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824B1 -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824B1
KR102160824B1 KR1020200038771A KR20200038771A KR102160824B1 KR 102160824 B1 KR102160824 B1 KR 102160824B1 KR 1020200038771 A KR1020200038771 A KR 1020200038771A KR 20200038771 A KR20200038771 A KR 20200038771A KR 102160824 B1 KR102160824 B1 KR 10216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protective tube
communication cable
positions
impac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성
Original Assignee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3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며, 길이 가변이 가능하며, 내부에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관 몸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 부재;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을 그립하는 다수의 그립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일단에는 레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돌기는 상기 다수의 레일홈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PROTECTING PIPE FOR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다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광케이블 보호관은 합성수지재질의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이프 형상의 관이 수개가 일렬로 길게 연결되어 내부에 삽입 설치된 통신 광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광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며, 특히, 진동이 많은 도로 등의 하부에 매설될 경우, 보호관을 길이방향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이 가해진다. 이에 더하여 보호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신 케이블 역시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일정량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호 연결된 통신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부위가 손상되어, 외부의 흙이나 물 등이 내부로 스며들어 통신 광케이블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통신 케이블이 강제로 잡아당겨지거나 오므려짐 또는 비틀림이 발생되면, 해당 통신 케이블은 일부가 파손되거나 영구히 단선되어,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8327호(2008.03.25)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다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며, 길이 가변이 가능하며, 내부에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관 몸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 부재;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을 그립하는 다수의 그립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일단에는 레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돌기는 상기 다수의 레일홈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 각각은,
상기 통신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립퍼와,
상기 그립퍼의 내주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름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구름 부재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외주를 구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타단과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 각각은 힌지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단에는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를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의 다수 위치에는 탄성 스프링들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들의 타단은,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호관 몸체는,
다수의 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관 몸체는 서로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주름관이 더 설치되어 절곡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서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권취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권취기들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정 부분을 권취하고,
상기 권취기들은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된 장력이 기설정되는 기준 장력에 이르도록 상기 권취기들을 구동시켜, 상기 통신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푼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는 지상과 연결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관과, 상기 지상과 연결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유입된 외기를 상기 지상으로 배기시키는 외기 배출관과 연결되되,
상기 외기 유입관에는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기준 습도에 이르도록 상기 팬을 구동시켜, 상기 외기를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유입 및 배출시켜 환기시킨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일정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충격 센서들이 설치되는 위치들에 상응하는 위치들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에는, 상기 램프로 전원을 제공하여 램프를 온(on)시키는 전원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은, 지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충격력이 기설정된 파손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충격 센서들중 상기 파손 충격력에 이르는 충격력이 측정된 충격 센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승강축을 상승시켜, 상승되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램프를 상기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램프를 상기 전원기를 사용하여 온 시킨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에는 탄성 와이어들이 간격을 이루어 매설되되,
상기 탄성 와이어들은,
상기 보호관 몸체에 형성되는 스크류 형상의 홀에 스크류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의 외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며, 구심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들 각각의 상단 양측부에는 한 쌍의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모터 각각은 회전 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스크류 부재들이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들 각각에는, 높이를 감지 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하를 이루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단 양측부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크류 부재를 돌출시켜, 지중에 보조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충격력이 지진 발생으로 인한 충격에 해당되도록 기설정되는 비상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일정 길이로 풀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비상 충격력 이상을 이루는 상기 충격력에 비례되도록 상기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일정 길이로 풀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기들은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 내주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블 회전구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들의 둘레 다수 위치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 다수 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들을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다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통신 케이블이 강제로 잡아당겨지거나 오므려짐 또는 비틀림이 발생되는 경우,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통신 케이블을 일정 길이로 풀어주어 느슨하게 이루어 줌으로써, 해당 통신 케이블 일부가 파손되거거나 영구히 단선되지 않도록 하여 정상적인 통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부재가 보호관 몸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권취기들이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 내부가 환기가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두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가 지중에서 처지는 경우, 더 처지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부재가 보호관 몸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며, 길이 가변이 가능하며, 내부에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관 몸체(100)와,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 부재(200)와,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200) 각각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10)을 그립하는 다수의 그립 부재(300)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200) 각각의 일단에는 레일 돌기(210)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 돌기(210)는 상기 다수의 레일홈(110)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300) 각각은, 상기 통신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립퍼(310)와, 상기 그립퍼(310)의 내주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름 부재(320)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구름 부재(320)는, 상기 통신 케이블(10)의 외주를 구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200) 각각의 타단과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300) 각각은 힌지단(3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단(330)에는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300)를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3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300)의 다수 위치에는 탄성 스프링들(400)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들(400)의 타단은,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주에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특히, 상기 보호관 몸체(100)는, 다수의 관 몸체(101)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관 몸체(101)는 서로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관 몸체(101)의 양단에는 슬라이딩홀(120)이 형성된다. 서로 이웃하는 관 몸체(120)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30)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30)의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131)는 서로 이웃하는 관 몸체(101) 각각의 슬라이딩 홀(120)에 끼워진다. 이에 각각의 관 몸체(10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30)와 슬라이딩 홀(120)은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수의 관 몸체(101)의 다수 위치에는 주름관이 더 설치되어 절곡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권취기들이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부에서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권취기들(500)이 설치된다.
상기 권취기들(500)은 상기 통신 케이블(10)의 일정 부분을 권취하고, 상기 권취기들(500)은 제어기(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통신 케이블(10)의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610)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61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서로, 발광부에서 광을 통신 케이블(10)로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이 측정되는 거리를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측정되는 거리가 일정한 장력을 이루는 거리를 이루도록 상기 권취기(500)의 구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측정된 장력이 기설정되는 기준 장력에 이르도록 상기 권취기들(500)을 구동시켜, 상기 통신 케이블(10)을 권취하거나 푼다. 상기 기준 장력은 상기 일정한 장력을 이루는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 내부가 환기가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두면이다.
또한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보호관 몸체(100)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620)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관 몸체(100)는 지상과 연결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관(710)과, 상기 지상과 연결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부에 유입된 외기를 상기 지상으로 배기시키는 외기 배출관(720)과 연결된다.
상기 외기 유입관(710)에는 팬(73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기준 습도에 이르도록 상기 팬(630)을 구동시켜, 상기 외기를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부에 유입 및 배출시켜 환기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몸체가 지중에서 처지는 경우, 더 처지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다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들(15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들(150) 각각의 상단 양측부에는 한 쌍의 모터(16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모터(160) 각각은 회전 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스크류 부재들(161)이 축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들(150) 각각에는, 높이를 감지 하는 센서(17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측정되는 상기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하를 이루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대(150) 상단 양측부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모터(160)를 구동시켜 상기 스크류 부재(161)를 돌출시켜, 지중에 보조 지지력을 확보할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다수 위치에는, 일정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들이 설치된다.
상기 충격 센서들이 설치되는 위치들에 상응하는 위치들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는 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축에는, 상기 램프로 전원을 제공하여 램프를 온시키는 전원기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축의 상단은, 지상에 노출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측정되는 충격력이 기설정된 파손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충격 센서들 중 상기 파손 충격력에 이르는 충격력이 측정된 충격 센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승강축을 상승시켜, 상승되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램프를 상기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램프를 상기 전원기를 사용하여 온 시킨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에는 탄성 와이어들이 간격을 이루어 매설된다.
상기 탄성 와이어들은, 상기 보호관 몸체에 형성되는 스크류 형상의 홀에 스크류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 몸체의 외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며, 구심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600)는 측정되는 상기 충격력이 지진 발생으로 인한 충격에 해당되도록 기설정되는 비상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권취기들(500)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10)을 일정 길이로 풀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비상 충격력 이상을 이루는 상기 충격력에 비례되도록 상기 권취기들(500)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10)을 일정 길이로 풀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기들(500)은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주에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 내주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블 회전구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들(500)의 둘레 다수 위치는 상기 보호관 몸체(100)의 내주 다수 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들을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권취기들은 보호관 몸체에 큰 충격을 가하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회전 위치되며, 탄성 지지 스프링들에 의해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되어 통신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풀거나 권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500)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500)는 하나의 권취기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동시에 통신 케이블(10)을 당기거나 풀어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500)는 제 1,2권취기(510,520)를 갖는다. 상기 제 1,2권취기(510,520)는 서로 이격되어 프레임(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된다.
상기 제 1.2권취기(510,520)에는 통신 케이블(10)이 권취된다. 상기 제 1,2권취기(510,520)는 통신 케이블(10)을 권취하기 위해 제 1,2권취기(510,520)를 회전시키는 제 1,2회전 모터(511,521)의 축과 축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2모터(511,521)는 제어기(600)의 제어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권취기(510,520)의 사이에는 아이들 축(531)이 연결된다.
상기 아이들 축(531)에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5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아이들 롤러(530)에는 제 1,2권취기(510,520)에서 권취되는 통신 케이블(10)이 이어져 감기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아이들 롤러들(530) 사이에서 통신 케이블(10)은 일정 길이의 여유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제 1,2권취기(510,520)는 전후 방향에서의 통신 케이블(10)을 일정 길이 감거나 풀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다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지진으로 인해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신 케이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통신 케이블이 강제로 잡아당겨지거나 오므려짐 또는 비틀림이 발생되는 경우,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통신 케이블을 일정 길이로 풀어주어 느슨하게 이루어 줌으로써, 해당 통신 케이블 일부가 파손되거거나 영구히 단선되지 않도록 하여 정상적인 통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호관 몸체
200 : 이동 부재
300 : 그립부재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며, 길이 가변이 가능하며, 내부에 통신 케이블이 수용되도록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관 몸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 부재;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을 그립하는 다수의 그립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일단에는 레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돌기는 상기 다수의 레일홈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되,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 각각은, 상기 통신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립퍼와, 상기 그립퍼의 내주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름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구름 부재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외주를 구름 지지하고,
    상기 다수의 이동 부재 각각의 타단과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 각각은 힌지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단에는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를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그립 부재의 다수 위치에는 탄성 스프링들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들의 타단은,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 고정되되,

    상기 보호관 몸체는, 다수의 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관 몸체는 서로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주름관이 더 설치되어 절곡 가능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서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권취기들이 설치되고,
    상기 권취기들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정 부분을 권취하고,
    상기 권취기들은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된 장력이 기설정되는 기준 장력에 이르도록 상기 권취기들을 구동시켜, 상기 통신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풀고,
    상기 보호관 몸체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는 지상과 연결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관과, 상기 지상과 연결되어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유입된 외기를 상기 지상으로 배기시키는 외기 배출관과 연결되되,
    상기 외기 유입관에는 팬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기준 습도에 이르도록 상기 팬을 구동시켜, 상기 외기를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부에 유입 및 배출시켜 환기시키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일정의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충격 센서들이 설치되는 위치들에 상응하는 위치들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에는, 상기 램프로 전원을 제공하여 램프를 온(on)시키는 전원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은, 지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충격력이 기설정된 파손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충격 센서들중 상기 파손 충격력에 이르는 충격력이 측정된 충격 센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승강축을 상승시켜, 상승되는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램프를 상기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램프를 상기 전원기를 사용하여 온 시키고,
    상기 보호관 몸체에는 탄성 와이어들이 간격을 이루어 매설되되,
    상기 탄성 와이어들은,
    상기 보호관 몸체에 형성되는 스크류 형상의 홀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외주에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상기 보호관 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며, 구심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 몸체의 다수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들 각각의 상단 양측부에는 한 쌍의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모터 각각은 회전 방향에 따라 돌출되는 스크류 부재들이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들 각각에는, 높이를 감지 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하를 이루는 경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단 양측부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크류 부재를 돌출시켜, 지중에 보조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충격력이 지진 발생으로 인한 충격에 해당되도록 기설정되는 비상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일정 길이로 풀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비상 충격력 이상을 이루는 상기 충격력에 비례되도록 상기 권취기들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을 일정 길이로 풀고,
    상기 권취기들은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에 설치되되, 상기 보호관 내주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블 회전구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권취기들의 둘레 다수 위치는 상기 보호관 몸체의 내주 다수 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들을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8771A 2020-03-31 2020-03-31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KR10216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71A KR102160824B1 (ko) 2020-03-31 2020-03-31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71A KR102160824B1 (ko) 2020-03-31 2020-03-31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24B1 true KR102160824B1 (ko) 2020-09-28

Family

ID=7280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71A KR102160824B1 (ko) 2020-03-31 2020-03-31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4594A (zh) * 2023-02-10 2023-05-30 江苏通光电子线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及其生产设备
KR102618398B1 (ko) * 2023-03-31 2023-12-27 주식회사 세종 지중 배전선로의 습도 감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637159B1 (ko) * 2023-03-27 2024-02-16 (주)엠에스제이텍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케이블 고장 진단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453B1 (ja) * 2014-11-07 2015-11-17 株式会社大和精機 ケーブル保護体
KR101739121B1 (ko) * 2016-12-31 2017-05-23 (주) 세화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전력케이블 내진장치
KR101924598B1 (ko) * 2018-06-12 2018-12-04 (유)기봉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1990330B1 (ko) * 2019-02-14 2019-06-18 변희정 전력 케이블 포설용 이송장치
CN210201447U (zh) * 2019-08-09 2020-03-27 郑少林 一种多重保护的电力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453B1 (ja) * 2014-11-07 2015-11-17 株式会社大和精機 ケーブル保護体
KR101739121B1 (ko) * 2016-12-31 2017-05-23 (주) 세화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전력케이블 내진장치
KR101924598B1 (ko) * 2018-06-12 2018-12-04 (유)기봉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KR101990330B1 (ko) * 2019-02-14 2019-06-18 변희정 전력 케이블 포설용 이송장치
CN210201447U (zh) * 2019-08-09 2020-03-27 郑少林 一种多重保护的电力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4594A (zh) * 2023-02-10 2023-05-30 江苏通光电子线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及其生产设备
CN116184594B (zh) * 2023-02-10 2023-11-17 江苏通光电子线缆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
KR102637159B1 (ko) * 2023-03-27 2024-02-16 (주)엠에스제이텍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케이블 고장 진단 관리시스템
KR102618398B1 (ko) * 2023-03-31 2023-12-27 주식회사 세종 지중 배전선로의 습도 감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824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보호관
RU2393985C1 (ru) Лебедка
US5520236A (en) Greenhouse curtain system
CN101675198A (zh) 可收缩的遮阳棚
KR102505028B1 (ko)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용 가공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시스템
US5988555A (en) Cable winding machine
US8820387B2 (en) Winding device for covering wall openings or windows
KR20200080474A (ko) 권취장치
KR102232771B1 (ko) 전선 핸들링 장치
KR20040078564A (ko) 관내 탐사장치
CN106654911A (zh) 一种电网专用移动检修电源箱
CN214379450U (zh) 一种组合式静调电源柜
DK2730738T3 (en) Roll-up device to cover the openings in the wall section
KR200324598Y1 (ko) 유리온실 단열스크린 회전축 지지장치
KR102466560B1 (ko) 지중배전선로용 보호관 설비
CN115013629A (zh) 一种市政管道养护设备
KR101005712B1 (ko) 일체형 승강이동식 무대장치
KR102513114B1 (ko) 높낮이 위치 제어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개폐비닐 제어장치
KR200191513Y1 (ko) 전선 권취 장치
KR101295065B1 (ko) 드럼 이동식 교차 와이어형 무진동 리프트장치
JP2750223B2 (ja) ケーブルまたはその他の部材のための巻取り式ストック方法およびストック装置および該ストック装置の使用方法
CN210005743U (zh) 一种光缆敷设用具有长度检测功能的线缆卷线盘
CN219858838U (zh) U形拖链系统
KR200419017Y1 (ko) 와이어 보빈 일체형 감속모터
JP3595351B2 (ja) 人工芝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