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200B1 -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200B1
KR102165200B1 KR1020200065891A KR20200065891A KR102165200B1 KR 102165200 B1 KR102165200 B1 KR 102165200B1 KR 1020200065891 A KR1020200065891 A KR 1020200065891A KR 20200065891 A KR20200065891 A KR 20200065891A KR 102165200 B1 KR102165200 B1 KR 102165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connection
weld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화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주식회사 세보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주식회사 세보엠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06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Abstract

본 발명은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가 본체 부재와, 배관 지지 부재와,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와, 용접 확인 부재 및 갭 메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용접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범용적으로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배관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메워 줌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가 상기 배관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배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가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함에 따라, 배관 용접 중 발생되는 불티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Anti-diffusion type pipe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 용접 장치는 반도체 설비 등의 건축물에 적용되는 원형 형태의 배관에 대해 용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관의 용접을 위해서는 건축물 외부에서 상기 배관에 용접을 미리 수행한 후, 용접 완료된 배관을 상기 건축물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건축물 내부에서 작업 도중 상기 배관의 용접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나, 기존에 공사된 건축물 등에 적용된 배관을 증설, 교체 보수할 경우에는 타설 등의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분리하기가 힘들었고, 분리하더라도, 상기 배관이 삽입되었던 곳에 대한 타설 작업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하기에 상기 배관의 용접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용접을 위한 전체적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배관이 설치된 곳에서 직접 용접할 수 있는 이동형 용접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이러한 이동형 용접 장치는 용접을 위한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잡아 주는 배관 지지 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형 용접 장치를 이용한 용접은 상기 본체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곡면과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배관이 지지되면서 수행되는데, 상기 본체 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곡면은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반면, 용접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은 다른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그 직경이 다양한 상기 배관이 상기 본체 부재와 모두 밀착될 수가 없어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배관 사이에 갭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형 용접 장치가 상기 배관에서 회전될 때 임의로 흔들리면서 용접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배관이 용접될 때 용접 부위에서는 불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상기 불티가 상기 배관의 용접 부위로부터 멀리 확산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작업현장의 화재사고에 대한 원인이 됨으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11329 호, 등록일자 : 2006.03.07., 고안의 명칭: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 등록특허 제 10-1397186 호, 등록일자 : 2014.05.13., 발명의 명칭 : 위빙타입 배관용접장치
본 발명은 용접되는 배관의 직경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범용적으로 상기 배관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메워 줌으로써 용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배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 용접 중 발생되는 불티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는 용접이 요구되는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을 용접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본체 부재에 의해 감싸진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일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타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타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 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배관의 용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확인 부재; 및 상기 본체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부재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본체 부재의 내면과 상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을 메우면서 상기 배관에 밀착될 수 있는 갭 메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갭 메움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본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완료된 상기 이동부를 눌러 주어 상기 본체 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는 용접이 요구되는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을 용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본체 부재에 의해 감싸진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일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타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타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 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배관에 대한 용접인 배관 용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확인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부재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본체 부재의 내면과 상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을 메우면서 상기 배관에 밀착될 수 있는 갭 메움 부재;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의하면,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가 본체 부재와, 배관 지지 부재와,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와, 용접 확인 부재 및 갭 메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용접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범용적으로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배관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메워 줌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가 상기 배관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배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의하면,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가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함에 따라, 배관 용접 중 발생되는 불티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배관이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 부재와 갭 메움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갭 메움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위에서 다른 각도로 내려다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일부를 분해한 분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갭 메움 부재가 분해된 분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를 분해한 분해도.
도 18은 도 17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에 적용된 제 1 확산 방지체 및 제 2 확산 방지체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 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배관이 삽입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 부재와 갭 메움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갭 메움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는 용접이 요구되는 배관에 장착된 후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배관을 용접하는 것으로서, 본체 부재(110)와, 배관 지지 부재(120)와, 제 1 연결 부재(130)와, 제 2 연결 부재(140)와, 용접 확인 부재(145) 및 갭 메움 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는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60)와, 배관 지지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 부재(110)는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111)와, 용접봉 투입구(112)와, 용접 토치 투입구(11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1)는 그 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배관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본체부(111)의 하부는 상기 배관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진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는 상기 본체부(11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해 녹여지는 용접봉이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113)는 상기 본체부(111)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한 용접 토치가 투입되어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상기 용접봉을 녹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 부재(110)에는 슬라이딩 홀(114)과, 본체측 결합홀(115) 및 본체측 돌출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홀(114)은 상기 본체 부재(110)의 내부 쪽으로 일정 길게 일직선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이동부(151)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이동 경로가 된다.
상기 슬라이딩 홀(114)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측 결합홀(115)은 상기 본체 부재(110)의 상측과 하측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슬라이딩 홀(114)과 수직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홀과 서로 연통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위치 고정부(156)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측벽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60)가 삽입 연결된다.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는 상기 본체 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본체 부재(110)에 의해 감싸진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것으로, 배관 지지 몸체(121)와, 배관 지지측 회전체(122)와,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는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가진 판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 개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이웃하는 것들이 연결되어 체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의 양측 말단부에는 원형 형태로 관통 형성된 배관 지지측 결합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 지지측 회전체(122)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의 양측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를 서로 연결시킴과 함께, 상기 배관 지지측 회전체(122)를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와, 상기 배관 지지측 회전체(122) 및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이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홀(124)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홀(124)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이 상기 배관 지지측 회전체(122)를 관통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홀(124)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홀(12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이 복수 번 반복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가 복수 개의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양측 말단에 복수 개의 상기 배관 지지측 회전체(122)가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중 서로 이웃하는 것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을 연결한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고, 복수 개의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가 복수 개의 상기 배관 지지측 결합 수단(123)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각 배 관 지지 몸체가 각각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원형 형태를 가진 상기 배관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연결 부재(13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1 연결 몸체(131)와, 제 1 걸이체(132)와,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과, 제 1 걸림체(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는 상기 본체 부재(1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본체부(111)의 일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걸이체(132)는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결합되면서, 그 말단부에 후크(hook) 형태의 연결 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은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상기 제 1 걸이체(132)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이체(132)에는 그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 깊이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걸이체(132)의 홀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의 상측부는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이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관통 형성된 관통 홀의 직경에 비해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의 상측부가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걸려 그 위치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와 상기 제 1 걸이체(132)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걸이체(132)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체(134)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걸림체(134)의 말단부에는 일정 길이로 긴 바아(bar) 형태로 형성된 제 1 걸림봉(13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걸림봉(135)이 상기 제 1 걸이체(132)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1 걸림체(134)와 상기 제 1 걸이체(132)가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1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가 상기 제 1 연결 부재(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체(134)는 매미 고리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이러한 매미 고리는 일반적인 부품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연결 부재(14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2 연결 몸체(141)와, 제 2 걸이체(142)와, 제 2 걸림체(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결 몸체(141)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와 대면되도록 상기 본체 부재(1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본체부(111)의 타측 말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걸이체(142)는 상기 제 2 연결 몸체(141)의 말단부로부터 고리 형태를 가지면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2 걸림체(143)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말단부에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원기둥 형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제 2 걸림봉(144)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상기 제 1 걸이체(132)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2 걸림체(143)에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봉(144)이 상기 제 2 걸이체(142)에 걸려 상기 본체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용접이 필요한 위치가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관을 감싼 후, 상기 제 1 걸림체(134)의 상기 제 1 걸림봉(135)이 상기 제 1 걸이체(132)의 고리에 걸리면서 상기 본체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가 상기 배관을 감싸면서 상기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걸이체(132)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걸림체(143)에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봉(144)이 상기 제 2 걸이체(142)에 걸려 상기 본체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은 그 상측부가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의 상면에 맞대어지면서 위치가 고정되되,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과 나사 결합된 상기 제 1 걸이체(132) 및 상기 제 1 걸이체(132)와 연결된 상기 제 1 걸림체(134)는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 쪽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과 상대적으로 근접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가 상기 배관에 밀착되면서 상기 배관을 조여줌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가 상기 배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걸이체(132)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걸림체(143)에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봉(144)이 상기 제 2 걸이체(142)에 걸려 상기 본체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은 그 상측부가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의 상면에 맞대어지면서 위치가 고정되되,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과 나사 결합된 상기 제 1 걸이체(132) 및 상기 제 1 걸이체(132)와 연결된 상기 제 1 걸림체(134)는 상기 제 1 연결 몸체(131)로부터 하강되면서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133)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에 대한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밀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가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 확인 부재(145)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110) 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배관의 용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146)과, 힌지(147)와, 용접 확인창(148)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46)은 상기 용접 확인 부재(145)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부(111)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 홀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147)는 상기 본체부(111)에 대해 상기 프레임(146)을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용접 확인창(148)은 상기 프레임(146)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1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수행되는 용접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접 확인창(148)은 불티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 유리와, 용접이 수행되는 동안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용접용 흑유리 등 두 개의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갭 메움 부재(15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부재(110)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부재(110)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본체 부재(110)의 내면과 상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을 메우면서 상기 배관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갭 메움 부재(15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내부에서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가능한 상기 이동부(151)와, 상기 본체 부재(110)에 장착되고,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완료된 상기 이동부(151)를 눌러 주어 상기 본체 부재(110)에 대한 상기 이동부(151)의 위치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위치 고정부(15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151)는 이동 몸체(152)와, 이동부측 삽입홀(153)과, 이동부측 회전체(154)와, 이동부측 연결 수단(15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몸체(152)는 일정 길이의 사각 바아(bar)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홀(114)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114)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153)은 상기 이동 몸체(152)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되, 상기 이동 몸체(15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는 상기 이동 몸체(1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것으로, 롤러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의 외측면은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의 밀착성이 용이하도록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측 연결 수단(155)은 상기 이동 몸체(152)에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는 상기 이동부측 연결 수단(155)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본체 부재(1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 내부에 상기 배관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151)가 상기 본체 부재(110)의 내부 쪽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업자가 손으로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151)를 밀게 되면,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가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본체 부재(1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 사이의 갭이 메워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가 상기 배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가 외력에 의해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될 때에도, 상기 배관에 대한 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156)는 위치 고정 몸체(157)와,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157c)와,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와, 삽입체측 돌기(158a)와, 위치 고정측 탄성체(159)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상측부에 형성된 상기 본체측 결합홀(115)에 그 일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는 상기 본체측 결합홀(115)에 결합되면서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측 몸체(157a)와, 그 외면에 상기 하측 몸체(157a)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몸체(157a)와 나사 결합되는 상측 몸체(157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는 제작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하측 몸체(157a) 및 상기 상측 몸체(157b)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와 상기 위치 고정측 탄성체(159)가 배치된 후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157c)는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의 내측면, 더 정확하게는 상기 상측 몸체(157b)의 내측면에서 중심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는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 내부에 배치되되, 그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측 탄성체(159)에 의해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 외부로 돌출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15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체측 돌기(158a)는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157c)는 상기 상측 몸체(157b)에서 상대적으로 상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체측 돌기(158a)는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몸체(152)에 근접되는 하측부에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위치 고정측 탄성체(159)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체측 돌기(158a)는 상기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157c)의 직경에 비해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의 중심 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그러면,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157c)에 걸림으로써,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로부터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 고정측 탄성체(159)는 상기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157c)의 저면과 상기 삽입체측 돌기(158a)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15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배관이 상기 본체 부재(1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에 의해 감싸인 상태에서,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15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가 상기 배관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부(151)를 상기 배관 쪽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에 전달되었던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 전달 시 수축되면서 축적되었던 상기 위치 고정측 탄성체(159)의 탄성력이 복원되어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가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153)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153)에 대한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158)의 삽입에 의해 상기 이동부(15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153)이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부(151)는 용접이 요구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배관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본체 부재(110)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 거리가 가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접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상이하여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사이의 갭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이동부(151)가 이동되면서 상기 갭을 메울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용접이 요구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상기 이동부(151)는 상기 작업자가 손으로 밀어주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110)에서 상기 배관 쪽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이동된 후 상기 위치 고정부(156)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용접이 요구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면, 상기 이동부(151)는 상기 작업자가 손으로 밀어주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110)에서 상기 배관 쪽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이동된 후 상기 위치 고정부(156)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갭 메움 부재(150)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형성되고, 그 일측부의 양측 말단부와 그 타측부의 양측 말단부에서 한 쌍으로 각각 대면되면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네 개로 이루어지되,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의 하측부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의 상측부는 복수 개의 상기 갭 메움 부재(150)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사이의 갭이 메워지면서 상기 배관이 상기 갭 메움 부재(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배관의 외측면이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 및 상기 갭 메움 부재(150)에 의해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전체적으로 고루 지지됨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가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해 상기 배관의 외측면에서 회전되는 동안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의 임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60)는 상기 배관의 용접 시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본체 부재(11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불티 확산 방지벽(161)과, 방지벽측 관통 홀(162)과, 방지벽 연결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은 상기 본체 부재(110)의 측벽부에 배치되고, 일정 면적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은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의 하부와 상기 배관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이 서로 다른 복수 개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 중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의 하부에 형성된 곡면의 곡률이 용접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진 상기 배관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162)은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 부재(110)의 측벽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가 삽입된다.
상기 방지벽 연결부(163)는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을 상기 본체 부재(110)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방지벽 연결 몸체(164)와, 누름체(165)와,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166)를 포함한다.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는 상기 방지벽 연결부(163)의 외곽을 이루되, 양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누름체(165)와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166)가 배치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양 측면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체(165)는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누름체(165)는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일측 말단부는 상기 작업자가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체(165)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양 측면 중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 쪽에 있는 것이 상기 누름체(165)에 의해 막히게 되고, 상기 누름체(165)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양 측면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양 측면 중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166)는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내측면과 상기 누름체(165)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체(165)를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하부 쪽으로 밀어 주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162)에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가 관통되어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이 상기 본체 부재(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체(165)에 상기 작업자의 손으로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누름체(165)를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상측부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양 측면 중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 쪽을 통해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의 내부로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누름체(165)에 전달된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 전달 시 축적되었던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166)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체(165)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164) 내부로 삽입된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를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110)에 대한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지벽 연결부(163)는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방지벽 연결부(163)는 상기 본체 부재(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면서 형성된다.
그러면, 하나의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에 대해서는 양측에서 상기 방지벽 연결부(163)가 한 쌍의 상기 본체측 돌출부(116)와 연결되어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이 상기 본체 부재(1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본체 부재(110)의 양 측벽부에 한 쌍의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10) 내부에서 양 측으로 튀는 상기 불티의 확산을 모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관 지지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70)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의 용접 시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관 지지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70)는 상기 배관의 외측면 중 일정 면적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 지지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70)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내측에 장착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사이로 상기 불티가 상기 배관 지지 몸체(121) 외부로 배출되면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71은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의 일부분을 막으면서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의 용접 시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를 통해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접봉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이고, 도면 번호 172는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113)의 일부분을 막으면서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113)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의 용접 시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113)를 통해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113)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접 토치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이다.
상기 배관 지지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70), 상기 용접봉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171)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172)는 상기 불티가 접촉되더라도 불이 붙지 아니하는 내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는 무게추(17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175)는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 사이의 무게차를 상대적으로 줄이기 위해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 부재(110)에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130)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140)와 상기 용접 확인 부재(145)와, 상기 갭 메움 부재(150) 및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160)가 장착됨으로 인해 그 무게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무게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무게차로 인해 상기 배관의 용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본체 부재(110)가 중력 방향으로 회전하는 임의 회전 운동이 발생되는데, 상기 무게추(175)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110)의 무게로 인한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의 임의 회전 운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를 이용한 용접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용접이 요구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을 확인하고, 복수 개의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161) 중 그 하부에 상기 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된 것을 상기 본체부(111)의 양측벽부에 각각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 걸이체(142)에 상기 제 2 걸림봉(144)을 걸어서 상기 본체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를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로 용접이 요구되는 상기 배관을 감싼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걸림체(134)의 상기 제 1 걸림봉(135)을 상기 제 1 걸이체(132)의 고리에 걸어서 상기 본체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이동부(151)가 상기 배관 쪽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업자가 손으로 외력을 전달하고, 상기 이동부(151)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154)가 상기 배관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사이의 갭이 메워지면, 상기 위치 고정부(156)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15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용접봉 투입구(112)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113)에 상기 용접봉과 상기 용접 토치를 각각 투입하여 용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가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120)와, 상기 제 1 연결 부재(130)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140)와, 상기 용접 확인 부재(145) 및 상기 갭 메움 부재(150)를 포함함에 따라, 용접되는 상기 배관의 직경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범용적으로 상기 본체 부재(110)와 상기 배관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메워 줌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100)가 상기 배관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배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위에서 다른 각도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일부를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갭 메움 부재가 분해된 분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를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18은 도 17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체에 적용된 제 1 확산 방지체 및 제 2 확산 방지체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21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200)가 본체 부재(210)와, 배관 지지 부재(220)와, 제 1 연결 부재(230)와, 제 2 연결 부재(240)와, 용접 확인 부재(245)와, 갭 메움 부재(250) 및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2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200)는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260)와,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270)와, 무게추(27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부재(210)는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배관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211)와, 상기 본체부(21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해 녹여지는 용접봉이 투입되는 용접봉 투입구(212)와, 상기 본체부(211)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한 용접 토치가 투입되는 용접 토치 투입구(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210)에는 상기 본체 부재(210)의 측벽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면서, 그 내부에 돌출부측 관통홀(216a)을 가지는 본체측 돌출부(216)가 형성되고,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연결 부재(230)는 상기 본체 부재(210)의 일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일측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1 연결 몸체(231)와, 제 1 걸이체(232)와,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과, 제 1 걸림체(234)와, 제 1 연결측 조임체(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는 상기 본체 부재(210)의 일측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걸이체(232)는 일정 면적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부재(210)의 경사진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외측에는 소정 길이 돌출되되 그 내부는 관통 형성된 돌출 뭉치(232a)가 형성되고, 그 말단부에는 후크 형태의 고리(232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은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그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은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되,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 수단 머리부(233a)는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의 상측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 중 상기 결합 수단 머리부(233a)는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의 나사산만 상기 제 1 연결 몸체(23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걸림체(234)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일측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걸이체(232)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는 상기 제 1 걸이체(232)의 상기 돌출 뭉치(232a) 내부에 형성된 관통 홀에에 삽입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이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이 관통되는 내면에는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237은 상기 제 1 걸이체(232)의 양측 말단부에 배치되어, 그 사이의 빈 공간에 상기 제 1 걸이체(232)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걸이체(232)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을 따라 승강될 때, 상기 제 1 걸이체(232)가 슬라이딩되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체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에 외력을 전달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상기 제 1 연력측 결합 수단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되다가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의 상면과 상기 돌출 뭉치(232a)의 내측면 중 상면이 서로 밀착되고,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의 상면과 상기 돌출 뭉치(232a)의 내측면 중 상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에 외력을 전달하여 일 방향으로 추가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추가 상승되면서 상기 돌출 뭉치(232a)가 형성된 상기 제 1 걸이체(232)도 함께 상승된다.
상세히,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1 걸이체(232)도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됨으로써,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의해 조여지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에 외력을 전달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상기 제 1 연력측 결합 수단의 나사산을 따라 하강되다가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의 저면과 상기 돌출 뭉치(232a)의 내측면 중 저면이 서로 밀착되고,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의 저면과 상기 돌출 뭉치(232a)의 내측면 중 저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에 외력을 전달하여 타 방향으로 추가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추가 하강되면서 상기 돌출 뭉치(232a)가 형성된 상기 제 1 걸이체(232)도 함께 하강된다.
상세히,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233)을 따라서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23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1 걸이체(232)도 슬라이딩되면서 하강됨으로써,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가 풀어지게 된다.
상기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280)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커버부(281)와, 제 2 커버부(283)와, 힌지부(28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280)는 커버측 연결부(28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버부(281)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일부를 덮는 것이다.
상기 제 2 커버부(283)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커버부(281)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 중 상기 제 1 커버부(281)에 의해 덮인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것이다.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는 상기 배관 용접 시 발생되는 상기 불티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의 외주면에는 장공 형태의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285)는 상기 제 1 커버부(281)와 상기 제 2 커버부(28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힌지부(285)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부(281)와 상기 제 2 커버부(283)는 상측의 개방부가 상대적으로 벌어지도록 회전된 상태로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근접된 후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커버측 연결부(286)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커버측 연결체(287a)와, 확장체(287b)와, 커버측 가압체(287c)와, 커버측 탄성체(288)와, 커버 지지체(289)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면,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의 나사산이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체(287b)는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체(287b)는 상기 커버측 탄성체(288)가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측 탄성체(288)의 일측 말단부가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측 가압체(287c)는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가 삽입되면서 연결되고, 일정 면적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측 탄성체(288)는 상기 확장체(287b)와 상기 커버측 가압체(287c)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측 가압체(287c)가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측 가압체(287c)에 탄성력을 전달시키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체(289)는 상기 커버측 연결체(287a)의 말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에 관통되거나,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의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 지지체(289)는 그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의 장공 방향과 상기 커버 지지체(289)의 장공 방향이 서로 평행하면, 상기 커버 지지체(289)는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에 각각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의 장공 방향과 상기 커버 지지체(289)의 장공 방향이 서로 수직되면, 상기 커버 지지체(289)는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을 각각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각 커버측 연결부(286)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 쪽으로 접근되어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가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에 관통된 후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의 장공 방향이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의 장공 방향과 수직되도록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각 가압체는 상기 각 커버측 탄성체(288)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시키되,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는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각 커버측 연결부(286)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가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의 장공 방향이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의 장공 방향과 평행되도록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각 커버측 탄성체(288)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각 가압체가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를 각각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커버부(281) 및 상기 제 2 커버부(283)는 상기 각 커버 지지체(289)가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282)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284)에 먼저 관통된 후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260)는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상기 불티가 상기 본체 부재(21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불티 확산 방지벽(261)과, 방지벽측 관통 홀(262)과, 방지벽 연결부(263)를 포함한다.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261)은 상기 본체 부재(210)의 측벽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부재(210)의 측벽부를 막음과 함께, 일정 면적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262)은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261)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측 돌출부(216)가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262)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방지벽 연결부(263)는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261)을 상기 본체 부재(210)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방지벽 연결 몸체(264)와, 누름체(265)와,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266)를 포함한다.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264)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방지벽 하측 몸체(264a)와, 상기 방지벽 하측 몸체(264a)와 결합되는 방지벽 상측 몸체(264b)와, 상기 방지벽 상측 몸체(264b)에서 상기 본체측 돌출부(216)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 돌출부(216)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삽입홀(264c)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체(265)는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264) 내부에서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264)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배치되고, 양측 말단부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264)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 전달이 가능하며, 그 저면에는 소정 길이 돌출된 누름 돌기(265a)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266)는 상기 방지벽 상측 몸체(264b)의 내부와 상기 누름체(265)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체(265)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262)에 상기 본체측 돌출부(216)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체(265)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누름체(265)를 상기 방지벽 상측 몸체(264b)의 상측에 근접되도록 상승시키고, 상기 돌출부 삽입홀(264c)에 상기 본체측 돌출부(216)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누름체(265)에 전달된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 전달 시 축적되었던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266)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 돌기(265a)가 상기 돌출부측 관통홀(216a)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210)에 대한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261)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270)는 상기 용접봉 투입구(212)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213)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방생되는 상기 불티가 상기 용접봉 투입구(212)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213)를 통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확산 방지체(271)와, 제 2 확산 방지체(27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는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와 맞대어지면서 방염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에는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에 복수 개의 부채꼴 형태가 형성되도록 그 중앙부에서 방사형 형태로 절단되는 복수 개의 제 1 확산 방치체측 절단선(27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에는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에 복수 개의 부채꼴 형태가 형성되도록 그 중앙부에서 방사형 형태로 절단되는 복수 개의 제 2 확산 방치체측 절단선(274)이 형성된다.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는 고무의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에 의해 복수 개의 제 1 확산 방치체측 절단선(272) 사이에 서로 이격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관 용접 시 상기 불티가 상기 용접봉 투입구(212)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213)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방염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는 천 형태로 형성되어 그 모양이 원래대로 복원되지 아니하고 상기 용접봉 투입구(212) 또는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213) 쪽으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270)는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와,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하나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각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가 상대적으로 안쪽, 즉 상기 본체 부재(210)의 내부에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가 상대적으로 바깥쪽, 즉 상기 본체 부재(210)의 외부에 근접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 및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측 절단선(272) 및 제 2 확산 방지체측 절단선(274)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관 용접 시 발생되는 상기 불티가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 및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 중 어느 하나에서 통과되더라도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271) 및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273) 중 다른 하나에서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불티의 외부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게추(275)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무게를 인가하여 상기 본체 부재(210)와의 무게 균형을 맞춰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무게 균형이란, 상기 본체 부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무게가 가벼운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와 상기 본체 부재(210)의 무게가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세히, 상기 배관 용접을 위해서는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200)가 상기 배관의 외측면에서 한 바퀴 회전되어야 하는데, 상기 배관 부재에 대한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200)의 회전 중 상기 본체 부재(2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가 중력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수평 상태로 위치되면, 상기 본체 부재(210)의 무게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무게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200)는 상기 본체 부재(210)가 있는 쪽으로 임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275)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장착되면,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무게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본체 부재(210)의 무게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무게가 상기 배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2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가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해 수평 상태로 위치되더라도, 무게 차이로 인한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275)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275)의 외측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장공홈(276)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275)는 상기 장공홈(276)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체결되는 고정 수단(27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무게추(275)는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 상기 장공홈(276)을 통해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의 외곽을 따라 이동된 후, 그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수단(277)에 의해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 수단(277)이 상기 장공홈(276)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무게추(275)가 상기 장공홈(276)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작업자는 상기 배관 용접을 수행하기 전 상기 장공홈(276)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무게추(275)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조정하여 상기 본체 부재(2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가 상기 무게 균형을 이루게 하고, 상기 본체 부재(210)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대한 상기 무게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관 지지 부재(220)에 상기 고정 수단(277)을 고정시킨다.
상기 무게추(275)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260)를 구성하는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261)의 교체 등으로 인해 상기 본체 부재(210)의 무게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무게추(275)의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무게 균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에 의하면, 배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상기 배관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메워 줌으로써 상기 배관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배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 용접 중 발생되는 불티가 그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110 : 본체 부재
111 : 본체부 112 : 용접봉 투입구
113 : 용접 토치 투입구 116 : 본체측 돌출부
120 : 배관 지지 부재 130 : 제 1 연결 부재
140 : 제 2 연결 부재 145 : 용접 확인 부재
150 : 갭 메움 부재 151 : 이동부
156 : 위치 고정부
160 :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
170 : 배관 지지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
270 :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
275 : 무게추
280 :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

Claims (12)

  1. 용접이 요구되는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을 용접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본체 부재에 의해 감싸진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일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타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타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 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배관의 용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확인 부재; 및
    상기 본체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부재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본체 부재의 내면과 상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을 메우면서 상기 배관에 밀착될 수 있는 갭 메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갭 메움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본체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배관을 향해 이동 완료된 상기 이동부를 눌러 주어 상기 본체 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일정 길이의 바아(bar) 형태로 형성된 이동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되, 상기 이동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형성된 이동부측 삽입홀과,
    상기 이동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측 회전체와,
    상기 이동 몸체에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동부측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본체 부재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홀이 형성된 위치 고정 몸체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의 내측면에서 중심 쪽으로 돌출된 위치 고정 몸체측 돌기와,
    상기 위치 고정 몸체의 관통 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위치 고정 몸체 내부에 배치되되, 그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고정측 삽입체와,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체측 돌기와,
    상기 고정 몸체측 돌기의 저면과 상기 삽입체측 돌기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가 상기 위치 고정 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밀어주는 위치 고정측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이 상기 본체 부재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의해 감싸인 상태에서,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이동부측 회전체가 상기 배관에 밀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상기 배관 쪽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에 전달되었던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 전달 시 수축되면서 축적되었던 상기 위치 고정측 탄성체의 탄성력이 복원되어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가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측 삽입홀에 대한 상기 위치 고정측 삽입체의 삽입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에는 상기 본체 부재의 측벽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본체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는 상기 배관의 용접 시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본체 부재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의 측벽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이 형성된 불티 확산 방지벽과,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에서 관통 형성되는 방지벽측 관통 홀과,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을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시키는 방지벽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벽 연결부는
    양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방지벽 연결 몸체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누름체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누름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체를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하부 쪽으로 밀어 주는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에 상기 본체측 돌출부가 관통되어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이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체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누름체를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상측부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개방된 양 측면 중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과 대면되는 측면을 통해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내부로 상기 본체측 돌출부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누름체에 전달된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 전달 시 축적되었던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체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 내부로 삽입된 상기 본체측 돌출부를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에 대한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5. 용접이 요구되는 배관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을 용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중 상기 본체 부재에 의해 감싸진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일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타측부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타측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부재 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배관에 대한 용접인 배관 용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확인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 부재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본체 부재의 내면과 상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갭(gap)을 메우면서 상기 배관에 밀착될 수 있는 갭 메움 부재; 및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불티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는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일부를 덮는 제 1 커버부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지지 부재 중 상기 제 1 커버부에 의해 덮인 부분 이외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 2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커버측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외주면에는 장공 형태의 제 1 커버측 관통홀 및 제 2 커버측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불티 확산 방지 커버 부재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는 커버측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측 연결부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커버측 연결체와,
    상기 커버측 연결체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체와,
    상기 커버측 연결체가 삽입되면서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시킬 수 있는 커버측 가압체와,
    상기 확장체와 상기 커버측 가압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측 가압체가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측 가압체에 탄성력을 전달시키는 커버측 탄성체와,
    상기 커버측 연결체의 말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커버측 연결부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가 상기 배관 지지 부재 쪽으로 접근되어 상기 각 커버 지지체가 상기 제 1 커버측 관통홀 및 상기 제 2 커버측 관통홀에 관통된 후 제 1 커버측 관통홀 및 제 2 커버측 관통홀의 장공 방향이 상기 각 커버 지지체의 장공 방향과 수직되도록 상기 각 커버 지지체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각 가압체는 상기 각 커버측 탄성체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시키되,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각 커버 지지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에 형성되는 제 1 연결 몸체와,
    상기 본체 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 1 연결 몸체에 연결되고, 그 외측에는 소정 길이 돌출되되 그 내부는 관통된 돌출 뭉치가 형성되고, 그 말단부에는 후크 형태의 고리가 형성되는 제 1 걸이체와,
    상기 제 1 연결 몸체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그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과,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일측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걸이체에 걸릴 수 있는 제 1 걸림체와,
    상기 제 1 걸이체의 상기 돌출 뭉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이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이 관통되는 내면에는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제 1 연결측 조임체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1 걸이체도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됨으로써,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의해 조여지게 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가 상기 제 1 연결측 결합 수단을 따라서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측 조임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제 1 걸이체도 슬라이딩되면서 하강됨으로써,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배관 지지 부재가 풀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에는 상기 본체 부재의 측벽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그 내부에 돌출부측 관통홀을 가지는 본체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는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상기 불티가 상기 본체 부재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의 측벽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부재의 측벽부를 막음과 함께, 상기 배관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이 형성된 불티 확산 방지벽과,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에서 관통 형성되는 방지벽측 관통 홀과,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을 상기 본체 부재에 연결시키는 방지벽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벽 연결부는
    방지벽 하측 몸체와, 상기 방지벽 하측 몸체와 결합되는 방지벽 상측 몸체와, 상기 방지벽 상측 몸체에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삽입홀을 포함하는 방지벽 연결 몸체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 내부에서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배치되고, 양측 말단부가 상기 방지벽 연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 전달이 가능하며, 그 저면에는 소정 길이 돌출된 누름 돌기가 형성된 누름체와,
    상기 방지벽 상측 몸체의 내부와 상기 누름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체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는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벽측 관통 홀에 상기 본체측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체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누름체를 상기 방지벽 상측 몸체의 상측에 근접되도록 상승시키고, 상기 돌출부 삽입홀에 상기 본체측 돌출부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누름체에 전달된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 전달 시 축적되었던 상기 방지벽 연결측 탄성체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 돌기가 상기 돌출부측 관통홀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에 대한 상기 불티 확산 방지벽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그 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배관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해 녹여지는 용접봉이 투입되는 용접봉 투입구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용접을 위한 용접 토치가 투입되는 용접 토치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는
    상기 용접봉 투입구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배관 용접이 수행될 때 방생되는 상기 불티가 상기 용접봉 투입구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를 통해 상기 용접봉 투입구 및 상기 용접 토치 투입구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투입구측 불티 확산 방지 부재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확산 방지체와,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와 맞대어지면서 방염포로 이루어진 제 2 확산 방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에는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에 복수 개의 부채꼴 형태가 형성되도록 그 중앙부에서 방사형 형태로 절단되는 복수 개의 제 1 확산 방치체측 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에는
    상기 제 2 확산 방지체에 복수 개의 부채꼴 형태가 형성되도록 그 중앙부에서 방사형 형태로 절단되는 복수 개의 제 2 확산 방치체측 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확산 방지체측 절단선 및 제 2 확산 방지체측 절단선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에 무게를 인가하여 상기 본체 부재와의 무게 균형을 맞춰줄 수 있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배관 지지 부재의 외곽을 따라 이동된 후, 그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KR1020200065891A 2020-06-01 2020-06-01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KR10216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91A KR102165200B1 (ko) 2020-06-01 2020-06-01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91A KR102165200B1 (ko) 2020-06-01 2020-06-01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200B1 true KR102165200B1 (ko) 2020-10-13

Family

ID=7288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891A KR102165200B1 (ko) 2020-06-01 2020-06-01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26B1 (ko) * 2023-01-20 2023-05-09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불티 비산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439A (ja) * 1993-02-16 1994-08-3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配管溶接装置
KR200411329Y1 (ko) 2005-12-16 2006-03-15 (주)드리맥스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
KR101397186B1 (ko) 2012-09-25 2014-05-27 오동원 위빙타입 배관용접장치
KR102069028B1 (ko) * 2019-05-13 2020-01-22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배관 용접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439A (ja) * 1993-02-16 1994-08-30 Takasago Thermal Eng Co Ltd 配管溶接装置
KR200411329Y1 (ko) 2005-12-16 2006-03-15 (주)드리맥스 파이프 부재의 알곤 용접용 가이드
KR101397186B1 (ko) 2012-09-25 2014-05-27 오동원 위빙타입 배관용접장치
KR102069028B1 (ko) * 2019-05-13 2020-01-22 주식회사 금창이엔에스 배관 용접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26B1 (ko) * 2023-01-20 2023-05-09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불티 비산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99B1 (ko) 배관 가접 지그 및 상기 배관 가접 지그를 포함하는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유닛
KR102165200B1 (ko) 불티 확산 방지형 배관 용접 장치
KR101304318B1 (ko) 배관 용접 보호 장비
KR101044591B1 (ko) 용접 불꽃 보호 부재
CH677688A5 (ko)
WO2021206129A1 (ja) 仮設足場用緊結部材
KR102171762B1 (ko) 비계파이프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비계구조물
KR20210120818A (ko) 용접용 지그
FR2516590A1 (ko)
KR102102365B1 (ko) 배관지지장치
KR20110071319A (ko) 소재 적재용 팔레트
CN218031800U (zh) 管道预变位固定件
FR2554906A1 (fr) Dispositif de centrage pour des parties de conduit susceptibles d'etre accouplees
KR102121232B1 (ko) 가접용 실드 장치
KR102113681B1 (ko)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KR200218599Y1 (ko) 용접 부산물 포집구
CN116378380B (zh) 一种钢结构施工平台
FR2679813A1 (fr) Dispositif pour assembler par soudage et pour isoler des extremites assemblees de fils electriques.
JP6632499B2 (ja) ガスボンベ固定具
KR101286899B1 (ko) 진동 방지형 곤돌라 시스템
JP7402625B2 (ja) 穴埋め材支持具及び穴埋め材充填方法
KR102565045B1 (ko) 케이싱 가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싱 시공방법
KR200488602Y1 (ko) 원터치 타입 파이프 결속기
KR102565451B1 (ko) 파이프의 삽입 깊이 확인용 표시구
CA2864350A1 (en) Interlocking device for ground cover m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