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36B1 -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 Google Patents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36B1
KR102165836B1 KR1020180148211A KR20180148211A KR102165836B1 KR 102165836 B1 KR102165836 B1 KR 102165836B1 KR 1020180148211 A KR1020180148211 A KR 1020180148211A KR 20180148211 A KR20180148211 A KR 20180148211A KR 102165836 B1 KR102165836 B1 KR 10216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region
cylinder
pist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607A (ko
Inventor
장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티
Priority to KR102018014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0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in clusters, e.g. multiple cylinders in one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47Pistons; Piston to piston rod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57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9Fluid interconnections, e.g. fluid connectors,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2Single-acting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07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the output members being mechanically lin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피스톤 로드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실린더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눌러져 가압되더라도, 메인 실린더 내측에 범퍼 영역이 형성되어, 보조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메인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허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에 과한 것이다.

Description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Pressure transfer double cylinder having bumper section}
본 발명은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피스톤 로드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실린더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눌러져 가압되더라도, 메인 실린더 내측에 범퍼 영역이 형성되어, 보조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메인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허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는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피스톤 또는 플런저를 왕복 직선 운동시켜 기계적인 일을 행하는 장치로 원통형 하우징의 양측에 커버가 결합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구비되어 직선으로 슬라이딩되며, 피스톤에 결합된 로드가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어 샘플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린더는, 기계 장치의 관절부에 하중을 가하여 관절을 구동시키는 작업 또는, 샘플을 정해진 압력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샘플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두 개의 실린더가 구비되는 더블 실린더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블 실린더(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더블 실린더(10)는 제1 부재에 의해 제1 실린더 로드(11a)가 가압되어 후진 이동하는 제1 실린더(11)와, 상기 제1 실린더(10)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제2 실린더 로드(12a)가 전진 이동되어 제2 부재를 가압하는 제2 실린더(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더블 실린더(10)는 제1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실린더 로드(11a)가 기설정치보다 후진 이동이 크게 이뤄질 경우, 제2 실린더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유체의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어, 제품이 수명이 줄어들며, 제품의 파손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실린더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눌러져 가압될 경우, 메인 실린더 내측에 범퍼 영역이 형성되어, 보조 실린더로 유압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메인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허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 실린더 본체, 일단이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피스톤 로드, 중앙부에 상기 제1 피스톤 로드가 끼워져,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작동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게 하는 제1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1 실린더와,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2 실린더 본체, 일단이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 피스톤 로드, 중앙부에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끼워져,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측면과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일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3 영역으로 구획되게 하는 제2-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 피스톤 로드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 이동되며, 일측면과 상기 제2-1 피스톤 사이 영역을 제4 영역으로, 타측면과 제2 실린더 본체의 타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5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게 하는 제2-2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면접하여 병렬구조로 배치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는 메인 실린더;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보조 실린더 본체, 일단이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피스톤 로드,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 이동되며, 일측면과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일단과의 사이 영역 제6 영역으로, 타측면과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타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7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게 하는 보조 피스톤을 포함하는 보조 실린더;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 7영역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제1 유체라인, 상기 제4 영역과 상기 제6 영역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제2 유체라인을 포함하는 유체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5 영역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되고,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3 영역, 상기 제6 영역 및 상기 제7 영역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서 일체로 소정 직경 연장 형성된 걸림턱부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제1 피스톤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의 타단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눌러져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상기 제1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 로드, 상기 제2-1 피스톤 및 상기 제2-2 피스톤이 함께 후진되며, 상기 제2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 7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7영역의 유입되는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보조 피스톤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가 전진 이동되고, 상기 제6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 4영역으로 유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추가적으로 눌러져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2 피스톤은 후진되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은 압축성 유체가 압축되면서 체적이 감소되고, 상기 제2-1 피스톤과 상기 제2-2 피스톤의 사이 영역인 상기 제4 영역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범퍼 영역으로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에 눌러지는 가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의 압축성 유체의 유체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전진 이동되면서, 상기 제3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 6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6영역으로 유입된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보조 피스톤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가 후진 이동되며, 상기 제7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2 영역으로 유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라인은 플렉시블 재질이 이용되어, 상기 메인 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의 설치위치가 가변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 전달 더블 실린더에 의하면, 보조 피스톤 로드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실린더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눌러져 가압되더라도, 제2 실린더 내측에 구비되는 피스톤들의 사이 공간 체적이 증가하면서 범퍼 영역으로 기능하여, 보조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메인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허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블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제1 부재에 의해 가압되지 않았을 때, 도 3b는 제1 부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도 3c는 제1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범퍼 영역이 형성될 때, 도 3d는 제1 부재에 가압이 일부 해제되었 때, 도 3e는 제1 부재에 가압이 완전히 해제되었을 때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구간이 구비된 압력 전달 더블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실린더는 제1 부재(a)에 의해 메인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들이 눌러지고, 이 피스톤 로드들이 눌러짐에 따라 내측의 비압축성 유체가 보조 실린더로 유입되어 보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 이동되어 제2 부재(b)를 가압하는 동력 전달 더블 실린더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실린더는, 보조 피스톤 로드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실린더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눌러져 가압되더라도, 제2 실린더 내측에 구비되는 피스톤들의 사이 공간 체적이 증가하면서 범퍼 영역으로 기능하여, 보조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메인 실린더(100)와 보조 실린더(200) 및 유체 라인(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실린더(100)는 제1 부재(a)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눌러져 후진 이동되거나, 전진 이동되어 제1 부재를 가압하는 실린더로, 서로 병렬구조로 면접하여 배치되는 제1 실린더(110) 및 제2 실린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실린더(110)는 제1 실린더 본체(111), 제1 피스톤 로드(112), 제1 피스톤(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는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는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의 타단에서 일체로 소정 직경 연장 형성된 걸림턱부(112a)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부(112a)는 후술할 제1 피스톤(113)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의 타단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부(112a)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의 후진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실린더의 구동 원리와 함께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113)은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가 끼워져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피스톤(113)에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가 끼워져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113)은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의 외측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피스톤(113)은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의 작동공간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의 위치가 고정된 채, 상기 제1 피스톤(113)만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113)은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의 작동공간을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각각 구획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제1 피스톤(113)의 일측면과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와의 일단 사이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a2)는 상기 제1 피스톤(113)의 타측면과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와의 타단 사이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제1 영역(a1)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되고, 상기 제2 영역(a2)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된다.
상기 제2 실린더(120)는 제2 실린더 본체(121), 제2 피스톤 로드(122), 제2-1 피스톤(123) 및 제2-2 피스톤(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는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와 대응되는 형상, 크기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와 병렬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는 상기 제1 실린더 본체(111)와 함께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는 일단이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1 피스톤(123)은 중앙부에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가 끼워져,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1 피스톤(123)은 일측면과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의 일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3 영역(a3)으로 구획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영역(a3)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2 피스톤(124)는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이동되며, 일측면과 상기 제2-1 피스톤(123)과의 사이 영역을 제4 영역(a4)으로, 타측면과 상기 제2 실린더 본체(121)의 타단 사이 영역을 제5 영역(a5)으로 각각 구획되게 한다.
이때, 제5 영역(a5)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된다.
즉, 상기 제2-1 피스톤(123)은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와 별개로 슬라이딩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2 피스톤(124)은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실린더(200)는 상기 메인 실린더(100)의 피스톤 로드(112,122)들이 제1 부재(a)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상기 메인 실린더(100)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보조 피스톤 로드가 전진 이동되어 제2 부재(b)를 가압하는 실린더로서, 보조 실린더 본체(210), 보조 피스톤 로드(220) 및 보조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210)는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는 일단이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21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피스톤(230)은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 이동 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피스톤(230)은 일측면과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210)의 일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6 영역(a6)으로, 타측면과 상기 실린더 본체(210)의 타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7 영역(a7)으로,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210)의 작동 공간을 각각 구획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6 영역(a6) 및 상기 제7 영역(a7)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된다.
상기 유체라인(300)은 상기 메인 실린더(100)와 상기 보조 실린더(200)간의 비압축성 유체가 서로 연통되게하는 유로로서, 제1 유체라인(310)과 제2 유체라인(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체라인(310)은 상기 제2 영역(a2)과 상기 제7 영역(a7)이 서로 연통되게 하고, 상기 제2 유체라인(320)은 상기 제3 영역(a3)과 상기 제6 영역(a6)이 서로 연통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체라인(300)는 플래시블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 실린더(100)와 상기 보조실린더(200)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의 구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a)에 의해 상기 메인 실리너(100)의 실린더 로드들(112,122)이 가압되어 눌러질 경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 상기 제1 피스톤(113),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 상기 제2-1 피스톤(123), 상기 제2-2 피스톤(124)이 함께 후진이동되며, 상기 제2 영역(a2)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7 영역(a7)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제7 영역(a7)으로 유입된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보조 피스톤(230)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가 전진 이동되며, 전진 이동되는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가 제2 부재(b)를 가압시켜 누른게 된다.
또한, 상기 제6 영역(a6)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3 영역(a3)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5 영역(a5)은 상기 제3 영역(a3)으로 유입되는 비압축성 유체의 체적만큼 감소되며, 상기 제5 영역(a5)의 압축성 유체는 압축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압력 전달 더블 실리더의 구동원리는, 제1 부재(a)이 이동이 정밀하게 제어될 경우이다.
하지만, 금형 장치 등에 적용된 제1 부재(a)는 이동 거리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고, 제1 부재(a)의 이동거리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상기 메인 실린더(100)의 피스톤 로드들(112,122)이 추가적으로 눌러져 가압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범퍼 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는 완충 영역으로 기능하는 범퍼구간(k)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가 추가적으로 눌러져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 및 상기 제2-2 피스톤(124)만이 후진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5 영역(a5)은 압축성 유체가 압축되면서 체적이 감소되고, 상기 제2-1 피스톤(123)과 상기 제2-2 피스톤(124)의 사이 영역인 상기 제4 영역(a4)은 체적이 증가하면서 범퍼 영역(k)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실린더(100)의 피스톤 로드들(112,122)이 추가적으로 눌러져 가압될 경우에는, 상기 메인 실린더(100)와 상기 보조 실린더(200) 간에 비압축성 유체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상기 메인 실린더(100)의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제1 영역(a1) 및 제 5 영역(a5)의 체적은 감소하고, 상기 제4 영역(a4)은 이와 대응되는 부피로 체적이 증가하여 범퍼 영역(k)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는 보조 실린더(200)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실린더(100)가 추가적으로 눌러지더라도, 메인 실린더(100)와 보조 실린더(200)간의 유압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수명을 늘리고,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a)에 의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를 누르는 가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5 영역(a5)에 압축된 압축성 유체의 유체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112)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122)가 전진 이동되면서, 상기 제3 영역(a3)의 비압축성 유체가 상기 보조 실린더(200)의 상기 제6 영역(a6)으로 이동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6 영역(a6)으로 유입된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보조 피스톤(23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220)가 후진 이동되어, 상기 제2 부재(b)의 가압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7 영역(a7)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2 영역(a2)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 전달 더블 실린더는 메인 실린더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눌러져 가압되더라도, 제2 실린더 내측에 구비되는 피스톤들의 사이 공간 체적이 증가하면서 범퍼 영역으로 기능하여, 보조 실린더로 유체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메인 실린더의 이동거리에 대한 허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메인 실린더
110 : 제1 실린더 111 : 제1 실린더 본체
112 : 제1 피스톤 로드 113 : 제1 피스톤
120 : 제2 실린더 121 : 제2 실린더 본체
122 : 제2 피스톤 로드 123 : 제2-1 피스톤
124 : 제2-2 피스톤
200 : 보조 실린더
210 : 보조 실린더 본체 220 : 보조 피스톤 로드
230 : 보조 피스톤
300 : 유체 라인
310 : 제1 유체라인 320 : 제2 유체라인
a1 : 제1 영역 a2 : 제2 영역
a3 : 제3 영역 a4 : 제4 영역
a5 : 제5 영역 a6 : 제6 영역
a7 : 제 7영역

Claims (6)

  1.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 실린더 본체, 일단이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피스톤 로드, 중앙부에 상기 제1 피스톤 로드가 끼워져,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의 작동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게 하는 제1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1 실린더와,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2 실린더 본체, 일단이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 피스톤 로드, 중앙부에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끼워져,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측면과 상기 제2 실린더 본체의 일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3 영역으로 구획되게 하는 제2-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 피스톤 로드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 이동되며, 일측면과 상기 제2-1 피스톤 사이 영역을 제4 영역으로, 타측면과 제2 실린더 본체의 타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5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게 하는 제2-2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면접하여 병렬구조로 배치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는 메인 실린더;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보조 실린더 본체, 일단이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피스톤 로드,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와 함께 슬라이딩 왕복 이동되며, 일측면과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일단과의 사이 영역 제6 영역으로, 타측면과 상기 보조 실린더 본체의 타단과의 사이 영역을 제7 영역으로 각각 구획되게 하는 보조 피스톤을 포함하는 보조 실린더;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 7영역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제1 유체라인,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6 영역이 서로 연통되게 하는 제2 유체라인을 포함하는 유체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5 영역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되고,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3 영역, 상기 제6 영역 및 상기 제7 영역에는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된 채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의 타단에서 일체로 소정 직경 연장 형성된 걸림턱부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제1 피스톤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의 타단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눌러져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상기 제1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 로드, 상기 제2-1 피스톤 및 상기 제2-2 피스톤이 함께 후진되며, 상기 제2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 7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7영역의 유입되는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보조 피스톤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가 전진 이동되고,
    상기 제6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 3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의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추가적으로 눌러져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상기 제2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2 피스톤은 후진되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은 압축성 유체가 압축되면서 체적이 감소되고, 상기 제2-1 피스톤과 상기 제2-2 피스톤의 사이 영역인 상기 제4 영역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범퍼 영역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에 눌러지는 가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5 영역의 압축성 유체의 유체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 피스톤 로드가 전진 이동되면서, 상기 제3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 6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6영역으로 유입된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보조 피스톤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보조 피스톤 로드가 후진 이동되며,
    상기 제7 영역의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2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라인은 플렉시블 재질이 이용되어, 상기 메인 실린더와 상기 보조실린더의 설치위치가 가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KR1020180148211A 2018-11-27 2018-11-27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KR10216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11A KR102165836B1 (ko) 2018-11-27 2018-11-27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11A KR102165836B1 (ko) 2018-11-27 2018-11-27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07A KR20200062607A (ko) 2020-06-04
KR102165836B1 true KR102165836B1 (ko) 2020-10-14

Family

ID=7108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11A KR102165836B1 (ko) 2018-11-27 2018-11-27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713A (ja) 1999-09-22 2001-04-03 Tatsuo Miyagi ダンパー付き空圧シリンダ
JP2005133879A (ja) 2003-10-31 2005-05-26 Taiyo Ltd 空油変換増圧器
JP2012149704A (ja) 2011-01-19 2012-08-09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及びシリンダボディ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311A (ja) * 1996-08-05 1998-02-17 Koganei Corp 流体圧シリン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713A (ja) 1999-09-22 2001-04-03 Tatsuo Miyagi ダンパー付き空圧シリンダ
JP2005133879A (ja) 2003-10-31 2005-05-26 Taiyo Ltd 空油変換増圧器
JP2012149704A (ja) 2011-01-19 2012-08-09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及びシリンダボデ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07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1655B (zh) 用于控制活塞回退的装置
US4296679A (en) Cylinder with two-stage movement, especially a welding cylinder
JP5997466B2 (ja) マルチステージ油圧シリンダーアセンブリ
KR102165836B1 (ko) 범퍼구간을 구비한 압력전달 더블 실린더
KR101995485B1 (ko) 범퍼구간이 구비된 압력 전달 실린더
KR102165830B1 (ko) 범퍼구간이 구비된 압력 전달 실린더
US7194859B1 (en) Intensifier
US10670049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EP0018855A1 (en) Variable pressure and displacement reciprocating pump
DE19758159C2 (de) Linearantrieb mit integrierten pneumohydraulischen Druckübersetzer
CN110985476B (zh) 一种自调节压紧气缸
US3559538A (en) Actuator
US3410089A (en) Fluid operated device
KR101455639B1 (ko) 압착기
JPH01247808A (ja) アクチュエータ
US6769350B2 (en) Linear path slide
CN216461394U (zh) 行程可调式电动液压弯曲机
JPS6234284Y2 (ko)
CN109424681B (zh) 用于液压缸的混合弹簧
CN105821576A (zh) 经编机的梳栉装置
US20110227014A1 (en) Hydraulic pumpling cylinder and method of pumping hydraulic fluid
KR102435300B1 (ko) 마스터 실린더
US5211970A (en) Hydraulic clamp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134725Y2 (ko)
JPS6397879A (ja) 同軸ピストン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