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38B1 - 기능성 머리빗 - Google Patents

기능성 머리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38B1
KR102165838B1 KR1020190137089A KR20190137089A KR102165838B1 KR 102165838 B1 KR102165838 B1 KR 102165838B1 KR 1020190137089 A KR1020190137089 A KR 1020190137089A KR 20190137089 A KR20190137089 A KR 20190137089A KR 102165838 B1 KR102165838 B1 KR 102165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functional hair
comb teeth
hair comb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주)팔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팔린 filed Critical (주)팔린
Priority to KR102019013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2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n electr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Brush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skin or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머리빗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몸체; 일단이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빗살부; 및 복수의 빗살부 각각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복수의 빗살부 각각에 전류가 흐르도록 공급하는 도전 몸체를 포함하며, 도전 몸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사를 포함하는 실(絲)로 스펀지 형태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머리빗{Functional comb}
본 발명은 기능성 머리빗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머리빗의 전체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기능성 머리빗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머리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빗은 평평한 몸체의 상부면 또는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머리카락을 빗기 위한 다수의 빗살이 돌출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빗는 것에 그치지 않고, 머리카락 또는 두피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성 머리빗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머리빗은 다수의 빗살에 전열 또는 저주파를 공급하는 방식, 다수의 빗살을 통해 LED 램프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머리카락 및 두피에 열풍을 제공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수의 빗살에 전류(전원)를 공급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빗을 때 머리카락과 빗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최소화하고, 헤어 스타일링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성 머리빗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2686호(전열발생 머리빗)(1991년 4월 26일 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984호(가열 머리빗)(2004년 3월 25일 공고) 등에는 머리빗의 빗살 내부에 전열선을 내장시켜 빗살 부분을 가열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개시된 기능성 머리빗에서 복수의 빗살에 전열을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2686호(전열발생 머리빗)(1991년 4월 26일 공고)에 개시된 종래의 전열 발생 머리빗은 복수의 빗살부(3)에 전원(전열)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공급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전열선(6)으로 복수의 빗살부(3) 각각의 타단을 감아 서로 연결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984호(가열 머리빗)(2004년 3월 25일 공고)에 개시된 종래의 가열 머리빗은 각각의 빗살부(20)에 제 1 빗살부공(23) 및 제 2 빗살부공(24)을 형성한 후 열선공(22)을 통해 공급되는 열선(21)을 직렬 결합 가능하도록 폐루프 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 발생 머리빗은 수십 개의 빗살부(3, 20) 각각을 전열선(6, 21)으로 일일이 연결해야 하므로 기능성 머리빗의 전체 구조 및 제조 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각각의 빗살부(3)을 연결하는 전열선이 쉽게 끊어지므로 기능성 머리빗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능성 머리빗의 전체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기능성 머리빗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머리빗이 요구된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2686호(전열발생 머리빗)(1991년 4월 26일 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984호(가열 머리빗)(2004년 3월 25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빗살부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금속사를 포함하는 실(絲)로 직조하여 형성된 도전 몸체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머리빗의 전체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기능성 머리빗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머리빗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몸체; 일단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빗살부; 및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에 전류가 흐르도록 공급하는 도전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 몸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사를 포함하는 실(絲)로 스펀지 형태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빗살부는 각각, 표면이 도전성 물질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도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몸체가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의 타단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면 및 상기 복수의 빗살부와 인접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에 따르면, 복수의 빗살부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금속사를 포함하는 실(絲)로 직조하여 형성된 도전 몸체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머리빗의 전체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기능성 머리빗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에 따르면, 복수의 빗살부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도전체가 스펀지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 구조를 소형화 및 단순화 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 머리빗을 실제 사용되는 일반 머리빗과 동일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개시된 기능성 머리빗에서 복수의 빗살에 전열을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이 탄성 부재를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이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이 조명부를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기능성 머리빗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몸체(110), 복수의 빗살부(120) 및 도전 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111a)이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111a)이 형성되고, 일면(도 4의 예에서, 상부면)이 개구되며, 일측에 손잡이(111b)가 형성된 제1 몸체(111)와, 연성 고무 재질 등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고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이 고정되며 제1 몸체(111)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제2 몸체(112)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빗살부(120)는 타단(122)이 몸체(110)(즉, 제2 몸체(112))에 고정된 상태로 일단(121)이 몸체(110)의 일면(도 4의 예에서, 제2 몸체(11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후술할 도전 몸체(130)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빗살부(120)는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그 표면이 도전성 물질(P)로 도금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빗살부(120)는 머리카락을 빗을 때 실제 사용되는 일반 머리빗의 빗살과 동일한 느낌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빗살부(120)는 타단(122)의 직경이 일단(121) 또는 중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일단(121)이 제2 몸체(112)에 형성된 관통 홀(111a)을 삽입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된 이후 타단(122)에 의해 제2 몸체(112)의 관통 홀(111a)와 후술할 도전 몸체(1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전 몸체(130)는 제1 몸체(111)의 수용 공간(111a)에 배치되며, 제2 몸체(112)가 제1 몸체(111)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할 때에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에 접촉하여 전원 공급부(113)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에 전류가 흐르도록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기능성 머리빗(100)을 구성하는 도전 몸체(130)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사(S)를 포함하는 실(絲)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스펀지 형태를 가지도록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몸체(130)는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의 정확한 위치에 상관 없이 내부의 금속사(S)에 의해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을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빗살부(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몸체(130)는 전체적으로 스펀지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몸체(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11a)의 형상에 상관 없이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 머리빗(100)은 실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머리빗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기능성 머리빗(100)은 복수의 빗살부(12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금속사(S)를 포함하는 실(絲)로 직조하여 형성된 도전 몸체(130)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머리빗(100)의 전체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기능성 머리빗(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빗살부(12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도전체가 스펀지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 구조를 소형화 및 단순화 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 머리빗(100)을 실제 사용되는 일반 머리빗과 동일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스펀지 형태의 도전 몸체(130)가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이 탄성 부재를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40)는 몸체(110)의 수용 공간(111a)에 수용되며, 도전 몸체(130)와 몸체(11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140)는 전체적으로 스펀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도전 몸체(130)의 하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도전 몸체(130)가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의 타단(12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탄성 부재(140)는 도전 몸체(130)를 구성하는 금속사(S)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도전 몸체(130)를 지지한 상태로 복수의 빗살부(120)에 밀착시키는 탄성 부재(14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빗살부(120)와 도전 몸체(1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몸체(110)의 내부에 진동 발생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이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발생부(150)는 몸체(110)의 수용 공간(111a)에 설치되며, 전원 전원 공급부(11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복수의 빗살부(120)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동 발생부(150)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1 개의 진동 발생부(150)가 몸체(110)의 수용 공간(111a)에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진동 발생부(150)의 개수, 설치 위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복수의 빗살부(120)을 통해 전류와 함께 진동을 전달하여 두피를 자극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빗는 동안 두피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몸체(110)의 일면 또는 복수의 빗살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조명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이 조명부를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에서는 조명부(160)가 몸체(110)의 일면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60)는 몸체(110)의 일면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11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부(160)는 두피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LED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조명부(160)가 몸체(110)의 일면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조명부(160)는 복수의 빗살부(120)와 인접한 위치, 예를 들어, 복수의 빗살부(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부(16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복수의 빗살부(120)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조명부(160)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머리카락을 빗는 동안 머리카락 및 두피에 대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기능성 머리빗(100)이 진동 발생부(150)만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에서는 기능성 머리빗(100)이 조명부(160)만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100)은 진동 발생부(150)와 조명부(160)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에서는 평평한 형상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빗살부(120)로 구성된 기능성 머리빗(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능성 머리빗(100)의 종류, 형상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원통 형상의 몸체(210)와, 몸체(2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빗살부(220)로 구성된 기능성 머리빗(2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기능성 머리빗(200)은 내부에 중공부 형태로 수용 공간(211a)이 형성된 몸체(210), 몸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빗살부(220) 및 몸체(210)의 수용 공간(211a)에 수용된 상태로 복수의 빗살부(220)의 타단(122)에 밀착된 상태로 복수의 빗살부(220)에 전류를 공급하는 도전 몸체(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머리빗은 복수의 빗살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머리빗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능성 머리빗
110: 몸체 120: 빗살부
130: 도전 몸체 140: 탄성 부재
150: 진동 발생부 160: 조명부

Claims (5)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변이 개구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몸체;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제2 몸체에 형성된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몸체의 개구된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일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에 의해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빗살부; 및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에 전류가 흐르도록 공급하는 도전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 몸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사를 포함하는 실(絲)로 스펀지 형태로 직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할 때에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의 타단에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을 상기 제2 몸체에 고정 지지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금속사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머리빗.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빗살부는 각각, 표면이 도전성 물질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머리빗.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도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며,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 몸체가 상기 복수의 빗살부 각각의 타단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머리빗.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머리빗.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 및 상기 복수의 빗살부와 인접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머리빗.
KR1020190137089A 2019-10-31 2019-10-31 기능성 머리빗 KR102165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089A KR102165838B1 (ko) 2019-10-31 2019-10-31 기능성 머리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089A KR102165838B1 (ko) 2019-10-31 2019-10-31 기능성 머리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38B1 true KR102165838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089A KR102165838B1 (ko) 2019-10-31 2019-10-31 기능성 머리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3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686Y1 (ko) 1988-09-21 1991-04-26 최명갑 전열발생 머리빗
KR200345984Y1 (ko) 2003-11-07 2004-03-25 (주)지스코 가열 머리빗
KR20050039473A (ko) * 2003-10-25 2005-04-29 정우협 치료주파수 머리빗
KR200383467Y1 (ko) * 2005-02-11 2005-05-03 이용식 기능성 머리빗(저주파 머리빗)
KR20110089795A (ko) * 2010-02-01 2011-08-09 실버레이 주식회사 도전성을 갖는 복층 직물과 이를 이용한 결합체
KR200484146Y1 (ko) * 2015-11-16 2017-08-07 김상안 전열 헤어브러시
JP3214866U (ja) * 2017-11-29 2018-02-08 小泉成器株式会社 電動ヘアブラ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686Y1 (ko) 1988-09-21 1991-04-26 최명갑 전열발생 머리빗
KR20050039473A (ko) * 2003-10-25 2005-04-29 정우협 치료주파수 머리빗
KR200345984Y1 (ko) 2003-11-07 2004-03-25 (주)지스코 가열 머리빗
KR200383467Y1 (ko) * 2005-02-11 2005-05-03 이용식 기능성 머리빗(저주파 머리빗)
KR20110089795A (ko) * 2010-02-01 2011-08-09 실버레이 주식회사 도전성을 갖는 복층 직물과 이를 이용한 결합체
KR200484146Y1 (ko) * 2015-11-16 2017-08-07 김상안 전열 헤어브러시
JP3214866U (ja) * 2017-11-29 2018-02-08 小泉成器株式会社 電動ヘアブラ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4856T3 (es) Cepillo alisador de cabello
US8083696B2 (en) Light and massage multi-therapy hairbrush
US4284877A (en) Electrically heated hair curler
KR101853709B1 (ko) 갈바닉 마사지기
KR20030018279A (ko) 드라이어를 구비한 초음파 진동형 머리빗
KR102165838B1 (ko) 기능성 머리빗
KR101538902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헤어컬링 장치
KR20070100436A (ko) 아이언기
KR101351049B1 (ko) 가열식 헤어 브러시
KR20090005369U (ko) 마스카라 겸용 속눈썹 고대기
JPWO2004052141A1 (ja) ヘアーカーラー、これを用いたヘアーウエーブ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ヘアーウエーブ施術方法
KR100455741B1 (ko) 헤어 브러쉬
JP3217565U (ja) ブラシ付きヘアアイロン
JP2018029815A (ja) ヘアーアイロン
KR20170079763A (ko) 발열기능을 갖는 헤어롤
KR102434793B1 (ko) 속눈썹 고데기
KR101377386B1 (ko) 무선 발열 브러시
KR102371140B1 (ko) 칫솔 장치
KR200255137Y1 (ko) 전기 머리 인두
JPH11127941A (ja) ヘアーアイロン
JP6121128B2 (ja) 美容器具
KR20090031163A (ko) 온도제어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발열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열 칫솔
KR20170033153A (ko) 한방침의 절연코팅용 고정지그
US1370524A (en) Electric hair-singer
KR200306860Y1 (ko) 퍼머용 헤어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