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179B1 -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179B1
KR102164179B1 KR1020180116389A KR20180116389A KR102164179B1 KR 102164179 B1 KR102164179 B1 KR 102164179B1 KR 1020180116389 A KR1020180116389 A KR 1020180116389A KR 20180116389 A KR20180116389 A KR 20180116389A KR 102164179 B1 KR102164179 B1 KR 10216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ughter
products
carcasses
dead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577A (ko
Inventor
김병수
오재준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1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8Silicates, e.g. perlites, zeolites or bentonite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해 및 가열 처리하여 유해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단계; 상기 분쇄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미리 설정한 수분함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영양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혼합물에 곤충 유충을 투입하여 노숙유충으로 육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노숙유충을 분리하여 보조 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FEED MANUFACTURING METHOD FOR ECO-FRIENDLY RESOURCE CYCLING OF LIVESTOCK BODY}
본 발명은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산농가의 고질적 문제인 가축 폐사체 문제를 친환경 및 자원 순환형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한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농가에서 재난형 전염병(FMD, AI)을 제외하고 가축의 폐사의 주된 원인은 호흡기, 소화기, 자연폐사 등의 이유로 닭은 평균 2%(1만 수당 200마리 정도), 돼지는 4% 정도가 폐사되는데 이는 법적으로 관계당국(동물위생연구소, 지자체 축산과 등)에 신고를 해야 되나 대부분 불법적으로 퇴비장에 방치하여 병원체의 확산 우려와 파리, 악취 등 환경 및 위생적으로 매우 우려스러운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쇄하는 장치로서 이동식 및 랜더링 등 유사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그동안의 폐사체 처리 보조사업 이었던 랜더링 처리 장치는 처리방법의 복잡성과 기름 값 부담 등의 이유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FRP통에 염산 등의 강산으로 분해하는 것은 사후 처리 어려움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재난형 전염병이 발생 시에는 이러한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토양오염, 수질오염 등의 각종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2457호(2016.02.03)
본 발명은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처리문제를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해 축사 주변의 환경위생 문제를 해결하고 동애등에 유충이 유기물 분해에 용이하게 하며 노숙 유충은 양식어류 및 가축용 단백질 보조사료로 공급하기 위한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은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해 및 가열 처리하여 유해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단계; 상기 분쇄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미리 설정한 수분함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영양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혼합물에 곤충 유충을 투입하여 노숙유충으로 육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노숙유충을 분리하여 보조 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에서 유해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단계 이후,
소정 온도로 하강한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유용미생물(EM균)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냉장 보관은 밀폐 용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분해 및 가열 처리는 동시에 수행하며, 수일 간의 발효 숙성을 수행하여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영양물질은 규산염 분말 및 탄산칼슘과, 미강 및 톱밥일 수 있다.
상기 규산염 분말 및 탄산칼슘은 2중량%, 미강 및 톱밥은 30중량% 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노숙유충이 분리되면 세척 및 이물질 제거를 한 후, 영양물질을 혼합하여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보조 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곤충은 동애등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산농가의 고질적 문제인 폐사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처리문제를 친환경 및 자원 순환형으로 처리하고 축사 주변의 위생 및 환경위생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번식력이 강하고 고단백의 해롭지 않은 동애등에 유충을 활용함으로써 자원 순환형의 친환경 단백질 보조 사료를 생산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유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동애등에가 가지는 고함유 유용 지방성분을 단백질 성분과 함께 사료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신개념의 친환경 보조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사체 고열 살균효과, 사전 유용미생물(EM균) 분해 그리고 수분조절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는 무기질과 미강 등이 공급됨으로써 동물의 영양 상태 개선과 면역 및 동물의 생산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에 필요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축 폐사체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에 필요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은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S10);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해 및 가열 처리하여 유해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단계(S20); 상기 분쇄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미리 설정한 수분함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영양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40);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혼합물에 곤충 유충을 투입하여 노숙유충으로 육성시키는 단계(S50); 및 상기 노숙유충을 분리하여 보조 사료로 제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S10)에서는 축산 농가에서 5% 정도로 발생하고 있는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적정 수량에 도달될 때까지 안전하게 밀폐 용기(10)에 넣어 저온시설에서 냉장 보관한다. 밀폐 용기(10)의 경우 예를 들어, 온도를 0~4℃ 로 유지하며 1평 면적의 크기로서 이동성과 위생적 보관 및 편리성이 보장되는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먹이로 하는 곤충으로서 동애등에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음으로, 100kg 단위의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은 폐사체 파쇄기(20)를 이용하여 겔(GEL) 상태로 완전 분쇄 처리되고 동시에 100℃ 이상으로 1시간 이상 가열 처리된다(S20). 이와 같이 100℃ 이상에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이 가열되면 유해 병원체가 사멸되는 장점이 있다.
분쇄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은 다시 30℃ 전후가 될 때까지 온도를 하강시킨 후,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유용미생물(EM균)을 첨가시켜 분해시킨다(S30). 여기에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분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용미생물(EM균) 1중량부를 혼합하여 6~7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온도를 하강시키는 것은 고온에서는 유용미생물(EM균)이 죽어버리기 때문이고, 유용미생물(EM균)이 첨가됨으로써 동애등에가 보다 효율적으로 단시간 내에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먹을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발효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은 미리 설정한 수분함량(예를 들어, 60% 수분함량)으로 적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영양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S40). 영양물질은 예를 들어, 규산염 분말 및 탄산칼슘이 2중량%, 미강 및 톱밥이 30중량% 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은 동애등에의 먹이로 제공된다.
곤충의 노숙유충 육성 단계(S50)에서는 동애등에 유충 3일령이 발효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100kg는 곤충 사육용기(30)로 투입되는데, 유충 10만개 정도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발효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에는 동애등에 유충이 투입되고 27~40℃ 에서 15일 동안 육성된다.
성숙된 노숙유충은 15일 이후에 수거장치에 의해 회수되어 자동 선별기 등에 의해 이물질과 분리되고, 분리된 이물질(분변을 포함한 잔여물)은 비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노숙유충은 탄산칼륨 등의 무기질 및 미강 등과 혼합하여 분쇄 및 건조를 시키고 보조 사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한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은 모든 과정이 하나의 표준화된 모듈(예: 컨테이너 박스)에서 이루어진다. 즉, 모듈 안에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처리부터 동애등에의 육성 및 분리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축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양식어류 및 가축의 단백질 보조 사료를 농가에 자동화 공정처리 기술로 보급할 수 있다.
[실시예]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S10)에서는 폐사체 100kg 단위로 매일 전용 밀폐 용기(10)에 넣어 위생적으로 보관하였으며, 모듈(컨테이너 박스) 내부는 4℃ 로 유지하였다.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해 및 가열 처리하는 단계(S20)에서는 S100에서 확보된 가축 폐사체를 100kg 단위로 파쇄 처리하는 단계로서, 폐사체 투입 후 가축 폐사체를 죽 형태로 갈아 내는 분쇄기는 돌출날과 회전날로 구성되며, 본 단계는 100℃ 하에서 수행하였고, 유해병원체를 파쇄과정에서 가열 살균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20~30분으로 하였다.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해 및 가열 처리하는 단계(S20)가 끝난 후 발효를 위해서는 단백질 분해와 지방 분해력이 있는 균주들을 선발하여 6~7일간 발효를 하고 60% 수준으로 수분 조정을 시킨 뒤 동애등에의 먹이로 제공하였다. 먹이는 동애등에 일정 규격의 사육 상자에 20kg씩 5개로 자동 분주 시키는 방법으로 먹이 제조 단계(S40)를 진행하였다.
동애등에 유충의 육성 단계(S50)에서는 미리 준비한 동애등에 4일령 전후의 유충을 준비하여 1마리당 1~2g의 먹이를 처리하도록 투입하였다. 즉, 20kg 1상자에 동애등에 유충 20,000개를 투입시키고 27~40℃ 유충 사육 전용 트레이에서 15일간 육성시켰다.
보조 사료로 제조하는 단계(S60)는 성숙이 완료된 동애등에 노숙유충을 자동 분리망으로 이물질과 최대한 거르고서 세척과정을 거친 뒤 유용 무기질(탄산칼슘, 규산염 등)과 미강 등을 넣어 혼합 분쇄한 다음 충분히 건조시켜 분말과 펠렛 유형으로 보조 사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밀폐 용기 20 : 폐사체 파쇄기
30 : 곤충 사육용기

Claims (8)

  1.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냉장 보관하는 단계;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분해 및 가열 처리하여 유해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단계;
    30℃ 까지 온도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해 병원체를 사멸 처리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에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유용미생물(EM균)을 첨가하고,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용미생물 1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된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미리 설정한 수분함량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영양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 혼합물에 곤충 유충을 투입하여 노숙유충으로 육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노숙유충을 분리하여 보조 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노숙유충은 세척 및 이물질 제거를 한 후, 영양물질을 혼합하여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보조 사료로 제조하며,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냉장 보관은 밀폐 용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분해 및 가열 처리는 동시에 수행하며, 수일 간의 발효 숙성을 수행하여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로 공급하고,
    상기 발효단계의 영양물질은 규산염 분말 및 탄산칼슘과, 미강 및 톱밥이며,
    상기 규산염 분말 및 탄산칼슘은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기준으로 2중량%, 상기 미강 및 톱밥은 상기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을 기준으로 30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16389A 2018-09-28 2018-09-28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KR10216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89A KR102164179B1 (ko) 2018-09-28 2018-09-28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89A KR102164179B1 (ko) 2018-09-28 2018-09-28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77A KR20200036577A (ko) 2020-04-07
KR102164179B1 true KR102164179B1 (ko) 2020-10-12

Family

ID=7029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89A KR102164179B1 (ko) 2018-09-28 2018-09-28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1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894A2 (en) 2007-04-23 2008-11-06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Application of glycerin for improved livestock production
KR101464723B1 (ko) * 2013-06-14 2014-11-24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성장촉진 및 면역증강용 항생제 대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29A (ko) * 2000-04-01 2000-07-05 이규업 폐사축을 이용한 퇴비, 사료 제조방법
KR101560791B1 (ko) * 2012-10-29 2015-10-15 공영경 육식성 내수면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94481B1 (ko)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KR101824102B1 (ko) * 2015-12-30 2018-02-01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유충의 사육방법 및 동애등에 유충의 생산방법
KR20170091457A (ko) * 2016-02-01 2017-08-09 (주)경남곤충산업 동애등에를 활용한 산란계용 항균성 사료의 제조 방법
KR102196309B1 (ko) * 2018-08-28 2020-12-29 그린테코 주식회사 도축 폐기물 처리 및 동애등에 유충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894A2 (en) 2007-04-23 2008-11-06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Application of glycerin for improved livestock production
KR101464723B1 (ko) * 2013-06-14 2014-11-24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성장촉진 및 면역증강용 항생제 대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77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029C1 (ru) Система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ого удобрения и корма из экскрементов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KR101889982B1 (ko) 약초 추출박을 급이하여 생육한 곤충의 유충을 이용한 애완동물사료 제조방법
JP2009033997A (ja) 養魚用機能性餌料の生産プラント
KR20080040296A (ko) 가축혈액을 이용한 철분 강화 농축산물 생산용 비료 와 무항생제 사료의 개발방법.
JP5226236B2 (ja) イエバエ幼虫用餌
CN106172246A (zh) 一种蚯蚓的养殖方法
CN105746896A (zh) 一种生态环保种植养殖生物链循环方法
US20210219570A1 (en) Circular integrated ecological breeding and planting system
CN109170234A (zh) 一种利用餐厨废弃物制备蚯蚓专用饲料的方法
CN107788232A (zh) 一种桑枝肉牛饲料化加工方法
KR101391065B1 (ko)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JPH06116073A (ja) 閉鎖環境における動物廃棄物の有効利用方法
KR102164179B1 (ko) 가축 폐사체 및 도축부산물의 자원 순환형 친환경 처리를 통한 사료 제조방법
KR20210027554A (ko) 도축 폐기물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1876425B1 (ko) 가축의 면역력 증가 및 가축 분뇨 냄새 저감제 그 제조 방법
EP2992754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sing soil
CN108164367A (zh) 快速无害化处理病死畜禽的生物方法
EP2939526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sing soil
CN108651389A (zh) 一种用废菌包养殖蚯蚓的方法
CN107647201A (zh) 一种有机复合营养鱼饲料及其生产方法
KR20220090368A (ko)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시스템,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조성물, 가축분뇨 및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적 고형 정치 부숙 조성물 제조 방법
JP2021169400A (ja) 鳥獣有機肥料化プラント
CN112075389A (zh) 一种利用水虻科昆虫处置病死动物的方法
CN104938402A (zh) 循环生物链的培育方法
JP3564457B2 (ja) 植物性搾汁粕の処理方法及び飼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