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08B1 - 게이트펌프 - Google Patents

게이트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908B1
KR102163908B1 KR1020200051396A KR20200051396A KR102163908B1 KR 102163908 B1 KR102163908 B1 KR 102163908B1 KR 1020200051396 A KR1020200051396 A KR 1020200051396A KR 20200051396 A KR20200051396 A KR 20200051396A KR 102163908 B1 KR102163908 B1 KR 10216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ump
variable
sluice
variabl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식
오성현
최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정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to KR102020005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으로부터 펌프의 위치를 가변 될 수 있는 게이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펌프는 수문플랜지(A31)와 펌프플랜지(A51) 사이에서 신축 가능한 가변플랜지(10)를 설치하여 수문(A)으로부터 펌프(A5)의 위치를 가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이트펌프{Gate pump}
본 발명은 게이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게이트펌프라 함은 우수관로, 도시하수처리장, 배수펌프장 및 기타 하천과 접하는 관계 용수로나 저수지, 기타 배수구 등에 설치되어 선택적인 개폐작용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고, 집중호우시 홍수 등의 피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게이트펌프는 평소에는 개방된 상태하에 상류 측의 내수를 제방 밖 하류 측의 외수로 자연 배수시키는 기능을 행하게 되고, 기상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원인으로 강우량이 증가하여 하류 측의 외수위가 상류 측의 내수위보다 상승할 경우 수문을 폐쇄하여 상승 하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류 측의 내수위를 하류 측의 외수위로 강제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게이트펌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에 설치되는 보구조물(A1); 상기 보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문틀(A2); 상기 수문틀을 따라 승강하는 수문(A3); 상기 수문을 인양하는 인양장치(A4); 상기 수문의 내부 후방으로 연결설치되는 펌프(A5); 상기 펌프에 후방으로 연결설치되는 도어(A6);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게이트펌프는 수문으로부터 설치되는 펌프가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일정위치에 펌프가 고정되어 있으면 해당 하천의 기본 수위에 따른 능동적인 대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펌프는 해당하천의 기본수위가 높을 경우 그 수위에 따른 높은 수압에 의해 수문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될수록 배수효율이 증대하고, 해당하천의 기본수위가 낮을 경우 그 수위의 낮은 수압에 의해 수문으로부터 전방으로 위치될수록 배수효율이 증대하는데, 모든 하천마다 펌프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펌프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게이트펌프"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5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개/등록공보: 1020190130350, 1020170118410, 1020170118413, 1016563850000, 1016229040000.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수문으로부터 펌프의 위치를 가변 될 수 있도록 하려는 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 게이트펌프의 수문플랜지와 펌프플랜지 사이에서 신축 가능한 가변플랜지를 설치하여 펌프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하는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신축플랜지에 의해 수문으로부터 설치되는 펌프의 기본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이러한 기능에 의해 해당 하천의 기본수위에 따라 펌프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는 작용이 있으며, 그러한 작용에 의해 해당하천의 펌프배수효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보구조물(A1); 상기 보구조물에 형성되는 수문(A3)틀(A2); 상기 수문(A3)틀을 따라 승강하는 수문(A3)(A3); 상기 수문(A3)을 인양하는 인양장치(A4); 상기 수문(A3)의 내부 후방으로 연결설치되는 펌프(A5)(A5); 상기 펌프(A5)에 후방으로 연결설치되는 도어(A6);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게이트펌프(A5)를 기초로 한다.
또한, 종래의 게이트펌프(A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A3)의 후측면에 수문플랜지(A31)를 설치하고, 그 수문플랜지(A31)에 펌프(A5)의 펌프플랜지(A51)를 직결로 연결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게이트펌프(A5)의 수문플랜지(A31)와 펌프플랜지(A51) 사이에서 신축 가능한 가변플랜지(10)를 설치하여 수문(A)으로부터 펌프(A5)의 위치를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변플랜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플랜지(A31)에 결합되는 일측가변플랜지(11)와 펌프플랜지(A51)에 결합되는 타측가변플랜지(12)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의 관체가 타측가변플랜지(12)의 관체 내주면에 삽입된 채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여 신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타측가변플랜지(12)의 이송 및 고정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타측가변플랜지(12)의 최대이송거리까지 일측가변플랜지(11)와 수문플랜지(A31)의 결합부로부터 타측가변플랜지(12)와 펌프플랜지(A51)의 결합부를 이어지게 나사봉(20)을 연결설치하고, 그 나사봉(20)으로부터 일측가변플랜지(11)와 수문플랜지(A31) 및 타측가변플랜지(12)와 펌프플랜지(A51)에 너트(21)를 체결하여 이송 및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작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플랜지(A31)와 일측플랜지는 나사봉(20)과 너트(21)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놔두고 수문(A3)으로부터 펌프(A5)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나사봉(20)으로부터 타측플랜지와 펌프플랜지(A51)의 너트(21)를 느슨하게 한 다음 나사봉(20)을 따라 타측플랜지와 펌프플랜지(A51)의 이송범위를 정한 후 나사봉(20)으로부터 타측플랜지와 펌프플랜지(A51)의 너트(21)를 조여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수문(A3)으로부터 펌프(A5)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발명의 효과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신축플랜지에 의해 수문(A3)으로부터 설치되는 펌프(A5)의 기본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이러한 기능에 의해 해당 하천의 기본수위에 따라 펌프(A5)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는 작용이 있으며, 그러한 작용에 의해 해당하천의 펌프(A5)배수효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수문(A3)으로부터 펌프(A5)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장치의 구성이 간소하고, 제작, 설치, 조립, 분해가 용이하며, 작동이 원활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수문(A3)의 후측면으로부터 나사봉(20)의 끝단까지 이어져 나사봉(20)을 지지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문(A3)으로부터 펌프(A5)가 최대치까지 멀어졌을 때 펌프(A5)의 중량에 의해 나사봉(20)의 지지력이 약해져 펌프(A5)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플랜지부의 결합에 대한 편의성을 위해 플랜지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막대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랜지형태로 형성될 경우 동심원상으로 플랜지부의 결합을 위한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력의 증대를 위해 지지봉의 끝단과 함께 중간에 지지편(31)을 구성하여 지지봉을 받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수문플랜지(A31)는 수문(A3)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내측 후면으로 이어져 수문(A3)의 내부를 가리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일측가변플랜지(11)와 연결되는 가림플랜지(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가림플랜지(40)에 의해 펌프(A5)의 기본위치를 수문(A3)의 내측으로 들일 수 있음은 물론 펌프(A5)의 이송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펌프(A5)의 무게 중심을 수문(A3)의 무게 중심 내에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 펌프(A5)의 밸런스가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A3)의 내측 전면과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수문플랜지(A31)의 지지력이 더욱더 향상되고, 수문(A3)의 내부 공간을 가리고 물의 배출통로만 형성함으로써 와류 및 부하를 줄여 배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수문(A3)의 내측 전면에 일측가변플랜지(11)를 설치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수문(A3)의 내부를 가리도록 펌프플랜지(A51)에 이어지게 하여 펌프플랜지(A51)에 타측가변플랜지(12)를 결합하며, 그 수문(A3)의 후측으로부터 지지플랜지(50)를 설치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지지플랜지(50)로 이어지게 가이드봉(20a)을 설치하며, 그 타측가변플랜지(12)의 플랜지부 끝단을 연장하여 가이드봉(20a)에 축삽입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지지플랜지(50)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20a)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20a)을 나사봉(20)으로 채용하며, 그 나사봉(20)에 축삽입되는 타측가변플랜지(12)의 축삽입부는 너트(21)로 채용하고, 그 나사봉(20)의 일단에 모터(M)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모터(M)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20)이 회전하고, 나사봉(20)의 회전에 따라 타측가변플랜지(12)가 전후방으로 전동이송할 수 있으므로 펌프(A5)의 가변을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있음은 물론 변화되는 수위에 따라 펌프(A5)의 위치를 즉시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효율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게이트펌프(A5)의 수문플랜지(A31)와 펌프플랜지(A51) 사이에서 신축 가능한 가변플랜지(10)를 설치하여 수문(A)으로부터 펌프(A5)의 위치를 가변되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플랜지(10)는 일측가변플랜지(11)와 타측가변플랜지(12)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의 관체가 타측가변플랜지(12)의 관체 내주면에 삽입된 채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여 신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플랜지(10)는 수문플랜지(A31)에 일측가변플랜지(11)를 설치하고, 펌프플랜지(A51)에 타측가변플랜지(12)를 설치하며,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타측가변플랜지(12)의 최대이송거리까지 일측가변플랜지(11)와 수문플랜지(A31)의 결합부로부터 타측가변플랜지(12)와 펌프플랜지(A51)의 결합부를 이어지게 나사봉(20)을 연결설치하고, 그 나사봉(20)으로부터 일측가변플랜지(11)와 수문플랜지(A31) 및 타측가변플랜지(12)와 펌프플랜지(A51)에 너트(21)를 체결하여 이송 및 고정하는 것;
    상기 가변플랜지(10)는 수문(A3)의 내측 전면에 일측가변플랜지(11)를 설치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수문(A3)의 내부를 가리도록 펌프플랜지(A51)에 이어지게 하여 펌프플랜지(A51)에 타측가변플랜지(12)를 결합하며, 그 수문(A3)의 후측으로부터 지지플랜지(50)를 설치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지지플랜지(50)로 이어지게 가이드봉(20a)을 설치하며, 그 타측가변플랜지(12)의 플랜지부 끝단을 연장하여 가이드봉(20a)에 축삽입하고, 그 일측가변플랜지(11)로부터 지지플랜지(50)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봉(20a)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20a)을 나사봉(20)으로 채용하며, 그 나사봉(20)에 축삽입되는 타측가변플랜지(12)의 축삽입부는 너트(21)로 채용하고, 그 나사봉(20)의 일단에 모터(M)를 설치하여 나사봉(20)이 전동회전되게 하며, 그 나사봉(20)의 전동회전에 따라 타측가변플랜지(12)가 전후방으로 전동이송하면서 펌프(A5)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문플랜지(A31)에 일측가변플랜지(11)가 설치된 가변플랜지(10)는 수문(A3)의 후측면으로부터 나사봉(20)의 끝단까지 이어져 나사봉(20)을 지지하는 지지대(30)가 설치되는 것;
    상기 수문플랜지(A31)에 일측가변플랜지(11)가 설치된 가변플랜지(10)는 수문플랜지(A31)를 수문(A3)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내측 후면으로 이어져 수문(A3)의 내부를 가리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일측가변플랜지(11)와 연결되는 가림플랜지(40)로 구성하고, 그 가림플랜지(40)에 일측가변플랜지(11)가 설치되는 것;
    상기 가림플랜지(40)가 설치된 가변플랜지(10)는 수문(A3)의 후측면으로부터 나사봉(20)의 끝단까지 이어져 나사봉(20)을 지지하는 지지대(30)가 설치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게이트 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1396A 2020-04-28 2020-04-28 게이트펌프 KR10216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96A KR102163908B1 (ko) 2020-04-28 2020-04-28 게이트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96A KR102163908B1 (ko) 2020-04-28 2020-04-28 게이트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08B1 true KR102163908B1 (ko) 2020-10-12

Family

ID=7288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96A KR102163908B1 (ko) 2020-04-28 2020-04-28 게이트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9285A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クボタ 吸込カバー、横軸ポンプ、ポンプゲートおよびポンプゲートの運転方法
KR102247558B1 (ko) 2021-02-22 2021-05-04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게이트 펌프 수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68A (ja) * 2001-03-15 2002-09-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ポンプゲート
KR101019792B1 (ko) * 2010-10-05 2011-03-04 주식회사 우승산업 각도가변체결부가 형성된 펌프
KR20130028233A (ko) * 2011-09-09 2013-03-19 최국현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20140087869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생 신축 이음관
KR20170118413A (ko) * 2016-04-15 2017-10-25 정근수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KR20190130350A (ko) 2018-05-14 2019-11-22 (주)그린텍 펌프 게이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68A (ja) * 2001-03-15 2002-09-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ポンプゲート
KR101019792B1 (ko) * 2010-10-05 2011-03-04 주식회사 우승산업 각도가변체결부가 형성된 펌프
KR20130028233A (ko) * 2011-09-09 2013-03-19 최국현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20140087869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생 신축 이음관
KR20170118413A (ko) * 2016-04-15 2017-10-25 정근수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KR101864588B1 (ko) * 2016-04-15 2018-06-05 정근수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KR20190130350A (ko) 2018-05-14 2019-11-22 (주)그린텍 펌프 게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9285A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クボタ 吸込カバー、横軸ポンプ、ポンプゲートおよびポンプゲートの運転方法
JP7186119B2 (ja) 2019-03-27 2022-12-08 株式会社クボタ 吸込カバー、横軸ポンプ、ポンプゲートおよびポンプゲートの運転方法
KR102247558B1 (ko) 2021-02-22 2021-05-04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게이트 펌프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908B1 (ko) 게이트펌프
CN2928948Y (zh) 一种高河床水用于农业灌溉的节能取水装置
CN107559759B (zh) 一种高效雨水、阳光收集与调控装置
CN2905896Y (zh) 浮箱式自动闸门
JP3283209B2 (ja) 防水板の自動操作機構
CN103572740B (zh) 一种充气式自动启闭闸门和水闸装置
CN202181543U (zh) 一种泄洪隧洞结构
CN110439084A (zh) 一种具有防倒灌功能的下水道井盖
CN205677058U (zh) 可调节单门异向限流阀
CN203200894U (zh) 三段式节能拍门
CN214939936U (zh) 一种新型广泛用于水利灌溉的水利闸门启闭设备
CN205935131U (zh) 一种虹吸式马桶
KR101612517B1 (ko) 부하 변동형 플랩밸브를 구비한 게이트 펌프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20010008334A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CN207905068U (zh) 一种雨污混流管道截流装置
KR102359903B1 (ko) 전도식 가동보
CN205677056U (zh) 可调节单门异向截流阀
CN210766605U (zh) 河道治理装置
CN204491508U (zh) 双翻转闸门结构
CN210766604U (zh) 河道治理装置
CN210658213U (zh) 河道治理装置
CN204753806U (zh) 反向下游水力自动闸门
CN207314503U (zh) 一种防倒灌排水装置
KR101312291B1 (ko) 플랩밸브의 개방유지구조를 갖는 게이트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