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024B1 -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024B1
KR102163024B1 KR1020200062286A KR20200062286A KR102163024B1 KR 102163024 B1 KR102163024 B1 KR 102163024B1 KR 1020200062286 A KR1020200062286 A KR 1020200062286A KR 20200062286 A KR20200062286 A KR 20200062286A KR 102163024 B1 KR102163024 B1 KR 10216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uck
information
recognition tag
container
wireless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유제
Original Assignee
성유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유제 filed Critical 성유제
Priority to KR102020006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적시스템{SYSTEM MANAGING FOR DISTRIBUTION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용 트럭의 위치 정보와, 컨테이너 야드 상에서 무선인식 통신을 통합한 효율화시스템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제어의 정밀성을 향상시켜 안전 사고방지를 하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터미널의 출입구인 게이트에서 컨테이너 차량은 출입하면서 통관절차를 거치게 된다. 현재 게이트 통관시스템으로는 바코드 시스템과 카메라 인식 시스템으로 대분된다. 전자, 즉 바코드 시스템은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바코드 카드(운전자 출입증)을 바코드 인식기에 접촉시키기 위해 게이트 출입구에서 일단 정차한 후, 바코드에 새겨진 차량 정보를 입력하여 컨테이너 터미널 관제 센터의 주컴퓨터로 유선 전송하고, 게이트 센터에서는 프린트를 통해 정차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운전자가 바코드 카드를 항상 소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반응이 즉각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운전자들이 무리하게 시스템을 취급하여 파손되는 등 관리상의 불편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후자, 즉 카메라 인식 시스템을 이용하는 추세이다. 카메라 인식 시스템은, 게이트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번호 및 컨테이너 번호를 입력하는 시스템으로, 컨테이너 정차 위치 정보는 바코드 시스템과 같이 문서로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차량 및 컨테이너의 번호판의 청결도 및 부착위치에 따라 인식률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인식률이 80%정도로 낮으므로 여전히 사람이 직접 관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크레인이 선적이나 하역 작업을 위해 컨테이너 운반선과 근접한 위치로 이동용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작업을 위한 위치에 정지하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야드 트럭이 컨테이너 크레인이 필요로 하는 정확한 위치에 정차하여 대기하며 컨테이너 크레인은 동작 경로를 따라 선적 작업이나 하역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물류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과 하역을 위한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에 실린 물품에 대한 최적의 상태로 수송되도록 하기 위한 물류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375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컨테이너용 트럭의 위치 정보와, 컨테이너 야드 상에서 무선인식 통신을 통합한 효율화시스템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제어의 정밀성을 향상시켜 안전 사고방지를 하도록 하기 위한 물류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동시에,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과 하역을 위한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에 실린 물품에 대한 최적의 상태로 수송되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은,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은,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부는, 컨테이너 트럭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시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시스템으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시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시스템으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크레인제어부; 및 게이트부, 크레인제어부, 출입감지장치에 의해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한 뒤,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시스템로 전달하는 분산시스템; 및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에 포함된 운영서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트럭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 외에 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상기 게이트부에 의해 인식된 이후의 상기 크레인제어부에 의해 인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트럭 위치 정보가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게이트부를 거쳐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크레인제어부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경로 중 하나 매칭되어 이동됨이 확인되고, 수신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크레인제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이 이루어진 크레인장치로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PLC/시퀀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크레인장치를 활용한 상기 컨테이너 트럭에 실린 물품에 대한 지정된 컨테이너 위치로의 선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게이트부는, 스위치 모듈, 스위치, 제 1 리더부, 제 1 안테나 및 제 1 경광등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부의 상기 제 1 리더부는,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FID 리더기는 오인 체크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 1 RFID 리더기와 상기 제 2 RFID 리더기에서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의 RF 시그널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산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분산 서버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스위치 모듈은 복수의 제 1 RFID 리더기가 형성되는 경우 각 제 1 RFID 리더기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분류하기 위해 각 제 1 RFID 리더기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를 통해 각 제 1 RFID 리더기의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를 게이트부로 제공하며, 상기 게이트부는 제 1 RFID 리더기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에 대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해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도착 여부를 확인한 뒤, 상기 경광등을 통해 인식여부를 출력하며, 제 1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무선인식 태그에 대한 정보 전송을 통해 차량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각 영역에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차량검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트럭 검지시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를 동작시키고, 제 2 차량검지센서에 상기 컨테이너 트럭이 검지되면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에 포함된 운영서버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트럭과 통신 연결된 후, 컨테이너 트럭의 충격을 감지하면,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테이너 트럭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트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컨테이너 트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의 GPS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고,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기설정된 동작은,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 통화 연결하는 동작, 녹음 및 녹화를 시작하는 동작 및 컨테이너 트럭의 블랙박스로부터 사고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녹음 및 녹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블랙박스 사고 영상을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에 포함된 운영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출입감지장치는 지향성 RFID 안테나를 사용하여 인식 영역 내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하는 제 3 리더부 구비하여 무선인식 태그를 이용한 지정된 블록 영역, 부둣가 영역, 세관 검사 영역, 출입 OCR 포인트 영역 및 연료 보급소 영역에 대한 상기 컨테이너 트럭 출입을 검지하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표시하여 무선인식 태그 인식 여부 표출하는 주의등을 구비하며, 운영서버는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상기 게이트부에 의해 인식된 이후 상기 출입감지장치에 의해 인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트럭 위치 정보가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게이트부를 거쳐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출입감지장치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경로 중 하나로 상기 컨테이너 트럭이 매칭되어 이동됨이 확인되고, 수신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출입감지장치로의 진입이 이루어게 되면,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이 이루어진 상기 출입감지장치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PLC/시퀀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정된 블록 영역, 부둣가 영역, 세관 검사 영역, 출입 OCR 포인트 영역 및 연료 보급소 영역에 형성된 설비 장치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트럭에 실린 컨테이너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용 트럭의 위치 정보와, 컨테이너 야드 상에서 무선인식 통신을 통합한 효율화시스템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제어의 정밀성을 향상시켜 안전 사고방지를 하도록 하기 위한 물류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동시에,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과 하역을 위한 최적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에 실린 물품에 대한 최적의 상태로 수송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의한 컨테이너 트럭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적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선적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부(100), 네트워크(2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제어부(300), 분산시스템(400), 위치추적시스템(500), 운영시스템(600),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감지장치(700)를 포함함으로써, 컨테이너 트럭(2) 위치추적과 무선인식 태그(1)를 이용한 컨테이너 선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적시스템(10)은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 정보와, 컨테이너 야드 상에서 RFID 통신을 통합한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야드 내 안전 사고방지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게이트부(100), 크레인제어부(300), 분산시스템(400), 위치추적시스템(500), 운영시스템(6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부(100)에 의한 컨테이너 트럭(2) 및 컨테이너 트럭(2) 이외의 외부 차량의 무선인식 태그(1) 인식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분산시스템(400)으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전송한 뒤, 분산시스템(400)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영시스템(600)로 전송되면, 운영시스템(6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해 크레인제어부(3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작업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크레인제어부(300)는 컨테이너 트럭(2) 및 외부 차량의 무선인식 태그(1) 인식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영시스템(600)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운영시스템(600)에 의한 무선인식 태그 정보 분석에 따른 크레인 작업 지시 정보를 수신한 뒤, 크레인 작업 지시 정보에 따른 크레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PLC 제어기(310)를 제어할 수 있다.
분산시스템(400)은 분산 서버(41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시스템(400)은 GPS 위치 정보와 무선인식 태그정보를 취합하는 Edge M/W 타입 분산 서버(410)와, 상위 시스템에 해당하는 운영시스템(600)에게 취합된 정보를 제공하는 Integration M/W 타입 분산 서버(4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Edge M/W는 Integration M/W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Edge M/W 타입 분산 서버(410)는 게이트부(100), 크레인제어부(300), 출입감지장치(700)에 의해 무선인식 태그 인식에 따라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Integration M/W 타입 분산 서버(410)에 대해서 태그 ID와 리더 넘버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영시스템(600)의 운영서버(610)로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Edge M/W 타입 분산 서버(410)는 Tag Look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해서 설정된 LookCount에 도달하면 Integration M/W 타입 분산 서버(410)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태그 ID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영시스템(600)의 운영서버(610)로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Edge M/W 타입 분산 서버(410)는 Tag Disappear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게이트부(100)에서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1)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 주기적으로 태그 ID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영시스템(600)의 운영서버(610)로 Disappear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Edge M/W 타입 분산 서버(410)는 Tag RSSI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무선인식 태그(1)가 RFID 리더기(130, 330, 730) 중 복수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RFID 리더기에 대한 RSSI 값을 판독하여 가장 가까운 리더부(130, 330, 730)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운영시스템(600)의 운영서버(610)는 데이터 수집 단계에 있어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 외에 위치추적시스템(500)으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컨테이너 트럭(2)의 GPS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서버(610)는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게이트부(100)에 의해 인식된 이후의 크레인제어부(300)에 의해 인식된 상태인 경우 컨테이너 트럭의 GPS 위치 정보가 무선인식 태그(1)를 인식한 게이트부(100)를 거쳐 무선인식 태그(1)를 인식한 크레인제어부(300)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데이터베이스(62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경로 중 하나 매칭되어 이동됨이 확인되고, 수신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크레인제어부(300)로의 진입이 이루어진 경우, 컨테이너 트럭(2)의 진입이 이루어진 크레인장치로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PLC/시퀀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크레인장치를 활용한 컨테이너 트럭(2)에 실린 물품에 대한 지정된 컨테이너 위치로의 선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610)는 PLC 제어기(310)와 네트워크(200)를 통한 데이터 세션 연결 이후, PLC 제어기(310)의 제어에 따라 크레인장치를 활용한 컨테이너 트럭(2)에 실린 물품에 대한 지정된 컨테이너로의 선적 작업시의 자체적인 분석 결과 센서 데이터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애 발생하거나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알람 메시지를 크레인제어부(300)의 제 2 경광등(350)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요청을 PLC 제어기(310)로 전송함으로써, PLC 제어기(310)에 의한 출력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된 출력 요청에 포함된 제 2경광등(350)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점멸 시퀀스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시퀀스 정보를 D/A 변환기(320)를 통해 제 2 리더부(330)와 연결된 제 2 경광등(350)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서버(610)는 센서 데이터의 집합으로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으며, 각 센서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610)는 상술한 컨테이너로의 물품 선적 작업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로 컨테이너에서 물품 하역 작업에 있어서, 각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추이변화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작동 이외에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운영서버(610)는 오작동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 PLC 제어기(310)에 대한 리모트 제어 방식으로 자동제어, 수동제어 두 가지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자동제어는 관리자가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나 제어가 필요한 상황을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을 데이터베이스(620) 상에 설정을 해둔다. 추후에 오작동 이벤트 정보 생성시의 각 센서 데이터의 집합에 의해 분석이 가능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데이터베이스(620) 상에 설정된 제어 명령을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PLC 제어기(31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수동 제어는 크레인장치 운영자가 제 2 경광등(350)을 통해 알림 신호를 인지한 뒤, 웹서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조회 및 분석하는 중에 제어가 필요하면 웹서비스를 통하여 운영서버(610)의 데이터베이스(62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서 즉시 확인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분산시스템(400)은 무선인식 태그 정보와 GPS 위치 정보를 연동시키기 위해 무선인식 태그 정보 수비, GPS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데이터 필터링, 무선인식 태그 및 GPS 위치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RFID 리더기(130, 330)/컨테이너 트럭(2)의 GPS 장치부 관리, 컨테이너 트럭(2) GPS 위치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위치추적시스템(500)은 컨테이너 트럭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운영시스템(600)으로 컨테이너 트럭 GPS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운영시스템(600)에 의한 컨테이너 트럭 GPS 위치 정보 분석에 따른 크레인 작업 지시 정보를 전송할 크레인제어부(300)에 대한 선택을 위해 크레인제어부(300)의 위치 정보와의 컨테이너 트럭 GPS 위치 정보 간의 거리 비교를 통해 하나의 크레인제어부(300)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부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부(100)는 스위치 모듈(110), 스위치(120), 제 1 리더부(130), 제 1 안테나(140), 제 1 경광등(15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부(100)는 제 1 리더부(130)를 통해 Active RFID 타입에 해당하는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한 뒤, 컨테이너 트럭(2)에 해당하는 차량 도착 여부를 확인한 뒤, 제 1 경광등(150)을 통해 인식 여부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 1 리더부(130)를 통해 차량 내부에 Active Tag의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한 정보 전송을 통해 음향 출력을 통해 차량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부(100)는 분산시스템(400)의 분산 서버(410)에 의해 관리되나 차량 검지용 센서와의 연동을 통해, 도 3과 같이 차량에 형성된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한 인식을 통해 차량의 Yard 게이트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Yard 게이트 출입 차량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차량검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 검지시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를 동작시키고, 제 2 차량검지센서에 차량이 검지되면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크레인제어부(300) 및 출입감지장치(700)에 의한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한 인식도 상술한 게이트부(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 1 차량검지센서 및 제 2 차량검지센서는 압력센서로 형성되거나 카메라를 통해 영상 인식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RFID 리더기는 오인(예: 옆 차선 진입차량) 체크용으로, 제 1 RFID 리더기(130-1)와 제 2 RFID 리더기(130-2)에서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1)의 RF 시그널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분산시스템(400)으로 전송함으로써, 분산서버(410)에 의한 차량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모듈(110)은 복수의 제 1 리더부(130)가 형성되는 경우 각 제 1 리더부(130)에 연결된 복수의 제 1 안테나(14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분류하기 위해 형성되며, 각 제 1 리더부(130)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120)를 통해 각 제 1 리더부(130)의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식별정보)를 게이트부(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크레인제어부(300)는 PLC 제어기(310), 변환기(320), 제 2 RFID 리더기(330), 제 2 안테나(340), 제 2 경광등(3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RMGC(Rail-Mounted Gantry Crane), RTG(Rubber-Tired Gantryrane) 등의 크레인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크레인제어부(300)는 제 2 RFID 리더기(230)를 통해 Active RFID 타입에 해당하는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한 뒤, 컨테이너 차량 도착 여부를 확인한 뒤, 제 2 경광등(250)을 통해 인식 여부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 2 RFID 리더기(230)를 통해 차량 내부에 Active Tag의 무선인식 태그(1)에 대한 정보 전송을 통해 음향 출력을 통해 차량 운전자가 인식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제어부(300)는 RTG 안쪽에 RFID 안테나인 제 2 안테나(3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RTG 내부에 들어오는 컨테이너 트럭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출입감지장치(7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입출 상태(Block entrance / exit)를 감지할 수 있다. 출입감지 리더기(730)를 구비한 출입감지장치(700) Active RFID에 해당하는 무선인식 태그(1)를 이용한 Yard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한 컨테이너 트럭(2)의 출입을 검지할 수 있다.
출입감지장치(700)는 구조물 충돌 방지를 위해 안전 볼라드 및 경광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주의등(750)을 구비함으로써, 컨테이너 트럭에 대한 경각심을 인식시킬 수 있다.
출입감지장치(700)의 출입감지 리더기(730)도 제 3 안테나(740)로 지향성 RFID 안테나를 사용하여 인식 영역 내 모든 RFID Active 태그인 무선인식 태그(1)를 인식한 뒤, 가변출력이 가능하므로, 지향성 안테나 각도 조정으로 인식 영역을 튜닝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감지장치(700)의 주의등(750)은 안전 및 무선인식 태그(1) 인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로 출력 가능하여 상시 점멸등에 대해서 하나의 컬러, 무선인식 태그(1) 인식 여부 표출을 위해 다른 하나의 컬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영역은 지정된 블록 영역(Block area), 부둣가(Quayside area) 영역, 세관 검사 영역(Custom inspection area), 출입 OCR 포인트 영역(Entry/exit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point area), 연료 보급소 영역(Fueling station are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영서버(610)는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게이트부(100)에 의해 인식된 이후 출입감지장치(700)에 의해 인식된 상태인 경우, 컨테이너 트럭 GPS 위치 정보가 무선인식 태그(1)를 인식한 게이트부(100)를 거쳐 무선인식 태그(1)를 인식한 출입감지장치(700)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데이터베이스(620)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경로 중 하나 매칭되어 이동됨이 확인되고, 수신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출입감지장치(700)로의 진입이 이루어진 경우, 컨테이너 트럭(2)의 진입이 이루어진 출입감지장치(700)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PLC/시퀀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에 형성된 설비 장치가 있는 경우 설비 장치를 활용한 컨테이너 트럭(2)에 실린 컨테이너에 대한 설비 장치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에 형성된 설비 장치가 있는 경우는 미리 설정된 영역이 세관 검사 영역(Custominspection area), 출입 OCR 포인트 영역(Entry/exit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point area), 연료보급소 영역(Fueling station area)인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610)는 PLC 제어기(310)와 네트워크(200)를 통한 데이터 세션 연결 이후, PLC 제어기(310)의 제어에 따라 설비 장치를 활용한 설비 장치에 의한 작업시의 자체적인 분석 결과 센서 데이터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애 발생하거나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알람 메시지를 출입감지장치(700)의 주의등(750)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요청을 출입감지장치(700)로 전송함으로써, 출입감지장치(700)에 의한 출력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된 출력 요청에 포함된 주의등(750)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점멸 시퀀스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시퀀스 정보를 주의등(750)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운영서버(610)는 센서 데이터의 집합으로 실시간 영상 데이터, 온도/습도 데이터, 조도센서 데이터, CO2센서 데이터 및 유해물질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으며, 각 센서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610)는 설비 장치에 의한 작업에 있어서, 각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추이변화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작동 이외에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운영서버(610)는 오작동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 출입감지장치(700)에 대한 리모트 제어 방식으로 자동제어, 수동제어 두 가지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자동제어는 관리자가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나 제어가 필요한 상황을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을 데이터베이스(620) 상에 설정을 해둔다. 추후에 오작동 이벤트 정보 생성시의 각 센서 데이터의 집합에 의해 분석이 가능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데이터베이스(620) 상에 설정된 제어 명령을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출입감지장치(70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수동 제어는 크레인장치 운영자가 WEB 서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조회 및 분석하는 중에 제어가 필요하면 WEB 서비스를 통하여 운영서버(610)의 데이터베이스(620)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서 즉시 확인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또한, 운영서버(610)는 "데이터 수집 단계"에 있어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 외에 위치추적시스템(500)으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컨테이너 트럭(2)의 GPS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한 뒤,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게이트부(100)에 의해 인식되면,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물품 ID에 전문화된 컨테이너로의 선적을 위해 크레인장치를 제어하는 크레인제어부(300)를 모두 추출한 뒤, 추출된 크레인제어부(300)에 대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물품 ID, 물품 용적량 정보를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제어부(300)로부터의 선택신호를 대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610)는 선택신호를 전송한 크레인제어부(300)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레인제어부(300)를 추출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620)에 사전에 저장된 크레인장치 ID, 전문 취급물품 정보, 크레인장치 위치 정보, 컨테이너 용적량, 내부 온도, 습도, 실내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크레인장치 정보 등록 유닛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운영서버(610)는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서 추출된 상품 ID와 비교의 대상이 되는 크레인장치 정보 등록 유닛 단위의 전문 취급 물품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전문 취급 물품 정보에서 물품 ID과 매칭되는 크레인제어부(300)를 추출한 뒤, 컨테이너 용적량에 대해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서 추출된 물품 용적량 정보가 단일 또는 묶음으로 용적시 용적 가능여부,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 습도, 실내 조도 정보가 상품을 보관 시 각각 임계치 이내에서 매칭되는지, 컨테이너의 실내 조도 정보에 보관시 상품 유의사항 중 물품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이 조사되는지 여부 등을 분석한 뒤, 모두가 매칭되거나 매칭되는 개수가 많은 컨테이너를 지정하여 크레인장치를 구동시키는 크레인제어부(300)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운영서버(610)는 1차로 추출된 크레인제어부(300)가 복수인 경우, 크레인장치 정보 등록 유닛 단위의 크레인장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택배 회사 지역 정보'와, 수집된 컨테이너 트럭(2)의 GPS 위치 정보와의 제 1 거리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여 가까운 위치에 있는 크레인장치를 관리하는 크레인제어부(300)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의한 컨테이너 트럭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컨테이너 트럭(2)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이하 단말)(21) 또는 운영시스템(600)에 포함된 운영서버(610)에 기 설치/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우선,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S101). 여기서,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과 기설정된 거리 이내(또는 통신 연결이 가능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을 의미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컨테이너 트럭(2)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21)에 해당할 수 있다.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LTE(Long-Term Evolution)/5G(Generation) 통신)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트럭(2)과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컨테이너 트럭(2)과 주고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컨테이너 트럭(2)은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트럭(2)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고, 사고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S102). 이 경우, 컨테이너 트럭(2)은 현재 충격이 가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연결된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로 전송할 수 있다(S103).
다음으로,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차량(102)의 위치가 (기설정된 범위/거리 이 상으로)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컨테이너 트럭(2)이 기설정된 범위/거리 이상으로 변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듯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특히, 큰 사고)에는 충격이 감지된 이후에 주행을 반드시 멈출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여부는,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이 컨테이너 트럭(2)으로부터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GPS(Global position system) 정보를 수신하거나, 단말(21) 자체의 위치/GPS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가 변동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7).
반대로,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05), 그에 따른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06). 여기서 기설정된 동작은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 후속 조치를 취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단말(101)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트럭(2)의 충격은 감지되었으나 위치 변동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추가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함으로써 컨테이너 트럭(2)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사고 후속 처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설정된 번호는 보험사, 경찰서, 응급실, 병원, 자동차 수리 센터 및/또는 소방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기설정된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사고의 경중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 통화 연결 시도가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다른 통화 연결이 없는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의 사고가 가벼운 상태, 예를 들어 사고 등급 1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 수리센터의 통화 연결시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있는 경우,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의 사고가 상기 사고 등급 1 보다 심각한 사고 등급 2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횟수 및 컨테이너 트럭(2)의 위치정보 변동을 함께 고려하여,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가 사고 등급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는, 단말(21)을 통해 기설정된 번호로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번호로부터 통화 수신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단말(21)은 기설정된 번호로부터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에도, 운전자가 연락에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사고 등급을 최고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트럭(2)의 충격이 감지 후, 위치 정보가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나, 운전자가 전화를 받거나, 메시지 확인 및/또는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21)은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것으로 판단하고, 긴급 출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험사, 119, 응급실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으로서, 기설정된 연락처로 (긴급)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시도할지 여부를 묻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동작의 통화 연결의 시도 전에, 단말(21)은 통화 연결 또는 메시지 송신 여부를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1)은 사고 발생 여부문의, 사고 발생에 따른 메시지 송신 여부 및/또는 통화 연결 여부를 운전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문의에 대한 운전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단말(21)은 자동으로 기설정된 연락처에 메시징 또는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21)은 연락처, 메시지 또는 통화 연결 중 우선순위, 연락처 사이의 통화 또는 메시지 우선순위 등을 미리 설정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컨테이너 트럭(2)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감지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으로서, 녹음 및/또는 녹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녹음 및/또는 녹화된 파일은 추후 사고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고 사고 정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차량 사고 영상을 수신/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녹음 및 녹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블랙박스 사고 영상을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에 전송하고, 전송받은 단말(21) 또는 운영서버(610)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완충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완충모듈(800)은 제 1 RFID 리더기, 제 2 RFID 리더기, 제 1 차량검지센서 및 제 2 차량검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모듈(800)는, 하부 유닛(810), 상부 유닛(820), 탄성체(8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대(840)를 포함한다.
하부 유닛(8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RFID 리더기, 제 2 RFID 리더기, 제 1 차량검지센서 및 제 2 차량검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측에 탄성체(8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대(840)가 각각 설치된다.
상부 유닛(820)은, 하부 유닛(810)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8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대(8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제 1 RFID 리더기, 제 2 RFID 리더기, 제 1 차량검지센서 및 제 2 차량검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한다.
탄성체(830)는, 하부 유닛(810)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부 유닛(820)의 중심부를 지지한다.
모서리 지지대(840-1 내지 840-4)는, 하부 유닛(810)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부 유닛(820)의 하측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모듈(800)는, 설치부(300)의 하측을 탄성체(830) 및 4 개의 모서리 지지대(440-1 내지 440-4)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검사 장치(L2)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슬라이딩 거치부(200)의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완충모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탄성체(830)는, 제1 지지부(831), 제2 지지부(832), 제3 지지부(833) 및 다수 개의 제4 지지부(83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831)는, 하측에 반구 형태의 상부 안착홈(H1)이 형성되어 제3 지지부(833)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부 유닛(820)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832)는, 제1 지지부(83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제1 지지부(831)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반구 형태의 하부 안착홈(H2)이 형성되어 제3 지지부(833)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부 유닛(8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3 지지부(833)는,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부 안착홈(H1)에 안착되고 하부가 하부 안착홈(H2)에 안착되어 제1 지지부(831)와 제2 지지부(832) 사이를 지지한다.
제4 지지부(834)는, 제1 지지부(831)와 제2 지지부(832)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부(831)와 제2 지지부(832) 사이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지지부(834)는, 제1 지지부(831)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부홈(8331)에 상부가 안착되고, 제2 지지부(832)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8321)에 하부가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832)는, 하부 안착홈(H2)에 안착된 제3 지지부(833)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안착홈(H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5 지지부(83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831)는, 상부 안착홈(H1)에 안착된 제3 지지부(833)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안착홈(H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5 지지부(83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5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5 지지부(835)는, 하부홈(8351), 하부 탄성체(8352), 슬라이딩 바아(8353) 및 지지 구슬(83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부(831)의 제5 지지부(836)는, 제2 지지부(832)의 제5 지지부(835)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홈(8351)은, 중심축이 제3 지지부(833)의 중심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에 하부 탄성체(8352)가 설치되고, 슬라이딩 바아(8353)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하부 탄성체(8352)는, 하부홈(8351)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바아(8353)를 지지한다.
슬라이딩 바아(8353)는, 하부홈(8351)에 안착되어 하부 탄성체(8352)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부홈(83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링(8355)을 형성하여 하부홈(835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턱(8356)에 안착되어 하부홈(8351)에서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지지되며, 상측에 지지 구슬(8354)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구슬(8354)은, 상부 일부가 노출되어 제3 지지부(833)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바아(835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5 지지부(835)는, 제3 지지부(833)의 하측 여러 곳을 방사형으로 지지함으로써, 하부 유닛(810)과 상부 유닛(8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1: 무선인식 태그
2: 컨테이너 트럭
100: 게이트부
200: 네트워크
300: 크레인제어부
400: 분산시스템
500: 위치추적시스템
600: 운영시스템
700: 출입감지장치
800: 완충모듈

Claims (2)

  1. 컨테이너 트럭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시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시스템으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을 제어하는 게이트부;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산시스템으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크레인제어부;
    상기 게이트부, 상기 크레인제어부, 출입감지장치에 의해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한 뒤,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시스템로 전달하는 상기 분산시스템; 및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에 포함된 운영서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트럭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 외에 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상기 게이트부에 의해 인식된 이후의 상기 크레인제어부에 의해 인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트럭 위치 정보가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게이트부를 거쳐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크레인제어부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경로 중 하나 매칭되어 이동됨이 확인되고, 수신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크레인제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이 이루어진 크레인장치로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PLC/시퀀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크레인장치를 활용한 상기 컨테이너 트럭에 실린 물품에 대한 지정된 컨테이너 위치로의 선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게이트부는, 스위치 모듈, 스위치, 제 1 리더부, 제 1 안테나 및 제 1 경광등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부의 상기 제 1 리더부는,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FID 리더기는 오인 체크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 1 RFID 리더기와 상기 제 2 RFID 리더기에서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의 RF 시그널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분산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분산 서버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스위치 모듈은 복수의 제 1 RFID 리더기가 형성되는 경우 각 제 1 RFID 리더기에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분류하기 위해 각 제 1 RFID 리더기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를 통해 각 제 1 RFID 리더기의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를 게이트부로 제공하며,
    상기 게이트부는 제 1 RFID 리더기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에 대한 무선인식 태그 정보를 수신해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도착 여부를 확인한 뒤, 상기 경광등을 통해 인식여부를 출력하며, 제 1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무선인식 태그에 대한 정보 전송을 통해 차량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각 영역에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차량검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트럭 검지시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를 동작시키고, 제 2 차량검지센서에 상기 컨테이너 트럭이 검지되면 제 1 RFID 리더기와 제 2 RFID 리더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에 포함된 운영서버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트럭과 통신 연결된 후, 컨테이너 트럭의 충격을 감지하면,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테이너 트럭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트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컨테이너 트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의 GPS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인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하고,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의 위치에 변동이 없는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번호로의 통화 연결 시도 이벤트 및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부터의 통화 수신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트럭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기설정된 동작은, 상기 기설정된 번호로 통화 연결하는 동작, 녹음 및 녹화를 시작하는 동작 및 컨테이너 트럭의 블랙박스로부터 사고 영상을 수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녹음 및 녹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블랙박스 사고 영상을 컨테이너 트럭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에 포함된 운영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출입감지장치는 지향성 RFID 안테나를 사용하여 인식 영역 내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하는 제 3 리더부 구비하여 무선인식 태그를 이용한 지정된 블록 영역, 부둣가 영역, 세관 검사 영역, 출입 OCR 포인트 영역 및 연료 보급소 영역에 대한 상기 컨테이너 트럭 출입을 검지하며, 무선인식 태그 인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컬러 표시하여 무선인식 태그 인식 여부 표출하는 주의등을 구비하며,
    운영서버는 수집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가 상기 게이트부에 의해 인식된 이후 상기 출입감지장치에 의해 인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트럭 위치 정보가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게이트부를 거쳐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한 상기 출입감지장치로 진입하기 위한 경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뒤 추출된 경로 중 하나로 상기 컨테이너 트럭이 매칭되어 이동됨이 확인되고, 수신된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출입감지장치로의 진입이 이루어게 되면, 상기 컨테이너 트럭의 진입이 이루어진 상기 출입감지장치의 무선인식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PLC/시퀀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정된 블록 영역, 부둣가 영역, 세관 검사 영역, 출입 OCR 포인트 영역 및 연료 보급소 영역에 형성된 설비 장치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트럭에 실린 컨테이너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 1 RFID 리더기, 제 2 RFID 리더기, 제 1 차량검지센서 및 제 2 차량검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모듈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평판; 상기 하부 평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평판; 상기 하부 평판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평판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완충모듈; 및 상기 하부 평판과 상기 상부 평판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하부 평판과 상기 상부 평판 사이를 지지하는 4 개의 모서리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하측에 반구 형태의 상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반구 형태의 하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 지지부; 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제4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하부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제3 지지부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안착홈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5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5 지지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하부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탄성체; 상기 하부홈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하부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및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지지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구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2. 삭제
KR1020200062286A 2020-05-25 2020-05-25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KR10216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86A KR102163024B1 (ko) 2020-05-25 2020-05-25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86A KR102163024B1 (ko) 2020-05-25 2020-05-25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024B1 true KR102163024B1 (ko) 2020-10-07

Family

ID=7288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286A KR102163024B1 (ko) 2020-05-25 2020-05-25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2990A (zh) * 2021-08-24 2021-12-14 天津港第二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考虑前置和后置缓冲区的地面锁站智能动态布置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58B1 (ko) 2009-03-24 2011-06-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영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82841B1 (ko) * 2015-07-07 2017-10-23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58B1 (ko) 2009-03-24 2011-06-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영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82841B1 (ko) * 2015-07-07 2017-10-23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2990A (zh) * 2021-08-24 2021-12-14 天津港第二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考虑前置和后置缓冲区的地面锁站智能动态布置方法
CN113792990B (zh) * 2021-08-24 2024-03-29 天津港第二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考虑前置和后置缓冲区的地面锁站智能动态布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8689C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ng inventory and dispatch procedures at a staging area
CN108572645B (zh) 无人驾驶运输系统
RU2640389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оездом 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м депо
US202401321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centralized train control
US20070291985A1 (en) Intelligent railyard monitoring system
MX2007004848A (es) Metodo y sistema para monitorear un vehiculo.
KR101967588B1 (ko) 물류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CN206805799U (zh) 煤矿井下运输车辆人员伤害预警系统
KR102163024B1 (ko) 컨테이너 선적시스템
KR100985780B1 (ko) 열차의 접근 경보 장치 및 방법
US20140354400A1 (en) System for managing entry and exit of vehicles
KR20140043533A (ko)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82233A (ko) 안전택시 앱을 이용한 구조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0220A (ko) 이동체에서 드론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6504941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US9336505B1 (en) Apparatus for portal based scanning
KR102147984B1 (ko) Rfid태그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용 크레인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150083547A (ko) 철도차량 검수차고 관리시스템
KR101899289B1 (ko) 코일 이송 대차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0886B1 (ko)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가스용기 출납 모니터링시스템
CN106952467A (zh) 用于物流园区的车辆调度系统
KR20200026451A (ko) 통학차량의 안전시스템
JP7432323B2 (ja) 異常状態通知システム
KR20240076085A (ko) 항만크레인 안전경고시스템 및 방법
WO2023203499A1 (en) System for recognising passengers in trans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