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622B1 -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622B1
KR102160622B1 KR1020190178751A KR20190178751A KR102160622B1 KR 102160622 B1 KR102160622 B1 KR 102160622B1 KR 1020190178751 A KR1020190178751 A KR 1020190178751A KR 20190178751 A KR20190178751 A KR 20190178751A KR 102160622 B1 KR102160622 B1 KR 10216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air
main pip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일
Original Assignee
홍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일 filed Critical 홍대일
Priority to KR102019017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099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는, 내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과 이격되되 상기 메인관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서브관; 상기 메인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형 에어 공급관; 상기 메인관과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이 만나는 합류구간 이후의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관 및 상기 서브관 사이에서 상기 메인관 및 상기 서브관에 연결되는 벤츄리관; 상기 메인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으로 물(water)을 펌핑(pumping)하는 육상 펌프;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및 상기 서브관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이 형성되도록 상기 육상 펌프와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Air siphon press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20)의 일측 단부(20a)를 액이 충만된 제1 용기(30) 내에 넣고, 타측 단부(20b)를 제1 용기(30)보다 낮은 위치의 제2 용기(40)에 배치하면 제1 용기(30) 내의 액이 관(20)을 따라 제2 용기(40)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을 사이펀(siphon) 현상이라 한다.
사이펀 현상을 이용한 것이 사이펀 장치이며, 산업 전반에 걸쳐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292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117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8799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3-0024552호 등처럼 널리 사용되는 실정이다.
한편, 산업단지나 대단위 농가에서는 세척 등을 위하여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며, 이때는 육상 펌프를 이용해서 저수조의 물을 대량으로 펌핑(pumping)하게 되는데, 이때 물을 단순히 펌핑하는 경우에는 저수조 물을 퍼서 그대로 이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살균 기능 등을 전혀 제공할 수 없다.
만약, 저수조의 물을 펌핑해서 사용할 때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만 있다면 물의 사용 외에도 추가의 기능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신개념의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292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117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8799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3-00245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과 이격되되 상기 메인관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서브관; 상기 메인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형 에어 공급관; 상기 메인관과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이 만나는 합류구간 이후의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메인관 및 상기 서브관 사이에서 상기 메인관 및 상기 서브관에 연결되는 벤츄리관; 상기 메인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으로 물(water)을 펌핑(pumping)하는 육상 펌프;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및 상기 서브관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이 형성되도록 상기 육상 펌프와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육상 펌프의 동작을 온(on)시켜 상기 메인관에서 상기 서브관으로 물이 전달되면서 공급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온(on)시켜 상기 물의 흐름 속에 에어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에어가 상기 벤츄리관을 지나면서 상기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관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상기 마이크로 버블에 포함되게 상기 육상 펌프와 상기 컴프레서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벤츄리관은, 상기 메인관과 연결되는 제1 확관부; 상기 제1 확관부의 말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확관부보다 관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축관부; 상기 축관부의 말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확관부만큼 다시 관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2 확관부; 및 상기 제1 확관부와 상기 제2 확관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해당 위치에서 상기 메인관의 제1 플랜지와 상기 서브관의 제2 플랜지에 각각 면접합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면접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100)는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100)는 메인관(110), 서브관(120),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 벤츄리관(140), 육상 펌프(150), 컴프레서(160), 그리고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관(110)은 내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파이프이다. 메인관(110)은 단부는 예컨대, 저수조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관(120)은 메인관(110)과 이격되되 메인관(110)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파이프이다. 서브관(120)은 메인관(110)과 동일한 파이프라 간주하면 된다.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은 메인관(110)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파이프이다.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은 물이 흐르는 메인관(110) 내로 에어(air)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이다.
에어의 공급이 유연해질 수 있게끔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은 메인관(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된다.
한편, 벤츄리관(140)은 메인관(110)과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이 만나는 합류구간 이후의 위치에 배치되되 메인관(110) 및 서브관(120) 사이에서 메인관(110) 및 서브관(1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벤츄리관(140)은 서브관(120)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이 형성되도록 한다.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면 마이크로 버블이 수면으로 부상되어 파괴되면서 강한 에너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예컨대, 살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을 요하는 세정이나 폐수의 정화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벤츄리관(140)은 메인관(110)과 연결되는 제1 확관부(141)와, 제1 확관부(141)의 말단부에 형성되되 제1 확관부(141)보다 관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축관부(142)와, 축관부(142)의 말단부에 형성되되 제1 확관부(141)만큼 다시 관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2 확관부(143)와, 제1 확관부(141)와 제2 확관부(143)의 단부에 형성되되 해당 위치에서 메인관(110)의 제1 플랜지(111)와 서브관(120)의 제2 플랜지(121)에 각각 면접합되어 연결되는 한 쌍의 면접합 플랜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육상 펌프(150)는 메인관(110)에 연결되며, 메인관(110)으로 물(water)을 펌핑(pumping)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컴프레서(160)는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에 연결되며,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육상 펌프(150)와 컴프레서(160)는 아래의 컨트롤러(18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서브관(120)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도록 육상 펌프(150)와 컴프레서(16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다시 말해, 컨트롤러(180)는 육상 펌프(150)의 동작을 온(on)시켜 메인관(110)에서 서브관(120)으로 물이 전달되면서 공급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컴프레서(160)의 동작을 온(on)시켜 물의 흐름 속에 에어를 투입함으로써 에어가 벤츄리관(140)을 지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어 서브관(120)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에 포함되게 육상 펌프(150)와 컴프레서(16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서브관(120)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도록 육상 펌프(150)와 컴프레서(16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육상 펌프(150)의 동작을 온(on)시켜 메인관(110)에서 서브관(120)으로 물이 전달되면서 공급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컴프레서(160)의 동작을 온(on)시켜 물의 흐름 속에 에어를 투입함으로써 에어가 벤츄리관(140)을 지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어 서브관(120)으로 배출되는 물 속에 마이크로 버블에 포함되게 육상 펌프(150)와 컴프레서(16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육상 펌프(150)를 통해 예컨대, 저소조의 물을 흡입할 때, 컴프레서(160)를 통해 고압의 에어(air)가 함께 투입되며, 합류구간 이후에 마련되는 벤츄리관(140)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서브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물 속에는 다량의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살균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200) 역시, 메인관(110), 서브관(120),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 벤츄리관(140), 육상 펌프(150), 컴프레서(160), 그리고 컨트롤러(2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서브관(120)에 오존 발생기(290)가 마련된다. 컨트롤러(280)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는 오존 발생기(290)는 서브관(120)을 따라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이 배출되는 경로 상에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살균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300) 역시, 메인관(110), 서브관(120), 경사형 에어 공급관(130), 벤츄리관(140), 육상 펌프(150), 컴프레서(160), 그리고 컨트롤러(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서브관(120)에 오존 발생기(290)가 마련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 외에도 서브관(120)에는 서브관을 따라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이 배출되는 경로 상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발생기(390)가 더 마련되며, 이들의 컨트롤 기준이 되는 타이머(395)가 컨트롤러(380)에 부속된다.
타이머(395)는 컨트롤러(380)에 일정한 시간구간을 제공한다. 즉 컨트롤러(380)는 타이머(395)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30분 동안 오존 발생기(290)가 온(on)되되 이때는 UV 발생기(390)가 오프(off)되게 컨트롤하고, 30분이 지난 이후부터 1시간 동안 UV 발생기(390)가 온(on)되되 이때는 오존 발생기(290)가 오프(off)되게 컨트롤한다. 1시간이 지난 이후부터 30분 동안은 오존 발생기(290)가 온(on)되게 하고, 그 이후의 1시간 동안은 UV 발생기(390)가 온(on)되게 하며,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게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400)는 내부에서 물(water)이 유동되는 메인관(410)과, 메인관(410)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형 에어 공급관(430)과, 메인관(410)으로 물을 펌핑(pumping)하는 육상 펌프(450)와, 경사형 에어 공급관(430)으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컴프레서(460)와, 메인관(410) 내에 마련되며 메인관(410) 내로 공급되는 물과 에어를 혼합하는 물과 에어 혼합부(401)와, 물이 유동되는 방향에 대하여 메인관(410) 내에서 물과 에어 혼합부(401)의 배후에 배치되되 충돌식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관(41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나 메인관(410), 경사형 에어 공급관(430), 육상 펌프(450) 및 컴프레서(460)의 구조와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물과 에어 혼합부(401)는 메인관(410) 내로 들어온 물과 에어를 혼합하는 수단이다. 물과 에어 혼합부(401)는 회전 샤프트(401a)와, 회전 샤프트(401a)의 벽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벽체부(401b)와, 회전 샤프트(401a)를 회전 구동시키는 수중 모터(401c)를 포함한다. 수중 모터(401c)에 의해 회전 샤프트(401a)와 나선형 벽체부(401b)가 회전됨으로써 메인관(410) 내로 들어온 물과 에어가 혼합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한편, 마이크로 버블 발생부(402)는 물과 에어 혼합부(401)에 의해 물과 에어가 혼합된 물을 충돌블록(411)에 충돌시켜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 버블 발생부(402)는 에어 혼합 물(water)이 흐르는 방향에 대해 순차적으로 제1 확산부(407), 제1 연장부(409), 충돌블록(411), 제2 확산부(413) 및 제2 연장부(415)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확산부(407)는 물과 에어 혼합부(401)로부터 물과 에어가 섞인 에어 혼합 물을 받아 제1 연장부(409)로 유출시킨다. 이러한 제1 확산부(407)는 에어 혼합 물을유입 받는 유입단(403)과 에어 혼합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단(40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단(403)의 폭이 유출단(405)보다 좁게 형성된다. 유출단(405)의 직경 역시 물과 에어 혼합부(401)가 배치되는 내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버블 발생부(402)에서 제1 확산부(407) 영역의 구조는 유입단(403)부터 유출단(405)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연장부(409)는 유출단(405)의 직경보다 크게(불연속적으로 크게) 형성되되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은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에어 혼합 물을 유동시킨다. 이러한 제1 연장부(409) 영역에 충돌블록(411)이 마련되기 때문에 에어 혼합 물은 제1 확산부(407)를 지나 제1 연장부(409)로 향하는 가운데 충돌블록(411)에 충돌된다.
부연하면, 제1 확산부(407)를 통과하는 에어 혼합 물은 제1 확산부(407)의 유로가 좁기 때문에 많은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직경이 큰, 다시 말해 폭이 넓어진 제1 연장부(409)에 도달되면 갑자기 압이 약해지면서 충돌블록(411)에 충돌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충돌블록(411)은 제1 연장부(409) 영역에 배치되어 에어 혼합 물이 충돌됨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충돌블록(411)에 부딪혀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은 제2 확산부(413) 및 제2 연장부(415)를 거쳐 배출된다. 이 경우, 제2 확산부(413) 및 제2 연장부(415)는 구성상 생략될 수도 있는 부분이기는 하나 제2 확산부(413) 및 제2 연장부(415)가 마련되면 보다 많은 마이크로 버블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제2 확산부(413)는 제1 확산부(407)의 구조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즉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해 제1 연장부(409)의 직경에서부터 출발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제2 연장부(415)는 제2 확산부(413)와 연결되어 미리 경정된 길이 구간은 제2 확산부(413)의 가장 큰 직경 그대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저수조 등의 물을 펌핑(pumping)해서 사용할 때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살균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110 : 메인관
111 : 제1 플랜지 120 : 서브관
121 : 제2 플랜지 130 : 경사형 에어 공급관
140 : 벤츄리관 141 : 제1 확관부
142 : 축관부 143 : 제2 확관부
144 : 면접합 플랜지 150 : 육상 펌프
160 : 컴프레서 180 : 컨트롤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형 에어 공급관;
    상기 메인관으로 물을 펌핑하는 육상 펌프;
    상기 경사형 에어 공급관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메인관 내에 마련되며 메인관 내로 공급되는 물과 에어를 혼합하는 물과 에어 혼합부;
    물이 유동되는 방향에 대하여 메인관 내에서 물과 에어 혼합부의 배후에 배치되되 충돌식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과 에어 혼합부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벽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벽체부;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수중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부는,
    물과 에어가 섞인 혼합물을 받는 유입단과 에어 혼합물을 유출시키는 유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단의 폭이 유출단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 확산부;
    상기 유출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설정 구간만큼은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면서 에어 혼합물을 유동시키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마련되어 에어 혼합물이 충돌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키는 충돌블록;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이 배출되며,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연장부의 직경에서부터 출발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커지는 제2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KR1020190178751A 2019-12-30 2019-12-30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KR10216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51A KR102160622B1 (ko) 2019-12-30 2019-12-30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51A KR102160622B1 (ko) 2019-12-30 2019-12-30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622B1 true KR102160622B1 (ko) 2020-09-28

Family

ID=7280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51A KR102160622B1 (ko) 2019-12-30 2019-12-30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6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277A (ko) 1998-10-29 2000-05-25 모리시타 요이찌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평가방법
KR100822354B1 (ko) * 2007-12-27 2008-04-16 유기철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4010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쿠보텍 마이크로 버블 제조장치
KR101170089B1 (ko) * 2011-12-06 2012-07-31 형성산업(주) 수도관의 직수를 이용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20150111718A (ko)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근옥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KR20160087996A (ko) 2015-01-15 2016-07-25 변동환 전자 기계식 클러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277A (ko) 1998-10-29 2000-05-25 모리시타 요이찌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평가방법
KR100822354B1 (ko) * 2007-12-27 2008-04-16 유기철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4010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쿠보텍 마이크로 버블 제조장치
KR101170089B1 (ko) * 2011-12-06 2012-07-31 형성산업(주) 수도관의 직수를 이용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20150111718A (ko)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근옥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KR20160087996A (ko) 2015-01-15 2016-07-25 변동환 전자 기계식 클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8637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6270402B2 (ja) 気体含有液生成装置および気体含有液噴射機構
KR102132815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2006289183A (ja) ナノバブル生成方法とその装置
WO2007013518A1 (ja) 水洗トイレ設備
KR102102811B1 (ko) 오존수 공급 시스템
JP2007289903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及び風呂システム
JP2009112964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944684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JP2019505380A (ja) 低エネルギーを使用するオゾン水処理システム
JP2008161822A (ja) 気体溶解器、及び微細気泡供給装置
JP2008284109A (ja) 微細気泡発生装置と微細気泡の発生方法
KR102160622B1 (ko) 에어 사이펀 압력장치
JP2007185576A (ja) ガス溶解装置およびガス溶解水生成装置
JP4686258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器
WO2017056323A1 (ja) 水中酸素溶解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中酸素溶解方法
KR101144705B1 (ko) 충돌식 미세 버블 발생 장치
JP2005246351A (ja) 水質浄化用微細気泡発生装置
JP2011083772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6067201B2 (ja) 微細気泡発生方法、および微細気泡発生装置等
JP2008149052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7330894A (ja) 活性汚泥処理装置
KR101699039B1 (ko) 살균수 제조장치
JP2006149437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9178702A (ja) 気液混合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