를 사용하며, 바닥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하도층과, 우레탄, 경화제, 희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도층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중도층과, 우레탄, 경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도층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도층에는 부직포층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도층은, 상기 우레탄 프라이머 하도층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 1 중도층과, 상기 제 1 중도층 상부에 형성되는 2.5mm 두께의 부직포층과, 상기 제 1 중도층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에 함침되어 형성되는 제 2 중도층 및 상기 제 2 중도층 상부에 2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에 일부가 함침되어 형성되는 제 3 중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중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94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중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6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중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3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2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희석제의 함량에 따라 중도층을 3개의 층으로 나누고, 이를 시간차를 두고 도포함으로써 바닥면의 기포를 빼낼수 있고, 중도층에 부직포층을 추가함으로써,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가 높으며, 기존의 발명에 비해 공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가 바닥에 시공된 모습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우레탄 도막 방수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는, 우레탄 프라이머를 사용하며, 바닥(1)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하도층(2)과, 우레탄, 경화제, 희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도층(2)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중도층(7)과, 우레탄, 경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도층(7)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도층(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는 우레탄 프라이머를 사용하며, 바닥(1)에 도포되어 하도층(2)이 형성된다. 상기 하도층(2)은 시공예정부위인 바닥(1)을 강화시키기 위해 도포된다. 또한, 바닥(1)과 하기에서 설명될 제 1 중도층(3)의 접착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도층(2)에 쓰이는 우레탄 프라이머는 시중에 판매하는 것 중 일액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액형 우레탄 프라이머는 1회 도포시 1.5mm 두께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도층(2) 1회 도포시 1.5mm 두께를 초과하면, 기포나 들뜸, 핀홀과 같은 균열의 시발점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도층(2) 상부에 도포되어 중도층(7)이 형성된다. 상기 중도층(7)은, 상기 우레탄 프라이머 하도층(2)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 1 중도층(3)과, 상기 제 1 중도층(3) 상부에 형성되는 2.5mm 두께의 부직포층(4)과, 상기 제 1 중도층(3)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4)에 함침되어 형성되는 제 2 중도층(5) 및 상기 제 2 중도층(5) 상부에 2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4)에 일부가 함침되어 형성되는 제 3 중도층(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도층(7)은 우레탄 방수공사시 공사완성도 및 우레탄 공사 금액을 결정하는 공정으로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상기 중도층(7)은 3~4mm 두께로 중도하는 것이 원칙이며, 바닥 상태에 따라 두께를 증감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서는 4mm 두께로 도포한다. 상기 중도층(7)의 두께가 4mm보다 얇을 경우, 4mm 두께로 중도했을 때 보다 쉽게 균열되며 강도가 낮다. 상기 중도층(7)의 두께가 4mm를 넘을 경우, 공사의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4mm를 넘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에서는 중도층(7)을 나눠서 도포하며, 각 중도층(7)마다 희석제의 양을 다르게 제조한다.
먼저, 상기 중도층(7) 중 하부에 제 1 중도층(3)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중도층(3)은 상기 하도층(2)의 상부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중도층(3)은 상기 중도층(7) 중 가장 점도를 낮게 제작하여, 하도층(2)을 통해 완벽히 메우지 못했던 바닥(1)의 틈이나 스크래치들을 메우며, 바닥(1)의 기포를 빼내줄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중도층(3)은 1mm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94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액체가 수화, 산화, 중합 등의 화학변화 또는 건조 등의 물리변화에 의해서 유동성을 잃어 강성이나 강도가 향상되는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이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 1 중도층(3)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250 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25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25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많이 진행되어, 잘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기에 낮은 신율값을 가지며, 발림성이 좋지 않아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일명 신나라고 불리며, 페인트나 접착제, 코팅제 등이 너무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으면, 칠할 때 에너지가 많이 들고, 표면에 펴바르기가 힘드므로 점성도를 낮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합 용제이다. 상기 희석제는 상기 제 1 중도층(3)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094 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희석제가 0.094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 제 1 중도층(3)이 상기 하도층(2)에서 완벽히 메우지못한 바닥(1)의 틈이나 스크래치들을 메우거나, 바닥(1)의 기포를 빼내주는 역할을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희석제가 0.094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져,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이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중도층(3) 상부에 부직포층(4)이 형성된다. 상기 부직포층(4)은 도 1에서 노란색으로 표현하였다. 상기 부직포층(4)에 쓰는 부직포는 기계 조작에 의하거나 열접착 혹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섬유를 접착시키거나 엉키게 하여 만든 직물을 가르킨다. 상기 부직포층(4)에는 하기에 설명될 제 2 중도층(5), 제 3 중도층(6)이 이질감없이 일체화되며, 상기 부직포의 높은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율로 상기 중도층(7)의 보강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4)에는 그물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층(4)은 2.5mm 두께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부직포층(4)의 두께가 2.5mm 보다 얇으면, 부직포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부직포층(4)의 두께가 2.5mm를 초과하면, 상기 중도층(7)의 두께인 4mm를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2.5mm 두께로 마련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중도층(3) 상부에 도포되어 제 2 중도층(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도층(5)은 상기 부직포층(4)에 함침되며, 이는 이질감없이 일체화된다. 상기 제 2 중도층(5)은 상기 제 1 중도층(3)에서 완벽히 메우지 못한 바닥(1)의 틈이나 스크래치들을 메워 기포나 들뜸을 예방하는 역할도 하지만, 상기 제 1 중도층(3)보다 비교적 높은 점도로 제작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 2 중도층(5)은 1mm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6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 2 중도층(5)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250 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25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25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많이 진행되어, 잘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기에 낮은 신율값을 가지며, 발림성이 좋지 않아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중도층(5)의 우레탄, 경화제 비율은, 상기 제 1 중도층(3)과 이질감이 없도록 해주기위해 상기 제 1 중도층(3)의 우레탄, 경화제의 비율과 동일하게 제조해주는 것이 좋다.
상기 희석제는 상기 제 2 중도층(5)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063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희석제가 0.06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 상기 제 1 중도층(3)에서 완벽히 메우지 못한 바닥(1)의 틈이나 스크래치들을 메우며, 바닥(1)의 기포를 빼내주지 못해, 기포와 들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희석제가 0.063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져,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이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중도층(5) 상부에 도포되어 제 3 중도층(6)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중도층(6)은 상기 부직포에 일부가 함침되며, 이는 이질감없이 일체화된다. 상기 부직포층(4)에 일부가 함침되는 형성되는 제 3 중도층(6)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중도층(6)은 점도를 높게 제작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중도층(6)은 2mm 두께로 형성되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3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 3 중도층(6)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250 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25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25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많이 진행되어, 잘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기에 낮은 신율값을 가지며, 발림성이 좋지 않아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중도층(6)의 우레탄, 경화제 비율은, 상기 제 1 중도층(3), 상기 제 2 중도층(5)과 이질감이 없도록 해주기위해 상기 제 1 중도층(3)의 우레탄, 경화제의 비율, 상기 제 2 중도층(5)의 우레탄, 경화제의 비율과 동일하게 제조해주는 것이 좋다.
상기 희석제는 상기 제 3 중도층(6)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031 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희석제가 0.03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 기포와 들뜸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희석제가 0.03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져,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이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중도층(6)의 상부에 도포되어 상도층(8)이 형성된다. 상기 상도층(8)은 상기 중도층(7)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도층(8)은 상기 중도층(7) 대신 자외선을 받기 때문에, 희석제를 첨가하지 않도록 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이 높게 제작한다. 상기 상도층(8) 또한 1회 도포시 1.5mm 두께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도층(8) 1회 도포시 1.5mm 두께를 초과하면, 기포나 들뜸, 핀홀과 같은 균열의 시발점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상도층(8)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2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상도층(8)을 제조할 때,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125 중량부를 첨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12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가 0.12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많이 진행되어, 잘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기에 낮은 신율값을 가지며, 발림성이 좋지 않아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삭기로 방수공사가 이루어질 바닥(1)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삭기로 정리한 바닥(1)에 고압세척작업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세척작업을 진행한 바닥(1)을 이틀간 건조시켜준다.
상기 고압세척작업 진행 후, 건조가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레탄 하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하도층(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도층(2)을 5시간 동안 건조해준 후,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025중량부, 희석제 0.094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하도층(2)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하여 제 1 중도층(3)을 형성한다. .
다음으로, 상기 제 1 중도층(3)을 하루동안 건조하고, 상기 제 1 중도층(3) 상부에 2.5mm 두께의 부직포를 마련하여 부직포층(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025중량부, 희석제 0.063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제 1 중도층(3)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4)에 함침되는 제 2 중도층(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중도층(5)을 하루동안 건조해준 후,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025중량부, 희석제 0.031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제 2 중도층(5) 상부에 2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4)에 일부가 함침되는 제 3 중도층(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중도층(6)을 하루동안 건조해준 후, 상기 제 3 중도층(6) 상부에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2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제 3 중도층(6) 상부에 도포하여 상도층(8)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중도층(6)을 5시간동안 건조해준다.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인 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도막 방수 공사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시공한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시공한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은 방수공사를 진행한 후, 한달 간 25℃의 빛을 쬐어준 후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 작업성으로 나눠서 확인하였다. 작업성의 경우, 육안으로 관찰시 방수구조에 기포나 들뜸 현상이 발생된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였고, 기포나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호'로 판단하여 측정하였다.
1. 중도층의 경화제 양에 따른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 비교
[비교예 1]
폴리우레탄 수지 30Kg을 이용하여 중도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우레탄 16Kg, 경화제 3.20Kg, 희석제 1.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1 중도층을 형성하고,
우레탄 16Kg, 경화제 3.20Kg, 희석제 1.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1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2 중도층을 형성하고,
우레탄 16Kg, 경화제 3.20Kg, 희석제 0.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2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3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우레탄 16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1 중도층을 형성하고,
우레탄 16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1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2 중도층을 형성하고,
우레탄 16Kg, 경화제 4.00Kg, 희석제 0.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2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3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우레탄 16Kg, 경화제 4.80Kg, 희석제 1.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1 중도층을 형성하고,
우레탄 16Kg, 경화제 4.80Kg, 희석제 1.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1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2 중도층을 형성하고,
우레탄 16Kg, 경화제 4.80Kg, 희석제 0.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2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3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비고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하도층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중도층

제 1 중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30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3.20 4.00 4.80
희석제(Kg) 1.50 1.50 1.50

제 2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3.20 4.00 4.80
희석제(Kg) 1.00 1.00 1.00

제 3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3.20 4.00 4.80
희석제(Kg) 0.50 0.50 0.50
부직포층(mm) 1 2.5 2.5 2.5

상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20Kg
17.78 17.78 17.78
경화제(kg) 2.22 2.22 2.22
인장강도
(N/mm2)
인열강도
(N/mm2)
신율
(%)
경도
(Shore A)
작업성
비교예 1 2.8 9 450 40 양호
실시예 1 4.0 10 720 62 양호
실시예 2 7.0 20 700 65 양호
실시예 3 7.5 20 670 70 양호
표 1과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1,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이 실시예 2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보다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 1 중도층, 제 2 중도층, 제 3 중도층에 첨가된 경화제 양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비교예 1은 중도층을 나누지 않고, 폴리우레탄 수지만 사용하여 중도층을 제작함으로써, 실시예 2에 비해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 모두 낮은 값이 나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경화제의 양이 작아, 충분히 경화되지 못하여 실시예 2에 비해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의 값이 낮을 수 있다. 실시예 3은 경화가 많이 진행되어, 잘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기에 실시예 2보다 낮은 신율값이 나왔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은 많이 경화됨으로써 쉽게 도포되지 않아, 발림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과 같이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250중량부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제 1 중도층을 제작하고,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250중량부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제 2 중도층을 제작하고,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250중량부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제 3 중도층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도층의 경화제 양에 따른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 비교
[비교예 2]
폴리우레탄 수지 20Kg을 이용하여 상도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우레탄 17.78Kg, 경화제 0.45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3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우레탄 17.78Kg, 경화제 2.22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3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6]
우레탄 17.78Kg, 경화제 4.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3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였다.
비고 비교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하도층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중도층

제 1 중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30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50 1.50 1.50

제 2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00 1.00 1.00

제 3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0.50 0.50 0.50
부직포층(mm) 1 2.5 2.5 2.5

상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20Kg
17.78 17.78 17.78
경화제(kg) 0.45 2.22 4.00
인장강도
(N/mm2)
인열강도
(N/mm2)
신율
(%)
경도
(Shore A)
작업성
비교예 2 2.8 9 450 40 양호
실시예 4 5.0 15 740 60 양호
실시예 5 7.0 20 700 65 양호
실시예 6 7.5 20 670 70 양호
표 3과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 2, 실시예 4 및 실시예 6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이 실시예 5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보다 좋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경화제 양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비교예 2는 상도층에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수지만 이용함으로써 경화가 발생하지 않았고, 이로인해 실시예 5보다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 모두 낮은 값이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4는 경화제의 양이 작아, 충분히 경화되지 못하여 실시예 5보다 인장강도, 인열강도, 경도의 값이 낮을 수 있다. 실시예 6은 경화가 많이 진행되어, 잘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기에 실시예 5보다 낮은 신율값이 나왔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은 많이 경화됨으로써 쉽게 도포되지 않아, 발림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5와 같이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0.125중량부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상도층을 제작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 1 중도층 희석제 양에 따른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 비교
[비교예 3]
폴리우레탄 수지 30Kg을 이용하여 중도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1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1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9]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2.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1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비고 비교예 4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하도층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중도층

제 1 중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30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00 1.50 2.00

제 2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00 1.00 1.00

제 3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0.50 0.50 0.50
부직포층(mm) 1.00 2.50 2.50 2.50

상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20Kg
17.78 17.78 17.78
경화제(kg) 2.22 2.22 2.22
인장강도
(N/mm2)
인열강도
(N/mm2)
신율
(%)
경도
(Shore A)
작업성
비교예 3 2.8 9 450 40 불량
실시예 7 7.3 23 720 65 불량
실시예 8 7.0 20 700 65 양호
실시예 9 6.7 18 690 65 양호
표 5와 표 6을 참조하면, 비교예 3, 실시예 7 및 실시예 9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이 실시예 8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보다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희석제 양의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비교예 3의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만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8에 비해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 값이 낮을 수 있고, 바닥(1)의 홈이나 틈, 균열 등을 충분히 메우지 못해 기포나 들뜸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불량일 수 있다. 실시예 7의 경우, 실시예 8보다 점도가 높아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율의 값은 좋다. 하지만 하도층에서 완벽히 메우지 못한 바닥(1)의 홈이나 틈, 균열 등을 메워주지 못하고, 바닥(1)의 기포를 빼내주지 못해, 기포나 들뜸이 발생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작업성이 불량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7의 점도는 제 1 중도층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9의 경우, 점도가 낮아 실시예 8에 비해 낮은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신율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8과 같이,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0.094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 1 중도층을 제작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제 2 중도층 희석제 양에 따른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 비교
[비교예 4]
폴리우레탄 수지 30Kg을 이용하여 중도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0.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1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2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1]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1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2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2]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1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2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비고 비교예 4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하도층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중도층

제 1 중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30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50 1.50 1.50

제 2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0.50 1.00 1.50

제 3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0.50 0.50 0.50
부직포층(mm) 1.00 2.50 2.50 2.50

상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20Kg
17.78 17.78 17.78
경화제(kg) 2.22 2.22 2.22
인장강도
(N/mm2)
인열강도
(N/mm2)
신율
(%)
경도
(Shore A)
작업성
비교예 4 2.8 9 450 40 불량
실시예 10 7.2 22 720 65 불량
실시예 11 7.0 20 700 65 양호
실시예 12 6.9 18 650 65 양호
표 7과 표 8을 참조하면, 비교예 4, 실시예 10, 실시예 12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이 실시예 11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보다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희석제 양의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비교예 4의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만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1보다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 값이 낮을 수 있고, 바닥(1)의 홈이나 틈, 균열 등을 충분히 메우지 못해 기포나 들뜸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불량일 수 있다. 실시예 10의 경우, 희석제의 양이 적어 점도가 높기에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율의 값은 좋지만, 상기 제 1 중도층에서 미처 메우지 못한 홈이나 틈, 스크래치를 메우지 못하여 기포와 들뜸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불량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0의 점도는 제 2 중도층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12의 경우, 희석제의 양이 많아, 점도가 낮다. 이로 인해 실시예 11에 비해 낮은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신율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작업성이 양호해야하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을 높이는 역할인 제 2 중도층에는 실시예 12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1과 같이,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0.064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 2 중도층을 제작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제 3 중도층 희석제 양에 따른 도막 방수공사의 성능 비교
[비교예 5]
폴리우레탄 수지 30Kg을 이용하여 중도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2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3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4]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0.5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2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3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
우레탄 16.00Kg, 경화제 4.00Kg, 희석제 1.00Kg으로 혼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제 2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제 3 중도층을 형성하였다.
비고 비교예 5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하도층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우레탄
프라이머




중도층

제 1 중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30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50 1.50 1.50

제 2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1.00 1.00 1.00

제 3 중도층
우레탄(Kg) 16.00 16.00 16.00
경화제(Kg) 4.00 4.00 4.00
희석제(Kg) - 0.50 1.00
부직포층(mm) 1.00 2.50 2.50 2.50

상도층
우레탄(kg) 폴리우레탄 수지
20Kg
17.78 17.78 17.78
경화제(kg) 2.22 2.22 2.22
인장강도
(N/mm2)
인열강도
(N/mm2)
신율
(%)
경도
(Shore A)
작업성
비교예 5 2.8 9 450 40 불량
실시예 13 7.5 22 703 65 불량
실시예 14 7.0 20 700 65 양호
실시예 15 6.5 15 650 65 양호
표 9와 표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5, 실시예 13, 실시예 15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이 실시예 14의 우레탄 도막 방수재로 진행한 방수공사의 성능보다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희석제 양의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비교예 5의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만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4에 비해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경도 값이 낮을 수 있고, 바닥(1)의 홈이나 틈, 균열 등을 충분히 메우지 못해 기포나 들뜸이 발생했을 수 있다. 실시예 13의 경우, 제 3 중도층에 희석제가 함유되지 않아,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율의 값은 좋지만, 점도가 과도하게 높으므로 기포나 들뜸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불량일 수 있다. 실시예 15의 경우, 희석제의 양이 많아, 점도가 낮다. 이로 인해 실시예 14에 비해 낮은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신율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을 높여주는 역할인 제 3 중도층에는 실시예 15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4와 같이,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0.031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 3 중도층을 제작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바닥 2 : 하도층
3 : 제 1 중도층 4 : 부직포층(노란색)
5 : 제 2 중도층 6 : 제 3 중도층
7 : 중도층 8 : 상도층

Claims (5)

  1. 우레탄 프라이머를 사용하며, 바닥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하도층;
    우레탄, 경화제, 희석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중도층; 및
    우레탄, 경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도층 상부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상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도층에는 부직포층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도층은,
    상기 우레탄 프라이머 하도층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는 제 1 중도층;
    상기 제 1 중도층 상부에 형성되는 2.5mm 두께의 부직포층;
    상기 제 1 중도층 상부에 1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에 함침되어 형성되는 제 2 중도층; 및
    상기 제 2 중도층 상부에 2mm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부직포층에 일부가 함침되어 형성되는 제 3 중도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중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94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중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6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중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250 중량부, 희석제 0.03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도층은,
    우레탄 1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2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도막 방수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6602A 2020-03-26 2020-03-26 우레탄 도막 방수재 KR10216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02A KR102166961B1 (ko) 2020-03-26 2020-03-26 우레탄 도막 방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02A KR102166961B1 (ko) 2020-03-26 2020-03-26 우레탄 도막 방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961B1 true KR102166961B1 (ko) 2020-10-20

Family

ID=7302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02A KR102166961B1 (ko) 2020-03-26 2020-03-26 우레탄 도막 방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95B1 (ko) * 2021-03-03 2021-11-10 김준현 우수한 방수성능 및 접착성능을 갖는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96A (ko) * 2007-07-03 2009-01-12 (주)바우쉐미커코리아 무기도막탄성 방수제의 무용제 우레탄 상도 코팅제
KR20090003697A (ko) * 2007-07-03 2009-01-12 (주)바우쉐미커코리아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20110106627A (ko) * 2010-03-23 2011-09-29 홍사광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섬유쉬트복합체 시공방법
KR101559683B1 (ko) * 2014-10-17 2015-10-13 삼성물산 주식회사 우레탄도료에 흡착중화제를 첨가하여 도장하는 방법 및 그 도장재
KR101569973B1 (ko) 2013-12-24 2015-11-1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96A (ko) * 2007-07-03 2009-01-12 (주)바우쉐미커코리아 무기도막탄성 방수제의 무용제 우레탄 상도 코팅제
KR20090003697A (ko) * 2007-07-03 2009-01-12 (주)바우쉐미커코리아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20110106627A (ko) * 2010-03-23 2011-09-29 홍사광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섬유쉬트복합체 시공방법
KR101569973B1 (ko) 2013-12-24 2015-11-1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9683B1 (ko) * 2014-10-17 2015-10-13 삼성물산 주식회사 우레탄도료에 흡착중화제를 첨가하여 도장하는 방법 및 그 도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95B1 (ko) * 2021-03-03 2021-11-10 김준현 우수한 방수성능 및 접착성능을 갖는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0921676B1 (ko)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시트 구조체 및 복합 시트 방수 공법
KR100929389B1 (ko) 자기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탄성 도막 방수제 및그 시공 방법
KR101993155B1 (ko) 경화 열변색성을 가지는 저점도 및 상온 속경화형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및 보강용 2액형 고강도 및 고탄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2166961B1 (ko) 우레탄 도막 방수재
KR102002499B1 (ko) 교면 방수용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과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1280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0935712B1 (ko) Tpu 필름을 활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2639656A (zh) 环氧树脂膜
KR102279044B1 (ko) 복합탄성중합체 조성물과 구조보강용 층 그리고 복합탄성중합체의 시공방법
KR10102759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노출방수시공방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0922850B1 (ko) 수용성 폴리아민계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및 그에 따라 시공된 구조물의 방수 층상 구조
KR100896504B1 (ko)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101932244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20030192283A1 (en) Process for insulating and sealing essentially flat roofing and coating used in this process
KR102603305B1 (ko) 고강도 우레탄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및 이에 따른 고강도 우레탄 도막 방수 시스템
KR20190021789A (ko)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
KR100864525B1 (ko) 이중 폴리우레탄층을 이용한 방수층구조 및 다목적방수공법
KR102398019B1 (ko)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80738A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2484066B1 (ko) 침투성 폴리머 방수재 및 습윤면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가 적층 도포된 도막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274323B1 (ko) 요변성이 우수한 저온 및 상온 속경화형 저점도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및 보강용 2액형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및 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