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681B1 -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681B1 KR102113681B1 KR1020180150899A KR20180150899A KR102113681B1 KR 102113681 B1 KR102113681 B1 KR 102113681B1 KR 1020180150899 A KR1020180150899 A KR 1020180150899A KR 20180150899 A KR20180150899 A KR 20180150899A KR 102113681 B1 KR102113681 B1 KR 102113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plate
- pulley
- guide bolt
- pip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4—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cooperating with specially formed features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cooperating with holes or ribs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의 융착 결합 시 융착면의 반대편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대편의 파이프의 저면을 받쳐주는 지지장치로, 다수의 베어링들을 이용하여 파이프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지지장치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파이프 및 베어링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두꺼운 롤러를 다수의 작은 베어링들로 바꿔줌으로써 무게와 비용을 감소시키고, 직경이 큰 파이프에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파이프의 융착 결합 시 융착면의 반대편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대편의 파이프의 저면을 받쳐주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파이프를 융착기를 통해 열을 가해 접합시키는 융착작업시, 융착면의 반대편이 파이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져서 융착부에 균열이 생기기 때문에 반대편 파이프의 밑에서 상향으로 지지해주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82979호(발명의 명칭 : 파이프 지지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도입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1의 종래기술은 외주면이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 내측을 따라서 원호형상의 개구부(109)가 형성되고, 개구부(109)의 하측 개구벽(111)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된 제1롤러 거치대(113)와, 제1롤러 거치대(113)와 동일한 형상의 제2롤러 거치대(115)와, 제1롤러 거치대(113)와 제2롤러 거치대(115)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연결바(105), (107)들과, 제1롤러 거치대(113)와 제2롤러 거치대(115)의 요철에 양단부가 삽입되며, 파이프의 밑면을 지지하는 롤러(101), (10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롤러(101), (103)들은 제1롤러 거치대(113)와 제2롤러 거치대(115)가 마주보는 내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중앙 원통부(129)와, 중앙 원통부(129)의 양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경사부(131), (133)들과, 경사부(131), (133)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원통부(135), (137)들과, 연장 원통부(135), (137)의 양단부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측 개구벽(111)에 형성된 요철에 삽입되는 삽입핀(139), (141)들로 이루어져 , 지지장치(100)는 롤러(101), (103)들의 경사부(131), (133)들에 의해 파이프를 지지하며, 롤러(101), (103)들의 삽입부(139), (141)들을 거치대(113), (115)들의 요철에 위치를 바꿔 삽입함으로써 지지장치(100)와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다.
그러나 파이프가 롤러(101), (103)들의 경사부(131), (133)들에 점접촉하고, 이에 따라 파이프의 무게가 경사부(131), (133)들과 파이프가 접하는 점들에 집중되기 때문에 파이프의 외경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롤러(101), (103)들은 파이프의 무게가 경사부(131), (133)들에 집중되어 파이프의 무게를 버티기 위해 롤러(101), (103)들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이 무거워진다.
또한 종래기술은 파이프의 외경이 거치대(113), (115)들의 간격보다 클 경우, 파이프가 거치대(113), (115)들에 의해 롤러(101), (103)들에 접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즉 1)파이프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지지장치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파이프 및 롤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2)파이프 지지부의 형태에 변화를 줘서 무게를 줄이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3)큰 외경의 파이프에도 적용이 가능한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에 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파이프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지지장치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파이프 및 롤러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하나의 두꺼운 롤러를 다수의 작은 롤러들로 바꿔줌으로써 무게와 비용을 감소시키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직경이 큰 파이프에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파이프들의 융착 작업 시에 파이프 융착면의 반대편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반대편의 저면을 상향으로 받쳐주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면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 수직판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양단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풀리와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오목한 형상으로 걸쳐져서 상기 파이프의 융착면의 반대편의 저면을 받쳐주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은 상부 양단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원형부 관통공과,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대하여 상기 제1 원형부 관통공과 대칭되게 제2 원형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풀리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각각 형성된 제1 원형부 관통공에 관통되는 제1 고정볼트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각각 형성된 제2 원형부 관통공에 관통되는 제2 고정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상기 제1 원형부 관통공과 상기 제2 원형부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1 수직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이격된 내측 하단에는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과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에는 제1 가이드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볼트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외측에서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에는 제2 가이드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볼트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외측에서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 중 어느 하나의 수직판의 일측면과 상기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 사이와 타측면과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의 사이에 각각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시단부가 상기 제1 수직판, 상기 제2 수직판,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상부면에 걸쳐지고 종단부가 상기 제1 수직판, 상기 제2 수직판,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상부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최저점이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의 상기 와이어 로프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파이프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경로는 시단부로부터 출발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진행된 후 상기 제1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된 후 상기 제1 가이드볼트의 저면과 접촉된 후 상향으로 감겨져 상기 제1 가이드볼트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제1 풀리의 저면에 접촉된 후 상향으로 감겨져 상기 제1 풀리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제2 풀리의 상면에 접촉된 후 하향되게 감겨져 상기 제2 풀리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된 후 상기 제2 가이드볼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감겨져 상기 제2 가이드볼트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의 종단부가 상기 제2 클램프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과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이드볼트와 상기 제2 가이드볼트가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과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파이프의 저면과 접촉되는 베어링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와 접촉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지지장치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파이프 및 롤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하나의 두꺼운 롤러를 다수의 작은 롤러들로 바꿔줌으로써 무게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이 큰 파이프에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82979호(발명의 명칭 : 파이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수직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파이프 지지장치로 직경이 다른 두 파이프를 지지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수직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파이프 지지장치로 직경이 다른 두 파이프를 지지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는 융착 작업 시, 융착면의 반대편이 파이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져서 융착부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대편의 파이프 저면을 상향으로 지지해주는 지지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1)는 직사각형의 지지판(211)과 지지판(211)의 하부면에서 지면에 접촉되게 하향 돌출되는 받침부(212)로 이루어진 베이스(21)와, 베이스(21)의 상부에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면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22)과, 제1 수직판(22)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수직판(22)과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 수직판(22)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 수직판(23)과, 제1, 제2 수직판(22), (23)의 양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 시단부가 제1 수직판(22) 또는 제2 수직판(23)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의 상부면에 걸쳐져서 제1, 제2 풀리(24), (24‘)의 상부면과 접촉된 후 종단부가 제1 수직판(22) 또는 제2 수직판(23)의 하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로프(31)와,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 사이의 와이어 로프(31)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파이프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로프(31)는 파이프가 융착될 때 파이프의 융착면의 반대편의 저면을 받쳐 올려줘서 반대편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의 상부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최저점이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21)는 직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는 지지판(211)과, 지지판(211)의 양측단부와 중간지점에 하향 돌출되어 베이스(21)를 지지해주는 받침부(212)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장치(1)를 지면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판(211)에는 앙면을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설치공(213)들이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2열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4는 도2의 제1 수직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제1 수직판(22)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중앙에 최저점을 갖도록 지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부(221)와 곡면부(221)의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볼록한 곡면 형상의 원형부(222)가 서로 길이방향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고, 측면은 원형부(222)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하향직선부가 형성되며, 제1 수직판(22)의 하면은 일정간격으로 홈부와 돌출부(223)가 반복되게 형성되며, 돌출부(223)는 베이스(21)에 형성된 설치공(213)들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1 수직판(22)의 상부 양단의 원형부(222)의 내측에 대향되는 제1 원형부 관통공(224)과 제2 원형부 관통공(224‘)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수직판(22)의 원형부 관통공(224), (224’)들로부터 제1 수직판(22)의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이격된 내측 하단에는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225)과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225‘)이 형성된다.
제2 수직판(23)은 제1 수직판(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추가적으로 제2 수직판(23)의 양측면과 가이드볼트 관통공(225), (225’)들 사이에 와이어 로프(31)의 시단부와 종단부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제1 클램프(231)와 제2 클램프(231‘)가 중앙선(X-X’)에 대하여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때 클램프(231), (231‘)들은 제2 수직판(23)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제1 수직판(22)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클램프(231), (231’)들은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31)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곡면부와 곡면부의 상하단에 연장되어 제2 수직판(23)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체결부들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로프(31)의 시단부와 종단부는 클램프(231), (231‘)들의 곡면부로부터 외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체결부들을 제2 수직판(23)에 볼트 결합시킴으로써 고정설치된다.
만일 융착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변화되어 와이어 로프(31)의 길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수직판(23)의 볼트를 풀어준 후 와이어 로프(31)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에 변화를 준 후에 다시 제2 수직판(23)의 볼트를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길이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제1 풀리(24)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테두리에 원주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 고정볼트(25)와 제2 고정볼트(25’)가 제1 수직판(22)과 제2 수직판(23)의 제1 원형부 관통공(224)과 제1 풀리(24)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제1 풀리(24)가 제1, 2 수직판(22), (23)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풀리(24‘)는 제1 풀리(24)와 중앙선(X-X’)에 대하여 대칭되게 설치된다.
제1 수직판(22)과 제2 수직판(23)의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225)에는 제1 가이드볼트(26)가, 제1 수직판(22)과 제2 수직판(23)의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225’)에는 제2 가이드볼트(26’)가 관통하여 제1 수직판(22)과 제2 수직판(23)의 외측에서 너트가 체결된다.
와이어 로프(31)의 경로는 시단부로부터 출발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진행된 후 제1 클램프(231)에 의하여 고정된 후 제1 가이드볼트(26)의 저면과 접촉된 후 상향으로 감겨져 제1 가이드볼트(26)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제1 풀리(24)의 저면에 접촉된 후 상향으로 감겨져 제1 풀리(24)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제2 풀리(24‘)의 상면에 접촉된 후 하향되게 감겨져 제2 풀리(24’)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된 후 제2 가이드볼트(26’)의 상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감겨져 제2 가이드볼트(26’)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와이어 로프(31)의 종단부가 제2 클램프(23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된다.
이때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 사이의 와이어 로프(31)의 곡선은 파이프의 외측면의 곡률반경과 일치되거나 큰 곡선을 이루도록 하여 파이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와이어 로프(31)는 파이프와 와이어 로프가 면 또는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점촉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파이프의 하중을 보다 넓게 분산시켜준다.
또한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의 사이의 와이어 로프(31)에는 파이프 지지수단으로 베어링(32)들과 슬리브(33)들이 와이어 로프(31)에 관통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32)들은 다수의 베어링(32)들이 파이프의 외주면과 면 또는 선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부위가 증가하여 하중이 분산되어 파이프 외경의 손상을 막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베어링(32)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파이프 융착 작업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슬리브(33)들은 베어링(32)들 사이에 위치하여 베어링(32)들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베어링(32)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의 파이프 지지장치로 직경이 다른 두 파이프를 지지하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a)는 직경이 D인 파이프를 지지한 것이고, (b)는 직경이 D보다 큰 직경이 D’인 파이프를 지지한 것이다. 지지장치(1)로 D를 지지한 상태에서 그대로 D’를 지지할 경우, 소수의 베어링(32)들만 접하여 파이프의 하중이 집중되고, 이로 인하여 파이프 및 베어링(32)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31)를 직경이 D’인 파이프에 적합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1)는 (a)의 직경이 D인 파이프를 지지한 후, (b)의 직경이 D’인 파이프를 지지를 원할 경우, 제2 클램프(231‘)의 볼트를 풀고, 와이어 로프(31)를 제2 가이드볼트(26’)와 제2 풀리(24’)에서 풀어준 후, 직경 D’에 맞게 베어링(32)들과 슬리브(33)들의 개수와 크기, 간격을 조절하여 와이어 로프(31)에 관통시켜 설치한 후, 와이어 로프(31)를 제2 가이드볼트(26’)와 제2 풀리(24’)에 감아주고,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의 사이의 와이어 로프(31)의 곡선이 직경 D’인 파이프의 외측면의 곡률반경과 일치되거나 큰 상태로 맞춰준 후 끝단부의 인접한 부분을 제2 클램프(231‘)에 고정시켜준다.
이를 통해 지지장치(1)는 직경이 D인 파이프와, D’인 파이프를 모두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파이프 지지장치(2)는 제1, 제2 수직판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가이드홀(226), (226‘)들을 갖는다. 파이프 지지장치(2)의 가이드홀(226), (226‘)들은 가이드볼트 관통공(225), (225‘)들이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볼트(26), (26’)들은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제1 수직판 또는 제2 수직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볼트(26), (26’)들과 결합된 너트를 풀어줄 경우 가이드홀(226), (226‘)들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가이드볼트(26), (26’)들이 가이드홀(226), (226‘)들을 따라 좌, 우 이동하게 되면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 사이의 와이어 로프(31)의 곡선의 곡률반경이 변화되게 된다.
이와같이 파이프 지지장치(2)는 제1, 2 수직판의 외측에서 가이드볼트(26), (26’)들의 위치를 조정시키는 것만으로도 제1 풀리(24)와 제2 풀리(24‘) 사이의 와이어 로프(31)의 곡선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21 : 베이스 22 : 제1 수직판 23 : 제2 수직판
24 : 풀리 25 : 고정볼트 26 : 가이드볼트
31 : 와이어 로프 32 : 베어링 33 : 슬리브
21 : 베이스 22 : 제1 수직판 23 : 제2 수직판
24 : 풀리 25 : 고정볼트 26 : 가이드볼트
31 : 와이어 로프 32 : 베어링 33 : 슬리브
Claims (8)
- 파이프들의 융착 작업 시에 파이프 융착면의 반대편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반대편의 저면을 상향으로 받쳐주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면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는 제1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 수직판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양단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풀리와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오목한 형상으로 걸쳐져서 상기 파이프의 융착면의 반대편의 저면을 받쳐주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은 상부 양단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원형부 관통공과,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대하여 상기 제1 원형부 관통공과 대칭되게 제2 원형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풀리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각각 형성된 제1 원형부 관통공에 관통되는 제1 고정볼트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제2 풀리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각각 형성된 제2 원형부 관통공에 관통되는 제2 고정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상기 제1 원형부 관통공과 상기 제2 원형부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1 수직판의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이격된 내측 하단에는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과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에는 제1 가이드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볼트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외측에서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에는 제2 가이드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볼트는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의 외측에서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직판과 상기 제2 수직판 중 어느 하나의 수직판의 일측면과 상기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 사이와 타측면과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의 사이에 각각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시단부가 상기 제1 수직판, 상기 제2 수직판,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상부면에 걸쳐지고 종단부가 상기 제1 수직판, 상기 제2 수직판, 상기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상부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최저점이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의 상기 와이어 로프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파이프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경로는 시단부로부터 출발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진행된 후 상기 제1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된 후 상기 제1 가이드볼트의 저면과 접촉된 후 상향으로 감겨져 상기 제1 가이드볼트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제1 풀리의 저면에 접촉된 후 상향으로 감겨져 상기 제1 풀리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제2 풀리의 상면에 접촉된 후 하향되게 감겨져 상기 제2 풀리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된 후 상기 제2 가이드볼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감겨져 상기 제2 가이드볼트에 권취된 후 역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의 종단부가 상기 제2 클램프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과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이드볼트와 상기 제2 가이드볼트가 제1 가이드볼트 관통공과 상기 제2 가이드볼트 관통공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파이프의 저면과 접촉되는 베어링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0899A KR102113681B1 (ko) | 2018-11-29 | 2018-11-29 |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0899A KR102113681B1 (ko) | 2018-11-29 | 2018-11-29 |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3681B1 true KR102113681B1 (ko) | 2020-05-21 |
Family
ID=7091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0899A KR102113681B1 (ko) | 2018-11-29 | 2018-11-29 |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36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6724B1 (ko) * | 2022-08-12 | 2023-01-10 | (주)코윈테크 | 자동 잠금 클램프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67926A (ja) * | 1990-10-30 | 1992-06-16 | France Bed Co Ltd | 金属パイプの加工装置 |
JP2000248881A (ja) * | 1999-02-25 | 2000-09-12 | Tokyo Gas Co Ltd | 配管の非開削敷設工法における配管支持方法および支持具 |
KR20010062893A (ko) * | 1999-12-21 | 2001-07-09 | 황연택 | 콘크리트 타설용 배관 받침대 |
KR100982979B1 (ko) * | 2008-10-29 | 2010-09-17 | 이남훈 | 파이프 지지 장치 |
KR20110085962A (ko) * | 2011-07-11 | 2011-07-27 | 주식회사백상 | 배관 지지대의 하중측정 장치 및 방법 |
KR101422729B1 (ko) * | 2012-06-21 | 2014-08-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가공 캐리지 |
KR20150000156U (ko) * | 2013-07-03 | 2015-01-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지지 장치 |
-
2018
- 2018-11-29 KR KR1020180150899A patent/KR1021136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67926A (ja) * | 1990-10-30 | 1992-06-16 | France Bed Co Ltd | 金属パイプの加工装置 |
JP2000248881A (ja) * | 1999-02-25 | 2000-09-12 | Tokyo Gas Co Ltd | 配管の非開削敷設工法における配管支持方法および支持具 |
KR20010062893A (ko) * | 1999-12-21 | 2001-07-09 | 황연택 | 콘크리트 타설용 배관 받침대 |
KR100982979B1 (ko) * | 2008-10-29 | 2010-09-17 | 이남훈 | 파이프 지지 장치 |
KR20110085962A (ko) * | 2011-07-11 | 2011-07-27 | 주식회사백상 | 배관 지지대의 하중측정 장치 및 방법 |
KR101422729B1 (ko) * | 2012-06-21 | 2014-08-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가공 캐리지 |
KR20150000156U (ko) * | 2013-07-03 | 2015-01-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파이프 지지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6724B1 (ko) * | 2022-08-12 | 2023-01-10 | (주)코윈테크 | 자동 잠금 클램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95363A (en) | Plastic pipe beam support | |
US6364256B1 (en) | Roof top pipe support | |
US699733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or shipping elongated members | |
RU2434988C2 (ru) | Сварной посредством лазерной сварки подкрановый рельс для подвесных крановых тележек | |
KR101495373B1 (ko) | 파이프 용접 변형 방지용 지그장치 | |
KR102113681B1 (ko) | 융착 파이프 지지장치 | |
KR101938598B1 (ko) | 어스앵커 시공용 띠장 및 대좌 설치구조 | |
KR102290443B1 (ko) | 파이프 이송장치 | |
US7699274B2 (en) | Temporary attachment for use with pipe hangers | |
JP2007210076A (ja) | H型鉄骨の下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方法。 | |
JP2003112812A (ja) | コンベヤ装置 | |
KR102102038B1 (ko) | 그루브 형성장치 | |
AU2005315252B2 (en) | Device for supporting pipes | |
KR102171762B1 (ko) | 비계파이프 연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비계구조물 | |
KR101490555B1 (ko) |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 |
KR100982979B1 (ko) | 파이프 지지 장치 | |
JP4041716B2 (ja) | 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 |
JP2002167969A (ja) | 台車付きパイプ構築フレーム | |
CN212481192U (zh) | 一种照明灯带固定装置及照明灯带装置 | |
CN212176550U (zh) | 一种锥壳型屋顶支模体系 | |
JP3500078B2 (ja) | 重力式円筒缶体移送装置 | |
CN210823694U (zh) | 连续波浪型钢卷鞍座 | |
US10724563B1 (en) | Truss rod coupling device | |
KR200483230Y1 (ko) | 배관 지지장치 | |
CN211874510U (zh) | 一种隧道二次衬砌混凝土下模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