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728B1 -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 Google Patents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728B1
KR102158728B1 KR1020180144695A KR20180144695A KR102158728B1 KR 102158728 B1 KR102158728 B1 KR 102158728B1 KR 1020180144695 A KR1020180144695 A KR 1020180144695A KR 20180144695 A KR20180144695 A KR 20180144695A KR 102158728 B1 KR102158728 B1 KR 10215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rame
waste
hole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677A (ko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노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옥 filed Critical 노희옥
Priority to KR102018014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7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4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 B42F13/40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with pu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의 천공 시 발생되는 폐기칩을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주고, 폐기칩이 쌓이는 수거함의 배출 시기를 알림과 함께 분진 제거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인쇄물이 적층되는 테이블이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이 구비된 천공부재와, 천공부재에 설치되어 천공부재의 천공 시 생성되는 폐기칩을 드릴의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폐기칩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부재 및 천공부재 및 배출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제본천공기에 있어서, 배출부재에 설치되어 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폐기칩을 이송하는 튜브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승강부재에 의해 천공부재 및 배출부재 하강 시 튜브가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에서 배출되는 폐기칩을 수거함으로 이송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관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관통구멍을 통해 경질의 고정관 내부로 빛을 내보내는 반사형 광센서를 포함하며, 폐기칩이 수거함에서부터 경질의 고정관의 관통구멍까지 쌓이면, 반사형 광센서는 폐기칩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Waste chip transfer and charge alarm device for bookbinding and bor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본천공기의 천공 시 발생되는 폐기칩을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주고, 폐기칩이 쌓이는 수거함의 배출 시기를 알림과 함께 부착된 분진 제거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본천공기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 또는 서류 등과 같은 지편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일정 길이로 절단 공급되는 몰딩튜브를 삽입하면서 그 양단을 성형하여 하나로 묶어 제본하는 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베이스 판의 상부로 드릴을 구비한 천공모터와 프레스 암이 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승, 하강 모터의 승, 하강 작동시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기 및 제본천공기의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공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스 암의 몸체 전방으로 돌출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 하로 드릴이 이송관통하는 이송통로와 상기 이송통로의 전후로 배출통로(54b)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통로의 전방에는 송풍팬을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의 전방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연통공이 구비된 중앙 수직면과 상기 중앙 수직면 상부로 연장형성된 상부 연장부로 이루어진 커버 브라켓을 장착하여, 상기 드릴의 천공작업시 생성되는 연동칩을 후방으로 불어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및 제본천공기의 천공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 배출되는 연동칩이 수거통으로 용이하게 이송되기 어려웠었고, 연동칩이 쌓이는 수거통의 배출 시기를 알려주는 구성이 없어 적정 시기에 수거통을 비우기가 어려웠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연동칩을 수거통으로 이송시켜주는 이송관에 투과형 광센서를 설치하여, 연동칩이 쌓이는 수거통의 배출 시기를 알려주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정확한 감지를 위해 투과형 광센서에 포함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을 수광소자에서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송관의 양쪽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연동칩이 수거통에 쌓이면서 발생된 분진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부착될 경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부착된 분진을 각각 제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문헌1 : 등록실용신안 제20-0451962호(2011.01.17.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의 천공 시 발생되는 폐기칩을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주고, 폐기칩이 쌓이는 수거함의 배출 시기를 알림과 함께 부착된 분진 제거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인쇄물이 적층되는 테이블이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이 구비된 천공부재와, 천공부재에 설치되어 천공부재의 천공 시 생성되는 폐기칩을 드릴의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폐기칩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부재 및 천공부재 및 배출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제본천공기에 있어서, 배출부재에 설치되어 배출부재에서 배출되는 폐기칩을 이송하는 튜브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승강부재에 의해 천공부재 및 배출부재 하강 시 튜브가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에서 배출되는 폐기칩을 수거함으로 이송하며,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관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관통구멍을 통해 경질의 고정관 내부로 빛을 내보내는 반사형 광센서를 포함하며, 폐기칩이 수거함에서부터 경질의 고정관의 관통구멍까지 쌓이면, 반사형 광센서는 폐기칩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본천공기의 천공 시 천공부재 및 배출부재와 함께 튜브가 하강하면서 고정관에 삽입되어, 폐기칩을 수거하는 수거함에 가까워지는 효과가 있다.
즉, 제본천공기의 천공 시 발생되는 폐기칩이 신속하게 수거함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폐기칩을 수거함으로 용이하게 이송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연한 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승강하는 튜브가 경질의 고정관의 내면에 걸리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변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연한 튜브가 승강하는 배출부재에 설치되고 경질의 고정관이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에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하는 튜브와 고정된 고정관의 걸림 및 마찰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즉, 튜브와 고정관이 서로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폐기칩이 수거함에서부터 고정관의 관통구멍까지 쌓일 경우, 반사형 광센서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
즉, 폐기칩이 쌓이는 수거함의 배출 시기를 알림으로써, 적정 시기에 수거함을 비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관에 폐기칩이 너무 많이 쌓여서 끼워지는 현상을 막아서, 수거함을 통한 폐기칩의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통구멍이 수거함에 근접한 고정관의 한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형 광센서의 감지가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폐기칩이 쌓이는 수거함의 배출 시기를 더 빨리 알려주면서, 고정관에 폐기칩이 너무 많이 쌓여서 끼워지는 현상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반사형 광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관에 관통구멍이 하나만 필요한 효과가 있다.
즉, 고정관에 대한 관통구멍 형성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반사형 광센서에 부착된 분진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분진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통구멍의 주변으로 그물망 또는 투명 비닐 또는 투명 PC판 또는 투명 아크릴판이 설치되어 분진 및 폐기칩이 고정관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제본천공기의 내부 청소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이 반사형 광센서에 부착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 또는 투명 비닐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투명 PC판 또는 투명 아크릴판이 내충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막아서, 반사형 광센서의 감지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 또는 투명 비닐 또는 투명 PC판 또는 투명 아크릴판을 통해 고정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가 제본천공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설치 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1 및 도 2의 상세도 및 사용상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가 설치된 제본천공기(1000)는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인쇄물(1)이 적층되는 테이블(201)이 구비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승강부재(210)와, 상기 승강부재(21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221)이 구비된 천공부재(2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재(220)는 드릴(221) 및 랙기어가 구비된 천공모터(222)와, 상기 드릴(22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구비된 프레스암(223)이 포함되며, 테이블(201)에는 상기 드릴(22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각종 공구나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며, 테이블(201)은 상기 베이스판 및 하부몸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210)는 천공모터(222)와 프레스암(223)이 승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구멍이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천공모터(222)가 승강하도록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구비된 승강모터와, 상기 천공모터(222) 및 프레스암(223) 및 프레임(200)의 베이스판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천공부재(220)에 설치되어 상기 천공부재(220)의 천공 시 생성되는 폐기칩(2)을 드릴(221)의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2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230)는 드릴(221)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폐기칩(2)을 상기 드릴(221)의 내부로 흡입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팬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배출부재(230)에서 배출되는 폐기칩(2)을 수거하는 수거함(24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수거함(240)은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슬라이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 몰딩튜브(3)를 절단하는 몰딩튜브 절단부재(26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260)는 몰딩튜브(3)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2삽입관과, 상기 제1삽입관에 삽입된 몰딩튜브(3)를 제2삽입관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된 이송모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260)는 천공모터(222)와 같이 승강하도록 샤프트의 가이드구멍을 통해 상기 천공모터(222)와 연결된 이동봉과, 승강하는 상기 이동봉에 당김 및 당김 해제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한쪽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전,후진하여 제2삽입관에 삽입된 몰딩튜브(3)를 절단하는 칼날(261)과, 상기 회전부의 반대편 한쪽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가 이동봉에 당김 해제될 때 상기 회전부를 당겨서 회전시켜주는 당김스프링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천공모터(222)와 연결된 이동봉은 상기 천공모터(222)가 하강하면 샤프트의 가이드구멍을 통해 같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상기 이동봉에 당김 해제되는 회전부는 당김스프링의 당김에 의해 회전되어 칼날(261)을 전진시키게 되며,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전진하는 칼날(261)은 제2삽입관을 열어서 몰딩튜브(3)를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천공모터(222)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드릴(221)의 천공 작업 완료 후 상기 천공모터(222)가 상승하면 상기 천공모터(222)와 연결된 이동봉도 같이 상승하게 되고, 회전부는 상승하는 상기 이동봉에 다시 당김되어 칼날(261)을 후진시키게 되며, 후진하는 상기 칼날(261)은 몰딩튜브(3)를 절단하면서 제2삽입관을 닫는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260)는 프레스암(223)과 같이 승강하도록 와이어로 연결된 이동봉과, 상기 이동봉에 연결되어 칼날(261)에 절단되도록 제2삽입관에서 하강하는 몰딩튜브(3)를 지지하며 빠짐구멍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설치되면서 지지판에 연결되어 이동봉을 원상태로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절단된 몰딩튜브(3)를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에 삽입하여 가열 성형하는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제1기어가 구비된 감속모터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가 구비된 캠축과, 상기 캠축에 설치되며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된 중심캠(271)과, 상기 캠축에 설치되며 승강 안내로가 형성된 드럼캠(27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드럼캠(272)의 상부면에는 경사돌기가 형성되며, 제1,2기어는 평기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중심캠(271)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고 끼움홈에 끼워지는 작동자와, 상기 작동자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연결대로 회전바의 한쪽이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작동샤프트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회전바는 작동샤프트와 같이 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작동샤프트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작동샤프트의 회전바 반대편 한쪽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작동샤프트의 회전바 반대편 한쪽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풀리와, 상기 샤프트에 한쪽이 승강되고 반대편 한쪽에 승강 안내로에 승강 안내되는 작동롤러가 구비된 회전바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회전바의 한쪽은 승강 안내로에 작동롤러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풀리와 같이 회전되게 연결봉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바의 반대편 한쪽에는 작동롤러 승강 시 드럼캠(272) 주변에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승강 안내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회전바의 반대편 한쪽에 설치되며 칼날(261)에 절단된 몰딩튜브(3)가 끼워지는 가이드핀(273)이 구비된 하부 히터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273)은 지지판의 빠짐구멍을 관통하며, 몰딩튜브(3)로 제본작업 시 상기 빠짐구멍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273)은 테이블(201)의 관통구멍 및, 드릴(221)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작동샤프트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회전바와, 상기 제1회전바에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200)의 베이스판의 가이드구멍에서 전,후진하는 가림판과, 상기 작동샤프트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바와, 상기 제2회전바에 한쪽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반대편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가림판과 반대 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가이드부재(274)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2회전바는 회전바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작동샤프트에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가이드구멍은 가림판 후진 후 가이드핀(273)에 관통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가이드부재(274)에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74) 전,후진 시 프레스암(223)의 관통구멍과 통하는 가이드구멍을 따라 전,후진하는 상부 히터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 히터부는 프레스암(223)과 함께 승강하며, 가이드핀(273)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천공 및 제본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프레스암(223)을 고정해주는 프레스암 고정부재(28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280)는 프레임(200)의 베이스판의 브라켓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프레스암(223)에 설치된 스톱봉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된 고정바(28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280)는 프레임(200)의 베이스판과 고정바(281)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바(281)에 걸리는 걸림머리 구비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에 설치되어 프레임(200)의 베이스판과 고정바(281) 사이에 위치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작동봉과 프레임(200)의 베이스판의 브라켓 사이로 상기 프레임(200)의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지지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은 고정바(281)를 프레임(200)의 베이스판의 브라켓에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밀게 되며, 지지대는 상기 고정바(281)가 프레임(200)의 베이스판의 브라켓에서 수평되게 회전된 상태가 될 때 상기 고정바(28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암 고정부재(280)는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한쪽이 작동봉에 연결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반대편 한쪽에 설치되어 드럼캠(272)의 상부면에 수평 안내되다가 경사돌기에 상승 안내되는 작동롤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작동봉은 작동롤러에 의해 회전바가 회전하면서 프레임(200)의 베이스판과 고정바(281)에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200)의 상부몸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210) 및 천공부재(220) 및 배출부재(230) 및 몰딩튜브 절단부재(260) 및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는 버튼 누름식 또는 화면 터치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는 배출부재(230)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폐기칩(2)을 이송하는 투명하고 유연한 튜브(1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는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설치되며, 승강부재(210)에 의해 천공부재(220) 및 배출부재(230) 하강 시 튜브(110)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튜브(110)에서 배출되는 폐기칩(2)을 수거함(240)으로 이송하며, 관통구멍(121)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관(12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멍(121)은 수거함(240)에 근접한 고정관(120)의 한쪽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120)은 불투명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는 프레임(200)의 하부몸체에 설치되어 관통구멍(121)을 통해 경질의 고정관(120) 내부로 빛을 내보내는 반사형 광센서(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형 광센서(130)는 센서 감도가 조절이 되고,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등이 포함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은 폐기칩(2)에 닿아서 반사되어 수광소자에서 감지하게 되고, 상기 수광소자에서는 빛의 감지에 의해 감지신호를 제어부(250)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형 광센서(130)는 제어부(250)의 PWM 제어방식에 의해 제어되어 빛을 내보내게 되며, 수거함(240)에 폐기칩(2)이 쌓이면서 발생된 분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감지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250)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사형 광센서(130)는 빛의 감지로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상기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의 고정관(120)에는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그물망(121a) 또는 투명 비닐(121b)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120)에는 그물망(121a) 또는 투명 비닐(121b)을 대신하여,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투명 PC(polycarbonate)판(121c) 또는 투명 아크릴판(121d)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가 설치된 제본천공기(1000)는 프레임(200)의 테이블(201) 위로 다수의 인쇄물(1)을 적층시킨 후, 제어부(250)로 승강부재(210)를 구동시켜 천공부재(220)를 하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재(220)와 함께 배출부재(230) 및 튜브(110)도 하강하게 되며, 상기 튜브(110)는 경질의 고정관(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천공부재(220)의 드릴(221)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재(220)의 천공에 의해 생성된 폐기칩(2)은 제어부(250)에 제어된 배출부재(230)를 통해, 드릴(221)의 내부로 흡입되면서 튜브(110)를 향해 배출된다.
그러면, 상기 폐기칩(2)은 순차적으로 튜브(110) 및 경질의 고정관(1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수거함(240)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형 광센서(1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관통구멍(121)을 통해서 빛을 내보내게 되고, 하강하는 폐기칩(2)에 반사된 빛을 상기 관통구멍(121)을 통해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형 광센서(130)는 빛의 감지를 통해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상기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감지신호를 통해 얻어진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분석하게 되고, 상기 분석을 통해 폐기칩(2)이 수거함(240)으로 이동한 것을 표시 및 소리로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칩(2)이 수거함(240)에서부터 경질의 고정관(120)의 관통구멍(121)까지 쌓이면, 반사형 광센서(130)는 상기 폐기칩(2)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2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멍(121)은 수거함(240)에 근접한 고정관(120)의 한쪽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폐기칩(2)이 상기 수거함(240)에 넘치게 쌓이게 되면 고정관(120)의 관통구멍(121)에 금방 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50)는 감지신호를 통해 얻어진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분석하게 되고, 상기 분석을 통해 폐기칩(2)이 수거함(240)에 만충 되었다는 것을 표시 및 소리로 알리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천공부재(220)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천공부재(220) 및 배출부재(230) 및 튜브(110)는 제어부(250)의 제어로 승강부재(210)에 의해 상승하게 되지만, 상기 천공부재(220)의 프레스암(223)은 프레스암 고정부재(280)에 의해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로 몰딩튜브 절단부재(260)가 구동되면서, 몰딩튜브(3)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을 제본할 만큼의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해준다.
여기서, 상기 몰딩튜브 절단부재(260)는 몰딩튜브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원상 복귀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로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가 구동되며, 몰딩튜브(3)는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의 구멍에 삽입되면서 가열 성형되어 적층된 다수의 상기 인쇄물(1)을 묶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는 몰딩튜브 제본 작업이 완료되면 원상 복귀된다.
또한, 상기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270)가 원상 복귀 되면서 연동된 프레스암 고정부재(280)도 원상 복귀 되고, 동시에 천공부재(220)의 프레스암(223)은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대한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제본천공기(1000)의 천공 및 제본 작업을 반복하여, 다수의 인쇄물(1)을 800매 이하로 이루어진 책 형태로 만들게 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100)는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그물망(121a)이 설치되면, 반사형 광센서(130)는 상기 관통구멍(121) 및 그물망(121a)을 통과한 폐기칩(2)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2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투명 비닐(121b)이 설치되면, 반사형 광센서(130)는 상기 관통구멍(121)을 통과하고 투명 비닐(121b)을 투과한 폐기칩(2)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2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투명 PC판(121c) 또는 투명 아크릴판(121d)이 설치되면, 반사형 광센서(130)는 상기 관통구멍(121)을 통과하고 투명 PC판(121c) 또는 투명 아크릴판(121d)을 투과한 폐기칩(2)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2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거함(240)에 폐기칩(2)이 쌓이면서 발생된 분진과, 폐기칩은 그물망(121a) 또는 투명 비닐(121b) 또는 투명 PC판(121c) 또는 투명 아크릴판(121d)에 의해 고정관(120)의 외부로 빠쪄나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감지신호를 통해 얻어진 감지되는 시간 및 빛의 양 등을 분석하게 되고, 상기 분석을 통해 폐기칩(2)이 수거함(240)에 만충 되었다는 것을 표시 및 소리로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인쇄물 2 : 폐기칩
100 :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110 : 튜브
120 : 고정관 121 : 관통구멍
121a : 그물망 121b : 투명 비닐
121c : 투명 PC판 121d : 투명 아크릴판
130 : 반사형 광센서 200 : 프레임
201 : 테이블 210 : 승강부재
220 : 천공부재 221 : 드릴
230 : 배출부재 240 : 수거함
250 : 제어부 260 : 몰딩튜브 절단부재
270 : 몰딩튜브 이송 및 성형부재 280 : 프레스암 고정부재
1000 : 제본천공기

Claims (4)

  1. 지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인쇄물(1)이 적층되는 테이블(201)이 구비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승강부재(210)와, 상기 승강부재(21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적층된 다수의 인쇄물(1)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221)이 구비된 천공부재(220)와, 상기 천공부재(220)에 설치되어 상기 천공부재(220)의 천공 시 생성되는 폐기칩(2)을 드릴(221)의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230)와,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배출부재(230)에서 배출되는 폐기칩(2)을 수거하는 수거함(240)과,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승강부재(210) 및 천공부재(220) 및 배출부재(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 제본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23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재(230)에서 배출되는 폐기칩(2)을 이송하는 튜브(110)와,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승강부재(210)에 의해 천공부재(220) 및 배출부재(230) 하강 시 튜브(110)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튜브(110)에서 배출되는 폐기칩(2)을 수거함(240)으로 이송하며, 관통구멍(121)이 형성된 경질의 고정관(120)과,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관통구멍(121)을 통해 경질의 고정관(120) 내부로 빛을 내보내는 반사형 광센서(130)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칩(2)이 수거함(240)에서부터 경질의 고정관(120)의 관통구멍(121)까지 쌓이면, 반사형 광센서(130)는 상기 폐기칩(2)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2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1)은 수거함(240)에 근접한 고정관(120)의 한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20)에는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그물망(121a) 또는 투명 비닐(121b)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20)에는 관통구멍(121)의 주변으로 투명 PC(polycarbonate)판(121c) 또는 투명 아크릴판(121d)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1020180144695A 2018-11-21 2018-11-21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10215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95A KR102158728B1 (ko) 2018-11-21 2018-11-21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95A KR102158728B1 (ko) 2018-11-21 2018-11-21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77A KR20200059677A (ko) 2020-05-29
KR102158728B1 true KR102158728B1 (ko) 2020-09-22

Family

ID=7091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695A KR102158728B1 (ko) 2018-11-21 2018-11-21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047A (ko) * 2021-10-12 2023-04-1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6049A (zh) * 2020-12-22 2021-05-11 广西柳州百草堂中药饮片厂有限责任公司 一种中药切片机
CN113369975B (zh) * 2021-07-02 2022-11-29 济南铸锻所检验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机床自动排屑系统
KR102415034B1 (ko) * 2021-10-01 2022-06-29 임규창 작업테이블
KR102619387B1 (ko) * 2021-11-19 2023-12-28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몰딩튜브 공급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562Y1 (ko) * 2001-12-17 2002-04-03 김학범 펀칭기의 찌꺼기 배출장치
JP4223521B2 (ja) * 2006-06-22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ンチ処理装置
JP5354826B1 (ja) * 2012-11-02 2013-11-27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板材平面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62Y1 (ko) 2008-09-11 2011-01-25 노희옥 천공기 및 제본천공기의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562Y1 (ko) * 2001-12-17 2002-04-03 김학범 펀칭기의 찌꺼기 배출장치
JP4223521B2 (ja) * 2006-06-22 2009-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ンチ処理装置
JP5354826B1 (ja) * 2012-11-02 2013-11-27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板材平面加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047A (ko) * 2021-10-12 2023-04-19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KR102539673B1 (ko) 2021-10-12 2023-06-01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77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728B1 (ko) 제본천공기용 폐기칩 이송 및 만충 알람장치
KR101953360B1 (ko)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2100166B1 (ko) 제본천공기
JP4317835B2 (ja) 平盤打抜き装置
TW200536768A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01481091B1 (ko) 전동식 자동 천공기
JP5101363B2 (ja) チューブ切断装置
KR102100170B1 (ko) 제본천공기
JP2005119301A (ja) ブランク打抜き機
KR102194224B1 (ko) 제본천공기용 프레스암 고정부재
CN107434162B (zh) 脚踏组装装置
JP6289813B2 (ja) ゴミ収容体の投入装置
JP5286060B2 (ja) 紙葉類供給装置
KR102081224B1 (ko) 제본천공기용 상부 히터블록 위치 확인장치
CA2174823C (en) Arrangement for processing used metallized belts in a machine for transferring metallized images onto sheet elements
CN210210645U (zh) 一种切纸机的自动堆垛装置
CN102166901A (zh) 新型装订机
KR101553641B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201013793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KR102539673B1 (ko) 제본천공기용 잔여 몰딩튜브 배출장치
CN108724317B (zh) 裁剪系统及裁剪方法
JP2009233804A (ja) チューブ切断装置
CN100418866C (zh) 打印机
JP3971278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2490128B1 (ko)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