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74B1 -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74B1
KR102159474B1 KR1020200090224A KR20200090224A KR102159474B1 KR 102159474 B1 KR102159474 B1 KR 102159474B1 KR 1020200090224 A KR1020200090224 A KR 1020200090224A KR 20200090224 A KR20200090224 A KR 20200090224A KR 102159474 B1 KR102159474 B1 KR 10215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heating
sheet body
shee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중
Original Assignee
윤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중 filed Critical 윤일중
Priority to KR102020009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8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원의 재활용을 위하여 폐비데기의 히팅시트에 내장된 열선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는 시트 본체(10)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어(100)와, 상기 하부컨베어와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트 본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컨베어(200)와, 상기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를 상하로 수평 절단하는 띠톱(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overing resin and heating wire in heating sheet of the bid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원의 재활용을 위하여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기(Bidet)는 국부로 세척수를 분출시켜 용변후 국부를 세척해 주는 장치로서, 화장실 문화의 발달로 인해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비데기는 좌변기에 거치되는 착좌용 시트를 비롯하여 세정노즐과 건조용 송풍기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동절기에도 따뜻한 시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히팅시트가 적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데기 및 비데기를 구성하는 히팅시트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시트(1)는 열융착을 통해 결합되는 상판(11)과 하판(12)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의 시트 본체(10)와, 상기 하판(12)에 내측 표면에 본딩된 알루미늄 호일(13)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13)의 상부에 고정된 열선(1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선(14)에 전원을 인가하면, 열선(14)이 발열되면서 시트 본체(10)가 적정온도로 가열되므로 동절기에도 항시 따뜻한 시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13)은 열선(14)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계 및 자계의 누출을 막아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한편, 이러한 비데기는 장기간 사용 후 수명이 다하게 되면 폐기 처리되는데, 이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 본체(10)는 파쇄하여 수지(resin) 소재로 재활용된다.
히팅시트(1)의 경우에는 시트 본체(10)로부터 열선(14)과 알루미늄 호일(13)을 제거한 후 시트 본체(10)와 열선(14)을 각각 재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시트 본체(10)로부터 열선(14)과 알루미늄 호일(13)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열융착된 상판(11)과 하판(12)을 분리한 다음 하판(12) 내부에 부착된 알루미늄 호일(13)을 분리하고 알루미늄 호일(13)에 고정된 열선(14)을 떼어 내야 하는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작업성도 매우 불량하다.
특히, 열융착된 상판(11)과 하판(12)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판(11)과 하판(12)의 가장자리 접합 부분만 분리되고 안쪽 접합부분은 분리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분리되지 않은 안쪽 접합부분을 작업자가 일일이 헤머로 타격하여 수작업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바, 작업시간이 크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 매우 힘들며, 타격시 비산되는 파편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크다.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호일(13)이 박판이고 강도가 약해 쉽게 찢어지는 경향이 있어 하판(12)에 본딩된 알루미늄 호일(13)을 하판(12)으로부터 떼어내기가 매우 까다롭다.
만일, 알루미늄 호일(13)이 시트 본체(10)에 잔존하게 되면 시트 본체(10)의 재활용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8218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본체로부터 수지 및 열선을 신속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는 시트 본체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어와, 상기 하부컨베어와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트본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컨베어와, 상기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본체를 상하로 수평 절단하는 띠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컨베어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체인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진 탑 체인 컨베어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인 세그먼트에는 시트본체의 후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함몰시켜 시트본체가 수평 상태로 탑 체인 컨베어 밸트에 거치되도록 하는 지그홀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그홀들은 시트본체가 띠톱의 톱날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되도록 전후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인 세그먼트에는 시트 본체가 띠톱의 톱날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유동방지블럭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컨베어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승강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컨베어의 후방에는 시트본체로부터 분리된 하판을 가열하는 하판 가열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판 가열유닛은 철망 컨베어벨트를 구비한 하판이송컨베어와, 상기 하판이송컨베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판을 열풍으로 가열하는 오븐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방법은 시트 본체가 하부컨베어에 올려져 후방으로 이동하는 하부컨베어 투입공정과, 상기 하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의 상부가 상부컨베어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컨베어 투입공정과, 상기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 사이에서 시트 본체가 띠톱에 의하여 상하로 수평 절단되는 절단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 이후에는 절단된 시트 본체의 하판을 가열하여 하판 내부에 접착된 알루미늄 호일 및 열선을 분리시키는 히팅공정을 더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띠톱에 의해 시트 본체가 상판과 하판으로 수평 절단되도록 구성되므로 시트 본체의 수지 및 열선을 쉽고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판가열유닛을 구비한 경우, 절단된 시트 본체의 하판을 가열하여 알루미늄 호일을 하판에 부착시키고 있던 열 가소성 접착제를 연성화시킴으로써 알루미늄 호일과 열선을 하판으로부터 보다 쉽고 빠르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데기 및 비데기를 구성하는 히팅시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컨베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컨베어의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판가열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대로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컨베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컨베어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판가열유닛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는 하부컨베어(100)와 상부컨베어(200)와 띠톱(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컨베어(100)는 재활용 대상이 되는 폐비데기의 시트 본체(10)를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작업자 또는 시트 본체 투입 로봇은 상기 하부컨베어(100)의 전방으로 시트 본체(10)를 하나씩 투입시킨다.
상기 하부컨베어(100)로 투입된 시트 본체(10)는 하부컨베어(10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상부컨베어(200)는 하부컨베어(100)와 대면하도록 하부컨베어(1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어(10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트 본체(10)의 상부를 지지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컨베어(200)어와 하부컨베어(100)는 서로 간에 속도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동작된다.
이 경우, 동력전달 밸트(101)나 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컨베어(100)의 회전축과 상부컨베어(200)의 회전축을 연결하고 하부컨베어(100)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하여 상부컨베어(200)가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 본체(10)는 상하방향으로 유동됨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띠톱(300)은 하부컨베어(100)와 상부컨베어(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10)를 상하로 수평 절단한다.
상기 띠톱(300)의 수평 절단 높이는 시트본체(10)의 하판(12)에 부착된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을 절단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띠톱(300)은 띠 모양의 톱날(3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대상물을 절단하는 통상의 밴드 쏘 머신(Band Sawing Machine)으로서, 하부컨베어(100)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 구동휠(310)과 종동휠(320), 상기 구동휠(310)과 종동휠(320)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져 상기 하부컨베어(100)와 상부컨베어(200)의 사이를 좌우방향으로 횡단하는 톱날(330) 및 상기의 구동휠(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0)로 구성된다.
한편, 시트 본체(10)의 후단에는 시트 본체(10)를 비데기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의 힌지부(15)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 본체(10)는 하부컨베어(100)에 수평상태로 놓이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 본체(10)가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면 띠톱(300)이 시트 본체(10)를 상판(11)과 하판(12)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컨베어(100)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체인 세그먼트(110)들로 이루어진 탑 체인 컨베어 벨트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체인 세그먼트(110)에는 상기 시트 본체(10)의 돌출된 힌지부(15)가 삽입되는 지그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지그홀(120)은 힌지부(15)에 대응되게 체인 세그먼트(1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그홀(120)로 힌지부(15)가 삽입되므로 상기 시트 본체(10)는 체인 세그먼트(11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지그홀(120)들은 전후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지그홀(120)들이 전후로 엇갈리게 형성되면, 상기 시트 본체(10)가 띠톱(300)날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되게 되면서 절단 초기에 톱날(330)과 시트 본체(10)와의 접촉구간이 짧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톱날(330)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하면서 적은 힘으로도 상기 시트 본체(10)를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시트 본체(10)의 절단시 시트 본체(10)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이 최소화되면서 상기 시트 본체(10)의 유동이 최소화되며 정밀한 절단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지그홀(120)이 형성된 체인 세그먼트(110)에는 시트 본체(10)가 띠톱(300)의 톱날(330)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유동하거나 하부컨베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유동방지블럭(14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블럭(140)은 시트 본체(10)를 기준으로 톱날(330)의 진행 방향측에 고정되어 시트 본체(10)의 측면을 지지해 준다.
아울러, 상기 하부컨베어(100)는 하부컨베어(100)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승강유닛(15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승강유닛(150)을 이용하여 상기 띠톱(300)의 톱날(330)의 높이를 시트본체(10)의 하판(12)에 부착된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을 절단하지 않는 적절한 높이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유닛(150)이 하부컨베어(10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실린더 부재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볼스크류나 엘엠가이드와 같은 직선이동부재라면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부컨베어(100)의 후방에는 시트 본체(10)로부터 분리된 하판(12)을 가열하는 하판 가열유닛(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판 가열유닛(400)은 하판(12)을 이송하는 하판이송컨베어(410)와 상기 하판이송컨베어(410)를 따라 일정구간에 걸쳐 설치된 오븐(4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이송컨베어(410)는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철망 컨베어벨트(411)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오븐(420)은 하판이송컨베어(410)를 따라 이동하는 하판(12)이 통과하도록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출입구(421)와, 상기 오븐(420) 내부를 통과하는 하판(12)에 열풍을 제공하는 히터(422) 및 송풍기(423)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하판(12)이 오븐(420)을 통과하게 되면 일정온도로 가열되며,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호일(13)을 하판(12)에 부착시키고 있던 열 가소성 접착제(16)가 연성화되면서 접착력이 약화된다.
이때, 상기 오븐(420)의 내부 온도는 열가소성 접착제(16)가 취급이 용이하도록 연성화되는 280℃ 내지 33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를 이용하면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14)을 쉽고 빠르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대로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14)을 회수한다.
먼저, 하부컨베어(100)로 시트 본체(10)가 하나씩 투입된다.(S1)
이때 시트 본체(10)는 후단 양측에 돌출된 힌지부(15)가 지그홀(120)에 삽입됨과 동시에 시트 본체(10)의 측면이 유동방지블럭(140)에 밀착되어 하판(12)이 상부를 향하는 수평상태로 체인 세그먼트(110) 상에 거치된다.
이때, 상기 지그홀(120)들이 전후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 본체(10)는 띠톱(300)날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거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 본체(10)는 지그홀(120)과 유동방지블럭(140)을 통해 항상 일정한 자세로 체인 세그먼트(110)에 거치되어 하부컨베어(10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부컨베어(10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10)는 상부컨베어(200)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부컨베어(200)에 의해 상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S2)
상기 상부컨베어(200)는 하부컨베어(100)와 동일속도로 구동되므로 상기 시트 본체(10)는 유동되지 않고 거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본체(10)는 하부컨베어(100)와 상부컨베어(200) 사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띠톱(300)에 의해 상판(11)과 하판(12)으로 수평 절단된다.(S3)
이때, 상기 시트 본체(10)는 띠톱(300)날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시 톱날(330)과 시트 본체(10)의 접촉구간은 짧아지면서 톱날(330)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띠톱(300)날은 적은 힘으로도 시트 본체(10)를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며, 시트 본체(10)에 전달되는 충격도 최소화되므로 시트 본체(10)의 절단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부컨베어(200)가 시트 본체(10)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고 이탈방지블럭(130)이 시트본체(10)의 측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과정에서 시트 본체(10)가 하부컨베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전한 절단이 보장된다.
한편, 상판(11)과 하판(12)으로 절단된 시트본체(10)는 하부컨베어(100)의 후단으로 배출된다.
이중, 상판(11)은 파쇄공정을 거쳐 수지를 회수함으로써 재활용이 이루어지지게 되는 반면, 열선(14)이 부착된 하판(12)은 내부에 접착된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을 분리시키는 공정을 더 거치게 된다.(S4)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을 분리시키는 공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하부컨베어(100)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하판(12)이 하판 가열유닛(400)으로 투입된다.
하판가열유닛(400)으로 투입된 하판(12)은 철망 컨베어벨트(411)를 따라 오븐(420)을 통과하게 되며, 오븐(4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븐(420)으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오븐(420)의 온도는 상기 하판(12)을 280℃ 내지 330℃로 가열하도록 설정된다.
만일 하판(12)의 온도가 280℃ 미만이 되면 알루미늄 호일(13)을 하판(12)에 부착시키고 있던 열 가소성 접착제(16)가 미처 연성화되지 않아 접착력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하판(12)의 온도가 330℃ 를 초과하게 되면 하판(12)과 열선(14)이 용융되기 때문이다.
상기 하판(12)이 하판 가열유닛(400)을 통과하면, 열 가소성 접착제(16)가 연성화되어 접착력이 약화된 상태이므로 상기 알루미늄 호일(13)은 하판(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 호일(13)을 하판(1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호일(13)에 고정된 열선(14)도 알루미늄 호일(13)과 함께 하판(12)으로부터 분리되며,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이 분리된 하판(12)은 상판(11)과 함께 파쇄공정으로 이동하여 수지로 회수됨으로써 재활용이 이루어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 본체(10)가 하부컨베어(100)와 상부컨베어(200)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띠톱(300)에 의해 상판(11)과 하판(12)으로 수평 절단되므로 시트 본체(10)의 수지 및 내부에 구비된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을 쉽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단된 시트 본체(10)의 하판(12)을 하판가열유닛(400)으로 투입할 경우, 알루미늄 호일(13)을 하판(12)에 부착시키고 있던 열 가소성 접착제(16)가 연성화되므로 알루미늄 호일(13)과 열선(14)을 보다 쉽고 빠르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하부컨베어 110...체인 세그먼트
120...지그홀 140...유동방지블럭
150...승강유닛 200...상부컨베어
300...띠톱 330...톱날
400...하판 가열유닛 410...하판이송컨베어
411...철망 컨베어벨트 420...오븐

Claims (8)

  1. 시트 본체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어;
    상기 하부컨베어와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트 본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컨베어; 및
    상기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를 상하로 수평 절단하는 띠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컨베어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체인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진 탑 체인 컨베어 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체인 세그먼트에는 시트 본체의 후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함몰시켜 시트 본체가 수평 상태로 탑 체인 컨베어 밸트에 거치되도록 하는 지그홀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홀들은 시트 본체가 상기 띠톱의 톱날에 대하여 경사지게 거치되도록 전후로 엇갈리게 형성된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세그먼트에는 시트 본체가 띠톱의 톱날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유동방지블럭이 고정된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컨베어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승강유닛을 더 구비하는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6. 시트 본체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컨베어;
    상기 하부컨베어와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시트 본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컨베어; 및
    상기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를 상하로 수평 절단하는 띠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컨베어의 후방에는 시트 본체로부터 분리된 하판을 가열하는 하판 가열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판 가열유닛은 철망 컨베어벨트를 구비한 하판이송컨베어와, 상기 하판이송컨베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판을 열풍으로 가열하는 오븐을 구비한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7. 시트 본체가 하부컨베어에 올려져 후방으로 이동하는 하부컨베어 투입공정;
    상기 하부컨베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시트 본체의 상부가 상부컨베어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컨베어 투입공정;
    상기 하부컨베어와 상부컨베어 사이에서 시트 본체가 띠톱에 의하여 상하로 수평 절단되는 절단공정; 및
    절단된 시트 본체의 하판을 가열하여 하판 내부에 접착된 알루미늄 호일 및 열선을 분리시키는 히팅공정을 포함하는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방법.
  8. 삭제
KR1020200090224A 2020-07-21 2020-07-21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215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24A KR102159474B1 (ko) 2020-07-21 2020-07-21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24A KR102159474B1 (ko) 2020-07-21 2020-07-21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474B1 true KR102159474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24A KR102159474B1 (ko) 2020-07-21 2020-07-21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5008A (zh) * 2021-04-07 2021-06-04 陈曦 一种多孔弹性工业海绵制造加工模切机及模切方法
KR102466720B1 (ko) * 2021-10-28 2022-11-16 삼보계량시스템(주) 톱날 방식의 비데용 시트 절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6344A1 (en) * 1998-10-20 2003-02-20 Marel Hf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bjects
US7524241B2 (en) * 2001-10-11 2009-04-28 Equimex Holdings, B.V.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meat
KR101245882B1 (ko) * 2010-11-12 2013-03-20 김수권 육류 수평 절단장치
KR101882180B1 (ko) 2016-12-28 2018-07-27 (주)산수유케미컬 변기 히트시트 재활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6344A1 (en) * 1998-10-20 2003-02-20 Marel Hf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bjects
US7524241B2 (en) * 2001-10-11 2009-04-28 Equimex Holdings, B.V.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meat
KR101245882B1 (ko) * 2010-11-12 2013-03-20 김수권 육류 수평 절단장치
KR101882180B1 (ko) 2016-12-28 2018-07-27 (주)산수유케미컬 변기 히트시트 재활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5008A (zh) * 2021-04-07 2021-06-04 陈曦 一种多孔弹性工业海绵制造加工模切机及模切方法
CN112895008B (zh) * 2021-04-07 2022-06-07 山东球牌化妆用品有限公司 一种多孔弹性工业海绵制造加工模切机及模切方法
KR102466720B1 (ko) * 2021-10-28 2022-11-16 삼보계량시스템(주) 톱날 방식의 비데용 시트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474B1 (ko) 비데기의 히팅시트의 수지 및 열선 회수 장치 및 방법
CZ287866B6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lease of building or vehicle window pane
JP2008238682A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
JP2008238681A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耳屑回収装置
US46800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sealing
EP0066219B1 (en) A sheet breaking apparatus
CN1906116B (zh) 乘客运送装置的移动扶手修理装置和移动扶手修理方法
JP5395965B2 (ja) シート材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SK5612001A3 (en) Method for treating and recycling tyres in particular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US201901263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components with friction pins
JP7473621B2 (ja) 分離装置
CN106466960A (zh) 一种剥铝机
JP5052901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補修装置
EP3062988B1 (en) Procedure for stripping a film from plastic profiled elements and corresponding machine
CN212383899U (zh) 一种提高生产效率的硅胶制品用自动拆边机
KR102647102B1 (ko) 폐타이어용 피할 장치
JP2009111056A (ja) シート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CN210999129U (zh) 一种家具生产用木板切割清理装置
JP3777056B2 (ja) 自動送り込み装置
CN211250407U (zh) 一种实木音响加工用原料裁切装置
JP5087978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取替方法
KR102539491B1 (ko)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RU2322346C1 (ru) Способ разреза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изделий кольцевой формы
JP2913340B2 (ja) ベニヤ単板の横矧方法及び装置
JPH1191566A (ja) 接着された床材の剥離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