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860B1 -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860B1
KR102161860B1 KR1020140082340A KR20140082340A KR102161860B1 KR 102161860 B1 KR102161860 B1 KR 102161860B1 KR 1020140082340 A KR1020140082340 A KR 1020140082340A KR 20140082340 A KR20140082340 A KR 20140082340A KR 102161860 B1 KR102161860 B1 KR 10216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axial
shaft
rolling bearing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456A (ko
Inventor
토마스 레핀
토미 줄리엔
브루노 몬트보에프
실바인 부시트
다니엘 잔센
Original Assignee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filed Critical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Publication of KR2015000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6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16C19/16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16C25/083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with resilient means acting axially on a race ring to preload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 F16C35/073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between shaft and inner race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96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는 외부 링(12), 내부 링(13), 상기 링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열의 롤링 요소(14), 및 상기 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내부 링의 보어 내에 장착된 슬리브(16)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와 반경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 리텐션을 위한 부재(24, 26)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리텐션 수단을 포함한다. 슬리브(16)는 상기 보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몸체(17)를 포함하고, 축방향 리텐션 부재(24, 26)는 내부 링(13)으로부터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슬리브에 대해 직접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ROLLING BEAR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롤링 베어링 장치, 특히 차량 스티어링 칼럼에서 사용되는 롤링 베어링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칼럼은 일반적으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샤프트의 일 단부는 이를 구동시키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며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절되고, 그 외의 다른 단부는 기계식 부품에 고정되고, 이의 기능은 차량 휠의 각 배치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는 롤링 베어링, 일반적으로 상반되게 장착되는 각-접촉 볼 베어링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롤링 베어링 조립체 장치에 의해 관형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롤링 베어링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내부 링, 외부 링 및 레이스의 2개의 레이스웨이 사이에 배열되는 열을 이루는 롤링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레이스는 레이스웨이가 제공된다. 롤링 베어링은 두 부품들 간에 발생될 수 있는 임의의 기하학적 결함을 보상할 수 있는 공차 링으로서 알려진 링 또는 슬리브를 통하여 샤프트상에 그리고 외부 레이스를 통하여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공차 링에 따라 롤링 베어링 조립체는 초기 클램핑 효과 없이 샤프트 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탄성 부재에 의해 슬리브에 인가된 축방향 프리로드의 덕택으로 0의 유극에 따라 작동한다. 따라서, 롤링 베어링의 내부 간격이 배제되며, 베어링의 롤링 요소와 링 사이의 영구 접촉이 보장된다.
WO 01/69098 (SKF)호는 내부 링, 외부 링, 링들 사이에 배열된 열을 이루는 롤링 요소, 강성 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내부 링에 샤프트를 연결하는 슬리브,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요소 및 댐핑 요소와 슬리브의 반경방향 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크링클 와셔를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을 개시한다. 크링클 와셔에 따라 축방향 프리로드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롤링 베어링 장치는 제조되고 조립되어야 하는 다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주요 단점을 갖는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는 축방향 치수를 충분히 압축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단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제한된 개수의 부품을 가지며 축방향 치수가 감소되며 제조 및 장착이 용이한 롤링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는 외부 링, 내부 링, 상기 링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열의 롤링 요소, 및 상기 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내부 링의 보어 내에 장착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와 반경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 리텐션을 위한 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리텐션 수단을 포함하며, 슬리브는 상기 보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몸체를 포함하고, 축방향 리텐션 부재는 내부 링으로부터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슬리브에 대해 직접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제1 베어링 표면 및 제2 마주보는 베어링 표면이 제공된 베어링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어링 표면에 대해 내부 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2 마주보는 베어링 표면에 대해 축방향 리텐션 부재가 장착된다. 슬리브의 탄성 몸체는 적어도 베어링 칼라의 제1 베어링 표면을 구획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탄성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장착된 강성 스러스트 와셔를 추가로 포함하고, 축방향 리텐션 부재는 상기 와셔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로록 장착된다. 스러스트 와셔는 탄성 몸체의 베어링 표면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스러스트 와셔는 슬리브의 베어링 칼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는 탄성 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보강 인서트를 포함한다.
보강 인서트는 슬리브의 베어링 칼라 내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 또는 비스듬한 부분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또는 조합하여, 보강 인서트는 롤링 요소를 보유하기 위한 케이지의 상보적인 리텐션 수단과 결합하는 축방향 리텐션 수단을 포함한다. 보강 인서트는 내부 링이 상부에 장착된 슬리브의 센터링 부분 내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의 탄성 몸체는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성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탄성 합성 재료로 제조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는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환형 부분을 포함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의 리텐션 수단은 상기 환형 부분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는 슬리브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과 샤프트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장치,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는 샤프트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이다. 롤링 베어링 장치는 외부 링이 하우징의 보어 내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축방향 부착 수단을 포함하도록 하우징의 보어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역으로, 하우징은 상기 외부 링과 결합하는 축방향 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샤프트, 특히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 상에서 롤링 베어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위조립체는 외부 링, 내부 링 및 하나 이상의 열의 롤링 요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상기 샤프트와 반경방향 간섭 없이 샤프트 상에 장착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슬리브가 샤프트 상에 반경방향으로 클램핑되며 롤링 요소가 프리로딩되도록 축방향 힘이 축방향 리텐션 부재의 매개에 의해 내부 링의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에 가해진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제시되는, 다수의 실시 형태의 기술 내용을 읽음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롤링 베어링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실시 형태에 롤링 베어링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1에서, 전체적으로 도면부호(1)로 도시된 롤링 베어링 장치는 보어를 포함하는 관형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하우징(2)과 동축을 이루는 회전식 샤프트(3) 사이에서 차량 스티어링 칼럼(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내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롤링 베어링 장치(1)는 외부 링(12), 내부 링(13), 상기 링들 사이에 배열된 예를 들어, 볼과 같은 열을 이루는 롤링 요소(14), 롤링 요소(14)의 규칙적인 주변방향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케이지(15) 및 내부 링(13)의 보어 내에 장착된 공차 링 또는 슬리브(16)를 포함한다. 내부 링(13)은 슬리브(16)와 직접 축방향 접촉 상태로 장착된다.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 외부 링(12)은 토로이달 부분(toroidal portion, 12a), 원통형 축방향 부분(12b), 반경방향 림(12c)을 포함한다. 축방향 부분(12b)은 관형 하우징(2)의 보어에 대해 반경방향 접촉을 이루고 림(12c)과 토로이달 부분(12a)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토로이달 부분(12a)은 축방향 부분(12b)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배향된다. 토로이달 부분(12a)은 롤링 요소(14)를 위한 레이스웨이(12d)를 형성하는 1/4 원의 단면을 갖는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림(12c)은 토로이달 부분(12a)으로부터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된 축방향 부분(12b)의 하나의 에지로부터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배향된다. 림(12c)은 하우징(2)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림(12c)은 하우징(2) 상에서 외부 링(13)에 대한 축방향 리텐션 수단을 형성한다.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 내부 링(13)은 토로이달 부분(13a) 및 상기 토로이달 부분의 소구경 에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축방향 부분(13b)을 포함한다. 토로이달 부분(13a)은 롤링 요소(14)를 위한 레이스웨이(13c)를 형성하는 1/4 원 내부 프로파일의 단면을 갖는 오목한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레이스웨이(12d)는 일 측면에 배열되고 레이스웨이(13c)는 롤링 요소(14)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방향 평면의 다른 측면 상에 배열된다.
외부 링(12)과 내부 링(13)은 예를 들어 절삭 및 드로잉(drawing)에 의해 시트 금속의 단편으로부터 또는 튜브의 일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외부 링(12)과 내부 링(13)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내부 링(13)은 슬리브(16) 상에 슬라이딩 접촉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속되지 않는다.
보유 케이지(15)는 예를 들어, 광물 충전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케이지(15)는 내부 링의 축방향 부분(13b)의 외부 표면과 외부 링의 토로이달 부분(12a)의 자유 단부 사이를 지나가는 소구격 환형 축방향 부분(15a) 및 외부 링의 축방향 부분(12b)의 보어와 내부 링의 토로이달 부분(13a)의 자유 단부 사이에 배열된 대구경 환형 축방향 부분(15b)을 포함한다. 케이지(15)는 또한 내부에 롤링 요소(14)를 위한 포켓이 생성되고 축방향 부분(15a, 15b)에 연결되는 비스듬한 중심 부분(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소구경 축방향 부분(15a)은 이의 보어 상에 반경방향 돌출부(15c)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는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케이지(15) 및 슬리브의 상대적인 축방향 리텐션에 대해 슬리브(16)와 직경방향 간섭(diametric interference)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계된다.
슬리브(16)는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탄성 합성 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 몸체(17)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슬리브(16)는 단일 부분, 특히 몸체(17)로 구성된다.
슬리브의 몸체(17)는 보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내부 링(13)의 보어 내에 장착되는 환형 축방향 센터링 부분(17a) 및 내부 링의 토로이달 부분(13a)의 측면에 위치된 센터링 부분(17a)의 일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형 반경방향 베어링 칼러(17b)를 포함한다. 베어링 칼라(17b)는 내부 링으로부터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축방향, 즉 외측을 향하여 배향되는 마주보는 반경방향의 환형 베어링 표면(20) 및 내부 링의 토로이달 부분(13a)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원뿔대 베어링 표면(18)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획된다. 센터링 부분(17a)과 베어링 칼라(17b)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3)의 외부 표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슬리브의 보어(22)를 구획한다. 슬리브의 보어(22)는 주변 방향으로 이어진다.
슬리브의 몸체(17)는 또한 베어링 칼라(17b)에 마주보게 축방향으로 배치된 센터링 부분(17a)의 자유 단부로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후크(17c)를 포함한다. 후크(17c)는 직경방향 간섭에 의해 케이지의 반경방향 돌출부(15c)와 결합되도록 치수가 형성되고 주변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슬리브(16)는 내부 링(13)의 일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치(1)는 또한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는 샤프트(3) 상에 슬리브의 축방향 리텐션을 위한 부재(24)를 포함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는 내부 링(13)에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슬리브(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직접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리텐션 부재(24)는 슬리브의 칼라의 베어링 표면(20)과 직접 접촉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는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의 형태로 형성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는 샤프트(3)를 향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베어링 부분의 소구경 에지가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탭(24b) 및 슬리브의 몸체의 베어링 표면(20)에 대해 이의 전체 주연부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환형 원불형 베어링 부분(24a)을 포함한다. 탭(24b)은 축방향 리텐션 부재(24)가 샤프트(3) 상에 결합될 때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고 결합 또는 샤프트에 대해 브레이싱함으로써 장착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샤프트(3) 상에서 상기 리텐션 부재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탭(24b)은 샤프트(3) 상에 슬리브(16) 및 리텐션 부재의 축방향 보유를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장치(1)는 하기와 같이 하우징(2)과 샤프트(3) 사이에 장착된다. 제1 단계에서, 외부 링(12), 내부 링(13), 롤링 요소(14), 케이지(15) 및 슬리브(16)로 구성되는 하위조립체는 외부 링의 림(12c)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지지될 때까지 샤프트(3)와 하우징(2) 사이에 획정된 반경방향 공간 내로 삽입된다. 자유 상태에서, 슬리브의 보어(22)의 직경은 샤프트(3)의 외부 표면의 직경보다 크다. 하위조립체는 이에 따라 반경방향 간섭 없이 슬리브(16)와 샤프트(3) 사이에 장착된다.
그 뒤에, 제2 단계에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는 슬리브의 베어링 칼라(17b)에 대해 지지된 상태로 장착되고 축방향 힘이 축방향 리텐션 부재를 통해 내부 링(13)의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 상에 가해진다. 상기 축방향 력이 슬리브(16)에 가해짐에 따라 리텐션 부재의 탭(24)이 샤프트(3)에 대해 압축된 상태로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보유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를 통해 슬리브(16) 상에 가해진 외부 축방향 힘은 상기 리텐션 부재와 내부 링(13) 사이에 슬리브의 몸체(17)를 축방향으로 탄성 압축되도록 하여 장치(1)를 프리스트레스한다. 따라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는 샤프트(3) 상에서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보유하고 슬리브(16)를 통하여 롤링 베어링 상에 축방향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하고 유지하기 위한 두 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게다가, 축방향 리텐션 부재(24)에 의해 인가된 축방향 프리스트레스에 따라 샤프트(3)를 향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슬리브의 몸체(17)의 탄성 변형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외부 표면과 상기 슬리브의 보어(22) 사이에 반경방향 접촉이 야기된다. 슬리브(16)는 몸체(17)의 내측을 향하는 반경방향 변형에 의해 샤프트(3) 상에 클램핑된다.
변형가능한 탄성 몸체(17)를 포함하는 슬리브(16)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링과 슬리브 사이에 축방향으로 장착된 추가 탄성 프리스트레스 요소의 사용 또한 축방향 리텐션 부재와 슬리브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금속 크링크 와셔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제조하고 장착할 부품들의 개수는 이에 따라 추가로 감소된다. 장치의 전체 축방향 벌크성(axial bulkiness)도 또한 감소된다. 게다가, 샤프트(3) 상에서 반경방향 클램핑 및 장치(1)의 축방향 프리스트레스가 단일 작동으로 구현된다.
게다가, 축방향 리텐션 부재(24)는 슬리브의 환형 베어링 칼라(17b)에 대해 축방향 접촉하는 환형 베어링 부분(24a)을 포함한다. 내부 링(13) 및 슬리브(16) 상에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4)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 력이 주변 방향으로 일정하다.
동일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단지 장치(1)가 슬리브의 몸체의 베어링 칼라(17b)의 외부 표면에 체결된 환형 외부 축방향 부분(26A)과 상기 베어링 칼라의 베어링 표면(20)에 대해 이의 전체 주변에 걸쳐 직접 지지되도록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축방향 부분(26a)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형 반경방향 부분(26b)을 포함하는 축방향 리텐션 부재(26)를 포함하는데 있어서 상이하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26)는 외부 축방향 부분(26a)을 통해 슬리브의 몸체(17) 상에서 축방향으로 체결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26)는 또한 환형 부분(26a)으로부터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축방향으로 샤프트(3)를 향하여 내측으로 반경방향 부분(26b)을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비스듬한 부분(16c)을 포함한다. 비스듬한 부분(26c)은 샤프트에 대해 브레이싱됨으로써 이의 결합 방향에 대해 상반된 방향으로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축방향 리텐션 부재(26)가 샤프트(3) 상에 결합될 때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도록 제공된다. 비스듬한 부분(26c)은 샤프트(3) 상에서 슬리브(16) 및 리텐션 부재의 축방향 리텐션을 위한 수단을 형성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6)는 제1 실시 형태의 설계와 상이한 설계의 스프링 와셔에 의해 형성된다.
동일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단지 슬리브(16)가 탄성 몸체(17) 상에 축방향으로 체결된 스러스트 와셔(thrust washer, 30)를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스러스트 와셔(30)는 완형 형태로 구성되고 2개의 마주보는 반경방향 표면(30a, 30b)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획된다. 반경방향 표면(30a)은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4)가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고, 반경방향 표면(30b)은 슬리브의 칼라(17b)의 베어링 표면(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접합 표면을 형성한다. 스러스트 와셔(30)는 한편으로는 슬리브의 탄성 몸체(17)와 축방향으로 접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 리텐션 부재(24)와 축방향으로 접촉한다. 스러스트 와셔(30)의 보어(30d)는 몸체(17)의 보어(22)를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보어(22, 30d)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슬리브(16)의 보어는 스러스트 와셔의 보어(30d)와 몸체의 보어(22)에 의해 형성된다. 슬리브(16)의 보어는 주변 방향으로 이어진다.
스러스트 와셔(30)는 또한 슬리브의 탄성 몸체의 칼라(17b)의 베어링 표면(20)으로부터 형성된 대응 형상의 환형 노치(도면부호가 없음) 내에 수용되고, 내부 링(13)의 방향으로 반경방향 표면(30b)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돌출부(30c)를 포함한다. 스러스트 와셔(30)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 예를 들어, 접착 결합에 의해 몸체(17)에 축방향으로 체결된다. 변형으로서, 몸체(17)는 스러스트 와셔(30) 상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스러스트 와셔(30)는 강성 재료, 예를 들어, 절삭 및 드로잉에 의해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금속성 재료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합성 재료로 제조된다.
스러스트 와셔(30)의 반경방향 치수는 슬리브의 탄성 몸체(17)의 베어링 표면(20)의 반경방향 직경과 동일하다. 스러스트 와셔(30)는 상기 베어링 표면(20)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슬리브의 몸체(17)의 베어링 표면(20)에서 가능한 응력 집중 효과의 위험성은 축방향 프리스트레스 힘이 축방향 리텐션 부재(24)에 의해 가해질 때 제한된다. 게다가, 축방향 리텐션 부재(24)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슬리브의 탄성 몸체(17)의 축방향 크리프(axial creep)가 방지된다.
동일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슬리브(16)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몸체(1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보강 인서트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슬리브(16)가 단일 부분,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또는 합성 재료로 제조된 강성 보강 인서트(3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보강 인서트(32)는 보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장착되고 내부 링(13)의 보어 내에 배열된 환형 축방향 센터링 부분(32a)과 내부 링의 토로이달 부분(13a)의 측면 상에 축방향으로 위치된 상기 센터링 부분의 일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형 비스듬한 부분(32b)을 포함한다. 비스듬한 부분(32b)은 슬리브의 몸체의 베어링 칼라(17b) 내측에서 연장된다. 비스듬한 부분(32b)은 상기 칼라의 베어링 표면(18, 20)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센터링 부분(32a)은 내부 링의 축방향 부분(13b)의 지지를 허용하기 위해 슬리브의 몸체(17)의 외측에서 그리고 베어링 칼라(17b) 내측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센터링 부분(32a)은 몸체(17)의 베어링 칼라에 의해 형성된 보어(22)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32c)를 구획한다. 보어(32c, 22)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주변 방향으로 이어진다.
보강 인서트(32)는 또한 비스듬한 부분(32b)에 대해 축방향으로 마주보게 위치된 센터링 부분(32a)의 일 자유 단부로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후크(32d)를 포함한다. 후크(32d)는 이 경우에 주변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케이지 상에서 슬리브(16)의 축방향 리텐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직경방향 간섭에 의해 케이지의 반경방향 돌출부(15c)와 결합되도록 치수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단지 슬리브가 슬리브의 탄성 몸체(17) 내에 전체적으로 매립되는 강성의 보강 인서트(3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일반적인 환형 형상의 보강 인서트(34)는 몸체의 베어링 칼라(17b) 내측에서 연장되는 비스듬한 부분(34b)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슬리브의 몸체의 센터링 부분(17a) 내측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축방향 부분(34a)을 포함한다. 보강 인서트(34)는 또한 비스듬한 부분(34b)의 대구경 에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짧은 반경방향 부분(34c)을 포함한다. 보강 인서트(34)는 강성 합성 재료로부터 몰딩되거나 또는 단일 부분, 예를 들어,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단지 슬리브(16)가 슬리브의 탄성 몸체(17) 내에 전체적으로 매립되는 2개의 강성 보강 인서트(36, 38)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인서트(36)는 슬리브의 몸체의 센터링 부분(17a)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보강 인서트(38)는 베어링 표면(20)의 주변에서 상기 몸체의 베어링 칼라(17b) 내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환형 보강 인서트(36, 38)는 합성 재료 또는 금속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축방향 리텐션 부재는 스프링 와셔의 형태이다. 그러나 상이한 설계의 축방향 리텐션 부재, 예를 들어, 환형 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리브와 상기 부재 사이에 직접적인 축방향 접촉 및 샤프트 상에서 리텐션을 위한 수단을 유지하고, 장치는 샤프트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 프리스트레스 힘이 슬리브의 탄성 몸체 상에 직접 인가되어 0의 축방향 유극에 따른 작동이 허용되며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샤프트 상에서 슬리브의 반경방향 클램핑이 보장된다.
축방향 리텐션 부재에 따라 슬리브 상에 축방향 힘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의 탄성 몸체에 따라 내부 링, 이에 따라 롤링 요소와 외부 링에 주변방향으로 균일한 프리스트레스를 전달할 수 있다. 탄성 몸체는 특히 외부 샤프트에 대해 접촉하는 보어에서 반경방향으로 축방향 리텐션 부재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 힘 하에서 변형된다. 샤프트 상에서 슬리브를 클램핑하고 장치를 프리스트레스하는 기능은 장치 내로 추가 요소를 통합시키지 않고 동시에 구현된다. 이 방식으로 샤프트 상에 클램핑된 슬리브에 따라 상기 슬리브와 샤프트 사이에서 임의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와 롤링 베어링 장치 사이에 결합이 최적화된다.

Claims (15)

  1. 외부 링(12), 내부 링(13), 상기 링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열의 롤링 요소(14), 및 상기 링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내부 링의 보어 내에 장착된 슬리브(16)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로서, 상기 슬리브는 샤프트와 반경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 리텐션을 위한 부재(24, 26)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리텐션 수단(24b, 26c)을 포함하는, 상기 롤링 베어링 장치에 있어서,
    슬리브(16)는, 상기 보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고 탄성 재료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탄성 몸체(17)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는 주변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축방향 리텐션 부재(24, 26)는 내부 링(13)으로부터 마주보는 측면 상에서 슬리브에 대해 직접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장착되는 롤링 베어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16)는 제1 베어링 표면(18) 및 제2 마주보는 베어링 표면(20, 30a)이 제공된 베어링 칼라(17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어링 표면에 대해 내부 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2 마주보는 베어링 표면에 대해 축방향 리텐션 부재(24, 26)가 장착되는 롤링 베어링 장치.
  3. 제2에 있어서, 슬리브의 탄성 몸체(17)는 적어도 베어링 칼라의 제1 베어링 표면(18)을 구획하는 롤링 베어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6)는 상기 슬리브의 탄성 몸체(17)에 대해 축방향으로 장착된 강성 스러스트 와셔(30)를 추가로 포함하고, 축방향 리텐션 부재(24, 26)는 상기 와셔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로록 장착되는 롤링 베어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스러스트 와셔(30)는 탄성 몸체(17)의 베어링 표면(20)을 전체적으로 덮는 롤링 베어링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6)는 탄성 몸체(1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보강 인서트(32, 34, 36, 38)를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 장치.
  7. 제6항 있어서, 보강 인서트(32, 34, 38)는 슬리브의 베어링 칼라(17b) 내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 또는 비스듬한 부분(32b, 34b, 34c)을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보강 인서트(32)는 롤링 요소를 보유하기 위한 케이지(15)의 상보적인 리텐션 수단(15c)과 결합하는 축방향 리텐션 수단(32d)을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보강 인서트(34, 36)는 내부 링(13)이 상부에 장착된 슬리브의 센터링 부분(17a) 내측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부분(34a)을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탄성 몸체(17)는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탄성 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롤링 베어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4, 26)는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환형 부분(24a, 26c)을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 장치.
  12. 제11항 있어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의 리텐션 수단(24b, 26c)은 상기 환형 부분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롤링 베어링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 리텐션 부재(26)는 슬리브(16)에 부착되는 롤링 베어링 장치.
  14. 하우징과 샤프트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장치, 하우징과 동축을 이루는 샤프트(3) 및 하우징(2)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15. 스티어링 칼럼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 상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롤링 베어링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위조립체는 외부 링, 내부 링 및 하나 이상의 열의 롤링 요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상기 샤프트와 반경방향 간섭 없이 샤프트 상에 장착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슬리브가 샤프트 상에 반경방향으로 클램핑되며 롤링 요소가 프리로딩되도록 축방향 힘이 축방향 리텐션 부재의 매개에 의해 내부 링의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에 가해지는 방법.
KR1020140082340A 2013-07-05 2014-07-02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 KR102161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6660A FR3008148B1 (fr) 2013-07-05 2013-07-05 Dispositif de palier a roulement, notamment pour colonne de direction
FR1356660 2013-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56A KR20150005456A (ko) 2015-01-14
KR102161860B1 true KR102161860B1 (ko) 2020-10-05

Family

ID=4937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40A KR102161860B1 (ko) 2013-07-05 2014-07-02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4423B2 (ko)
JP (1) JP6501460B2 (ko)
KR (1) KR102161860B1 (ko)
CN (1) CN104329364B (ko)
FR (1) FR3008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7310B1 (fr) * 2016-10-11 2019-07-05 Jtekt Europe Palier amortisseur avec pre-charge axiale
KR102106012B1 (ko) 2018-10-29 2020-04-29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용 베어링조립체
JP7290086B2 (ja) * 2019-09-06 2023-06-13 日本精工株式会社 ハブユニット軸受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9127662A1 (de) * 2019-10-15 2021-04-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rägwälzlager für eine verspannte Lagereinrichtung einer Lenkwelle einer Lenksäule, sowie Lagereinrichtung für eine Lenkwelle einer Lenksäule
CN116641959B (zh) * 2023-05-26 2024-02-27 山东星泰轴承股份有限公司 一种降噪圆锥滚子轴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266A (ja) * 2000-08-30 2002-05-09 Skf France 軸受装置
JP2013500445A (ja) * 2009-07-29 2013-01-07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エスコーエッフ スラスト軸受、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600A (en) * 1906-03-24 1909-04-20 Gustave A Schacht Bearing for vehicle-wheels.
US2232473A (en) * 1939-05-10 1941-02-18 Gemmer Mfg Co Self-adjusting antifriction bearing
US5826987A (en) * 1987-04-04 1998-10-27 The Torrington Company Mounting of a shaft within a housing
DE3808556A1 (de) * 1988-03-15 1989-09-28 Kugelfischer G Schaefer & Co Schraegwaelzlager, insbesondere fuer lenksaeulen von kraftfahrzeugen
DE4114643C2 (de) * 1991-05-04 1995-12-21 Schaeffler Waelzlager Kg Wälzlager, insbesondere für Lenksäulen
FR2756885B1 (fr) * 1996-12-09 1999-01-15 Skf France Palier a roulement de colonne de direction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6227715B1 (en) * 1998-12-09 2001-05-08 INA Wälzlager Schaeffler oHG Rolling bearing assembly for support of a steering shaft
FR2806135B1 (fr) 2000-03-13 2002-06-14 Skf France Palier a roulement de colonne de direction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102009038222A1 (de) * 2009-08-20 2011-02-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Wälzlageranordnung, insbesondere eine Schrägkugellageranordnung, zur Drehlagerung einer Welle
WO2013017158A1 (de) * 2011-08-01 2013-02-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icherungselement, lenkungslager mit einem sicherungselement und lenksäule mit einem lenkungslager und einem sicherungsel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266A (ja) * 2000-08-30 2002-05-09 Skf France 軸受装置
JP2013500445A (ja) * 2009-07-29 2013-01-07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エスコーエッフ スラスト軸受、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08148A1 (fr) 2015-01-09
US9194423B2 (en) 2015-11-24
FR3008148B1 (fr) 2016-05-27
JP2015014367A (ja) 2015-01-22
CN104329364A (zh) 2015-02-04
JP6501460B2 (ja) 2019-04-17
KR20150005456A (ko) 2015-01-14
US20150010259A1 (en) 2015-01-08
CN104329364B (zh)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8590B2 (en) Rolling bearing assembly device for steering column
KR102161860B1 (ko) 스티어링 칼럼용 롤링 베어링 장치
US9127712B2 (en) Rolling bearing assembly device for steering column
US9341216B2 (en) Rolling bearing assembly device for steering column
US8926189B2 (en) Rolling bearing device for steering column
US8997601B2 (en) Steering column comprising a steering bearing, and a steering bearing of a steering column
KR20200042867A (ko)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US20200238779A1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ed with such a device
JP4513295B2 (ja) 転がり軸受装置の組立方法
KR20160037762A (ko) 구름 베어링
KR20160026716A (ko) 롤링 베어링
JP6218495B2 (ja) 転がり軸受用ケージ、転がり軸受及び自動車用電気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
KR102543652B1 (ko) 휠베어링 조립체
US20160281782A1 (en) Bearing having overmoulded wear race,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KR102551832B1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2543235B1 (ko) 휠베어링 조립체
US20160017915A1 (en) Rolling bea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rolling bearing
KR20200140190A (ko)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가 제공된 서스펜션 스트럿
KR20200142082A (ko) 휠베어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