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30Y1 - 배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30Y1
KR200483230Y1 KR2020120007534U KR20120007534U KR200483230Y1 KR 200483230 Y1 KR200483230 Y1 KR 200483230Y1 KR 2020120007534 U KR2020120007534 U KR 2020120007534U KR 20120007534 U KR20120007534 U KR 20120007534U KR 200483230 Y1 KR200483230 Y1 KR 200483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cket
clamp
pad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300U (ko
Inventor
이권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3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P)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일측이 지지물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브래킷(1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10)을 지지하는 클램프(20) 및 상기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의 갭(G)에 삽입되어 배관(P)을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삽입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수단은 상기 클램프(20)의 중앙 공간에 배관(P)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의 갭(G)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시 하나의 원 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드(31,32)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선체에 세워진 상태로 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에 설치된 브래킷과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지지장치{PIPE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의 외부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체에는 다양한 크기의 배관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오작업된 배관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의 상단부 외주면에 배관(1)의 하중에 따른 미끄럼 방지를 위해 하면이 원판 형상인 브래킷(2)을 설치한다.
이러한 브래킷(2)은 배관(1)의 외주면에 펠릿(fellet) 용접되어 클램프(3)의 상면에 안착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작업시 오작업으로 인해 브래킷(2)의 하면과 클램프(3)의 상면 사이에 갭(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브래킷(2)과 배관(1)의 용접과정에서 형성된 비드(bead)에 의해 브래킷(2)의 하면과 클램프(3)의 상면이 서로 밀착되지 못하고 비드의 두께에 대응되는 만큼의 갭(G)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갭을 제거하기 위해서 브래킷(2)의 하면에 개선 작업을 수행하고, 브래킷(2)을 배관(1)의 외면에 용접하여 공정한 후, 플러쉬 그라인딩(flush grinding) 작업을 수행하여 클램프(3)의 상면과 브래킷(2)의 하면을 밀착시키는 평탄화 작업을 수행해야만 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는 시수가 과다해지고 전체 제품의 품질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선체에 세워진 상태로 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에 설치된 브래킷과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관 설치작업시 시수를 감소시키고,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배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배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 일측이 지지물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브래킷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을 지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브래킷과 클램프 사이의 갭에 삽입되어 배관을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삽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중앙 공간에 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과 클램프 사이의 갭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시 하나의 원 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브래킷과 클램프 사이의 갭과 동일하거나 큰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중앙에는 각각 배관 및 비드가 삽입되도록 있도록 제1 및 제2 삽입공이 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의 두께는 각각 상기 브래킷과 배관을 접합하는 비드의 두께인 각장에 대응되는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장의 길이는 각목의 길이를 직접 측정해서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2068229228-utm00001
.....................[수학식 1]
여기서, L은 각장의 길이, l은 각목의 길이, θ는 각목과 각장 사이의 끼인각, 즉 45°.
상기 제1 및 제2 패드가 서로 결합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양측 선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단면이 삼각형이나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는 상기 결합홈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결합홈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 외주면에 배관과 수직 방향으로 접합되어 고정되는 원판부재와 상기 원판부재의 상면과 배관의 외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재의 중앙에는 배관이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원판부재와 배관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외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원판부재의 상면 및 배관의 외면에 각각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일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체에 세워진 상태로 배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에 설치된 브래킷과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배관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배관의 외면에 용접되는 브래킷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제1 및 제2 패드로 분할된 삽입수단을 삽입하여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배관 설치작업시 시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오작업된 배관지지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관 지지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패드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관 지지장치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패드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의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상면이 브래킷(1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래킷(10)을 지지하는 클램프(20) 및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의 갭(G)에 삽입되어 배관(P)을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삽입수단(30)을 포함한다.
브래킷(10)은 앵커링 방식(anchoring type, 닻내리기 방식)으로 배관(P)을 선체(Hull)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관(P)의 하중에 따른 배관(P)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P)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브래킷(10)은 원판 형상의 원판부재(11)와 원판부재(11)의 상면과 배관(P)의 외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판부재(11)의 중앙에는 배관(P)이 삽입되도록 관통공(13)이 형성되고, 원판부재(11)는 관통공(13)에 배관(P)이 삽입된 상태에서 배관(P)의 외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지지부재(12)는 원판부재(11)와 배관(P)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외면(P)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원판부재(11)의 상면 및 배관(P)의 외면에 각각 용접되어 고정된다.
클램프(20)는 일측이 지지물에 고정되어 브래킷(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램프(20)는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축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21,22)와 제1 및 제2 바디(21,22)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23,24)를 포함한다.
즉, 제1 바디(21)와 제2 바디(22)는 일측이 측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중앙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공간에 배관(P)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23,24)에 볼트를 체결해서 서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배관(P)은 클램프(20)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20)의 상면(25)은 브래킷(10)의 원판부재(11)와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원판부재(11)의 하면에 밀착된다.
한편, 배관(P)과 원판부재(11)의 용접시 비드의 두께에 따라 브래킷(10)의 하면과 클램프(20)의 상면(25) 사이에 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수단(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의 하면 및 클램프(20)의 상면(25)에 대응되는 원 형상으로 이루도록 각각 반원 형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패드(31,32)를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은 클램프(20)의 제1 및 제2 바디(21,22) 중앙 공간에 배관(P)을 삽입한 상태에서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에 삽입수단(3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수단(30)을 제1 및 제2 패드(31,32)로 분할하여 형성한다.
제1 및 제2 패드(31,32)는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의 갭(G)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두께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패드(31,32)의 중앙에는 각각 배관(P) 및 비드(B)가 삽입되도록 있도록 제1 및 제2 삽입공(33,34)이 형성된다.
특히, 제1 및 제2 패드(31,32)의 두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비드(B)의 두께, 즉 각장(leg length)에 대응되는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20)와 브래킷(10) 사이의 갭(G)을 실측하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작업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각목(thorat thikness)의 길이(l)를 이용해 산출된 각장의 길이(L)에 따라 제1 및 제2 패드(31,32)의 두께를 설정한다.
즉, 각장의 길이(L)는 각목(thorat thikness)의 길이(l)를 직접 측정해서 다음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산출된다.
Figure 112012068229228-utm00002
여기서, L은 각장의 길이이고, l은 각목의 길이이며, θ는 각목과 각장 사이의 끼인각, 즉 비드가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45°이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패드(31,32)의 두께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각장의 길이(L)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패드(31,32)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삽입공(33,34)은 비드의 폭을 보상하기 위해, 배관(P)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예컨대 약 1~4mm 정도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패드(31,32)가 서로 결합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느 하나의 양측 선단에는 결합돌기(3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양측 선단에는 결합돌기(35)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35)에 대응되는 결합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드(31)의 양측 선단에는 단면이 삼각형이나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인 결합돌기(35)가 형성되고, 제2 패드(32)의 양측 선단부에는 각각 단면이 삼각형이나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인 결합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35)의 높이는 결합돌기(35)를 결합홈(36)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36)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제1 패드와 제2 패드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패드(31,32)는 배관(P)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장력강(high tensile steel)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지지장치를 이용한 배관 지지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배관(P)의 상단부 외주면에 브래킷(10)을 용접하여 고정한다.
즉, 배관(P)의 상단부 외주면에 배관(P)과 수직이 되도록 원판부재(11)를 용접하고, 원판부재(11)의 상면 및 배관(P)의 외면에 복수의 지지부재(12)를 용접한다.
이어서, 일측이 지지물에 의해 지지된 클램프(20)의 중앙공간 상부에 배관(P)의 하단을 위치시킨 후, 배관(P)을 천천히 하방으로 내려서 삽입한다.
그러면, 배관(P)의 상단부에 용접된 브래킷(10)의 하면이 클램프(20)의 상면에 안착된다.
만약, 브래킷(10)의 하면과 클램프(20)의 상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갭(G)이 발생하면, 배관(P)을 클램프(20)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약간 들어올린 후, 클램프(20)의 상면에 삽입수단(30)의 제1 및 제2 패드(31,32)를 삽입한다.
이때, 제1 및 제2 패드(31,32)에는 각각 결합돌기(35)와 결합홈(36)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결합돌기(35)를 결합홈(36)에 결합시켜 제1 및 제2 패드(31,32)를 안정적으로 결합한다.
이어서, 배관(P)을 다시 하강시켜 브래킷(10)을 삽입수단(30) 및 클램프(2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클램프(20)의 제1 및 제2 바디(21,22)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23,24)에 볼트를 완전하게 체결하여 배관(P)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은 배관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배관의 외면에 용접되는 브래킷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제1 및 제2 패드로 분할된 삽입수단을 삽입하여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배관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배관의 외면에 용접되는 브래킷 사이에 갭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제1 및 제2 패드로 분할된 삽입수단을 삽입하여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관 지지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브래킷 11: 원판부재
12: 지지부재 20: 클램프
21,22: 제1, 제2 바디 23,24: 플랜지
25: 클램프의 상면 30: 삽입수단
31,32: 제1, 제2 패드 33,34: 제1, 제2 삽입공
35: 결합돌기 36: 결합홈
P: 배관 G: 갭
L: 각장의 길이 l: 각목의 길이

Claims (7)

  1. 배관(P)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일측이 지지물에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브래킷(1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10)의 하면에 용접 방식으로 접합되어 상기 브래킷(10)을 지지하는 클램프(20) 및
    상기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의 갭(G)에 삽입되어 배관(P)을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삽입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1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P)의 외주면에 배관(P)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원판부재(11)와
    상기 원판부재(11)의 상면과 배관(P)의 외면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2)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부재(11)의 중앙에는 배관(P)이 삽입되도록 관통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2)는 상기 원판부재(11)와 배관(P)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관(P)의 외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원판부재(11)의 상면 및 배관(P)의 외면에 각각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수단(30)은 상기 클램프(20)의 중앙 공간에 배관(P)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10)의 원판부재(11) 하면과 클램프(20) 상면의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갭(G)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결합시 하나의 원 형상을 이루는 제1 및 제2 패드(3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31,32)는 상기 브래킷(10)과 클램프(20) 사이의 갭(G)과 동일하거나 큰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드(31,32)의 중앙에는 각각 배관(P) 및 비드(B)가 삽입되도록 있도록 제1 및 제2 삽입공(33,34)이 배관(P)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31,32)의 두께는 각각 상기 브래킷(10)과 배관(P)을 접합하는 비드(B)의 두께인 각장(leg length)에 대응되는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장의 길이(L)는 각목(thorat thikness)의 길이(l)를 직접 측정해서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지지장치.
    Figure 112012068229228-utm00003
    .....................[수학식 1]
    여기서, L은 각장의 길이,
    l은 각목의 길이,
    θ는 각목과 각장 사이의 끼인각, 즉 4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31,32)가 서로 결합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패드(31,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양측 선단에는 결합돌기(3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결합돌기(35)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5) 및 결합홈(36)은 단면이 삼각형이나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5)의 높이는 상기 결합홈(36)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36)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결합홈(36)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지지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2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22)의 일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플랜지(23,2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23,24)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지지장치.
KR2020120007534U 2012-08-24 2012-08-24 배관 지지장치 KR200483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534U KR200483230Y1 (ko) 2012-08-24 2012-08-24 배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534U KR200483230Y1 (ko) 2012-08-24 2012-08-24 배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00U KR20140001300U (ko) 2014-03-05
KR200483230Y1 true KR200483230Y1 (ko) 2017-04-17

Family

ID=5244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534U KR200483230Y1 (ko) 2012-08-24 2012-08-24 배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170B1 (ko) * 2021-04-29 2022-04-14 주식회사 기성 내진 및 방진기능을 갖는 파이프랙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56Y1 (ko) * 2002-04-27 2002-07-27 (학)배영학숙 파이프 슬라이딩 홀더
JP2003020820A (ja) * 2001-07-09 2003-01-24 Nippon Steel Corp 鋼管柱基部の補強構造
JP2007016812A (ja) * 2005-07-05 2007-01-25 Nippon Valqua Ind Ltd ジョイントシートガス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820A (ja) * 2001-07-09 2003-01-24 Nippon Steel Corp 鋼管柱基部の補強構造
KR200283856Y1 (ko) * 2002-04-27 2002-07-27 (학)배영학숙 파이프 슬라이딩 홀더
JP2007016812A (ja) * 2005-07-05 2007-01-25 Nippon Valqua Ind Ltd ジョイントシートガスケ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170B1 (ko) * 2021-04-29 2022-04-14 주식회사 기성 내진 및 방진기능을 갖는 파이프랙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00U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442B1 (ko) 파이프 회전 장치
KR20120049425A (ko) 파이프 용접 변형 방지용 지그장치
KR200483230Y1 (ko) 배관 지지장치
KR200478598Y1 (ko) 배관용 간격유지구
JP2011064288A (ja) 配管拘束支持体
JP2014025484A (ja) 配管に対する補強部材及び支持部材の取付方法
KR100927198B1 (ko) 다용도 플랜지 배관 연결 장치
KR200413506Y1 (ko) 입상배관 지지장치
JP2010185574A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KR101226006B1 (ko) 파이프의 지지 구조체
KR100785213B1 (ko) 입상배관 지지장치
JP2014009713A (ja) 配管の留め具構造
KR101868690B1 (ko) 용접용 지그
JP2012225053A (ja) 鉛直度調整治具及び鉛直度調整工法
KR101607143B1 (ko) 파이프 가접용 고정구
JP2020020170A (ja) 足場構造体のための連結装置
CN219978195U (zh) 一种超大型轴承圈的探伤框架
KR20140006378U (ko) 유압잭을 사용하는 파이프 진원 교정장치
JP7112881B2 (ja) 杭頭接合部用治具
JP3098090U (ja) 架台用固定補助具
KR200466874Y1 (ko) 용접용 파이프 지그
CN107263012B (zh) 一种管件焊接夹具
KR20160074174A (ko) 조립고정지그 및 그의 조립고정방법
JP2012172733A (ja) 配管軸方向を拘束する配管の支持装置
CN212251469U (zh) 管道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