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120A -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 Google Patents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120A
KR20180022120A KR1020160107025A KR20160107025A KR20180022120A KR 20180022120 A KR20180022120 A KR 20180022120A KR 1020160107025 A KR1020160107025 A KR 1020160107025A KR 20160107025 A KR20160107025 A KR 20160107025A KR 20180022120 A KR20180022120 A KR 2018002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manhole
seal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원
Priority to KR102016010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120A/ko
Publication of KR2018002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입수관, 입수관 연결소켓 및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입수구와 배출관, 배출관 연결소켓 및 배출관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파이프관을 통하여 들어와서 상기 파이프관과 연결된 맨홀의 상기 입수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수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상기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 부분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상기 맨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입구a,b,c,d의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맨홀로부터 누수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있으며, 시공자는 시공시 간편하게 하수구 맨홀과 파이프관을 연결할 수 있어, 시공기간 및 작업자의 감소로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Description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DRAIN MANHOLE WITH SEALING FUNCTION}
본 발명은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입수구와 맨홀 배출구 등에 연결된 파이프와의 접합관계에서 밀봉기능을 통한 맨홀 내부로 외부 토사나 이물질의 유입 및 내부 하수 및 빗물이 누수되지 않게 하는 기밀성 및 수밀성을 높이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구의 맨홀은 주택단지나 상가 등의 도로변의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어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을 집수한 후에 그 집수된 빗물이나 생활하수 등을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동시키는 분기점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수구 맨홀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하수구 맨홀 구간마다 파이프관을 통하여 하수구 맨홀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수구 맨홀과 파이프관을 연결시 지반의 불규칙적인 높이와 더불어 하수구 맨홀의 누수로 인해 토양오염, 토양유실, 악취 등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원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체적으로 시공자들은 하수구 맨홀과 파이프관을 연결한 후에 그냥 방치하는 경우나 간혹 맨홀 바깥쪽 부분에 실링재를 바르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 여러가지가 있으나, 종래기술의 해결책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구 맨홀은 입수구를 통하여 들어온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덮개를 통하여 방지하며, 맨홀 내부에 있는 생활하수 및 빗물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방식으로서, 하수구 맨홀의 입수구로 들어온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역류되는 것을 덮개를 이용하여 방지하고 있으나, 맨홀 누수에 대해서는 아직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034호에는 하수구 맨홀과 하수관이 결합되는 결합부위를 밀봉하는 구조가 구비된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034호에 개시된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하수구 맨홀 외부에서 하수관을 밀봉하는 방식으로 토양과 같이 밀봉이 되어 환경오염 및 토양유실시 밀봉된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맨홀의 입수구 및 배출구 부분에서 누수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은 주변 토양 및 지하 지반에 영향을 주면서 토양오염, 악취, 토양침하 및 유실로 인한 싱크홀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034호(2003.03.27)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8232호(2001.01.15)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맨홀의 입수구 및 배출구에 파이프관과 연결시 생기는 틈새 부분에 있어, 각 부위의 밀봉입구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맨홀 외부로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 및 토양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수구맨홀 밀봉입구, 입수구맨홀 오링, 입수구맨홀 밀봉출구, 스토퍼 돌기1, 스토퍼 돌기2를 포함하는 입수관 스토퍼와 배출구맨홀 밀봉입구, 배출구맨홀 오링, 배출구맨홀 밀봉출구, 스토퍼 돌기3, 스토퍼 돌기4를 포함하는 배출관 스토퍼를 포함하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파이프관을 통하여 들어와서 상기 파이프관과 연결된 맨홀의 입수구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맨홀 내부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맨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입수관 스토퍼 및 배출관 스토퍼에 실링구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돌기1 혹은 상기 스토퍼 돌기2는 상기 입수구맨홀 오링의 양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입수관 스토퍼의 면보다 높게 돌출된 형상과 상기 스토퍼 돌기3 혹은 상기 스토퍼 돌기4는 상기 배출구맨홀 오링의 양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 스토퍼의 면보다 높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입수구는 입수관, 입수구 연결소켓 및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관은 상기 맨홀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 입수관 스토퍼 상단부의 입수구맨홀 밀봉입구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하여 입수구맨홀 오링이 밀봉되는 구조와 상기 배출구는 배출관, 배출관 연결소켓 및 배출관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맨홀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 배출관 스토퍼 상단부의 배출구맨홀 밀봉입구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하여 배출구맨홀 오링이 밀봉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이프관이 입수구 연장관 내부로 들어온 후 입수구 연장관의 입수관 돌기1 혹은 입수관 돌기2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입수관 밀봉입구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입수관 오링이 밀봉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파이프관이 배출관 연결구 내부로 들어온 후 배출관 연장관의 배출관 돌기1 혹은 배출관 돌기2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배출관 밀봉입구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배출관 오링이 밀봉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입수관 연결소켓은 큰 파이프관을 입수파이프 1연결구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a 및 오링a와, 작은 파이프관을 입수파이프 2연결구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b 및 오링b를 포함하고, 실링재는 밀봉입구a 및 밀봉입구b에 밀봉됨으로서 파이프관이 상기 입수관 연결소켓에 연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 연결소켓은 큰 파이프관을 배출파이프 1연결구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c 및 오링c와, 작은 파이프관을 배출파이프 2연결구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d 및 오링d를 포함하되, 실링재는 밀봉입구c 및 밀봉입구d에 밀봉됨으로서 파이프관이 상기 배출관 연결소켓에 연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구 맨홀 내부에 유입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맨홀과 연결된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 부분에 밀봉입구를 통해 실링재를 투입하여 맨홀 외부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누수 및 토양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자는 시공시 간편하게 하수구 맨홀과 파이프관을 연결할 수 있어, 시공기간 및 작업자의 감소로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입수구의 입수관 밀봉입구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맨홀과 입수구와의 방수 및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을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맨홀 외부로 누수되는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싱크홀과 같은 지하 지반의 토양유실에 대한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입수구에 대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수구에서 입수관 스토퍼의 안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입수구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배출구에 대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출구에서 배출관 스토퍼의 안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배출구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맨홀의 스토퍼 돌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은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수구 맨홀과 파이프 사이의 접합관계에서 하수구 맨홀 내부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외부로 누수되어 악취 및 토양소실 우려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맨홀(100)과, 입수구(200)와, 배출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에서, "밀봉입구"라고 함은 실링재를 투입하는 입구를 말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위치에 따라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입구로 투입되는 실링재는 액상이나 겔상의 합성수지로 각각의 두개 사이의 틈새가 밀봉되기 위해 시간이 경과하면 딱딱하게 굳어지도록 경화제를 일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에서, "맨홀의 길이방향"이라고 함은 맨홀이 지표면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방향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2)은 입수구(200)와 배출구(300)가 양쪽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맨홀(100)과,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유입되는 입수구(200)와,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구(300)와,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을 집수하여 이물질 등이 침전되어 있는 맨홀바닥(400)과, 입수구(200) 및 배출구(300)를 맨홀(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맨홀 입수홈(500) 및 맨홀 배출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맨홀(100)은 사각형 틀의 형상으로서, 맨홀(100) 내부에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플라스틱)의 재질로 될 수 있다.
입수구(200)는 맨홀(100)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며, 배출구(300)는 맨홀(100)의 입수구(200)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입수구(200) 및 배출구(300)는 맨홀(100)이 시공될 때 토양 및 지반의 불규칙적인 경사 등으로 인해 파이프(pipe) 또는 관 등의 높이차를 위하여 수직방향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맨홀바닥(400)은 맨홀(100)의 가장 아래부분으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에서 나온 각종 이물질 등이 침전되어 있는 공간이며, 맨홀바닥(400)에 있는 침전물 등이 입수구(200) 및 배출구(300)로 들어가지 않도록 입수구(200) 및 배출구(300) 보다 아래쪽으로 이격을 두고 설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00)의 내부는 테이퍼 구조의 사각형 틀의 형상으로 입수구(200)와 배출구(300)가 맨홀(100)에 결합되기 위해 맨홀 내부의 일측에 맨홀 입수홈(500) 및 맨홀 배출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맨홀 입수홈(500)은 맨홀(100)의 한쪽면에 배치되며, 맨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의 입구로 형상되며, 맨홀 입수홈(500)의 형상이 맨홀(100)의 내부로 움푹 들어가도록 설계된다.
또한, 맨홀 입수홈(500)은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맨홀 배출홈(600)보다 길쭉한 타원형의 입구를 1cm~5cm정도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맨홀 배출홈(600)은 맨홀 입수홈(500)이 배치된 반대쪽면에 배치되며, 맨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의 입구로 형상되며, 맨홀 배출홈(600)의 형상이 맨홀(100)의 내부로 움푹 들어가도록 설계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입수구에 대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200)는 맨홀(100)의 한쪽면에 배치되며, 맨홀(100) 내부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들어오는 통로인 입수관(210)과, 파이프관을 연결하는 입수구 연결소켓(220)과, 입수구 연결소켓(220)을 맨홀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입수구(200) 설치방법은 입수관(210)이 맨홀(100) 내부에서 맨홀 입수홈(500) 방향으로 꽂히며, 꽂혀 있는 입수관(210)은 맨홀(100) 외부에서 입수구 가이드 플레이트(230)와 연결된 후 입수구 연결소켓(220)에 의해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입수관(210)과 입수구 연결소켓(220)의 체결방식은 돌려서 쪼이는 볼트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입수구에서 입수관 스토퍼의 안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 스토퍼(214)는 길쭉한 타원형의 판자형태로 한가운데에 원형의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한쪽면에는 파이프관이 들어오는 입수관 연결구(215)와, 반대쪽면에는 맨홀(100) 내부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들어오는 입수구 연장관(213)과, 맨홀(100) 내부와 결합되도록 실링재를 넣는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과, 입수구맨홀 밀봉출구(217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수관 스토퍼(214)는 길쭉한 타원형을 따라 스토퍼 돌기1(217d)과 스토퍼 돌기2(217e)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수관 체결부(225)로 입수관 연결구(215)를 체결하면 맨홀(100) 내부의 벽면과 스토퍼 돌기1(217d), 스토퍼 돌기2(217e)가 맞닿는다. 스토퍼 돌기1(217d), 스토퍼 돌기2(217e)는 벽면과 맞닿아 생긴 미세한 틈새가 생기는데, 실링재로 미세한 틈새 및 입수구맨홀 오링(217b) 부분을 메워져 밀봉한다.
스토퍼 돌기1(217d) 혹은 스토퍼 돌기2(217e)의 높이는 입수관 연결구(215) 방향으로의 입수관 스토퍼(214) 한쪽면 혹은 입수구맨홀 오링(217b) 보다 높게 설계하도록 한다. 스토퍼 돌기1(217d), 스토퍼 돌기2(217e)의 돌기는 0.1mm~2.5mm로 설계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1(217d), 스토퍼 돌기2(217e)는 실링재가 맨홀(100) 내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며, 맨홀(100) 내부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는 입수관 스토퍼(214)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맨홀(100) 내부와 고정하기 위해 실링재를 투입한다. 투입된 실링재는 입수관 스토퍼(214)의 입수구맨홀 오링(217b) 부분에 메워져 입수구맨홀 밀봉출구(217c)로 실링재가 나오는 구조이다.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와 입수구맨홀 밀봉출구(217c) 사이에는 칸막이1(219)를 배치하여, 입수구맨홀 오링(217b)에 실링재가 잘 메워져 밀봉되도록 한다.
칸막이1(219)은 입수구맨홀 오링(217b)부분을 전체 가려질 수 있는 경우나 부분적으로 가려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입수구맨홀 오링(217b)은 입수관 스토퍼(214)의 길쭉한 타원형을 따라 입수덮개(211)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도록 설계한다.
입수구맨홀 오링(217b)이 메워짐으로 인해 맨홀(100) 내부의 방수효과 및 상하 슬라이딩을 고정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입수구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200)는 입수관(210), 입수구 연결소켓(220) 및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수관(210)은 맨홀(100) 내부의 한쪽면에 배치되며,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입수덮개(211)와, 입수덮개(211)를 고정해주는 힌지(212)와, 파이프관이 맨홀(100) 내부까지 들어오도록 연결된 입수구 연장관(213)과, 입수관(210)을 맨홀(100) 내부에 고정시키는 입수관 스토퍼(214)와, 입수관 연결소켓(220)의 입수관 체결부(225)와 연결하는 입수관 연결구(215)와, 파이프관을 밀봉하는 입수관 밀봉입구(216a) 및 입수관 오링(216b)과, 맨홀(100) 내부의 방수 및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을 고정해주는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 및 입수구맨홀 오링(217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수덮개(211)는 입수관(2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입수구 연장관(213) 상단부 끝의 힌지(212)에 의해 고정되어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들어오는 유속에 의해 입수덮개(211)가 열리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입수덮개(211)는 입수관 입구(218)가 경사진 단면으로 입수덮개(211)도 경사지도록 설계된다.
입수구 연장관(213)는 맨홀(100) 바깥의 파이프관이 입수구 입구(218)의 상단부 끝부분까지 들어오도록 설계된다.
입수관 연결구(215)는 입수덮개(211)의 반대쪽 일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입수구 관통구(231)를 관통하여 입수관 연결소켓(220)의 입수관 체결부(225)의해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입수관 연결구(215)의 직경은 입수관 체결부(225)의 내주면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설계된다.
입수관 밀봉입구(216a)는 입수구 연장관(213)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파이프관이 입수구 연장관(213) 내부로 들어온 후 입수관 밀봉입구(216a)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한다. 투입된 실링재는 파이프관 외주면의 입수관 오링(216b)에 메워져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함으로써 파이프관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입수관 돌기1(216c), 입수관 돌기2(216d)는 입수구 연장관(213)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입수관 밀봉입구(216a)로 들어온 실링재가 입수관 오링(216b)에 잘 메워져 밀봉되도록 하며, 파이프관이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입수관 돌기1(216c) 혹은 입수관 돌기2(216d)의 높이는 입수구 연장관(213) 내주면 혹은 입수관 오링(216b) 보다 높게 설계하도록 한다. 입수관 돌기1(216c), 입수관 돌기2(216d)의 돌기는 0.1mm~2.5mm로 설계할 수 있다.
파이프관은 입수구 연장관(213) 내부로 들어와서 입수관 돌기1(216c) 및 입수관 돌기2(216d)와 맞닿아지면서 파이프관이 고정된 후 파이프관의 외주면과 입수관 오링(216b)의 틈새를 실링재로 밀봉할 경우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맨홀(100)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입수관 연결소켓(220)은 큰 파이프관(P1)을 밀봉하는 밀봉입구a(221a) 및 오링a(221b)와, 작은 파이프관(P2)을 밀봉하는 밀봉입구b(222a) 및 오링b(222b)와, 입수구(200)에 파이프관을 연결하는 입수파이프 1연결구(223) 및 입수파이프 2연결구(224)와, 입수관 연결구(215)를 체결하는 입수관 체결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봉입구a(221a)는 입수관 연결소켓(22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입수파이프 1연결구(223)에 큰 파이프관(P1)을 연결한 후 밀봉입구a(221a)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한다. 투입된 실링재는 오링a(221b) 부분에 메워져 연결된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해주는 역할을 한다.
밀봉입구b(222a)도 밀봉입구a(221a)와 마찬가지로, 입수관 연결소켓(22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입수파이프 2연결구(224)에 작은 파이프관(P2)을 연결한 후 밀봉입구b(222b)를 통하여 실링재로 오링b(222b) 부분이 메워져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해주는 역할을 한다.
밀봉입구a(221a) 및 밀봉입구b(222a)로 투입된 실링재는 오링a(221b) 및 오링b(222b)를 메워져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가 밀봉될 경우 파이프관의 외부로 생활하수 등이 토양 및 지반에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230)은 맨홀(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입수관 연결소켓(220)을 지탱해주며, 입수관 체결부(225)를 관통하는 입수구 관통구(2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수구 관통구(231)는 입수관(210)과 입수관 연결소켓(220)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입수구 관통구(231)의 직경은 입수관 체결부(225)의 외주면보다 크게 설계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배출구에 대한 설치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00)는 입수구(100)가 배치된 맨홀(100)의 반대쪽면에 배치되며, 맨홀(100) 외부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310)과, 파이프관을 연결하는 배출구 연결소켓(320)과, 배출구 연결소켓(320)을 맨홀(100)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배출구 가이드플레이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출구(300) 설치방법은 배출관(310)이 맨홀(100) 내부에서 맨홀 배출홈(500) 방향으로 꽂히며, 꽂혀 있는 배출관(310)은 맨홀(100) 외부에서 배출구 가이드플레이트(330)와 연결된 후 배출구 연결소켓(320)에 의해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배출관(310)과 배출구 연결소켓(320)의 체결방식은 입수구(200)와 마찬가지로 돌려서 쪼이는 볼트방식으로 설계된다.
배출관 스토퍼(314)도 마찬가지로 입수관 스토퍼(214)의 형상처럼 배출관 돌기1(311c), 배출관 돌기2(311d)가 배치되어 맨홀(100) 내부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설계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출구에서 배출관 스토퍼의 안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 스토퍼(314)는 길쭉한 타원형의 판자형태로 한가운데에 원형의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한쪽면에는 파이프관이 들어오는 배출관 연결구(315)와, 반대쪽면에는 맨홀(100) 외부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나가는 배출구 연장관(316)과, 맨홀(100) 내부와 결합되도록 실링재를 넣는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과, 배출구맨홀 밀봉출구(31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관 스토퍼(314)는 길쭉한 타원형을 따라 스토퍼 돌기3(312d)과 스토퍼 돌기4(312e)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관 체결부(325)로 배출관 연결구(315)를 체결하면 맨홀(100) 내부의 벽면과 스토퍼 돌기3(312d), 스토퍼 돌기4(312e)가 맞닿는다. 스토퍼 돌기3(312d), 스토퍼 돌기4(312e)는 벽면과 맞닿아 생긴 미세한 틈새가 생기는데, 실링재로 미세한 틈새 및 배출구맨홀 오링(312b) 부분을 메워진다.
스토퍼 돌기3(312d) 혹은 스토퍼 돌기4(312e)의 높이는 배출관 연결구(315) 방향으로의 배출관 스토퍼(314) 한쪽면 혹은 배출구맨홀 오링(312b) 보다 높게 설계하도록 한다. 스토퍼 돌기3(312d), 스토퍼 돌기4(312e)의 돌기는 0.1mm~2.5mm로 설계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3(312d), 스토퍼 돌기4(312e)는 실링재가 맨홀(100) 내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며, 맨홀(100) 내부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는 배출관 스토퍼(314)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맨홀(100) 내부와 고정하기 위해 실링재를 투입한다. 투입된 실링재는 배출관 스토퍼(314)의 배출구맨홀 오링(312b) 부분에 메워져 배출구맨홀 밀봉출구(312c)로 실링재가 나오는 구조이다.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와 배출구맨홀 밀봉출구(312c) 사이에는 칸막이2(317)를 배치하여, 배출구맨홀 오링(312b)에 실링재가 잘 메워지도록 한다.
칸막이2(317)은 배출구맨홀 오링(312b)부분을 전체 가려질 수 있는 경우나 부분적으로 가려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배출구맨홀 오링(312b)은 배출관 스토퍼(314)의 길쭉한 타원형을 따라 배출관 입구(313)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도록 설계한다.
배출구맨홀 오링(312b)이 메워짐으로 인해 맨홀(100) 내부의 방수효과 및 상하 슬라이딩을 고정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배출구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00)는 배출관(310), 배출구 연결소켓(320) 및 배출구 가이드플레이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관(310)은 입수관(210)이 배치된 맨홀(100) 내부의 반대쪽면에 배치되며, 파이프관을 밀봉하는 배출관 밀봉입구(311a) 및 배출관 오링(311b)과, 맨홀(100) 내부의 방수 및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을 고정해주는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 및 배출구맨홀 오링(312b)과, 맨홀(100) 내부에 집수된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배출되는 배출관 입구(313)와, 배출관(310)을 맨홀(100) 내부에 고정시키는 배출관 스토퍼(314)와, 배출관 연결소켓(320)의 배출관 체결부(325)와 연결하는 배출관 연결구(3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관 밀봉입구(311a)는 배출관 입구(313)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파이프관이 배출관 연결구(315) 내부로 들어온 후 배출관 밀봉입구(311a)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한다. 투입된 실링재는 파이프관 외주면의 배출관 오링(311b)에 메워져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 부분을 밀봉함으로써 파이프관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배출관 돌기1(311c), 배출관 돌기2(311d)는 배출구 연장관(316)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배출관 밀봉입구(311a)로 들어온 실링재가 배출관 오링(311b)에 잘 메워지도록 하며, 파이프관이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배출관 돌기1(311c) 혹은 배출관 돌기2(311d)의 높이는 배출구 연장관(316) 내주면 혹은 배출관 오링(311b) 보다 높게 설계하도록 한다. 배출관 돌기1(311c), 배출관 돌기2(311d)의 돌기는 0.1mm~2.5mm로 설계할 수 있다.
파이프관은 배출구 연장관(316) 내부로 들어와서 배출관 돌기1(311c) 및 배출관 돌기2(311d)와 맞닿아지면서 파이프관이 고정된 후 파이프관의 외주면과 배출관 오링(311b)의 틈새를 실링재로 밀봉할 경우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맨홀(100)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배출관 연결구(315)는 배출관 입구(313) 반대쪽 일측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출구 관통구(331)를 관통하여 배출관 연결소켓(320)의 배출관 체결부(325)의해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배출관 연결구(315)의 직경은 배출관 체결부(325)의 내주면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설계된다.
배출관 연결소켓(320)은 큰 파이프관(P1)을 밀봉하는 밀봉입구c(321a) 및 오링c(321b)와, 작은 파이프관(P2)을 밀봉하는 밀봉입구d(322a) 및 오링d(322b)와, 배출구(300)에 파이프관을 연결하는 배출파이프 1연결구(323) 및 배출파이프 2연결구(324)와, 배출관 연결구(315)를 체결하는 배출관 체결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봉입구c(321a)는 배출관 연결소켓(32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배출파이프 1연결구(323)에 큰 파이프관(P1)을 연결한 후 밀봉입구c(321a)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한다. 투입된 실링재는 오링c(321b) 부분에 메워져 연결된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해주는 역할을 한다.
밀봉입구d(322a)도 밀봉입구c(321a)와 마찬가지로, 배출관 연결소켓(32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배출파이프 2연결구(324)에 작은 파이프관(P2)을 연결한 후 밀봉입구d(322b)를 통하여 실링재로 오링d(322b) 부분이 메워져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해주는 역할을 한다.
밀봉입구c(321a) 및 밀봉입구d(322a)로 투입된 실링재는 오링c(321b) 및 오링d(322b)를 메워져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가 밀봉될 경우 파이프관의 외부로 생활하수 등이 토양 및 지반에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출구 가이드플레이트(330)은 맨홀(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배출관 연결소켓(320)을 지탱해주며, 배출관 체결부(325)를 관통하는 배출구 관통구(3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구 관통구(331)는 배출관(310)과 배출관 연결소켓(320)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배출구 관통구(331)의 직경은 배출관 체결부(325)의 외주면보다 크게 설계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구성을 통하여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이 시공될 위치에 입수구(200) 및 배출구(300)가 설치된 맨홀(100)을 배치한다. 파이프관은 배치된 맨홀의 입수구(200) 방향에서 파이프관을 연결하는데, 파이프관의 직경에 따라 P1, P2에 연결한다. 연결된 파이프관은 입수관 밀봉입구(216a), 밀봉입구a(211a) 및 밀봉입구b(212a)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한다. 또한,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맨홀(100) 내부의 방수 및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을 고정시켜 준다.
배출구(300)도 입수구(200)와 마찬가지로, 배출관 밀봉입구(311a), 밀봉입구c(321a) 및 밀봉입구d(322a)에 실링재를 통하여 파이프관의 외주면 틈새를 밀봉해주며,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에도 실링재를 투입하여 맨홀(100) 내부의 방수 및 상하 슬라이딩되는 것을 고정시켜 준다.
이를 통하여, 시공자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단가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맨홀의 스토퍼 돌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 스토퍼(214)와 맨홀(100) 내부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배치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217f, 217g, 217h)를 구성하며, 배출관 스토퍼(314)도 마찬가지로 맨홀(100) 내부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배치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312f, 312g, 312h)를 구성하여 배치된다.
다수의 스토퍼 돌기(217f, 217g, 217h, 312f, 312g, 312h)의 높이는 스토퍼 돌기1(217d), 스토퍼 돌기2(217e), 스토퍼 돌기3(312d) 및 스토퍼 돌기4(312e) 보다 낮게 설계하도록 한다.
입수관 스토퍼(214)와 배출관 스토퍼(314)에 배치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217f, 217g, 217h, 312f, 312g, 312h)를 통하여 맨홀(100) 내부의 물이 맨홀(100)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1 : 종래의 하수구 맨홀
2 :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100 : 맨홀
200 : 입수구
210 : 입수관
211 : 입수덮개 212 : 힌지
213 : 입수구 연장관 214 : 입수관 스토퍼
215 : 입수관 연결구 216a : 입수관 밀봉입구
216b : 입수관 오링 216c : 입수관 돌기1
216d : 입수관 돌기2 217a : 입수구맨홀 밀봉입구
217b : 입수구맨홀 오링 217c : 입수구맨홀 밀봉출구
217d : 스토퍼 돌기1 217e : 스토퍼 돌기2
217f, 217g, 217h : 스토퍼 돌기5
218 : 입수관 입구 219 : 칸막이1
220 : 입수관 연결소켓
221a : 밀봉입구a 221b : 오링a
222a : 밀봉입구b 222b : 오링b
223 : 입수파이프 1연결구 224 : 입수파이프 2연결구
225 : 입수관 체결부
230 :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
231 : 입수구 관통구
300 : 배출구
310 : 배출관
311a : 배출관 밀봉입구 311b : 배출관 오링
311c : 배출관 돌기1 311d : 배출관 돌기2
312a : 배출구맨홀 밀봉입구 312b : 배출구맨홀 오링
312c : 배출구맨홀 밀봉출구 312d : 스토퍼 돌기3
312e : 스토퍼 돌기4
312f, 312g, 312h : 스토퍼 돌기6
313 : 배출관 입구 314 : 배출관 스토퍼
315 : 배출관 연결구 316 : 배출구 연장관
317 : 칸막이2
320 : 배출구 연결소켓
321a : 밀봉입구c 321b : 오링c
322a : 밀봉입구d 322b : 오링d
323 : 배출파이프 1연결구 324 : 배출파이프 2연결구
325 : 배출관 체결부
330 : 배출구 가이드플레이트
331 : 배출구 관통구
400 : 맨홀바닥
500 : 맨홀 입수홈
600 : 맨홀 배출홈
-- 부호의 설명 끝 --

Claims (7)

  1.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 입수구맨홀 오링(217b), 입수구맨홀 밀봉출구(217c), 스토퍼 돌기1(217d), 스토퍼 돌기2(217e)를 포함하는 입수관 스토퍼(214);와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 배출구맨홀 오링(312b), 배출구맨홀 밀봉출구(312c), 스토퍼 돌기3(312d), 스토퍼 돌기4(312e)를 포함하는 배출관 스토퍼(314)를 포함하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파이프관(P1, P2)을 통하여 들어와서 상기 파이프관과 연결된 맨홀(100)의 입수구(200)와 배출구(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맨홀(100) 내부의 생활하수 및 빗물 등이 맨홀(100)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입수관 스토퍼(214) 및 배출관 스토퍼(314)에 실링구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1(217d) 혹은 상기 스토퍼 돌기2(217e)는 상기 입수구맨홀 오링(217b)의 양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입수관 스토퍼(214)의 면보다 높게 돌출된 형상과,
    상기 스토퍼 돌기3(312d) 혹은 상기 스토퍼 돌기4(312e)는 상기 배출구맨홀 오링(312b)의 양쪽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 스토퍼(314)의 면보다 높게 돌출된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200)는 입수관(210), 입수구 연결소켓(220) 및 입수구 가이드플레이트(230)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관(210)은 상기 맨홀(100)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 입수관 스토퍼(214) 상단부의 입수구맨홀 밀봉입구(217a)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하여 입수구맨홀 오링(217b)이 밀봉되는 구조와,
    상기 배출구(300)는 배출관(310), 배출관 연결소켓(320) 및 배출관 가이드플레이트(33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310)은 상기 맨홀(100)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 배출관 스토퍼(314) 상단부의 배출구맨홀 밀봉입구(312a)를 통하여 실링재를 투입하여 배출구맨홀 오링(312b)이 밀봉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4. 제2항에 있어서,
    파이프관이 입수구 연장관(213) 내부로 들어온 후 입수구 연장관(213)의 입수관 돌기1(216c) 혹은 입수관 돌기2(216d)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입수관 밀봉입구(216a)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입수관 오링(216b)이 밀봉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5. 제2항에 있어서,
    파이프관이 배출관 연결구(315) 내부로 들어온 후 배출관 연장관(316)의 배출관 돌기1(311c) 혹은 배출관 돌기2(311d)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배출관 밀봉입구(311a)에 실링재를 투입하여 배출관 오링(311b)이 밀봉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 연결소켓(220)은 큰 파이프관(P1)을 입수파이프 1연결구(223)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a(221a) 및 오링a(221b)와, 작은 파이프관(P2)을 입수파이프 2연결구(224)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b(222a) 및 오링b(222b)를 포함하고,
    실링재는 밀봉입구a(221a) 및 밀봉입구b(222a)에 밀봉됨으로서 파이프관이 상기 입수관 연결소켓(2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연결소켓(320)은 큰 파이프관(P1)을 배출파이프 1연결구(323)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c(321a) 및 오링c(321b)와, 작은 파이프관(P2)을 배출파이프 2연결구(324)에 연결하여 밀봉하는 밀봉입구d(322a) 및 오링d(322b)를 포함하되,
    실링재는 밀봉입구c(321a) 및 밀봉입구d(322a)에 밀봉됨으로서 파이프관이 상기 배출관 연결소켓(3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KR1020160107025A 2016-08-23 2016-08-23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KR20180022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25A KR20180022120A (ko) 2016-08-23 2016-08-23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25A KR20180022120A (ko) 2016-08-23 2016-08-23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20A true KR20180022120A (ko) 2018-03-06

Family

ID=6172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025A KR20180022120A (ko) 2016-08-23 2016-08-23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1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84B1 (ko) * 2019-09-23 2019-11-21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CN112145832A (zh) * 2020-05-10 2020-12-29 怀化沃普环保科技有限公司 管道表面能防渗接口结构
CN113585429A (zh) * 2021-07-20 2021-11-02 长江生态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检查井与管道的接口结构及施工方法
WO2023108212A1 (en) * 2021-12-14 2023-06-22 Infrastructure Products Australia Pty Ltd Method, connector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ipe to a pit or a w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003B1 (ko) * 2005-12-19 2006-05-15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전기통신용 맨홀의 누수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003B1 (ko) * 2005-12-19 2006-05-15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전기통신용 맨홀의 누수 방지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84B1 (ko) * 2019-09-23 2019-11-21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CN112145832A (zh) * 2020-05-10 2020-12-29 怀化沃普环保科技有限公司 管道表面能防渗接口结构
CN112145832B (zh) * 2020-05-10 2022-11-04 迪威尔(建湖)精工科技有限公司 管道表面能防渗接口结构
CN113585429A (zh) * 2021-07-20 2021-11-02 长江生态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检查井与管道的接口结构及施工方法
WO2023108212A1 (en) * 2021-12-14 2023-06-22 Infrastructure Products Australia Pty Ltd Method, connector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ipe to a pit or a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2120A (ko)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KR20200110142A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847554B1 (ko) 수로변경형 오수받이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20060095233A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100883586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CN212001516U (zh) 整体卫浴异层排水直排地漏处防渗漏二次排水装置
KR102242347B1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CA2773442A1 (en) Check valve access chamber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20210116911A (ko) 트랩 설치가 자유로운 오수받이
KR100733608B1 (ko)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 분리장치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2339341B1 (ko) 수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점검구 맨홀
KR102456163B1 (ko) 수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맨홀
CN220433856U (zh) 一种地漏水封结构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0646447B1 (ko) 인서트 연결구를 갖는 맨홀
KR20160090774A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KR20120052493A (ko) 오수받이장치
JPS6323497Y2 (ko)
KR101834261B1 (ko) 공공관로의 배수관 연결구멍 폐쇄용 폐쇄구 및 이를 이용한 공공관로의 배수관 연결구멍 폐쇄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