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007B1 -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007B1
KR102162007B1 KR1020190034045A KR20190034045A KR102162007B1 KR 102162007 B1 KR102162007 B1 KR 102162007B1 KR 1020190034045 A KR1020190034045 A KR 1020190034045A KR 20190034045 A KR20190034045 A KR 20190034045A KR 102162007 B1 KR102162007 B1 KR 10216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ring
pressing
reducing val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맞닿는 조절스크류의 나사산에 한 쌍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프링에 가하는 적용압력이 얼만큼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적용압력 설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with easy application pressure control}
본 발명은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맞닿는 조절스크류의 나사산에 한 쌍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프링에 가하는 적용압력이 얼만큼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적용압력 설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계 산업용 밸브 시장이 2014년 575억 2,900만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5.48% 증가하여 2019년에는 751억 1,7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신용정보원의 시장분석에 따르면, 국내 산업용 밸브시장은 2014년 4조 4,490억원 규모를 형성하였으며, 2016년 이후 연평균 4.34% 성장하여 2019년에는 5조 6,24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밸브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특히, 플랜트에서는 유체의 압력이 일정하지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체의 압력이 사용 목적보다 높을 때 이것을 감압하고, 또 감압한 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감압밸브(reducing valve)가 많이 사용된다. 즉, 입구쪽 유체의 압력을 불문하고, 출구쪽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압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감압밸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이어프램식 감압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다이어프램식 감압밸브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감압밸브(10)는 밸브의 디스크시트(110)를 열려고 하는 힘과 닫으려고 하는 힘의 평형관계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감압밸브(10)는 유입구(90)와 유출구(100)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크시트(110)의 상하작용을 통한 개폐운동을 통해 감압밸브(10)의 내부유로의 개폐를 행하고 있으며, 특히 다이어프램 플레이트(50)와 조절유니트(20) 사이에 탄성스프링(40)을 설치하도록 하고, 조절유니트(20)의 조정을 통해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감압밸브(10)의 동작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유니트(20)는 조절나사(21), 암나사부(22) 및 스프링플레이트(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압밸브(10)의 유입구(90) 측 압력 P1은 피스톤 내부면에서 디스크시트(110)를 닫으려는 힘으로 작용하고, 또한 디스크시트(110)의 상면에서 디스크시트(110)를 열려는 힘으로 작용하여 힘은 서로 상쇄된다. 즉, 감압밸브(10)는 밸브의 유출구(100) 측 압력 P2가 감지공(70)을 통해 유출구(100) 측 압력챔버에 유입되어 다이어프램(60)의 저면과 디스크시트(110)의 저면에서 디스크시트(110)를 상방향으로 닫으려는 힘으로 작용하고, 이에 대응하는 힘으로 밸브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에 따른 힘이 디스크시트(110)를 하방으로 열려는 힘으로 작용하여, 양 힘의 평형관계에 따라 감압밸브(10)의 동작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감압밸브(10)는 유출구(100) 측의 압력 P2가 다이어프램(60)의 저면을 누르는 힘과 디스크시트(110)의 저면을 누르는 힘의 합이 캡(30) 내에 마련되는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과 같으면 디스크시트(110)는 내부유로를 닫도록 하고, 만일 탄성력이 더 크게 되면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시트(110)는 스템(80)을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내부유로가 개방된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감압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조절유니트(20)가 탄성스프링(40)을 가압하는 압력(이하, 적용압력이라 한다)을 사용자가 최초로 설정할 때, 산업 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조절유니트(20)의 볼트-너트 결합 구조에 따른 회전횟수 등으로 적용압력을 설정하였다. 이로 인해, 정확한 적용압력의 계산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원하는 감압밸브의 성능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용압력의 설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탄성스프링(40)은 캡(30)에 의해 덮혀져 있으므로, 탄성스프링(40)이 얼만큼 수축되었는지를 정확히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이로 인해, 감압밸브(10)의 on/off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가 작업 현장을 이탈한 후에 on/off에 대한 판단 오차가 생겨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탄성스프링(40)의 수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감압밸브(10) 내에서 유체의 유출이 발생되는 경우(예컨대 가스), 감압밸브(10) 내의 내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알렸으나, 내부센서의 오작동에 대한 예비적 알람장치가 부재하며, 감압밸브(10) 근처에서 작업하는 사용자가 내부센서만으로는 유출을 즉각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체의 유출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인성 있는 유체유출감지장치의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293호
본 발명은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맞닿는 조절스크류의 나사산에 한 쌍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프링에 가하는 적용압력이 얼만큼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적용압력 설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는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내부유로를 지니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되, 탄성력을 지니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가압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조절부를 덮는 밸브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단부가 상기 시트부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스크류 및 상기 조절스크류의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의 일 지점에는 상기 나사산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상기 나사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의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의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상기 복수 개의 나사산에 각각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가상의 기준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의 상기 가압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캡부의 일 지점에는, 상기 스프링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제1 감지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스프링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의 상기 제1 감지부의 측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수직 방향의 두께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눈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용압력의 설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스프링의 수축 정도 및 유체의 유출 여부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감압밸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압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조절스크류의 표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조절스크류의 나사산의 일 지점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보닛의 일 지점을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감지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감지부의 보더의 다양한 위치를 설명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외측이란 내측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는 밸브몸체부(100), 시트부(200), 가압부(300), 조절부(400), 밸브캡부(500) 및 제1 감지부(6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감압밸브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밸브몸체부(100)는 바디부(110), 유입구(120), 유출구(130) 및 감지공(140)을 구비한다.
바디부(110)는 밸브몸체부(100)를 구성하는 전반적인 뼈대이다. 유입구(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통로이며, 유출구(130)는 내부유로를 거친 유체가 감압되어 유출되는 통로이다. 감지공(140)은 유출구(130) 압력이 감지공(140)을 따라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10)에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시트부(200)는 스템(210) 및 디스크시트(220)를 구비한다.
시트부(200)는 밸브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다. 스템(210)은 디스크시트(220)와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디스크시트(220)는 내부유로를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한다.
가압부(300)는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10), 스프링(320), 지지부(330)를 구비한다.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10)는 스템(210) 및 스프링(320)과 결합된다. 배경 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10)는 상,하부 모두 각각 압력을 받게된다. 이는 공지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스프링(320)은 수직 방향으로 수축 및 인장되도록 탄성력을 지닌다.
지지부(330)는 상부 지지부(331) 및 하부 지지부(332)로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 스프링(32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부(331)의 상면은 후술할 조절스크류(420)의 단부와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조절스크류(420)의 가압으로 인한 압력이 스프링(320)에 전달된다.
조절부(400)는 헤드(410), 조절스크류(420) 및 너트(430)를 구비한다.
헤드(410)는 조절스크류(4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절스크류(420)의 파지력을 용이하게 한다.
조절스크류(420)는 단부가 가압부(30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 지지부(331)를 가압하여 스프링(320)을 수축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조절스크류(420)의 적용압력을 설정하여 감압밸브 전체의 감압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절스크류(420)를 회전시켜 하방으로 스프링(320)을 수축시키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320)을 이완시킴에 따라 이를 조절하는 원리이다.
이때, 조절스크류(420)는 볼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스크류(420)의 외측면은 복수 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430)는 조절스크류(420)와 결합된다. 조절스크류(42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스크류(4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절스크류(420)를 원하는 만큼 회전시켜 상부 지지부(331)를 가압한 상태에서 너트(430)를 조절스크류(420)와 체결하여 적용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조절스크류의 표면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조절스크류의 나사산의 일 지점(도 3의 'A' 지점)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절스크류(420)의 나사산(421)의 일 지점에는, 나사산(421)의 표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4212)가 형성되고, 오목부(4212)를 중심으로 양단에 나사산(421)의 표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4212)가 한 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너트(430)가 조절스크류(420)의 나사산(421)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볼록부(4211)가 형성되는 지점에서는 볼록부가(4211)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에 비해 너트(430)를 회전시키는데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최초로 나사산(421)의 볼록부(4211) 및 오목부(4212)의 위치를 설정하고, 해당 위치만큼 조절스크류(420)를 회전시켰을 때 적용압력이 얼마인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적용압력의 설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오목부(4212)가 한 쌍의 볼록부(4211) 사이에 위치되어, 한 쌍의 볼록부(4211)를 너트(430)의 내측면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너트(430)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볼록부(4211)를 너트(430)의 내측면이 통과할 때, 간극이 줄어들게 되므로 볼록부(4211)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피로도가 증대되어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오목부(4212)의 구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한 쌍의 볼록부(4211) 및 오목부(4212)는 라운드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드진 형상으로 인해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절스크류(42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나사산(421)에 한 쌍의 볼록부(4211) 및 오목부(4212)가 각각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가상의 기준선 상에 한 쌍의 볼록부(4211) 및 오목부(4212)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절스크류(420)의 경우에는 최초로 설계 시 1개의 적용압력을 설정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절스크류(420)에 따르면, 적용압력의 설정의 다양성이 증대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밸브캡부(500)는 보닛(510) 및 캡(520)을 구비한다. 보닛(510)은 가압부(300)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캡(520)은 조절부(400)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보닛(510)의 일 지점에는 스프링(320)을 관찰할 수 있는 제1 감지부(6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보닛(510)의 일 지점을 확대한 것으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1 감지부(6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감지부(6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패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닛(510)의 일 지점은 절개되어 제1 감지부(600)가 절개된 위치에 결합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보닛(510)의 내측에 위치된 스프링(320)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320)의 위치 및 형상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보닛(510)이 덮혀져 있더라도 사용자는 현재 감압밸브가 얼만큼 수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스프링(320)의 수축 정도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작업 현장을 이탈한 후에 on/off에 대한 판단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320)의 수축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판단 오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감지부(600)의 측부에는 스프링(320)의 수직 방향의 두께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눈금부(6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금부(61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하우징으로, 도 5와 같이 스프링(320)의 수축 전의 위치에 대응하여 눈금부(610)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320)의 수축량을 정확히 알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감지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감지부의 보더의 다양한 위치를 설명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감지부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2 감지부(700)는 보닛(510)의 일 지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감지부(700)는 사용자가 감압밸브 내에서 유출되는 유체(예컨대 가스)의 유출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감지부(700)는 튜브부(710), 단턱부(720), 보더(730) 및 지시부(740)를 구비한다.
튜브부(710)는 보닛(510)에 삽입되되, 보닛(5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부(710)는 관 형태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부(710)는 보닛(510)과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되, 일 지점에서 절곡되어 보닛(510)과 평행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 인해, 후술할 보더(730)가 보닛(510)과 평행한 튜브부(710)의 구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어 유출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턱부(720)는 보닛(510)과 평행한 튜브부(710)의 구간에서 튜브부(7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이격된 틈 사이로 유출되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유출되는 유체가 단턱부(720) 상면에 놓인 보더(7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되, 유출되는 유체가 없는 경우에는 단턱부(720)의 상면에 붙어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더(73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판넬 형상으로, 단턱부(720)의 상면에 놓인다. 보닛(510) 내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튜브부(710)를 따라 보더(7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 7의 보더(730a)와 같이 부양된다. 이로 인해, 보닛(510) 외부에서도 감압밸브 내의 유체의 유출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지시부(740)는 보닛(510)과 평행한 튜브부(710)의 구간에서 튜브부(710)의 외측면의 일 지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시부(740)는 튜브부(710)와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지시부(740)의 최초 위치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지시부(740)보다 보더(73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기준 유출량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부(740)의 구성으로 인해, 유체의 유출을 좀 더 면밀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의 보더(730b)의 위치는 지시부(740)보다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이러한 상태일 때는 기준 유출량보다 더 많은 유출이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밸브몸체부, 110 : 바디부,
120 : 유입구, 130 : 유출구,
140 : 감지공, 200 : 시트부,
210 : 스템, 220 : 디스크시트,
300 : 가압부, 310 :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320 : 스프링, 330 : 지지부,
331 : 상부 지지부, 332 : 하부 지지부,
400 : 조절부, 410 : 헤드,
420 : 조절스크류, 421 : 나사산,
4211 : 볼록부, 4212 : 오목부,
430 : 너트, 500 : 밸브캡부,
510 : 보닛, 520 : 캡,
600 : 제1 감지부, 610 : 눈금부,
700 : 제2 감지부, 710 : 튜브부,
720 : 단턱부, 730 : 보더,
740 : 지시부.

Claims (5)

  1.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내부유로를 지니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되, 탄성력을 지니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되, 상기 가압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조절부를 덮는 밸브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캡부는,
    가압부를 감싸는 보닛 및 조절부를 감싸 보호하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는,
    단부가 상기 시트부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스크류 및 상기 조절스크류의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의 일 지점에는 상기 나사산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상기 나사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상기 복수 개의 나사산에 각각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가상의 기준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너트가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너트가 상기 한 쌍의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를 상기 너트의 내측면이 통과하는 구조로 저항력이 발생되고,
    상기 가압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캡부의 일 지점에는,
    상기 스프링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제1 감지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상기 스프링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감지부의 측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수직 방향의 두께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눈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닛의 일지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보닛의 외부로 돌출되는 튜브부;
    상기 튜브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닌 판넬 형상의 보더;를 구비하되,
    상기 보더가 상기 단턱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상승할 경우, 유체의 유출이 확인될 수 있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튜브부의 외측면의 일 지점에서 결합되는 지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지시부는 탈부착 가능하여 상기 지시부의 부착지점을 기준 유출량으로 설정할 수 있되,
    상기 보더가 상기 단턱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할 때, 상기 지시부 보다 상부에 위치될 경우, 기 설정된 상기 기준 유출량 보다 이상으로 판단이 가능한 것인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4045A 2019-03-26 2019-03-26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KR10216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45A KR102162007B1 (ko) 2019-03-26 2019-03-26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45A KR102162007B1 (ko) 2019-03-26 2019-03-26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007B1 true KR102162007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45A KR102162007B1 (ko) 2019-03-26 2019-03-26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884B1 (ko) * 2022-10-07 2023-06-20 주식회사 지노텍 유체 압력 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723B1 (ko) * 2005-12-08 2006-02-24 주식회사 삼진정밀 파일롯-릴리프 밸브
KR20090012293U (ko) 2008-05-27 2009-12-02 신우공업 주식회사 감압밸브
KR20120008189U (ko) * 2011-05-20 2012-11-28 서현배 복합 기액 분리기
JP3203399U (ja) * 2010-02-26 2016-03-31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波形ねじ山形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723B1 (ko) * 2005-12-08 2006-02-24 주식회사 삼진정밀 파일롯-릴리프 밸브
KR20090012293U (ko) 2008-05-27 2009-12-02 신우공업 주식회사 감압밸브
JP3203399U (ja) * 2010-02-26 2016-03-31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波形ねじ山形状
KR20120008189U (ko) * 2011-05-20 2012-11-28 서현배 복합 기액 분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884B1 (ko) * 2022-10-07 2023-06-20 주식회사 지노텍 유체 압력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396B2 (en) Pressurized gas containing system
US9541925B2 (en) Dynamic pressure registration device for internally registered actuators and overpressure protection devices
US3621867A (en) Air line pressure regulator
US9091366B2 (en) Flow restricted seat ring for pressure regulators
KR20170076782A (ko) 자가-정렬 밸브 밀봉
JP6498120B2 (ja) バランスポートのための上流検知
KR102162007B1 (ko)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US20160281869A1 (en) Spherical automatic flow emergency restrictor (s.a.f.e.r.) valve
US20160025688A1 (en) Diaphragm Valve with Sealing Assembly, Chromatographic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BRPI0807101A2 (pt) Válvula, e, dispositivo de ajuste de fluxo da válvula
KR20160009059A (ko) 다이어프램 밸브
RU2316690C2 (ru) Индикатор хода клапана (варианты), а также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узла клапана
KR102176736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바이패스 필터가 형성된 감압 밸브
US8707986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KR101776397B1 (ko) 압력게이지 보호용 밸브장치
JPS6326748Y2 (ko)
KR102237047B1 (ko) 밸브 장치 및 유체제어장치
US8550113B1 (en) Vacuum breaker flow regulator
KR20160009671A (ko) 가압 유체 용기
JP3779658B2 (ja) 制御弁に用いるグランドパッキンの性能診断装置
JPS6221823Y2 (ko)
KR200476991Y1 (ko) 압력 누설 차단 기능을 가지는 격막식 압력계
JP6809990B2 (ja) マニホールド型流体制御装置
JP6226792B2 (ja) 開閉弁及びガスメータ
JP2020165476A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