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746B1 -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746B1
KR102166746B1 KR1020200037196A KR20200037196A KR102166746B1 KR 102166746 B1 KR102166746 B1 KR 102166746B1 KR 1020200037196 A KR1020200037196 A KR 1020200037196A KR 20200037196 A KR20200037196 A KR 20200037196A KR 102166746 B1 KR102166746 B1 KR 10216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oil
carbon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필홍
Original Assignee
민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필홍 filed Critical 민필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식용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가축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최근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비식용해조류를 소비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가축 급여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산수를 이용하여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괭생이모자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괭생이모자반 20g당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15~20분 동안 120~15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 여과하는 단계; 상기 감압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괭생이모자반 분말 10~15 중량부, 악취 제거 오일 1~3 중량부, 착향료 1 중량부 조성비로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Feed Composition With Inhibiting the formation of lipid-peroxid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식용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가축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최근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비식용해조류를 소비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에 걸쳐 해안가에 괭생이모자반, 구멍갈파래 등 비식용 해조류들이 다량 발생하여 연안 경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선박 스크류에 감겨 조업과 항해에 지장을 초래하고 양식장 그물 등에 달라붙어 시설물 파손과 양식물 유실 등의 피해를 주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식용 해조류를 수거하고 운반하는데 많은 노동력을 투입했지만, 수거한 비식용 해조류의 적합한 소비방안이 확보되지 않아 보관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해안지역의 일부 농민들만이 소규모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 전체 생물의 약 80%(30만 종)를 차지하는 해양생물은 육상과 다른 서식환경으로 인하여 생리적 대사과정과 구성성분이 육상생물과는 상이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발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그 종류와 대상성분도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다. 특히 해양 천연물의 경우 육상생물과 달리 약 30년 전부터 천연물 화학 연구 분야의 결과와 더불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나, 최근 첨단 생명공학기술이 적용됨으로써 해양생물의 다양한 생리기능성 물질과 유전정보를 이용한 식·의약 소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1세기는 해양바이오 시대'라는 예견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기점에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다양한 고유 해양생물종이 널리 서식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식용 소재 개발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89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식용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가축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근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비식용해조류를 소비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산수를 이용하여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괭생이모자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괭생이모자반 20g당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15~20분 동안 120~15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 여과하는 단계; 상기 감압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괭생이모자반 분말 10~15 중량부, 악취 제거 오일 1~3 중량부, 착향료 1 중량부 조성비로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는, 가지의 껍질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가지 껍질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 건조된 가지 껍질 5~15 중량%를 정제수 85~95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30~40℃를 유지하며 4시간~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 후 면포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분리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여과액에 탄산가스를 2~3 중량%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상기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산수 65~80 중량%에 괭생이모자반을 20~35 중량%를 투입하여 10시간 동안 -4℃에서 숙성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의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분쇄된 괭생이모자반 20g당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15~20분 동안 120~15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리하여 제조한 괭생이모자반 분말 10~15 중량부, 악취 제거 오일 1~3 중량부, 착향료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분쇄된 괭생이모자반은, 정제수 85~95 중량%, 동결 건조된 유기농 가지 껍질 5~15 중량%, 탄산가스 2~3 중량%를 포함하는 탄산수에 24~30시간 동안 숙성한 뒤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악취 제거 오일은, 녹나무 정유 100 중량부 기준으로, 페퍼민트오일 80~90 중량부, 티트리잎오일 45 중량부, 라벤더오일 29 중량부, 선백리향오일 10 중량부, 레몬그라스잎오일 1~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녹나무 정유는 녹나무의 뿌리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가축 급여용 조성물은, 상기 탄산수의 제조단계에서 발생하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식용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가축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최근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비식용해조류를 소비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구성은,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탄산수를 이용하여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S20); 상기 숙성된 괭생이모자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S30); 상기 분쇄된 괭생이모자반 20g당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15~20분 동안 120~15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리하여 추출하는 단계(S40);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 여과하는 단계(S50); 상기 감압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60); 상기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70);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괭생이모자반 분말 10~15 중량부, 악취 제거 오일 1~3 중량부, 착향료 1 중량부 조성비로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S10)는, 가지의 껍질을 수득하는 단계(S11); 상기 가지 껍질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단계(S12); 상기 동결 건조된 가지 껍질 5~15 중량%를 정제수 85~95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30~40℃를 유지하며 4시간~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S13); 상기 숙성 후 면포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분리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S14); 여과액에 탄산가스를 2~3 중량% 주입하는 단계(S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괭생이모자반은 갈조류과의 해조류로 국내외 동아시아지역에 폭넓게 분포한다. 갈조류에는 다량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가축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프롤로타닌(phlorotannins)과 암세포 증식 억제 및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푸코이단(fucoidan)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S20)는, 상기 탄산수 65~80 중량%에 괭생이모자반을 20~35 중량%를 투입하여 10시간 동안 -4℃에서 숙성한 것을 사용한다. 이 단계를 통하여 상기 생리활성물질인 프롤로타닌과 푸코이단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S40)는, 120~150kHz 주파수 범위가 프롤로타닌과 푸코이단을 비파괴적으로 추출하고 수득률이 가장 높은 조건이었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S80)는, 148rpm 회전속도로 30~40분 동안 점도가 4,000~10,000cps가 되도록 혼합한다. 혼합물의 점도가 4,000cps 미만인 경우 보관과정에서 가축 급여용 조성물 중 무거운 입자들이 하강하여 균일도가 저하되며, 점도가 10,000cps를 초과하는 경우 보관과정에서 가축 급여용 조성물의 층분리 현상이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S80)는,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S10)의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S14)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불용성 식이섬유를 첨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포만감 및 영양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가공은 pH 9.5~10의 염기성 수용액을 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중화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S80)에서 악취 제거 오일은, 녹나무 정유 100 중량부 기준으로, 페퍼민트오일 80~90 중량부, 티트리잎오일 45 중량부, 라벤더오일 29 중량부, 선백리향오일 10 중량부, 레몬그라스잎오일 1~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녹나무 정유는 녹나무의 뿌리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한다.
상기 녹나무는 제주도가 자생지이며 녹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캄파, 사프롤, 씨네올 등의 정유성분은 우수한 항균활성과, 강한 휘발성, 상쾌하고 진한 향 특성을 나타낸다. 녹나무 정유를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가축의 구강내 악취 및 악취를 발생하는 균을 제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구취를 완화하여 방충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질병 감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실험예 1)
상기 괭생이모자반의 숙성 및 초음파 처리 조건을 달리하였을때 생리활성물질의 추출 수득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괭생이모자반 분말의 수율과 상기 괭생이모자반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프롤로타닌(phlorotannins) 및 푸코이단(fucoidan) 정량분석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분쇄한 괭생이모자반 5g에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초음파 처리 장치(Mars X, CEM Co., USA)로 각각의 조건에 따라 추출하였다. 감압여과 후 추출액을 45℃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80℃에서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얻었다.
수율(%)은 (수득한 괭생이모자반 분말의 중량)/(추출에 사용된 괭생이모자반 중량)×100으로 계산하였다.
프롤로타닌(phlorotannins) 및 푸코이단(fucoidan) 정량분석 시험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탄산수
제조
숙성 온도(℃) 30 40 60

30 30 30
숙성 시간(h) 4 4 4 4 4 4
괭생이
모자반
숙성
숙성 온도(℃) -4 -4 -4 25 -4 -4
숙성 시간(h) 10 10 10 10 10 10
초음파
처리
초음파 주파수
(kHz)
120 150 120 120 80 180
수율(%) 17.2 17.0 15.0 15.2 16.5 11.9
프롤로타닌
(ppm)
478.8±23.6 448.3±18.2 185.0±2.6 192.0±3.1 192.0±3.1 65.1±2.2
푸코이단
(ppm)
278.0±2.5 292.3±2.0 19.5±0.1 8.7±4.1 8.7±4.1 trace
상기 결과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탄산수 제조시 숙성 온도가 가장 높았으며 괭생이모자반에서 추출된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낮았다. 이는 괭생이모자반의 세포벽을 허물기위한 물질이 열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2의 경우 괭생이모자반 숙성 온도가 상온에서 이루어졌으며 마찬가지로 추출된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낮았다. 이는 숙성과정에서 탄산가스가 빠르게 배출되어 괭생이모자반의 세포벽을 허물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3의 경우 초음파 세기가 강한 대신 정밀도가 약하기 때문에 괭생이모자반 분말의 수율에 비교하여 프롤로타닌과 푸코이단의 함량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4의 경우 수득한 분말의 수율이 가장 낮았으며, 이는 초음파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수율과 프롤로타닌과 푸코이단 함량 모두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음파 처리 조건으로 비식용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가축의 노화를 촉진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가축 급여용 조성물의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축 급여용 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를 준비하였다. 생쥐를 채혈한 후 간을 적출하여 09% 생리식염수에 세척하고 -70℃에서 24시간 보관한 다음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시키고 9000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은 미트콘드리아 다음(post mitochondrial) 상등액에서 과산화 생성물인 마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MDA)를 티오바비튜릭산(thiobarbituric acid)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지질의 과산화정도는 1, 1, 3, 3-테트라에톡시프로판를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5
용량(㎎/㎏) 20 20 0
과산화지질
말론디알데하이드
(μmole/조직의 g, %)
343.1±0.72 323.5±11.32 365.4±5.76
글루타치온 에스
트랜스퍼라제
(nmole/mg 단백질/분, %)
210.7 215.4 257.0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대조군인 비교예 5에 비교하였을때 과산화지질 억제 효과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원의 발명으로 제조한 가축 급여용 조성물을 가축의 노화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가축 급여용 조성물이 가축의 구취를 제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가축 급여용 조성물(실시예 1, 비교예 8)을 준비하여 소취효과측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황소 30마리를 대상으로 1g의 마늘을 급여하여 구강에서 구취가 발생하도록 한 다음, 두 그룹으로 나누어 A 그룹은 악취 제거 오일이 첨가된 가축 급여용 조성물을 5g씩 급여하고, B 그룹은 악취 제거 오일이 첨가되지 않은 가축 급여용 조성물을 5g씩 급여하였다. 급여한 후 30분이 경과되면 황소의 호기중의 구취성분인 메칠머캅탄과 알릴머캅탄을 정량하여 구취감소율을 계산하였다. 구강의 호기 10㎖를 채취하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8
악취 제거 오일 첨가 유무 ×
메칠머캅탄 알릴머캅탄 메칠머캅탄 알릴머캅탄
구취감소율(%) 95 98 7 9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구취감소율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라 가축 급여용 조성물에 녹나무 정유를 첨가한 악취 제거 오일을 적용하여 가축의 구강 내 구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8)

  1.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산수를 이용하여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괭생이모자반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괭생이모자반 20g당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15~20분 동안 120~15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리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이 완료되면 감압 여과하는 단계;
    상기 감압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괭생이모자반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괭생이모자반 분말 10~15 중량부, 악취 제거 오일 1~3 중량부, 착향료 1 중량부 조성비로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는,
    가지의 껍질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가지 껍질을 -50℃에서 6시간 동결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 건조된 가지 껍질 5~15 중량%를 정제수 85~95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30~40℃를 유지하며 4시간~5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 후 면포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분리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여과액에 탄산가스를 2~3 중량%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괭생이모자반을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산수 65~80 중량%에 괭생이모자반을 20~35 중량%를 투입하여 10시간 동안 -4℃에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탄산수를 제조하는 단계의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불용성 식이섬유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분쇄된 괭생이모자반 20g당 70% 에탄올 1L를 가하여 15~20분 동안 120~150kHz 주파수의 초음파를 처리하여 제조한 괭생이모자반 분말 10~15 중량부, 악취 제거 오일 1~3 중량부, 착향료 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된 괭생이모자반은, 정제수 85~95 중량%, 동결 건조된 유기농 가지 껍질 5~15 중량%, 탄산가스 2~3 중량%를 포함하는 탄산수에 24~30시간 동안 숙성한 뒤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제거 오일은,
    녹나무 정유 100 중량부 기준으로, 페퍼민트오일 80~90 중량부, 티트리잎오일 45 중량부, 라벤더오일 29 중량부, 선백리향오일 10 중량부, 레몬그라스잎오일 1~8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녹나무 정유는 녹나무의 뿌리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급여용 조성물은,
    상기 탄산수의 제조단계에서 발생하는 고형분을 가공하여 얻은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KR1020200037196A 2019-08-27 2020-03-27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6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4927 2019-08-27
KR1020190104927 2019-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746B1 true KR102166746B1 (ko) 2020-10-19

Family

ID=7304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96A KR102166746B1 (ko) 2019-08-27 2020-03-27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288A (ko) * 2021-08-25 2023-03-06 고의석 해조류를 이용한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4650A (zh) * 2014-06-05 2014-12-24 温州医科大学 一种大型海藻提取物防晒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KR20190008995A (ko) 2012-02-06 2019-01-25 메리얼 인코포레이티드 전신 작용 활성제를 포함하는 구충 경구 수의학적 조성물, 이의 방법 및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995A (ko) 2012-02-06 2019-01-25 메리얼 인코포레이티드 전신 작용 활성제를 포함하는 구충 경구 수의학적 조성물, 이의 방법 및 용도
CN104224650A (zh) * 2014-06-05 2014-12-24 温州医科大学 一种大型海藻提取物防晒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Marija Cikos et al., Mar. Drugs 2018, Vol. 16, 348 (2018.09.23. 공개)*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288A (ko) * 2021-08-25 2023-03-06 고의석 해조류를 이용한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626839B1 (ko) 2021-08-25 2024-01-18 고의석 해조류를 이용한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516B1 (ko) 두피 도포용 천연 발모조성물
KR102287247B1 (ko)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CN105769725A (zh) 一种迷迭香保湿水及其制作方法
KR102143376B1 (ko)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환자용 죽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008656A2 (en) A soap composition for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797999A (zh) 一种植物源复合保鲜剂及其制法和在对虾保鲜中的用途
WO2011112118A1 (ru) Премикс к корму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WO2016204120A1 (ja) 竹発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免疫賦活剤
CN105101981A (zh) 氧化蛋白分解酶活性增强剂
KR102166746B1 (ko)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3328B1 (ko)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1042432B1 (ko) 유해성분이 제거된 광물성 무독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항생제 친환경 가축사육방법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CN103609909B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水产饲料添加剂
DE202015106158U1 (de) Knoblauch-Paste
KR101326274B1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KR101197605B1 (ko) 유황사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CN107494905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制备方法
KR100902406B1 (ko) 장어양식용 사료
KR102221867B1 (ko) 전복살 및 전복내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788229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用途
CN106937731A (zh) 蜂王幼虫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6036680A (ja) 美白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1742649A1 (de) Wirkstoffkomplexe aus pflanzen der seegräser, insbesondere der familie zosteracea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RU263925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