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636B1 - 차량용 루프랙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636B1
KR102162636B1 KR1020180157588A KR20180157588A KR102162636B1 KR 102162636 B1 KR102162636 B1 KR 102162636B1 KR 1020180157588 A KR1020180157588 A KR 1020180157588A KR 20180157588 A KR20180157588 A KR 20180157588A KR 102162636 B1 KR102162636 B1 KR 10216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over
lamp
fusion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735A (ko
Inventor
이동훈
최규남
Original Assignee
한국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드 filed Critical 한국몰드
Publication of KR2019006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은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버부; 및 서로 결합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마운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 중 일측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융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돌출융착부를 수용하며 상호 융착하기 위한 수용융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랙{Vehicular Roof Rack}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변형 가능 재질로 가볍고 견고하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 외에 화물을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에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루프랙을 이용하여 각종 화물을 운반한다. 루프랙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를 압출하여 가공하여 제조된다. 알루미늄 재질의 루프랙은 경량화에 한계가 있고 제조단가가 높으며 다양한 디자인이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하여 메인프레임과 커버를 제조한 후 조립하여 저렴하며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루프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온의 사출물인 커버는 "U"자의 단면형상을 가지는데 내측에 갈비살형상을 형성하여 내측으로의 수축을 방지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출 후 식을 때 내측으로의 수축현상을 멈추게 하지 못하므로 차량용 루프랙이 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열변형 가능 재질로 제조되며 휘지 않고 가벼운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과정에서 램프에 의한 조명이 제공되는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버부; 및 서로 결합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마운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 중 일측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융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돌출융착부를 수용하며 상호 융착하기 위한 수용융착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루프랙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부는, 내측 중앙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본체; 및 상기 마운팅본체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지지부는 상기 마운팅본체와 연결된 내측보다 외측 단부가 위쪽에 위치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체가 감지되면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는 램프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시스템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온/오프 되는 램프; 및 상기 인체 감지 센서의 감지 값에 따라 상기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열변형 가능 재질로 제조되며 휘지 않고 가벼운 차량용 루프랙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 과정에서 램프에 의한 조명이 제공되는 차량용 루프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차량용 루프랙의 메인프레임 및 커버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차량용 루프랙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루프랙에서 마운팅부가 위치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에 있어, 길이 방향에 수직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램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램프 모듈이 상이한 전원측 단자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의 메인프레임 및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차량용 루프랙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차량용 루프랙에서 추가 융착부가 제공되는 지점에서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차량용 루프랙의 메인프레임 및 커버부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차량용 루프랙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루프랙(1)은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 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은 차량용 루프랙(1)의 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메인프레임(10)은 메인본체(11), 돌출융착부(12) 및 관통공(13)을 갖는다. 메인본체(11)는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메인본체(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관통공(13)이 형성된다. 돌출융착부(12)는 메인본체(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융착부(12)는 후술할 수용융착부(22)와 융착되기 쉽도록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도 있고, 넓어질 수도 있다. 돌출융착부(12)의 형상은 돌출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10)은 열 변형 가능한 재질의 소재가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메인프레임(10)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커버부(20)는 메인프레임(10)을 덮어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메인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커버부(20)는 열 변형 가능한 재질의 소재가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커버본체(21), 수용융착부(22), 설치공(23) 및 설치공마개(24)를 포함한다.
커버본체(21)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의 양측이 아래쪽으로 휘어진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커버본체(21)에는 폭 방향 양단의 하부에 돌출융착부(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출융착부(12)를 수용하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기 위한 수용융착부(22)가 형성된다. 수용융착부(22)는 폭 방향 양단의 하부에서 위쪽을 향해 들어간 홈 구조로 형성된다. 수용융착부(22)는 돌출융착부(12)에 대응하여 함몰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도 있고, 넓어질 수도 있다. 돌출융착부(12)가 수용융착부(22)에 수용된 이후에는 진동융착방식을 통해 융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융착방식은 진동융착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버본체(21)에는 후술할 마운팅부(3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본체(21)는 설치공(23)을 차폐하는 설치공마개(24)을 갖는다. 설치공마개(24)는 설치공(2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루프랙에서 마운팅부가 위치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운팅부(30)는 차량용 루프랙(1)이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마운팅부(30)는 차량용 루프랙(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부(30)는 차량용 루프랙(1)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사이의 구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마운팅부(30)는 커버부(20)와 메인프레임(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수용공간에 배치된다. 마운팅부(30)는 메인프레임(10)의 메인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운팅부(30)는 메인프레임(10)과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부(30)와 메인프레임(10)은 따로따로 사출된 후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메인프레임(10)에는 마운팅부(30)를 수용할 수 있는 마운팅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용 루프랙(1)은 체결공(320)으로 체결스크류를 삽입하여 차량의 루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마운팅부(30)는 마운팅본체(310) 및 커버지지부(330)를 포함한다. 마운팅본체(310)는 메인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마운팅본체(310)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상하 방향으로 체결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지지부(330)는 마운팅본체(310)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버지지부(330)는 마운팅본체(310)와 연결된 내측보다 외측 단부가 커버부(20)를 향하도록 위쪽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커버지지부(330)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지지부(330)는 메인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운팅본체(310)의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가 결합되면, 커버지지부(330)는 커버부(20)를 향해 탄성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커버지지부(330)의 외측 단부는 커버부(20)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가 결합되면 커버부(20)의 내측에 접촉되면서 커버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부(20)가 메인프레임(10)과 융착될 때 커버부(20)의 내측이 커버지지부(330)를 누르면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커버부(20)는 커버지지부(330)에 의해 상방과 양측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는 융착지지부(40)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융착지지부(40) 차량용 루프랙(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융착지지부(40)는 커버부(2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메인프레임(10)을 향해 돌출 연장되며 관통공(13)을 통과하여 메인프레임(10)의 배면에 지지된다. 융착지지부(40)는 돌출융착부(12)와 수용융착부(22)의 융착결합을 보조하여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융착지지부(40)는 마운팅부(3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는 형태지지부(50)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형태지지부(50)는 커버부(20) 내측 저면으로부터 메인프레임(10)을 향해 돌출되며 커버부(2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메인프레임(10)에 지지된다. 형태지지부(50)는 외부의 충격, 눌림, 화물로 인한 하중 등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눌려 형태가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태지지부(50)는 커버부(20)와 메인프레임(10)의 융착에 의해 형성된 내부수용공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뼈대 또는 기둥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1)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1), 2) 메인프레임(10)과 커버부(20)를 각각 사출한다.
3) 커버부(20)의 사출된 온도가 하강하여 내측으로 수축이 일어나기 전에 커버부(20)를 융착지지부(40)가 관통공(13)을 통과하도록 배치한 후 돌출융착부(12)를 수용융착부(22)에 수용시킨다.
4) 돌출융착부(12)가 수용융착부(22)에 수용된 부분을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진동융착시킨다.
5) 관통공(13)을 통과한 융착지지부(40)의 말단을 메인프레임(10)의 배면에 지지시킨다.
상기 실시 예 이외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돌출융착부(12)는 커버부(20)에 형성되고, 수용융착부(22)는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지지부(330)는 마운팅본체(310)의 외면에서 링 형상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커버지지부(330)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융착지지부(40)는 커버부(20)로부터 연장되어 말단은 메인본체(11)의 상면 에 함몰된 영역에 안착되어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위치될 수 있다. 융착지지부(40)의 말단 형상은 메인본체(11)에 함몰된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부(20)의 수용융착부(22)는 함몰된 부분을 중심으로 외측부분이 메인프레임(10)의 측부를 덮을 수 있을 만큼 길게 형성되며 메인프레임(10)의 측부와 융착된다. 또는 외측부분이 메인프레임(10)의 측부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며 외측부분이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도 융착될 수도 있다.
상기의 차량용 루프랙(1)으로 인하여, 돌출융착부(12)와 수용융착부(22)를 융착하여 커버부(20)의 수축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휘지 않은 커버부(20)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조공정에서의 불량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커버지지부(330)에 의해 사출되어 나온 커버부(20)가 식을 때 내측으로의 수축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융착지지부(40)와 형태지지부(50)에 의해 외력에 의한 파손이 줄어드는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에 있어, 길이 방향에 수직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램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램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루프랙(1)에는 램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램프 시스템(1)은 차량용 루프랙(1)에 설치되어,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램프(620)가 켜져 조명이 제공되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차량 이용자가 차량용 루프랙(1)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내리는 경우와 같이, 차량용 루프랙(1)을 사용할 때 차량 이용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램프(620)가 켜질 수 있다.
램프 시스템(1)은 인체 감지 센서(610), 램프(620)및 제어기(630)를 포함한다.
인체 감지 센서(610)는 설정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 이용자의 신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인체 감지 센서(610)는 PIR(Passive Infrated Sensor)센서, 도플러 센서 등일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610)는 차량용 루프랙(1)의 외부를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 감지 센서(610)는 차량 이용자가 차량용 루프랙(1) 주위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체 감지 센서(610)는 차량용 루프랙(1)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차량 상면의 중앙 영역을 향하도록 커버부(20)의 일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램프(620)는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온/오프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램프(620)는 EL램프(electroluminescent lamp)로 제공될 수 있다. 램프(620)는 차량용 루프랙(1)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차량 상면의 중앙 영역을 향하도록 커버부(20)의 일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620)가 온 되면, 차량용 루프랙(1)에 적재된 물건이 위치되는 방향을 밝힐 수 있다.
제어기(630)는 인체 감지 센서(610)의 감지 값에 따라 램프(6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기(630)는 센서 신호 처리부(631), 엠씨유(632)(MCU, Micro Controller Unit) 및 전원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신호 처리부(631)는 인체 감지 센서(610)와 연결되어, 인체 감지 센서(610)로부터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제공된다.
전원부(633)는 램프 시스템(1)이 동작되는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부(633)는 램프(620)에 연결되어, 램프(620)가 켜지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은 인체 감지 센서(610)에 연결되어, 인체 감지 센서(610)가 동작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633)는 메인프레임(10) 및 커버부(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엠씨유(632)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 · 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진 형태로 제공되어, 센서 신호 처리부(631)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램프(620)가 설정 방식으로 온/오프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630)는 램프 드라이버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어, 엠씨유(632)는 램프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램프(620)가 온/오프 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엠씨유(632)는 인체 감지 센서(610)에서 인체를 감지한 신호가 수신되면,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설정 시간동안 램프(620)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엠씨유(632)는 인체 감지 센서(6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인체 감지 센서(6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610)는 인체가 감지되면, 감지가 이루어진 대상이 인체 감지 센서(610)의 감지 범위에서 제거된 후, 다시 감지 대상이 인체 감지 센서(610)의 감지 범위에 들어와야 감지가 수행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이용자가 차량용 루프랙(1)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내리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램프(620)가 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엠씨유(632)는 인체 감지 센서(610)에서 인체를 감지한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인체 감지 센서(610)로 공급되는 전력이 오프 후 온 되어, 인체 감지 센서(610)가 초기화 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 감지 센서(610)는 감지 범위내에 인체가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이를 다시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인체 감지 센서(610)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후, 인체 감지 센서(610)로 공급되는 전력이 오프 되는 시간은 램프(620)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보다 짧게 제공될 수 있다. 이 에 따라, 인체 감지 센서(610)의 감지 범위 내에 인체가 있는 상태에서, 램프(620)가 커지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램프(620)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면, 차량용 루프랙(1) 주위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치워진 후 램프(620)가 켜져 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610) 및 램프(620)는 하나의 램프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램프 모듈은 바디(600), 램프(620) 및 인체 감지 센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00)는 설정 체적을 가지고, 램프 모듈의 골격을 제공한다. 일 예로, 바디(600)는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600)의 외측면에는 전원부(633)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601)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단자(601)는 삽입 설치되는 방향(이하, 내측 방향)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바디(600)의 내측 방향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램프(620) 및 인체 감지 센서(610)는 바디(600)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하, 외측 방향)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부(20)에는 램프 모듈이 삽입되는 설치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200)의 내측면은 바디(600)의 내측 방향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치부(200)에는 바디(600)의 내측 방향 단부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게 제공될 수 있다. 설치부(200)에는 전원부(633)와 연결되는 전원측 단자(201)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 모듈의 연결 단자(601)가 전원측 단자(201)와 접촉되면, 램프(620) 및 인체 감지 센서(61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신호 처리부(631), 엠씨유(632)는 램프 모듈에 제공되거나, 램프 모듈의 외측에 위치될 수있다.
도 8 및 도 9는 램프 모듈이 상이한 전원측 단자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설치부(200)에는 위치를 달리하여 전원측 단자(201)가 복수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전원측 단자(201)는 상이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램프 모듈은 설치부(200)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됨에 따라, 램프 모듈의 연결 단자(601)는 복수의 전원측 단자(201)들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측 단자(201)는 설치부(200)의 외측 방향에 위치된 것 보다 내측 방향에 위치된 것이 더 작은 전류를 공급하게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설치부(200)에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1 전원 측 단자(201a), 제2 전원 측 단자(201b) 및 제3 전원 측 단자(201c)가 제공될 수 있다.그리고, 제1 전원측 단자(201a)가 가장 큰 전류를 공급하고, 제3 전원 측 단자(201c)가 가장 작은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이에 따라, 램프 모듈의 연결 단자(601)가 제1 전원 측 단자(201a)와 연결된 상태에서 램프(620)가 온 되면, 램프(620)의 밝기가 가장 크고, 램프 모듈의 연결 단자(601)가 제3 전원 측 단자(201c)와 연결된 상태에서 램프(620)가 온되면, 램프(620)의 밝기가 가장 작게 제공된다.
설치부(200)의 외측 단부에는 안내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210)는 램프 모듈의 외측 둘레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제공되어, 램프 모듈이 설치부(200)에 설치되면, 램프 모듈의 외측 방향 단부는 안내부(210)에 위치되는 형태로 외부를 향할 수 있다. 안내부(210)는 내측 방향 단부의 면적보다 외측 방향 단부의 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일 예로, 안내부(210)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중심 영역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10)는 가장 외측에 위치된 제1 안내부(211)가 외측을 향하는 경사가 가장 크고, 가장 내측에 위치된 제3 안내부(213)가 외측을 향하는 경사가 가장 작고, 제1 안내부(211)와 제3 안내부(213) 사이에 위치된 제2 안내부(212)가 외측을 향하는 경사는 제1 안내부(211)보다 작고 제3 안내부(213)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램프 모듈이 설치부(200)에 삽입 설치되는 깊이에 따라, 인체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되는 범위(R)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램프 모듈이 설치부(200)에 깊게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3 전원 측 단자(201c)와 접속되는 형태가 되면, 인체 감지 센서(610)는 안내부(210)의 내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3 안내부(213)에 위치되어, 인체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되는 범위(R)는 제1 안내부의 내측면의 연장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와 같이 램프 모듈이 도 6의 경우보다 외측을 향하게 설치되어 제2 전원 측 단자(201b)와 접속되는 형태가 되면, 인체 감지 센서(610)는 제2 안내부(212)에 위치되어, 인체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되는 범위(R)는 제2 안내부(212)의 내측면의 경사의 연장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과 램프 모듈이 도 7의 경우보다 외측을 향하게 설치되어 램프 모듈이 제3 전원 측 단자(310)와 접속되는 형태가 되면, 인체 감지 센서(610)는 제1 안내부(211)에 위치되어, 인체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되는 범위(R)는 제1 안내부(211)의 내측면의 경사의 연장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되는 범위(R)가 감소되면, 램프(620)의 밝기가 작아지고, 인체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되는 범위가 증가되면, 램프(620)의 밝기가 커지게 된다. 안내부(210)는 인체의 감지에 사용되는 적외선, 마이크로 등과 같은 신호를 투과 가능하게 제공되고,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덮개(210)에 의해 덥힐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랙의 메인프레임 및 커버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차량용 루프랙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서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차량용 루프랙에서 추가 융착부가 제공되는 지점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용 루프랙(1)은 메인프레임(10a) 및 커버부(20a)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메인프레임(10a)에는 돌출융착부(12a)가 형성되고, 커버부(20a)에는 수용융착부(22a)가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프레임(10a)에는 융착 가이드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융착 가이드부(14)는 메인프레임(10a)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융착 가이드부(14)는 돌출융착부(12a)와 설정 거리 이격되어, 메인프레임(10a)의 중심 방향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융착 가이드부(14)는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a)과 커버부(20a)가 결합되면, 커버부(20a)의 하단 내측면은 융착 가이드부(14)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위치되어, 메인프레임(10a)과 커버부(20a)가 서로 정렬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0a)과 커버부(20a)가 융착 결합될 때, 커버부(20a)의 하단 내측면과 융착 가이드부(14) 사이에 추가적으로 융착이 발생되어, 메인프레임(10a)과 커버부(20a)의 결합 상태가 향상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a)에는 추가 융착부(15)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융착부(15)는 메인프레임(10a)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설정 거리 돌출 형성되어, 커버부(20a)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추가 융착부(15)는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융착부(15)는 하나, 또는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두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융착부(15)의 외측면은 커버부(20a)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0a)이 커버부(20a)에 결합되면, 융착보조부는 커버부(20a)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추가 융착부(15)의 상부 외면에는 융착 보조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융착 보조부(16)는 추가 융착부(15)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융착 보조부(16)는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착 보조부(16)는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 또는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융착 보조부(16)는 하나, 또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 되어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a)이 커버부(20a)에 결합되면, 융착 보조부(16)는 커버부(20a)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융착 방법에 따라 융착 보조부(16)는 커버부(20a)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융착 보조부(16)는 생략되고, 추가 융착부(15)의 상부 외면이 커버부(20a)의 내면에 융착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20a)의 내면에는 융착 보조부(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융착 보조부(16)의 외측 단부에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제공되어, 융착 보조부(16)가 삽입되는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융착 보조부(16)의 내측에는 보강부(17)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융착 보조부(16)는 중공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17)는 융착 보조부(16)의 길이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융착 보조부(16)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적어도 일측이 융착 보조부(16)에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프레임 11: 메인본체
12: 돌출융착부 13: 관통공
20: 커버부 21: 커버본체
22: 수용융착부 23: 설치공
24: 설치공마개 30: 마운팅부
40: 융착지지부 50: 형태지지부

Claims (5)

  1.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위치되고, 서로 결합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마운팅부; 및
    인체가 감지되면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는 램프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 중 일측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융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돌출융착부를 수용하며 상호 융착하기 위한 수용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부는,
    내측 중앙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본체;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본체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마운팅본체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버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지지부는 상기 마운팅본체와 연결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제공되어,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부를 향해 탄성을 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램프 시스템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온/오프 되는 램프; 및
    상기 인체 감지 센서의 감지 값에 따라 상기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체 감지 센서 및 상기 램프는 하나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어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되,
    상기 램프 모듈은 설정 길이의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로 삽입 설치되는 내측 방향 단부의 외측면에는 전원과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가 제공되고, 내측 방향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바디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바디의 내측 방향 단부에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연결 단자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측 단자가 제공되되, 상기 전원측 단자는 각각 상이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위치를 달리하여 복수 제공되는 차량용 루프랙.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7588A 2017-12-07 2018-12-07 차량용 루프랙 KR102162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7307 2017-12-07
KR1020170167307 2017-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735A KR20190067735A (ko) 2019-06-17
KR102162636B1 true KR102162636B1 (ko) 2020-10-07

Family

ID=6706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588A KR102162636B1 (ko) 2017-12-07 2018-12-07 차량용 루프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6260A (ja) * 2013-05-16 2016-09-01 マグナ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車ルーフレールのアクセント照明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58B1 (ko) * 2009-01-05 2010-08-26 (주)몰드피아 사이드바
KR101683510B1 (ko) * 2015-04-07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루프랙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6260A (ja) * 2013-05-16 2016-09-01 マグナ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車ルーフレールのアクセント照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735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810B2 (en) Roof article transporter assembly
JP6081419B2 (ja) 乗り物のための照明ドアハンドル
US102020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rear-view device
CN101954892B (zh) 用于布置电子操纵机动车盖板的传感器的装置
US842093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0625584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US20060090916A1 (en) Protector
US8322900B2 (en) Assembly structure of vehicle room lamp
US7104675B2 (en) Automobile roof grip and light
US20180176429A1 (en) Ir blocking lens holder
KR101735731B1 (ko) 리벳 고정구를 구비한 전자제어장치
KR102162636B1 (ko) 차량용 루프랙
CN102197233A (zh) 固定装置
CN101628535A (zh) 传感器模块
EP3498537B1 (en) Flexible light blocking element
US9376057B2 (en) Lighting structure
US20190299867A1 (en) Insert-molding of lens into rear view mirror housing
WO2006014069A1 (en) Rear sensor system of car
CN111212760B (zh) 车辆用车顶行李架
CN115771461A (zh) 用于机动车辆的车顶篮
KR20130058832A (ko)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US20120243239A1 (en) Lamp unit
CN105960363A (zh) 转向柱组件、用于转向柱组件的套管以及具有转向柱组件的车辆
KR101930873B1 (ko) 스마트 조명 구조를 갖는 크래쉬패드 조립체
CN109789839B (zh) 车辆的支柱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