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492B1 -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492B1
KR102158492B1 KR1020190013857A KR20190013857A KR102158492B1 KR 102158492 B1 KR102158492 B1 KR 102158492B1 KR 1020190013857 A KR1020190013857 A KR 1020190013857A KR 20190013857 A KR20190013857 A KR 20190013857A KR 102158492 B1 KR102158492 B1 KR 10215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leakage
circumferential surfac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899A (ko
Inventor
전영세
민영근
Original Assignee
전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세 filed Critical 전영세
Priority to KR102019001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4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부(12), 본체부(12)의 외주면에 연통 형성된 연결파이프부(14)로 이루어지는 배수유닛(10); 배수유닛(10)의 하부에 마련되며, 본체부(12)와 연통되는 담수배출유로(22)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유닛(20); 본체부(12)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누수유입구(32)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 외주면에는 연결파이프부(14)와 연통되는 누수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는 누수유닛(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DRAINAGE DEVICE OF BATHROOM SLAB}
본 발명은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슬래브에 매설되어 담수 및 누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욕실을 시공하기 위한 슬래브에 매설되어, 슬래브의 상부영역에 존재하는 담수 또는 누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특히 슬래브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 및 기포몰탈층 등에서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의 배출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에 통공(1)이 형성되고, 측면에 통공(1)과 연결되는 배수관체결부(2)가 형성된 T자형 몸체(3); 몸체(3)의 하단 외주면에 체결되는 거푸집고정구(4); 배수관체결부(2) 상부의 일부분을 막으며 하향연장되어, 배수관체결부(2)의 내경보다 끝단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취기역류방지용 격판(5); 몸체(3)의 하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래브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의 배출 시에는 몸체(3)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밀폐마개(6)를 제거하고, 기포몰탈층 등에서 발생되어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의 배출 시에는 몸체(3)의 하단에 밀폐마개(6)를 설치한다.
이러한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10-1907404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의 배출 시 사용되는 밀폐마개(6)가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몸체(3)의 하단에 접착됨으로 인해, 밀폐마개(6)의 설치상태를 장기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예컨대, 밀폐마개(6)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몸체(3)로 유입되는 누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밀폐마개(6)의 밀폐력에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밀폐마개(6)가 몸체(3)의 하단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다.
이는 결국,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래브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는 물론이고 기포몰탈층 등에서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의 배출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연통 형성된 연결파이프부로 이루어지는 배수유닛; 상기 배수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는 담수배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유닛; 상기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누수유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파이프부와 연통되는 누수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누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그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슬래브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는 물론이고 기포몰탈층 등에서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의 배출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를 이용한 담수의 배출 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의 하부몸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를 이용한 누수의 배출 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단면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욕실의 슬래브에 매설되어, 담수 및 누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슬래브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는 물론이고 기포몰탈층 등에서 발생되어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는 배수유닛(10), 지지유닛(20) 및 누수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유닛(10)은 슬래브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 및 기포몰탈층 등에서 발생되어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유닛(10)은 내부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2); 본체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연결파이프부(14); 본체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부(16)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2)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슬래브로 유입된 담수개 배출되는 유로가 된다. 연결파이프부(14)는 본체부(12)와 연통되어 슬래브로 유입된 누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되며, 이러한 연결파이프부(14)는 본체부(12)의 외주면에 연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12) 및 연결파이프부(14)의 구성을 통해 담수 및 누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배수의 안정성을 상대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하단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록킹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록킹돌기(13)의 개수 및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플랜지부(16)는 본체부(12)로의 누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링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부(12)의 상단 외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랜지부(16)는 누수가 유입·저장되는 저장홈(16a); 저장홈(16a)에 연통되어, 저장홈(16a)으로 유입된 누수를 본체부(12)로 안내하는 가이드홈(16b)으로 이루어진다.
저장홈(16a)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6b)은 저장홈(16a)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한편, 본체부(12)와 연결파이프부(14) 및 가이드플랜지부(16)로 이루어지는 배수유닛(10)은 내구성 및 내수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유닛(20)은 배수유닛(10)의 하부에 마련되며, 본체부(12)와 연통되는 담수배출유로(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유닛(20)은 배수유닛(10)과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지지유닛(20)의 내주면에는 배수유닛(10)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2)의 록킹돌기(1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홈(24)과 연통되도록 가이드홈(24)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록킹홈(2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홈(26)은 장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지유닛(20)의 구성에 의해, 록킹돌기(13)를 가이드홈(24)에 삽입시켜 배수유닛(10)을 이동시키는 과정 중 특정의 록킹홈(26)의 위치에서 배수유닛(10)를 회전시켜 록킹돌기(13)가 록킹홈(26)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유닛(10)의 높낮이 조절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배수유닛(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욕실 슬라브 배수장치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누수유닛(30)은 본체부(12)의 내부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폐쇄된 통형으로 이루어져 배수유닛(10)의 본체부(12)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선택적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누수유입구(32)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 외주면에는 배수유닛(10)의 연결파이프부(14)와 연통되는 누수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수유닛(30)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36)이 구비되어 있다. 고무패킹(36)은 누수유닛(3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본체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1 고무패킹(36a); 누수유닛(30)의 저면에 구비되어 본체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 고무패킹(36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2 고무패킹(36a, 36b)을 통해 본체부(12) 및 누수유닛(3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누수가 유입되더라도 이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제1 고무패킹(36a)은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 고무패킹(36b)은 수밀유지 효율을 상대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다단으로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무패킹(36)으로는 내수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고무(EDPM)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수유닛(30)의 폐쇄된 상부면에는‘∩’형상의 식별고리(38)가 구비되며, 이러한 식별고리(38)를 통해 배수유닛(10)에 누수유닛(30)을 간편하게 삽입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식별고리(38)의 위치(방향)을 통해 누수배출구(34)를 배수유닛(10)의 연결파이프부(14)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누수유닛(30)의 내부에 마련되어, 누수유닛(10)으로 유입된 누수에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섬유여재 또는 부직포 재질의 배수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의 사용상태 및 배수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담수 배출단계: 슬래브(S)의 방수작업 후 담수테스트에 사용된 담수를 배출시키는 단계임.
이와 같은 담수 배출단계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의 상부에 배수유닛(10)이 설치된다. 이때, 배수유닛(10)의 본체부(12)는 지지유닛(20)의 담수배출유로(22)와 연통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배수유닛(10)의 본체부(12)로 유입된 담수가 지지유닛(20)의 담수배출유로(22)를 거쳐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② 누수 배출단계 : 슬래브(S)의 상부에 타설되는 기포몰탈층 등에서 슬래브(S)로 유입된 누수를 배출시키는 단계임.
이와 같은 누수 배출단계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수유닛(10)의 본체부(12)에 누수유닛(30)이 삽입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본체부(12)의 내부유로는 폐쇄된다. 이때, 누수유닛(30)의 누수배출구(34)는 배수유닛(10)의 연결파이프부(14)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누수유닛(30)의 누수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누수가 누수배출구(34) 및 연결파이프부(14)를 거쳐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C는 슬래브(S)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층을 도시한 것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P는 연결파이프부(14)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10 : 배수유닛 12 : 본체부
13 : 록킹돌기 14 : 연결파이프부
16 : 가이드플랜지부 20 : 지지유닛
22 : 배출유로 24 : 가이드홈
26 : 록킹홈 30 : 누수유닛
32 : 누수유입구 34 : 누수배출구
36 : 고무패킹 S : 슬래브

Claims (5)

  1. 슬래브(S)에 매설되어, 담수 및 누수를 배출시키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부(12), 상기 본체부(12)의 외주면에 연통 형성된 연결파이프부(14)로 이루어지는 배수유닛(10);
    상기 배수유닛(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2)와 연통되는 담수배출유로(22)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유닛(20);
    상기 본체부(12)의 내부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폐쇄된 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 설치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복수의 누수유입구(32)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파이프부(14)와 연통되는 누수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는 누수유닛(30)을 포함하며,
    상기 누수유닛(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링 형태의 제1 고무패킹(36a)이 구비되고, 상기 누수유닛(30)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다단으로 주름진 형태의 제2 고무패킹(36b)이 구비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의 하단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록킹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록킹돌기(1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4)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홈(24)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록킹홈(2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2)로 유입되는 담수 또는 누수를 안내하는 가이드플랜지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KR1020190013857A 2019-02-01 2019-02-01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KR10215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57A KR102158492B1 (ko) 2019-02-01 2019-02-01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57A KR102158492B1 (ko) 2019-02-01 2019-02-01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99A KR20200095899A (ko) 2020-08-11
KR102158492B1 true KR102158492B1 (ko) 2020-09-22

Family

ID=720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857A KR102158492B1 (ko) 2019-02-01 2019-02-01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4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325Y1 (ko) * 2003-09-05 2003-11-21 최해권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101426353B1 (ko) * 2013-07-30 2014-08-05 주식회사 미래산업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325Y1 (ko) * 2003-09-05 2003-11-21 최해권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101426353B1 (ko) * 2013-07-30 2014-08-05 주식회사 미래산업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99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858B1 (ko) 통 사이에 물이 없는 세탁기 및 제어방법
CN1755019A (zh) 洗衣机用排水存水弯管
KR101056557B1 (ko) 배수 트랩
KR102158492B1 (ko)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US1690630A (en) Roof drain
KR20180022120A (ko)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KR102158491B1 (ko)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KR20060095233A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0492266Y1 (ko) 오수 배수관
JP6245699B2 (ja) 排水装置
KR101268333B1 (ko)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RU2751659C2 (ru) Сифон для водослива, а также снабженный им водослив
JP2017023032A (ja) 排水装置
CN220953779U (zh) 一种多用地漏结构
CN211597003U (zh) 一种同层排水地漏
KR102143144B1 (ko) 하수관거용 수로변경장치
CN220284984U (zh) 地漏
CN216892749U (zh) 一种虹吸地漏和排水系统
CN212772741U (zh) 防堵防漏防臭的地漏子
CN102720265A (zh) 一种高水封内芯式排水控制装置
KR102355060B1 (ko)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CN208455737U (zh) 一种收集渗漏用管道
KR101930401B1 (ko) 배수 트랩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7955B1 (ko)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