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780B1 -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 Google Patents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780B1
KR102161780B1 KR1020180118034A KR20180118034A KR102161780B1 KR 102161780 B1 KR102161780 B1 KR 102161780B1 KR 1020180118034 A KR1020180118034 A KR 1020180118034A KR 20180118034 A KR20180118034 A KR 20180118034A KR 102161780 B1 KR102161780 B1 KR 10216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ode
viewing angle
lighting
housing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610A (ko
Inventor
김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앤텍
Priority to KR102018011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7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4
    • H04N5/2256
    • H04N5/23245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는 전방 영역에 윈도우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전방으로 광을 조사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향 조절 부재;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렌즈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조명 부재; 및 상기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조명 부재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조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기본 시야각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상기 기본 시야각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해 광이 조사되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가 되도록 상기 방향 조절 부재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Shooting mode variable CCTV}
본 발명은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날씨 상태에 맞춰 촬영 모드가 가변 될 수 있는 시시티브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Television) 시스템은 폐회로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 및 개회로시스템(Open Circuit System)으로 분류된다. 개회로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TV 방송 등을 말한다. 폐회로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특정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라고도 한다.
이러한 CCTV는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 방범이나 주, 정차 위반단속 또는 차량의 신호 및 규정속도 위반 단속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CCTV용 카메라는 감시카메라의 용도특성상 외부환경에서 24시간 안정적인 [0005] 상태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 내에 외부의 먼지는 물론 비나 눈에 의한 습기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CCTV는 외부 촬영을 위해 카메라 렌즈와 대응되는 하우징의 전면부가 투명재질의 글라스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CCTV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하면서 하우징 전면부에 습기 또는 물방울이 맺히면서 시인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하우징 일측에 온도센서 및 열선을 구비하고, 외부 온도에 따라 열선을 작동함으로써 하우징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제거하고자 하는 CCTV가 개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날씨에 따라 상태가 제어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상태가 제어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 영역에 윈도우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전방으로 광을 조사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향 조절 부재;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렌즈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조명 부재; 및 상기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조명 부재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조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기본 시야각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상기 기본 시야각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해 광이 조사되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가 되도록 상기 방향 조절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제1 조명 부재의 후면에 위치되는 제1 방열 부재; 및 상기 제2 조명 부재의 후면에 위치되는 제2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열 부재 및 상기 제2 방열 부재의 후면에는 방열핀이 제공되고, 상기 방향 조절 부재는 2개가 제공되어, 상기 방열 부재에 각각 연결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핀에는 상기 방향 조절 부재와 연결되는 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조절 부재는 상기 물림부와 연결되게 제공되는 연결부; 및 구동축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방 영역에 윈도우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전방으로 광을 조사 가능하게 제공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 모듈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향 조절 부재; 날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렌즈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조명 부재; 및 상기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조명 부재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조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모듈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기본 시야각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상기 기본 시야각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해 광이 조사되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가 되도록 상기 방향 조절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날씨에 따라 상태가 제어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상태가 제어될 수 있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조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 제공되는 조명 모듈 및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조명 모듈 및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1)는 하우징(10), 카메라 모듈(20), 조명 모듈(30) 및 제어기(40)를 포함한다.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는 설정 영역을 촬영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는 고속 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향하도록 위치되어, 도로에 위치된 차량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의 외측 골격을 제공한다.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의 구성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설정 체적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전방 영역에는 투명 또는 반 투명 재질의 윈도우(110)가 위치된다.
하우징(10)은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어, 설치 공간을 개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은 본체 하우징부(11) 및 전방 하우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체 하우징부(11)와 전방 하우징부(14)가 배열되는 전후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수평면 상에 위치되고 제1 방향에 수직한 좌우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상하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본체 하우징부(11)는 상부 하우징부(12) 및 하부 하우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부(12)의 하부와 하부 하우징부(13)의 상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부 하우징부(12)와 하부 하우징부(13)가 상하로 결합되면, 상부 하우징부(12)와 하부 하우징부(13) 사이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부(14)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의 전방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윈도우(110)는 전방 하우징부(14)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부(14)는 본체 하우징부(11)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서 본체 하우징부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카메라 모듈(20) 및 조명 모듈(30)이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은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가 위치된 전방 영역을 촬영 가능하게 제공된다. 카메라 모듈(20)은 촬영을 위한 렌즈(200)가 윈도우(110)를 향하는 상태로,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렌즈(200)는 설정 시야각을 가지고, 전방을 촬영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렌즈(200)는 윈도우(110)의 중앙 영역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조명 모듈(30)을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 가능하게 제공된다. 조명 모듈(30)은 렌즈(200)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제공되어, 조명 모듈(30)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영역은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조명 모듈(3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은 적외선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조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모듈(30)은 조명 부재(310) 및 방열 부재(330)를 포함한다.
조명 부재(310)는 렌즈(200)의 둘레에 위치되어, 설정 대역의 광을 조사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조명 부재(310)는 렌즈(200)를 기준으로 제2 방향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조명 부재(310a) 및 제2 방향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조명 부재(310b)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조명 부재(310a) 및 제2 조명 부재(310b)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렌즈(200)와 제1 방향으로 정렬되어 렌즈(200)의 시야가 개방되도록 하기위한 호(311, ARC)가 형성되게 제공될 수 있다. 조명 부재(310)의 제1 방향 전면에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전구(312)들이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구(312)들은 적외선 대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엘이디(LED)일 수 있다.
방열 부재(330)는 조명 부재(310)와 접하도록 제공되어, 조명 부재(31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정에서 열이 대기 중으로 전달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방열 부재(330)는 제1 조명 부재(310a)의 제1 방향 후면에 위치되는 제1 방열 부재(330a) 및 제2 조명 부재(310b)의 제1 방향 후면에 위치되는 제2 방열 부재(330b)를 포함한다. 제1 방열 부재(330a)는 제1 조명 부재(310a)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제2 방열 부재(330b)는 제2 조명 부재(310b)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330a)의 전면은 제1 조명 부재(310a)의 후면과 접하는 상태로 제공되고, 제2 방열 부재(330b)의 전면은 제2 조명 부재(310b)의 후면과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330a)와 제2 방열 부재(330b)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의 중앙 영역에 렌즈(200)와 제1 방향으로 정렬되어 렌즈(200)의 시야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호(331, ARC)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부재(330)의 제1 방향 후면에는 열전달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방열핀(332)이 위치될 수 있다. 방열핀(332)은 제1 방향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제3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방열핀(332)은 제2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제1 조명 부재(310a) 및 제2 조명 부재(310b)는 광을 조사하는 방향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제1 조명 부재(310a) 및 제2 조명 부재(310b)는 제3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되는 형태로 광을 조사하는 방향이 조절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 부재(330a) 및 제2 방열 부재(330b)는 제3 방향으로 제공되는 회전축(C)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열 부재(330a) 및 제2 방열 부재(330b)가 회전축(C)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제1 조명 부재(310a) 및 제2 조명 부재(310b)가 회전되어,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330a) 및 제2 방열 부재(330b)의 회전축(C)은 서로 마주 보는 방향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어기(40)는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제어기(40)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일 예로,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지지판(140)이 위치되고, 제어기(40)는 지지판(140)에 고정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판(140)은 방열 부재(330)와 접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제어기(40)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 부재(330)로 전달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지지판(140)은 제1 방열 부재(330a)의 상단과 단일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제2 방열 부재(330b)의 상단과 단일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방열핀들과 접한다. 촬영 모드의 변경 시, 제1 방열 부재(330a)와 제2 방열 부재(330b) 각각은 단일의 볼트를 축으로 지지판(14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제어기(40)는 카메라 모듈(20)의 온/오프 등과 같이 카메라 모듈(20)의 촬영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40)는 조명 모듈(30)의 온/오프, 조명 모듈(30)에서 조사되는 광의 강도 등과 같이 조명 모듈(3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4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제공되거나,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40)는 카메라 모듈(20) 제어를 위한 부분 및 조명 모듈(30) 제어를 위한 부분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가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를 설치 또는 관리하는 자가 조명 모듈(30)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협시야각 촬영 모드는 기본 시야각에 대해 광이 조사되어, 기본 시야각에 들어오는 영역이 효과적으로 촬영되게 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협시야각 촬영 모드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가 도로에 설치되었을 때, 하나의 차선을 촬영하는 상태로, 기본 시야각은 23°내지 26°일 수 있다.
광시야각 촬영 모드는 기본 시야각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해 광이 조사되어, 기본 시야각을 초과하는 영역이 효과적으로 촬영되게 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협시야각 촬영 모드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가 도로에 설치되었을 때, 두개의 차선을 촬영하는 상태로, 46°내지 52°의 시야각에 들어오는 영역이 촬영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 제공되는 조명 모듈 및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모듈(30a)은 조명 부재(315) 및 방열 부재(335)를 포함한다.
조명 모듈(30a)의 구성 및 기능 중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반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방열 부재(335)에는 방향 조절 부재(50a)와의 연결을 위한 물림부(336)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물림부(336)는 기어 이 구조 일 수 있다. 물림부(336)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물림부(336)는 방열핀(337) 중 하나의 일 측면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림부(336)는 회전축(C)과 설정 거리 이격되고,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물림부(336)는 렌즈가 위치되는 방향의 타측 단부에 위치되는 방열핀(337)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림부(336)는 하우징(미도시)과 인접하게 방열핀(337)의 제3 방향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방향 조절 부재(50a)는 조명 모듈(30a)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방향 조절 부재(50a)는 제2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2개 제공되어, 제1 방열 부재(335a) 및 제2 방열 부재(335b)에 각각 연결되게 제공된다.
방향 조절 부재(50a)는 연결부(501), 구동부(502) 및 구동축(503)을 포함한다.
연결부(501)는 물림부(336)와 연결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연결부(501)는 물림부(336)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 이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502)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어, 연결부(501)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구동부(502)는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502)는 구동축(503)에 의해 연결부(501)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502)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는 도 6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a)는 센서(60) 및 제어기(40a)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a)에 위치되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a)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를 감지한다. 일 예로, 센서(60)는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면에 고정되거나, 하우징 내부의 수용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60)는 조명 모듈(30a)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어기(40a)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a)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기(40a)는 카메라 모듈의 온/오프 등과 같이 카메라 모듈의 촬영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40a)는 조명 모듈(30a)의 온/오프, 조명 모듈(30a)에서 조사되는 광의 강도 등과 같이 조명 모듈(30a)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40a)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제공되거나,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40a)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위한 부분 및 조명 모듈(30a) 제어를 위한 부분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40a)는 센서(60)가 제공하는 습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 조명 모듈(30a)이 광을 조사하는 방향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제어기(40a)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a)가 위치된 공간의 상태에 따라,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a)가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한다.
제어기(40a)는 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면,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하여, 협시야각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제어기(40a)는 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가 설정 습도 이하이면,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하여, 광시야각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통신 모듈(70) 및 제어기(40b)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0)은 기상청 서버,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를 관리하는 자가 관리하는 서버 등과 같이 날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날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70)은 일출 시간과 일몰 시간을 수신하도록 제공될 수 도 있다.
제어기(40b)는 통신 모듈(70)이 제공하는 정보가 협시야각 날씨 정보이면,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하여, 협시야각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협시야각 날씨 정보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가 설치된 지역에 비가 오는 날씨, 눈이 오는 날씨, 안개가 설정 농도 이상으로 발생된 날씨, 설정 습도 이상인 날씨 등과 같이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가 발생된 날씨 일 수 있다.
제어기(40b)는 통신 모듈(70)이 제공하는 정보가 광시야각 날씨 정보이면,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하여, 광시야각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게 할 수 있다. 광시야각 날씨 정보는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가 발생되지 않은 날씨 일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센서(60) 및 통신 모듈(70)을 함께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센서(60)에서 감지되는 습도, 또는 통신 모듈(70)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가 기본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60)에서 감지되는 습도가 설정 습도 이하이고, 통신 모듈(70)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가 광시야각 날씨 정보이면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가 기본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60)에서 감지되는 습도가 설정 습도 이상이거나, 통신 모듈(70)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가 협시야각 날씨 정보이면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센서(60) 및 통신 모듈(70) 중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를 다른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보다 우선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통신 모듈(70)로 수신되는 정보에 우선하여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통신 모듈(70)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센서(60)에서 감지되는 습도에 의해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반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b)는 센서(60)에서 감지되는 습도에 우선하여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60)등의 파손 등으로 센서(60)에서 습도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통신 모듈(70)로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40b)는 통신 모듈(70)이 제공하는 정보가 광시야각 시간 정보이면,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할 수 있다. 광시야각 시간 정보는 일출 시간이 수신된 후 일몰 시간이 수신되기 전까지 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40b)는 통신 모듈(70)이 제공하는 정보가 협시야각 시간 정보이면,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할 수 있다. 협시야각 시간 정보는 일몰 시간이 수신된 후 일출 시간이 수신되기 전까지 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40b)는 타이머 기능을 가지고, 시간의 경과를 감지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40b)는 낮 시간으로 설정된 시간 대역에서 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하고, 저녁 시간으로 설정된 시간 대역에서 협시야각 촬영 모드로 동작되게 방향 조절 부재(50a)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의 조명 모듈 및 조절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c)는 하우징(10c), 카메라 모듈(미도시), 조명 모듈(30c) 및 조절 부재(50c)를 포함한다.
하우징(10c) 및 카메라 모듈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의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 모듈(30c)은 조명 부재(316) 및 방열 부재(338)를 포함한다.
조명 모듈(30c)의 구성 및 기능 중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모듈(3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반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방향 조절 부재(50c)는 조명 모듈(30c)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방향 조절 부재(50c)는 제2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2개 제공되어, 제1 방열 부재(338a) 및 제2 방열 부재(338b)에 각각 연결되게 제공된다. 방향 조절 부재(50c)는 연결부(505), 구동부(506) 및 구동축(507)을 포함한다.
연결부(505)는 물림부(339)와 연결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연결부(505)는 물림부(339)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 이가 외측 둘레에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506)는 설정 체적을 가지고 하우징(10c)의 외측에 위치되게 제공된다. 구동부(506)는 하우징(10c)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구동축(507)에 의해 연결부(505)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축(507)은 하우징(10c)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제공되고, 구동부(506)는 하우징(10c)의 저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1c)는 하우징(10c)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광시야각 촬영 모드와 협시야각 촬영 모드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1: 본체 하우징부
14: 전방 하우징부 20: 카메라 모듈
30: 조명 모듈 200: 렌즈
40: 제어기 310: 조명 부재
330: 방열 부재

Claims (7)

  1. 도로에 설치되어 하나의 차선 또는 두 개의 차선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드 가변 시시티브이에 있어서,
    전방 영역에 윈도우를 갖는 하우징;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렌즈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렌즈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조명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조명 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 조명 부재;
    상기 제1조명 부재와 상기 제2조명 부재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 조절 부재;
    협시야각 촬영 모드 또는 광시야각 촬영 모드가 되도록 상기 방향 조절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협시야각 촬영 모드에서는, 상기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2조명부재에서 23˚ 내지 26˚ 시야각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나의 차선을 촬영하고,
    상기 광시야각 촬영 모드에서는 상기 제1조명부재와 상기 제2조명부재에서 46˚ 내지 52˚ 시야각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두 개의 차선을 촬영하며,
    상기 조명 부재는,
    상기 제1 조명 부재의 후면과 접하며, 그 후면에 방열핀이 제공되는 제1 방열 부재; 및
    상기 제2 조명 부재의 후면과 접하며, 그 후면에 방열핀이 제공되는 제2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 부재의 상단과 단일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 방열 부재의 상단과 단일의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방열핀들과 접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촬영 모드의 변경 시, 상기 제1 방열 부재와 상기 제2 방열 부재 각각은 상기 단일의 볼트를 축으로 상기 지지판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지지판을 통해 상기 방열핀들에 전달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에는 상기 방향 조절 부재와 연결되는 물림부가 형성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 부재는 상기 물림부와 연결되게 제공되는 연결부; 및
    구동축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6. 제1항에 있어서,
    날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7. 삭제
KR1020180118034A 2018-10-04 2018-10-04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KR10216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34A KR102161780B1 (ko) 2018-10-04 2018-10-04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34A KR102161780B1 (ko) 2018-10-04 2018-10-04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10A KR20200038610A (ko) 2020-04-14
KR102161780B1 true KR102161780B1 (ko) 2020-10-05

Family

ID=702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34A KR102161780B1 (ko) 2018-10-04 2018-10-04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7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592B1 (ko) * 2008-04-15 2010-02-03 리 조나단 적외선 조명장치
KR101028469B1 (ko) * 2008-05-28 2011-04-14 정강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63849B1 (ko) * 2008-07-15 2010-06-16 (주)미라클산업 도로 기상 종합 시스템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10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241B2 (en) Gimbaled LED array module
US20090167865A1 (en) Photographic object recognition correction
US7016518B2 (en) Vehicle license plate imaging and reading system for day and night
KR101602833B1 (ko) 적외선 led 감시카메라
EP1275981A3 (de)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Sicht in Fahrzeugen
FR2894905A1 (fr) Procede d'eclairage module d'une route et projecteur de vehicul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KR100874037B1 (ko)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2161780B1 (ko)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US9395248B2 (en) Radiation sensing device and control circuit
KR102505950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KR101806324B1 (ko) 다기능 감시카메라
KR20200047469A (ko) 감시 카메라
KR20200038609A (ko) 감시 카메라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KR101494869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2502389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JP3636331B2 (ja) カメラ内蔵型道路灯
KR101494872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096952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투광기를 탑재한 감시카메라 장치
KR101440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2258747B1 (ko) Ptz 카메라와 외부 조명기가 연동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94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637159B1 (ko) 감시카메라
JP3944656B2 (ja) 照明器具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