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413A -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 Google Patents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413A
KR20170118413A KR1020160046158A KR20160046158A KR20170118413A KR 20170118413 A KR20170118413 A KR 20170118413A KR 1020160046158 A KR1020160046158 A KR 1020160046158A KR 20160046158 A KR20160046158 A KR 20160046158A KR 20170118413 A KR20170118413 A KR 20170118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gate
plate
flange
wat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588B1 (ko
Inventor
정근수
Original Assignee
정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수 filed Critical 정근수
Priority to KR102016004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수로입구(110), 상기 수로입구(110) 옆에 위치되는 스핀들설치공간(120) 및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위치되는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포함하는 수로구조물(100); 상기 수로입구(110)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힌지(200); 상기 수로입구(110) 전방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게이트힌지(200)에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을 향해 개방될 수 있는 게이트(300);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에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힌지(20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400);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에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00); 및 일단이 상기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게이트(300)를 개폐시키는 개폐링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게이트(300)에는 펌프(31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펌프게이트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게이트의 개폐가 가능하고, 동일한 무게의 게이트 대비 입력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낮다.

Description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ROTARY TYPE WATER-GATE AND PUMPGATE}
본 발명은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방향으로 운동하는 에너지를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하천과 같은 수로는 농지관리나 관개용수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 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로에는 물관리, 즉 가뭄 시에는 물을 저장하여 두고, 비가 오는 관계로 물의 양이 많을 때는 이를 방출하기 위해 수문을 개폐작동하는 수문장치가 구비된다.
위와 같은 수문 중에서도 펌프게이트는 수문에 펌프를 구비하여 수문의 개방 시 낙차에 의해 물을 이동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비상 시 펌프를 통해 강제 배수를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기존의 상·하로 펌프게이트가 개폐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펌프게이트가 회전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특허문헌 1’의 회전식 펌프게이트를 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식 펌프게이트는 축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회전부재에 의존하여 게이트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①회전부재에 요구되는 에너지량이 커 전력소모가 많고, ②회전부재에 집중되는 힘의 크기가 커 뒤틀림 응력이 커짐으로써 회전부재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펌프는 구동모터와 회전부재 사이에 감속기 등이 설치되기 어려운 구조로 인해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470446 B1 2014. 12. 0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핀들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방식의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문은 수로입구, 상기 수로입구 옆에 위치되는 스핀들설치공간 및 상기 스핀들설치공간 옆에 위치되는 구동부재설치공간을 포함하는 수로구조물; 상기 수로입구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힌지; 상기 수로입구 전방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게이트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 있는 게이트; 상기 스핀들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힌지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게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핀들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개폐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링크는 상기 게이트힌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는 수로입구, 상기 수로입구 옆에 위치되는 스핀들설치공간 및 상기 스핀들설치공간 옆에 위치되는 구동부재설치공간을 포함하는 수로구조물; 상기 수로입구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힌지; 상기 수로입구 전방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게이트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펌프가 설치되는 게이트; 상기 스핀들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힌지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게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핀들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개폐시키는 개폐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링크는 상기 게이트힌지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는 게이트를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동일한 무게의 게이트 대비 입력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낮아 소요되는 전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는 수로 상부에 차도와 같이 지장물로 인해 종래의 상·하식 수문으로 설치가 불가능한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후 수문 또는 펌프게이트가 수로 상부로 노출되지 않아 일조권 및 주변경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설물 상부의 부지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는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로 인해 추락할 염려가 없어 안전하고, 기계실(구동부재설치공간)이 방수 처리되어 있어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상판 및 폐쇄판이 제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게이트힌지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2의 C-C' 단면도
도 8은 진동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의 게이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내용은 펌프게이트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수문은 펌프게이트에서 펌프(310)만이 제거된 발명이기 때문에 수문에 대한 설명은 펌프게이트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상판 및 폐쇄판이 제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및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는 수로입구(110) 및 수로입구(110) 옆에 위치되는 스핀들설치공간(120) 및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위치되는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포함하는 수로구조물(100); 수로입구(110)와 스핀들설치공간(120)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힌지(200); 수로입구(110) 전방에 설치되고, 측면이 게이트힌지(200)에 연결되어 스핀들설치공간(120)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펌프(310)가 설치되는 게이트(300); 스핀들설치공간(120)에 설치되고, 게이트힌지(20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400); 구동부재설치공간(130)에 설치되고,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스핀들(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00); 및 일단이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게이트(300)를 개폐시키는 개폐링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로구조물(100)은 게이트(300)가 설치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판(101) 및 하판(102); 상판(101)과 하판(102)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수로입구(110)가 형성되는 벽판(103); 벽판(103)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좌측판(104) 및 우측판(105); 좌측판(104)과 우측판(105) 사이에 위치되고, 좌측판(104)과 우측판(105)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스핀들설치공간(120)과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판(106); 및 구획판(106)에 연결되어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폐쇄시키는 폐쇄판(1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판(103)은 수로입구(110)가 형성되어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로입구(110)를 제외한 다른 면을 막는 역할을 한다.
구획판(106)은 수로구조물(100)에 형성되는 스핀들설치공간(120)과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로구조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1), 하판(102), 좌측판(104) 및 우측판(105)으로 인해 전면이 개방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04)과 우측판(105) 사이에 평행하게 구획판(106)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나의 공간이 스핀들설치공간(120)과 구동부재설치공간(130)으로 구획된다. 이때,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판(107)이 설치되어 스핀들설치공간(120)과는 달리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은 폐쇄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할 구동부재(50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로입구(110)는 물이 이동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수로구조물(100)에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된다{참고적으로 수로입구(110)는 후술할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스핀들설치공간(120)은 후술할 스핀들(4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스핀들설치공간(120)은 후술할 게이트힌지(200)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입구(110)보다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은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형성되는데, 사이에 구획판(106)이 형성되어 스핀들설치공간(120)과 구분된다.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은 스핀들설치공간(120)과는 달리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및 도 6은 도 5의 게이트힌지의 B-B' 단면도이다.
게이트힌지(200)는 후술할 게이트(300)가 수로입구(110)를 개폐할 수 있게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되 수로입구(110)와 스핀들설치공간(12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힌지(200)는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고, 상부에 삽입홈(212)이 형성되는 고정힌지(210); 게이트(300) 측면에 설치되고, 하부에 축돌기(222)가 형성되어 삽입홈(212)에 삽입되는 회전힌지(220); 축돌기(222)에 설치되는 베어링(230); 및 고정힌지(210) 하부를 관통하여 축돌기(222) 중심에 고정되는 볼트(240)로 이루어진다.
고정힌지(210)는 수로구조물(100) 중 수로입구(110)와 스핀들설치공간(120) 사이에 고정되고, 상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의 삽입홈(212)이 형성된다. 고정힌지(210)의 삽입홈(212)이 형성된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턱(213)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회전힌지(220)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면서 베어링(23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힌지(210) 일측에는 그리스주입홀(214)이 형성되어 고정힌지(210) 내부로 그리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고, 평소에는 니플을 이용해 그리스주입홀(214)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회전힌지(220)는 후술할 게이트(300)의 회전중심에 해당되는 측면에 고정되고, 하부를 항해 축돌기(222)가 형성된다. 축돌기(222)는 고정힌지(210)의 삽입홈(212)에 안착되어 회전힌지(220)가 고정힌지(210)에 대해 회전될 시 축 역할을 한다. 축돌기(22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턱(221)이 형성되어 삽입홈(212) 내에 위치된 턱(213)과 마주한다. 또한, 회전힌지(220)의 일측에는 그리스주입홀(224)이 형성되되, 고정힌지(210)의 그리스주입홀(214)과 중복되지 않는 구간{회전힌지(220)의 회전 반경을 기준으로 함}에 형성되어 후술할 베어링(230)에 그리스를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리스주입홀(224)에는 니플이 설치되어 평소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베어링(230)은 고정힌지(210)의 턱(213)과 회전힌지(220)의 턱(221) 사이에 설치된다. 베어링(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베어링(232)과 원추롤러베어링(234)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볼트(240)는 고정힌지(2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회전힌지(220)의 축돌기(222)에 삽입된다. 이때 볼트(240)는 축돌기(222)의 축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회전힌지(220)가 고정힌지(21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240)와 고정힌지(210) 사이에는 가스켓(242)이 설치된다.
오링(250)은 도 6를 기준으로 고정힌지(210)의 삽입홈(212) 상단과 회전힌지(220)의 축돌기(222)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삽입홈(212) 내부로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300)는 수로입구(11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수로입구(110) 전면에 위치되고, 게이트힌지(200)를 통해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게이트(300)는 게이트힌지(20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스핀들설치공간(120)을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된다.
펌프(310)는 게이트(30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만약 본 발명이 수문으로 이용될 경우, 게이트(300)에는 펌프(310)가 설치되지 않는다. 펌프(310)는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높아져 역류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게이트(300)로 수로입구(11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작동하여 낮은 내수위의 물을 외수위로 퍼내는 역할을 한다.
수밀시트(320)는 후술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300)의 수로입구(110)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게이트(300)가 수로입구(110)를 폐쇄시켰을 시 수로입구(110)와 게이트(300) 사이가 긴밀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밀시트(320)는 내부에 중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고무시트로 이루어져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게이트(300)가 수로입구(100)를 폐쇄시키면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밀시트(320)가 눌림으로써 게이트(300)와 수로입구(110)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빈 공간을 차단한다.
도 7은 도 2의 C-C' 단면도이다.
스핀들(400)은 게이트(30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길게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고, 스핀들설치공간(120)에 설치된다. 이때, 스핀들(400)은 게이트힌지(20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참고적으로 이는 후술할 개폐링크(600)의 구동방식과 관련된 구조로서, 본 발명은 게이트(300)를 바깥에서 당기거나 밀어내는 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이므로 게이트(300)의 회전방향을 포괄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핀들(400)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게이트(30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한 쌍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핀들(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300)의 회전축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스핀들(400)은 하나의 구동모터(520)로부터 힘을 전달받고, 그 연결이 병렬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방향이 다르다. 따라서 각각의 스핀들(400)은 그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또한, 이에 대응되는 한 쌍의 이동블록(610) 역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다르게 형성된다.
한편, 스핀들(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설치공간(130)측 외주연에 리미팅플랜지(402)가 형성될 수 있다. 리미팅플랜지(402)는 스핀들(400)이 회전될 때 게이트(300)를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스핀들(400)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을 억제하고, 스핀들(400)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나사산(410)은 스핀들(40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할 개폐링크(600)의 이동블록(610)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베어링(420)은 스핀들(400)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로구조물(100)의 스핀들설치공간(120)의 수로입구(110)쪽 내벽에 고정된다.
슬리브(430)는 스핀들(400)의 타단에 연결되고, 수로구조물(100)의 구동부재설치공간(130)쪽 구획판(106)에 고정된다. 베어링(420)과 슬리브(430)는 모두 스핀들(400)이 수로구조물(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슬리브(430)는 구획판(106)을 통해 구동부재설치공간(13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슬리브(43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획판(106) 내에 매립되어 구획판(106)을 관통하는 슬리브본체(431);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에 설치되어 구획판(106)과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보강플레이트(432);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에 설치되되 보강플레이트(432) 양측에 설치되는 수팽창고무링(433); 슬리브본체(431)의 구동부재설치공간(130)쪽 끝단에 연결되고, 스핀들(400)의 리미팅플랜지(402) 일측면과 맞닿는 제1 플랜지(434); 내부에 단차(435a)가 형성되어 리미팅플랜지(402) 타측면과 맞닿음으로써 리미팅플랜지(402)를 구속하는 제2 플랜지(435); 제1 플랜지(434)와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개스킷(436); 스핀들(400)과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는 메커니컬씰(437); 제2 플랜지(435)에 설치되는 플랜지커버(438); 및 제1 플랜지(434), 제2 플랜지(435) 및 플랜지커버(438)를 연결시키는 체결볼트(4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리브본체(43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06)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슬리브본체(431)를 먼저 설치한 뒤 구획판(106)을 타설함으로써 슬리브본체(431)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본체(431)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스핀들(400)이 구획판(106)을 관통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432)는 링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슬리브본체(431)의 외주연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보강플레이트(432)는 슬리브본체(431)의 구획판(106) 접촉면적을 늘려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슬리브본체(431)가 안정적으로 구획판(106)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한다.
수팽창고무링(433)은 링 형상의 수팽창고무재로 이루지고, 슬리브본체(431)의 외주연에 설치되되 보강플레이트(432)의 양측에 설치된다. 수팽창고무링(433)은 슬리브본체(431)와 구획판(106) 사이로 스며든 물이 닿으면 팽창되어 구동부재설치공간(13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플랜지(434)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슬리브본체(4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슬리브본체(431) 중 구동부재설치공간(130) 쪽에 위치된 끝단에 연결된다. 제1 플랜지(4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플랜지(434a, 434b)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1-1 플랜지(434a)가 슬리브본체(431)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슬리브본체(431)와 구획판(106)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1-2 플랜지(434b)가 제1-1 플랜지(434a)에 연결되어 중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슬리브본체(431)의 중심축과 스핀들(400)의 중심축이 다를 경우에 대비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스핀들(400)의 위치를 미세하기 조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핀들(400)을 지지하는 제1-2 플랜지(434b)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므로, 만약 제1-2 플랜지(434b)가 슬리브본체(431)에 일체로 형성될 경우 조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 대비하여 슬리브본체(431)와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하는 제1-1 플랜지(434a)를 설치한 뒤, 스핀들(400)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제1-2 플랜지(434b)를 설치한다.
제2 플랜지(43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단차(435a)가 형성된다. 이에 제2 플랜지(4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플랜지(402)를 구속한다.
고무개스킷(436)은 제1 플랜지(434)와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메커니컬씰(437)은 제2 플랜지(435)와 스핀들(400) 사이에 설치되어 스핀들(400)이 제2 플랜지(435)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플랜지커버(438)는 제2 플랜지(435)에 설치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볼트(43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434), 제2 플랜지(435) 및 플랜지커버(438)를 연결시킨다.
부시(440)는 리미팅플랜지(402) 양측에 설치되어 리미팅플랜지(402)를 보호한다.
구동부재(500)는 스핀들(4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수로구조물(100)의 구동부재설치공간(13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재(500)는 구동부재설치공간(130) 내부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프레임(510);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구동축(522)이 구비되는 구동모터(520); 일단이 구동축(522)과 커플링(532)을 통해 연결되는 샤프트(530); 및 샤프트(530) 타단과 스핀들(400)에 연결되어 샤프트(5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스핀들(400)로 전달하는 감속기(54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510)은 구동부재설치공간(130)에 설치되되, 지면에 대해 직립으로 설치된다.
구동모터(520)는 프레임(51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520)에는 구동축(522)이 설치되어 구동모터(520)의 회전력을 출력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스핀들(400)이 구비되므로 구동축(522) 역시 양방향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구동모터(520)는 구동축(522)이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530)는 일단이 구동축(522)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성으로, 커플링(532)을 통해 구동축(522)과 연결된다.
감속기(540)는 샤프트(530)의 타단 및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샤프트(530)의 회전력을 스핀들(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감속기(540) 내부에는 베벨기어(미도시) 등과 같은 다수 개의 기어들이 설치되어 샤프트(53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 뒤 스핀들(400)로 전달한다.
개폐링크(600)는 스핀들(4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게이트(300)를 개폐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개폐링크(600)는,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록(610); 일단이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이동블록(610)에 힌지결합되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페이서(630); 및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상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640)로 이루어진다.
이동블록(610)은 내부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핀들(400)이 회전될 경우 회전 방향에 따라 도 4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이동하거나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링크플레이트(620)는 일단이 게이트(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블록(610)에 연결되어 이동블록(610)의 이동에 따라 게이트(30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는 구성이다. 링크플레이트(6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또한, 링크플레이트(620)의 게이트(300)에 연결되는 부분은 게이트힌지(20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인 것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한데, 이는 게이트(300)를 회전시킬 시 필요한 힘의 크기를 최대한 낮추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300)의 측면 중 게이트힌지(200)와 멀리 떨어진 코너에 링크플레이트(620)가 연결된다.
스페이서(630)는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되어 링크플레이트(620)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플레이트(640)는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링크플레이트(620) 외주면에 설치되어 링크플레이트(620)가 휘는 것을 방지한다.
핀(650)은 링크플레이트(620)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링크플레이트(620)가 게이트(300) 및 이동블록(610)에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링크플레이트(620)의 게이트(300)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스프링핀(652)이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핀(652)은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된다.
도 8은 진동방지부재의 사시도 및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진동방지부재(700)는 게이트(300)의 진동을 방지해주는 구성요소이다. 게이트(300)에 펌프가 설치될 경우, 펌프(310)의 작동으로 게이트(300)에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위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진동방지부재(700)는 게이트(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한다. 진동방지부재(700)는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는 수용부(720) 및 게이트(300)에 설치되는 삽입부(71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710)는, 게이트(300) 중 게이트힌지(200)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베이스(712); 롤러베이스(712) 전면에 위치되는 롤러(714); 및 롤러베이스(712)와 롤러(714)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롤러핀(716)으로 이루어진다.
롤러베이스(712)는 게이트(300) 중 게이트힌지(200)가 설치된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된다. 롤러베이스(7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롤러(714)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게이트(300) 측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롤러(714)는 롤러베이스(712) 내부에 설치되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롤러핀(716)은 롤러(714)가 롤러베이스(712)에 고정되도록 하며, 롤러(714)의 중심축을 관통함으로써 롤러(714)가 롤러핀(71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부(720)는, 수로구조물(100) 중 삽입부(710)에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722); 베이스플레이트(72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진동흡수플레이트(723); 베이스플레이트(722)와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724); 베이스플레이트(722),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압축스프링(724)을 관통하여 수로구조물(10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725); 및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전면에 설치되고, 롤러수용홈(727)이 형성되어 게이트(300)가 폐쇄될 시 롤러(714)가 수용되는 롤러수용블록(726)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722)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서, 수로구조물(100) 중 삽입부(710)에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수로입구(110) 옆의 좌측판(104)에 설치된다.
진동흡수플레이트(723)는 베이스플레이트(72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플레이트(722) 전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압축스프링(724)은 베이스플레이트(722)와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다.
앵커볼트(725)는 베이스플레이트(722), 진동흡수플레이트(723) 및 압축스프링(724) 내부를 관통하여 수로구조물(100)의 좌측판(104)에 고정된다.
롤러수용블록(72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 유선형의 롤러수용홈(727)과 경사면(728)이 형성된다. 롤러수용홈(727)은 롤러(714)의 곡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경사면(728)은 롤러(714)가 유입되는 쪽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롤러(714)가 경사면(728)을 따라 이동될 시 롤러수용블록(726)을 소정구간 밀어낸 뒤 롤러수용홈(727)에 안착되어 롤러수용홈(727)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300)가 수로입구(11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삽입부(710)의 롤러(714)는 롤러수용블록(726)의 경사면(728)을 따라 이동되고, 게이트(300)가 수로입구(110)를 완전히 폐쇄하면 롤러(714)는 롤러수용블록(726)의 롤러수용홈(727)에 안착된다. 그리고 펌프(310)의 작동으로 게이트(300)에 진동이 발생되면, 롤러(714)를 통해 롤러수용블록(726) 및 진동흡수플레이트(723)로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압축스프링(724)에 의해 진동이 흡수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의 게이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펌프게이트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300)가 수로입구(110)를 차단한 상태에서, 구동모터(520)에 에너지가 입력되어 구동축(522)이 회전되면, 샤프트(530)와 감속기(540)를 통해 스핀들(40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스핀들(400)의 회전이 시작되면, 스핀들(400)과 나사결합된 개폐링크(600)의 이동블록(610)이 게이트(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링크플레이트(620)가 연동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300)를 개방시킨다.
반대로 게이트(300)를 개방시키는 과정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520)에 에너지가 입력되어 구동축(522)이 회전되는데, 이때 회전 방향은 게이트(300)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스핀들(40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동블록(610)이 게이트(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링크플레이트(620)가 연동되어 게이트(300)를 밀어줌으로써 수로입구(110)가 폐쇄된다.
100: 수로구조물 110: 수로입구
101: 상판 102: 하판
103: 벽판 104: 좌측판
105: 우측판 106: 구획판
107: 폐쇄판 120: 스핀들설치공간
130: 구동부재설치공간 200: 게이트힌지
210: 고정힌지 212: 삽입홈
213: 턱 214: 그리스주입홀
220: 회전힌지 221: 턱
222: 축돌기 224: 그리스주입홀
230: 베어링 232: 볼베어링
234: 원추롤러베어링 240: 볼트
242: 가스켓 250: 오링
300: 게이트 310: 펌프
320: 수밀시트 400: 스핀들
402: 리미팅플랜지 410: 나사산
420: 베어링 430: 슬리브
431: 슬리브본체 432: 보강플레이트
433: 수팽창고무링 434: 제1 플랜지
434a: 제1-1 플랜지 434b: 제1-2 플랜지
435: 제2 플랜지 435a: 단차
436: 고무개스킷 437: 메커니컬씰
438: 플랜지커버 439: 체결볼트
440: 부시 500: 구동부재
510: 프레임 520: 구동모터
522: 구동축 530: 샤프트
532: 커플링 540: 감속기
600: 개폐링크 610: 이동블록
620: 링크플레이트 630: 스페이서
640: 보강플레이트 650: 핀
652: 스프링핀 700: 진동방지부재
710: 삽입부 712: 롤러베이스
714: 롤러 716: 롤러핀
720: 수용부 722: 베이스플레이트
723: 진동흡수플레이트 724: 압축스프링
725: 앵커볼트 726: 롤러수용블록
727: 롤러수용홈 728: 경사면

Claims (16)

  1. 수로입구(110), 상기 수로입구(110) 옆에 위치되는 스핀들설치공간(120) 및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위치되는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포함하는 수로구조물(100);
    상기 수로입구(110)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힌지(200);
    상기 수로입구(110) 전방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게이트힌지(200)에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을 향해 개방될 수 있는 게이트(300);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에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힌지(20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400);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에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00) 및
    일단이 상기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게이트(300)를 개폐시키는 개폐링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링크(600)는 상기 게이트힌지(20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3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링크(600)는,
    상기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록(610);
    일단이 상기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블록(610)에 힌지결합되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페이서(630) 및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상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는 수용부(720) 및 상기 게이트(300)에 설치되는 삽입부(710)로 이루어지는 진동방지부재(7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710)는, 상기 게이트(300) 중 상기 게이트힌지(200)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베이스(712); 상기 롤러베이스(712) 전면에 위치되는 롤러(714); 및 상기 롤러베이스(712)와 롤러(714)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롤러핀(7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720)는, 상기 수로구조물(100) 중 상기 삽입부(710)에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72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2)와 상기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72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2), 상기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상기 압축스프링(724)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구조물(10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725); 및 상기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전면에 설치되고, 롤러수용홈(727)이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300)가 폐쇄될 시 상기 롤러(714)가 수용되는 롤러수용블록(72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수용블록(726) 중 롤러(714)가 삽입되는 쪽에는 경사면(728)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수용홈(727)은 상기 롤러(714)의 형상에 맞게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힌지(200)는,
    상기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고, 상부에 삽입홈(212)이 형성되는 고정힌지(210);
    상기 게이트(300) 측면에 설치되고, 하부에 축돌기(22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2)에 삽입되는 회전힌지(220);
    상기 축돌기(222)에 설치되는 베어링(230) 및
    상기 고정힌지(210)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축돌기(222) 중심에 고정되는 볼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210) 측면과 상기 회전힌지(220) 측면에 그리스주입홀(214, 22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로구조물(100)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재(500)가 설치되는 폐쇄된 구조의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500)는,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 내부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프레임(510);
    상기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구동축(522)이 구비되는 구동모터(520);
    일단이 상기 구동축(522)과 커플링(532)을 통해 연결되는 샤프트(530) 및
    상기 샤프트(530) 타단 및 상기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5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400)로 전달하는 감속기(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로구조물(100)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판(101) 및 하판(102);
    상기 상판(101)과 상기 하판(102)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수로입구(110)가 형성되는 벽판(103);
    상기 벽판(103)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좌측판(104) 및 우측판(105);
    상기 좌측판(104)과 상기 우측판(105)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판(104)과 상기 우측판(105)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과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판(106) 및
    상기 구획판(106)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폐쇄시키는 폐쇄판(10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400) 외주연에 리미팅플랜지(40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리미팅플랜지(402) 양측으로 부시(4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구획판(106)에 설치되어 내부로 상기 스핀들(400)이 관통되는 슬리브(4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43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판(106) 내에 매립되어 상기 구획판(106)을 관통하는 슬리브본체(431);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판(106)과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보강플레이트(432);
    상기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432) 양측에 설치되는 수팽창고무링(433);
    상기 슬리브본체(431)의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쪽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400)의 리미팅플랜지(402) 일측면과 맞닿는 제1 플랜지(434);
    내부에 단차(435a)가 형성되어 상기 리미팅플랜지(402) 타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리미팅플랜지(402)를 구속하는 제2 플랜지(435);
    상기 제1 플랜지(434)와 상기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개스킷(436);
    상기 스핀들(400)과 상기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는 메커니컬씰(437);
    상기 제2 플랜지(435)에 설치되는 플랜지커버(438) 및
    상기 제1 플랜지(434), 상기 제2 플랜지(435) 및 상기 플랜지커버(438)를 연결시키는 체결볼트(4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수문.
  9. 수로입구(110), 상기 수로입구(110) 옆에 위치되는 스핀들설치공간(120) 및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위치되는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포함하는 수로구조물(100);
    상기 수로입구(110)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힌지(200);
    상기 수로입구(110) 전방에 설치되고, 측면이 상기 게이트힌지(200)에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펌프(310)가 설치되는 게이트(300);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에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힌지(20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400);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에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00) 및
    일단이 상기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게이트(300)를 개폐시키는 개폐링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링크(600)는 상기 게이트힌지(200)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게이트(3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링크(600)는,
    상기 스핀들(4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핀들(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핀들(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록(610);
    일단이 상기 게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블록(610)에 힌지결합되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페이서(630) 및
    상기 한 쌍의 링크플레이트(620) 상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는 수용부(720) 및 상기 게이트(300)에 설치되는 삽입부(710)로 이루어지는 진동방지부재(7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710)는, 상기 게이트(300) 중 상기 게이트힌지(200)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베이스(712); 상기 롤러베이스(712) 전면에 위치되는 롤러(714); 및 상기 롤러베이스(712)와 롤러(714)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롤러핀(7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720)는, 상기 수로구조물(100) 중 상기 삽입부(710)에 대향되는 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72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2)와 상기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724);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2), 상기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상기 압축스프링(724)을 관통하여 상기 수로구조물(10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725); 및 상기 진동흡수플레이트(723) 전면에 설치되고, 롤러수용홈(727)이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300)가 폐쇄될 시 상기 롤러(714)가 수용되는 롤러수용블록(72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수용블록(726) 중 롤러(714)가 삽입되는 쪽에는 경사면(728)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수용홈(727)은 상기 롤러(714)의 형상에 맞게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힌지(200)는,
    상기 수로구조물(100)에 설치되고, 상부에 삽입홈(212)이 형성되는 고정힌지(210);
    상기 게이트(300) 측면에 설치되고, 하부에 축돌기(222)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2)에 삽입되는 회전힌지(220);
    상기 축돌기(222)에 설치되는 베어링(230) 및
    상기 고정힌지(210)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축돌기(222) 중심에 고정되는 볼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210) 측면과 상기 회전힌지(220) 측면에 그리스주입홀(214, 22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로구조물(100)은,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 옆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재(500)가 설치되는 폐쇄된 구조의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500)는,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 내부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프레임(510);
    상기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구동축(522)이 구비되는 구동모터(520);
    일단이 상기 구동축(522)과 커플링(532)을 통해 연결되는 샤프트(530) 및
    상기 샤프트(530) 타단 및 상기 스핀들(400)과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5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400)로 전달하는 감속기(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로구조물(100)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판(101) 및 하판(102);
    상기 상판(101)과 상기 하판(102)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수로입구(110)가 형성되는 벽판(103);
    상기 벽판(103)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좌측판(104) 및 우측판(105);
    상기 좌측판(104)과 상기 우측판(105)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판(104)과 상기 우측판(105)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스핀들설치공간(120)과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판(106) 및
    상기 구획판(106)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을 폐쇄시키는 폐쇄판(10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400) 외주연에 리미팅플랜지(40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리미팅플랜지(402) 양측으로 부시(4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구획판(106)에 설치되어 내부로 상기 스핀들(400)이 관통되는 슬리브(43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43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판(106) 내에 매립되어 상기 구획판(106)을 관통하는 슬리브본체(431);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판(106)과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보강플레이트(432);
    상기 슬리브본체(431) 외주연에 설치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432) 양측에 설치되는 수팽창고무링(433);
    상기 슬리브본체(431)의 상기 구동부재설치공간(130)쪽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400)의 리미팅플랜지(402) 일측면과 맞닿는 제1 플랜지(434);
    내부에 단차(435a)가 형성되어 상기 리미팅플랜지(402) 타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리미팅플랜지(402)를 구속하는 제2 플랜지(435);
    상기 제1 플랜지(434)와 상기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개스킷(436);
    상기 스핀들(400)과 상기 제2 플랜지(435) 사이에 설치되는 메커니컬씰(437);
    상기 제2 플랜지(435)에 설치되는 플랜지커버(438) 및
    상기 제1 플랜지(434), 상기 제2 플랜지(435) 및 상기 플랜지커버(438)를 연결시키는 체결볼트(4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펌프게이트.
KR1020160046158A 2016-04-15 2016-04-15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KR10186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58A KR101864588B1 (ko) 2016-04-15 2016-04-15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58A KR101864588B1 (ko) 2016-04-15 2016-04-15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13A true KR20170118413A (ko) 2017-10-25
KR101864588B1 KR101864588B1 (ko) 2018-06-05

Family

ID=6029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58A KR101864588B1 (ko) 2016-04-15 2016-04-15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50A (ko) 2018-05-14 2019-11-22 (주)그린텍 펌프 게이트
KR102163908B1 (ko) * 2020-04-28 2020-10-12 주식회사 신정기공 게이트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345B1 (ko) * 2011-12-29 2012-11-09 신한테크(주) 횡형 수문장치
KR101470446B1 (ko) 2014-10-10 2014-12-08 정근수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KR101470452B1 (ko) * 2014-10-10 2014-12-08 정근수 슬라이드 방식의 수문 및 펌프게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345B1 (ko) * 2011-12-29 2012-11-09 신한테크(주) 횡형 수문장치
KR101470446B1 (ko) 2014-10-10 2014-12-08 정근수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KR101470452B1 (ko) * 2014-10-10 2014-12-08 정근수 슬라이드 방식의 수문 및 펌프게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50A (ko) 2018-05-14 2019-11-22 (주)그린텍 펌프 게이트
KR102163908B1 (ko) * 2020-04-28 2020-10-12 주식회사 신정기공 게이트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588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63B1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KR101864588B1 (ko) 회전식 수문 및 펌프게이트
CN103850225A (zh) 多级中轴快速冲洗门
JP7004282B2 (ja) 仕切弁設置方法
JPH0459514B2 (ko)
KR100572341B1 (ko) 체크밸브 일체형 버터플라이 밸브
KR100337135B1 (ko) 수평형 천공기
JP2007120005A (ja) 制水扉の設置方法および制水扉
KR102351926B1 (ko) 개폐형 자동수문을 구비한 수문
KR20090059760A (ko) 회전식 유체 흐름 발전 제어유닛
JPH03265797A (ja) 流体制御弁等の不断水設置方法及びその密封接続装置
KR101681141B1 (ko) 좌우회동개폐 펌프일체형수문
KR100596023B1 (ko) 회전식 수문장치
KR100821392B1 (ko) 지하수 심정의 양수관 결합장치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JP2005097964A (ja) ポンプゲート装置
KR101687568B1 (ko) 오거스크류용 기어박스
KR101397628B1 (ko) 2중회동링크형 플랩밸브
KR101744152B1 (ko) 핸들식 급수조절장치
KR101864587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수문 및 펌프게이트
CN218508640U (zh) 一种市政下水道井盖
KR101989131B1 (ko) 일체형 펌프 수문 유압식 개폐 장치
KR101477934B1 (ko) 개폐식 오버플로관 커버
CN218861486U (zh) 可远程控制闸门的闸控启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