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61B1 -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61B1
KR102162061B1 KR1020190042386A KR20190042386A KR102162061B1 KR 102162061 B1 KR102162061 B1 KR 102162061B1 KR 1020190042386 A KR1020190042386 A KR 1020190042386A KR 20190042386 A KR20190042386 A KR 20190042386A KR 102162061 B1 KR102162061 B1 KR 102162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unit
vacuum
rotating member
mold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454A (ko
Inventor
이수정
변용호
한봉희
최종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to KR102019004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4Mould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성형용 슬라이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역구배면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품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형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닛으로서, 상기 금형 본체의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에 결합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부의 하면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의 역구배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역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진공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진공 성형품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진공 성형품에 의하여 가압되어 분리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진공 성형품이 원활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Slide unit and Mold for Vacuum Mold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 성형용 슬라이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 성형이 완료된 후 진공 성형품이 원활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모바일 기기용 기판, 플렉서블 기판 등 다양한 형태의 기판 모듈 또는 글라스와 같이 얇고도 평평한 판형 부품을 수납하기 위해서 직사각형 용기인 트레이(Tra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는, 제조 가격 및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원자재인 시트형 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을 경우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는, 다단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 및 운송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굽힘 강성 등 구조적 강도가 약할 경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가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면에서 전후좌우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트레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트레이의 일부가 기울어지거나 찌그러져서,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수용된 판형 부품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판형 부품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구조적 강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진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판형 부품용 트레이를 제작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트레이의 제조 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된 판형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적은 제조 비용으로 가볍고 굽힘 강성 등 구조적 특성이 우수한 판형 부품용 트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진공 성형품(T)이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진공 성형품(T)은 구조 강도를 높히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포켓(1)을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 포켓(1)과 같은 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측면(3)에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진 역구배면(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금형으로는 상기 포켓(1)을 성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유닛(Slide unit)이라는 장치를 금형에 도입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공 성형이 완료된 후 진공 성형품이 원활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드 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이 결합되어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를 구비하는 금형 본체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유닛은,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역구배면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품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형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닛으로서, 상기 금형 본체의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에 결합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부의 하면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의 역구배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역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진공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진공 성형품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이 상기 제1 중심축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분리 위치 및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접촉하여 구속됨으로써, 미리 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역경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부재 본체; 상기 회전 부재 본체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장착공이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회전 부재 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와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리를 포함하는 구리 도금층, 상기 구리 도금층 위에 배치되는 진주 펄 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부재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말단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성형용 금형은, 상기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이 결합되어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를 구비하는 금형 본체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드 유닛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인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 상기 회전 부재의 역경사면 아래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포켓 바닥면 형성부; 상기 포켓 바닥면 형성부의 내측에 세워서 형성되는 포켓 측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홈부는, 상기 금형 본체에 형성된 제2 보강 홈부와 협력하여 연속된 형상의 보강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보강 홈부 및 제2 보강 홈부는, 상기 시트형 부재의 두께의 0.1 내지 0.4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포켓 오목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역구배면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품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형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닛으로서, 상기 금형 본체의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에 결합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부의 하면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의 역구배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역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진공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진공 성형품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가능하므로, 진공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진공 성형품에 의하여 가압되어 분리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진공 성형품이 원활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슬라이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의 회전 부재가 분리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과 결합될 금형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금형 본체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과 금형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가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과 금형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 성형품이 성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진공 성형품이 진공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과 도 6에 도시된 금형 본체를 사용하여 성형된 진공 성형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진공 성형품의 포켓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진공 성형품이 복수 개 다단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슬라이드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유닛(200)은, 금형 본체(100)에 결합되어 얇은 시트형 부재(T)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금형 장치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구배면(4)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품(T)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슬라이드 유닛(200)은, 본체(210)와, 회전 부재(220)와, 회전축(230)과, 가압 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상기 금형 본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에 마련된 구멍인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금속 부재이다.
상기 본체(2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축(230)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장착공(21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지지부(211)는, 미리 정한 간격(L1)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장착공(212)은, 상기 회전축(23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형공으로서,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 지지부(211)를 완전히 관통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 사이에는, 후술할 회전 부재(220)의 돌출부(222)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인 회전 부재 수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13)의 바닥에는, 후술할 상기 가압 유닛(240)이 삽이될 수 있는 가압 유닛 수용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214)는,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원형공이다.
상기 본체(210)의 상단부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T)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보강 홈부(215)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형 부재(T)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홈부이다.
상기 제1 보강 홈부(215)는, 상기 시트형 부재(T)의 성형 형태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진공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정도의 최대 깊이(h)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보강 홈부(2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형 부재(T)의 두께의 0.1 내지 0.4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강 홈부(215)는, 상기 시트형 부재(T)의 두께의 0.1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h)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회전 부재(220)는, 진공 성형품(T)의 역구배면(4) 및 상면(6)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일단부가 상기 본체(210)에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부재(220)는, 회전 부재 본체(221)와, 돌출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부재 본체(221)는, 상기 회전 부재(220)의 타단부에 마련된 부분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형 부재(T)를 향하여 전방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 본체(221)의 하면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T)의 역구배면(4)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역경사면(2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경사면(2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이다.
상기 회전 부재 본체(221)의 상면(224)은, 상기 진공 성형품(T)의 상면(6)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222)는, 상기 회전 부재 본체(221)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222)에는,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는 회전축 장착공(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장착공(223)은, 상기 회전축 지지부(211)에 형성된 회전축 장착공(212)과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돌출부(22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13)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에 의하여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돌출부(222)의 회전 운동이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222)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와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0)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222)가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13)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즉, 상기 회전축(230)이 없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222)는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13)의 상방 또는 전방으로 똑바로 당겨야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성형품(T)을 성형할 수 있는 사용 위치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진공 성형품(T)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부재(2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위치 및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본체(21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구속됨으로써, 미리 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다.
즉, 상기 회전 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 위치에서는 제1 접촉면(226)이 상기 본체(21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구속되고, 반대로 상기 분리 위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면(227)이 상기 본체(21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구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부재(220)는, 다른 외력이 없을 경우 중력에 의하여 항상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중심(CG)이 상기 제1 중심축(C1)으로부터 전방으로 미리 정한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된 원형봉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220)의 돌출부(222)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210)의 회전축 지지부(211)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돌출부(222)의 회전축 장착공(223)과 상기 회전축 지지부(211)의 회전축 장착공(212)를 분리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회전축 장착공(223) 및 회전축 장착공(212)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이 상기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230)의 양단부가 구속되어 상기 회전축(230)이 상기 본체(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가압 유닛(240)은, 상기 회전 부재(220)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유닛으로서, 가압 부재(241)와 탄성 부재(2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부재(2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연장된 원형봉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220)에 접촉하는 상단부가 반구형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241)의 하단부에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243)는, 상기 탄성 부재(242)의 중공(244)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가압 부재(241)는,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214)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24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241)는, 상기 회전 부재(220)의 돌출부(222) 하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220)에 접촉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220)에 접촉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 부재(2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위치에서는 제1 접촉면(226)에 접촉하고, 반대로 상기 분리 위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면(227)에 접촉하여 구속된다.
상기 탄성 부재(242)는, 상기 가압 부재(24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244)을 가진 코일형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탄성 부재(242)는, 상기 본체(210)의 가압 유닛 수용부(214)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241)를 상방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220)는, 중력 및 상기 가압 유닛(2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항상 바이어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기초 부재에 1차적으로 구리를 포함하는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고, 2차적으로 상기 구리 도금층 위에 진주 펄 도금층을 형상함으로써, 이중 도금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과 결합할 수 있는 상기 금형 본체(100)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금형 본체(100)는,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는, 상기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과, 포켓 바닥면 형성부(112)과, 포켓 측면 형성부(113)와 포켓 오목면 형성부(114)와 제2 보강 홈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구멍이다.
상기 포켓 바닥면 형성부(112)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성형품(T)의 포켓(1)의 바닥면(2)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포켓 바닥면 형성부(112)는, 상기 회전 부재(220)의 역경사면(225) 아래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113)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성형품(T)의 포켓(1)의 측면(3)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113)는, 상기 포켓 바닥면 형성부(112)의 내측에 세수직하게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113)의 좌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성형품(T)의 측면(3) 굽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포켓 오목면 형성부(1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113)의 상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 홈부(215)와 협력하여 연속된 형상의 보강 홈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보강 홈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보강 홈부(115)는, 상기 시트형 부재(T)의 성형 형태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진공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정도의 최대 깊이(h)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보강 홈부(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형 부재(T)의 두께의 0.1 내지 0.4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보강 홈부(115)는, 상기 시트형 부재(T)의 두께의 0.1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h)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금형 본체(100)의 상면에는,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과 같은 판형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판형 부품 수용부(5)를 형성하기 위하여, 판형 부품 수용부 형성부(120)가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금형 본체(100)에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를 삽입하여 결합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시트형 부재(T)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이 준비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슬라이드 유닛(200)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형 본체(100)를 준비하고, 상기 금형 본체(100)의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에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을 삽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이 조립된다.
이렇게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을 준비한 후, 얇은 시트형 부재(T)를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 위에 올려 놓고,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에 고압의 진공을 가하면, 상기 시트형 부재(T)가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의 표면에 압착되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레이(Tray) 형태의 진공 성형품(T)으로 성형된다.
상기 진공 성형품(T)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성형품(T)을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올려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220)는 상기 진공 성형품(T)에 의하여 가압되어 분리 위치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진공 성형품(T)이 원활하게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회전 부재(220)가 분리 위치로 회전하지 못한다면 상기 진공 성형품(T)은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한다.
상기 진공 성형품(T)이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으로부터 분리되고 나면, 상기 회전 부재(220)는 자신의 중력 및 상기 탄성 부재(242)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사용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진공 성형품(T)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어 보관 및 운송될 수 있는데, 위쪽에 있는 진공 성형품(T)의 바닥면(2)이 아래쪽에 있는 진공 성형품(T)의 상면(6) 위에 올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켓(1)의 형상을 조절하여 상하로 적층된 복수 개의 진공 성형품(T)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슬라이드 유닛(200)은, 얇은 시트형 부재(T)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역구배면(4)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품(T)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형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닛으로서, 상기 금형 본체(100)의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에 결합되는 본체(210); 일단부가 상기 본체(210)에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부의 하면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T)의 역구배면(4)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역경사면(225)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부재(220);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부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21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23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220)는, 상기 진공 성형품(T)을 성형할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진공 성형품(T)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가능하므로, 진공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회전 부재(220)가 상기 진공 성형품(T)에 의하여 가압되어 분리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진공 성형품(T)이 원활하게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회전 부재(220)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무게 중심(CG)이 상기 제1 중심축(C1)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다른 외력이 없을 경우에도 중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 부재(220)가 항상 상기 사용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회전 부재(220)가, 상기 분리 위치 및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본체(210)에 접촉하여 구속됨으로써, 미리 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므로, 다른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회전 부재(220)의 허용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본체(210)가,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T)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215)를 포함하므로, 상기 시트형 부재(T)의 성형 형태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진공 흡입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포켓(1)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회전 부재(220)가, 상기 역경사면(225)을 포함하는 회전 부재 본체(221); 상기 회전 부재 본체(221)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30)이 삽입되는 회전축 장착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10)는, 상기 회전축(230)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장착공(212)이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222)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 사이에 형성된 회전 부재 수용부(213))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에 의하여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이드되므로, 상기 회전축(230)이 파손된 경우에도 상기 회전 부재(220)의 돌출부(222)가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13)에 수용된 상태로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돌출부(222)의 양측면이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211)와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230)이 파손되거나 심지어 분리이탈된 경우에도, 상기 회전 부재(220)의 돌출부(222)가 상기 회전 부재 수용부(213)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구리를 포함하는 구리 도금층, 상기 구리 도금층 위에 배치되는 진주 펄 도금층을 포함하므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의 무게와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표면의 고광택으로 인하여 가공시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고 진공 성형품(T)이 쉽게 취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회전 부재(220)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가압 유닛(240)을 포함하므로, 중력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도 상기 회전 부재(220)를 항상 자동적으로 사용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가압 유닛(240)이, 상기 회전 부재(220)의 일단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220에 접촉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220)에 접촉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가압 부재(241); 상기 가압 부재(24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242);를 포함하므로, 상기 탄성 부재(242)의 탄성력을 상기 회전 부재(220)의 정확한 지점에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탄성 부재(242)가, 코일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214)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241)는,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214)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24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242)는 상기 가압 부재(241)를 상방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 부재(241)가 상기 회전 부재(220)의 돌출부(222)를 정확히 가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은, 상기 가압 부재(241)가,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220)에 접촉하는 말단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 부재(241) 및 상기 가압 부재(241)가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222)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22)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은,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이 결합되어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를 구비하는 금형 본체(100)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110)가, 상기 슬라이드 유닛(200)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인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111); 상기 회전 부재(220)의 역경사면(225) 아래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포켓 바닥면 형성부(112); 상기 포켓 바닥면 형성부(112)의 내측에 세워서 형성되는 포켓 측면 형성부(113);를 포함하므로, 다단 적층 가능한 진공 성형품(T)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은, 상기 본체(210)가,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T)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2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홈부(215는, 상기 금형 본체(100)에 형성된 제2 보강 홈부(115)와 협력하여 연속된 형상의 보강 홈부를 형성하므로, 더 넓은 영역의 시트형 부재(T)에 진공 흡입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포켓(1)의 구조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은, 상기 제1 보강 홈부(215) 및 제2 보강 홈부(115)가, 상기 시트형 부재(T)의 두께의 0.1 내지 0.4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h)를 가지므로, 시트형 부재(T)의 성형 형태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더 넓은 영역의 시트형 부재(T)에 대하여 진공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0)은,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113)에 상기 진공 성형품(T)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포켓 오목면 형성부(114)를 포함하므로, 다단 적층시에 가해지는 외부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하중 감당 능력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진공 성형용 금형
100: 금형 본체
110: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
111: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
112: 포켓 바닥면 형성부
113: 포켓 측면 형성부
114: 포켓 오목면 형성부
115: 제2 보강 홈부
120: 판형 부품 수용부 형성부
200: 슬라이드 유닛
210: 본체
211: 회전축 지지부
212: 회전축 장착공
213: 회전 부재 수용부
214: 가압 유닛 수용부
215: 제1 보강 홈부
220: 회전 부재
221: 회전 부재 본체
222: 돌출부
223: 회전축 장착공
224: 상면
225: 역경사면
226: 제1 접촉면
230: 회전축
227: 제2 접촉면
240: 가압 유닛
241: 가압 부재
242: 탄성 부재
243: 삽입부
244: 중공
1: 포켓
2: 바닥면
3: 측면
4: 역구배면
5: 판형 부품 수용부
6: 상면
T: 시트형 부재, 진공 성형품
CG: 무게 중심

Claims (15)

  1.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역구배면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품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형 본체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유닛으로서,
    상기 금형 본체의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에 결합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부의 하면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의 역구배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역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진공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성형이 완료된 상기 진공 성형품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 부재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분리 위치에 있는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역경사면을 포함하는 회전 부재 본체;
    상기 회전 부재 본체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장착공이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회전 부재 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이드되며,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지지부와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 위치에 바이어스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이 상기 제1 중심축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분리 위치 및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접촉하여 구속됨으로써, 미리 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구리를 포함하는 구리 도금층, 상기 구리 도금층 위에 배치되는 진주 펄 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압 유닛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상기 회전 부재에 접촉하는 말단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유닛
  12. 제 1항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이 결합되어 장착되는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를 구비하는 금형 본체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유닛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드 유닛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인 슬라이드 유닛 수용공;
    상기 회전 부재의 역경사면 아래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포켓 바닥면 형성부;
    상기 포켓 바닥면 형성부의 내측에 세워서 형성되는 포켓 측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진공 성형시에 추가적인 응력을 상기 시트형 부재에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보강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홈부는, 상기 금형 본체에 형성된 제2 보강 홈부와 협력하여 연속된 형상의 보강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홈부 및 제2 보강 홈부는, 상기 시트형 부재의 두께의 0.1 내지 0.4배의 길이에 해당하는 최대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측면 형성부에는, 상기 진공 성형품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포켓 오목면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KR1020190042386A 2019-04-11 2019-04-11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KR10216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86A KR102162061B1 (ko) 2019-04-11 2019-04-11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86A KR102162061B1 (ko) 2019-04-11 2019-04-11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54A KR20200049454A (ko) 2020-05-08
KR102162061B1 true KR102162061B1 (ko) 2020-10-06

Family

ID=7067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386A KR102162061B1 (ko) 2019-04-11 2019-04-11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253B1 (ko) * 2022-07-14 2023-09-22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마그네트가 구비된 진공성형 제품 돌기 성형장치
KR102584774B1 (ko) * 2022-07-14 2023-10-05 수창티피에스 주식회사 진공성형 제품 돌기 성형장치
KR102517655B1 (ko) * 2022-07-14 2023-04-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진공성형으로 제조된 돌기형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83B1 (ko) * 2017-03-21 2018-02-21 주식회사 성곡 진공성형트레이용 적층스토퍼 성형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83B1 (ko) * 2017-03-21 2018-02-21 주식회사 성곡 진공성형트레이용 적층스토퍼 성형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54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061B1 (ko) 슬라이드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KR101898134B1 (ko) 리드 프레임 이송용 매거진
US20130134677A1 (en) Drinking game cup or attachment with magnetic alignment pad
KR101817783B1 (ko) 진공성형트레이용 적층스토퍼 성형유닛
WO2005044694A8 (ja) 基板搬送用トレイ
EP1414719A1 (en) Thin wafer carrier
KR102517655B1 (ko) 진공성형으로 제조된 돌기형 트레이
TWI315002B (en) Substrate cassette
KR20180018027A (ko) 콘택트 렌즈 운반용 트레이
KR101804239B1 (ko) 적층스토퍼 적용 진공성형 트레이금형
CN209306472U (zh) 一种电路板上下料框
US9248479B2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optical lenses in tray
CN214241641U (zh) 一种高穴位吸塑托盘
US20090218362A1 (en) Push-Release Locking Mechanism for a Package With a Pivoting Tray
CN212290742U (zh) 方便正确堆叠的吸塑盘
CN216723810U (zh) 一种置物板、置物架及运输机器人
CN107934555A (zh) 一种双层储物架
KR20200025227A (ko) 전자부품 트레이용 수납필름부재
EP1990295A3 (en) Stacker apparatus for presses for manufacturing plastic articles such as cups and the like
KR102581253B1 (ko) 마그네트가 구비된 진공성형 제품 돌기 성형장치
KR20190041066A (ko) 플렉서블 필름을 수납하는 트레이
KR102584774B1 (ko) 진공성형 제품 돌기 성형장치
JP2514030Y2 (ja) チップトレィ
CN218593514U (zh) 定位装置及注塑成型设备
CN217805946U (zh) 一种易碎品物流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