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884B1 -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884B1
KR102046884B1 KR1020190116830A KR20190116830A KR102046884B1 KR 102046884 B1 KR102046884 B1 KR 102046884B1 KR 1020190116830 A KR1020190116830 A KR 1020190116830A KR 20190116830 A KR20190116830 A KR 20190116830A KR 102046884 B1 KR102046884 B1 KR 10204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derground
manhole
indicator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9011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지하시설물의 정보가 보다 정확하면서 스마트(Smart)하게 제공되도록 하고, 지하시설물에 간편하게 수납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지하시설물의 업무 전산화에 의해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되, 특히 하수도의 배관 정보를 맨홀을 통해 쉽게 확인하도록 하고, 맨홀 주변에서의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효율을 높이면서 이러한 다수의 스마트 마커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that improves the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change}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지하시설물의 정보가 보다 정확하면서 스마트(Smart)하게 제공되도록 하고, 지하시설물에 간편하게 수납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지하시설물의 업무 전산화에 의해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되, 특히 하수도의 배관 정보를 맨홀을 통해 쉽게 확인하도록 하고, 맨홀 주변에서의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효율을 높이면서 이러한 다수의 스마트 마커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가 첨단화, 기능화하면서 지하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용한 활용공간으로 자리매김을 하여 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매설된 수많은 상하수도, 전력, 통신, 가스 등의 지하시설물들은 그 위치와 심도가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관리주체가 다양하고 분산 관리되어 효율적인 관리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하탐사 및 측량장비는 지하시설물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 차원의 지하시설물 측량을 정밀하게 행하고, 나아가 3차원 지하시설물의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을 통해 풍요롭고 안전하며 쾌적한 안전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측량은 지표면, 지하, 수중 및 공간의 일정한 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면 및 수치로 표시하고, 거리와 높이, 면적, 체적 및 변위의 계산을 하거나 도면 및 수치로 표시된 위치를 재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측량은 지도 제작, 연안 해역 측량, 측량용 사진촬영 등을 포함한다. 즉 측량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제점들 간의 상호 위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서 지표면, 지하, 수중, 해양, 공간 및 우주 등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내의 자연물, 인공 시설물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측량은 길이, 각, 시, 방향 등을 수치적으로 규명하며, 평면 및 곡면, 공간을 고려한 거리와 각의 조합 해석에 의하여 수평위치, 연직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시간 또는 도형과 함께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정량적 해석을 한다. 그리고 환경 및 자원에 대한 지형정보 수집, 해석 및 처리를 수행하는 의미로서 정성적 해석을 한다.
이와 같이 측량은 대상물 조사, 관측, 해석, 계획 및 설계 그리고 평가 및 유지관리 등의 처리과정을 도출하게 된다.
지속적인 경제, 사회, 문화 및 산업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전기회사, 수자원공사, 가스공사, 통신회사, 지역난방공사 등의 수많은 기관에서 매설한 각종 지하시설물 및 지하철, 지하공동구 등의 지하공간이 거미줄처럼 지하공간(대부분 지표면에서 지하 3m 이내의 심도)을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하지 못한 결과로 공사 중에 발생하는 각종 사고의 피해 정도가 과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시설물은 사회적 기반시설일 뿐만 아니라 정보화 사회 기간망인 관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사고 및 재난은 직접적인 물질적, 신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국민의 경제적 피해가 그 어느 때보다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은 도시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u-CITY)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지하시설물의 관리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시설물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매설상태가 획일화 되어있지 않으며, 복잡한 형태로 지하에 묻혀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확인, 점검 등의 신속한 안전관리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매설물들을 교체, 보수하기가 곤란하여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인적, 물적인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즉, 지하시설물의 설치 후 변경된 정보에 대해서는 현장이나 해당 지하시설물이 아닌 관리대장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관리하고 있고, 관리 소홀로 인하여 유효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보 획득이나 변경사항 확인 또한 수월하지 않아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수도 관리의 경우 맨홀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맨홀 내 악취 및 유해가스로 인해 작업자가 진입 후 호흡곤란 등으로 질식사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05709호(2017.02.06.),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각종 지하시설물의 정보가 보다 정확하면서 스마트(Smart)하게 제공되도록 하고, 지하시설물에 간편하게 수납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지하시설물의 업무 전산화에 의해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되, 특히 하수도의 배관 정보를 맨홀을 통해 쉽게 확인하도록 하고, 맨홀 주변에서의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효율을 높이면서 이러한 다수의 스마트 마커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매설된 하수관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E)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에 포함된 하수관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하지표(U)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와 다수의 지하지표(U)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하수관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단말기(T)와; 상기 사용자단말기(T)와 위치정보서버(P)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N)과; 상기 통신망(N)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T)에서 다수의 지상지표(E)와 지하지표(U)에 포함된 ID값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와 지하지표(U)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단말기(T)로 송신하는 위치정보서버(P);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지표(U)는 하수관을 연결하는 맨홀(100)의 맨홀커버(110)에 설치되는 스마트 마커(1)이고;
상기 스마트 마커(1)는 상향 개방형의 수납실(6)이 형성되는 본체(7)와; 복수의 결합수단(8)에 의해 본체(7)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9)와; 수납실(6)의 바닥 일측에는 하수도의 설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태그(5)를 지지하는 상향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수납실(6)의 바닥 타측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컨트롤러(11)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11)에는 가스검출센서(SEN)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스검출센서(SEN)는 상기 스마트 마커(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맨홀(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맨홀(100) 내부의 일측면에는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이 배관되고,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의 단부에는 악취제거수분사노즐(220)이 설치되어 악취제거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은 상기 맨홀(100)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맨홀(100) 외측에 매립설치되고 악취제거수가 수용된 악취제거수탱크(200)와 연결되며;
상기 맨홀(100)의 하부 양측에는 하수관중 인렛관(P1)과 아웃렛관(P2)을 연결 배관하되, 인렛관(P1)은 아웃렛관(P2) 보다 높게 배관된 후 그 하면은 아웃렛관(P2)을 향해 라운드 가공되게 구성되며, 상기 인렛관(P1)의 단부에는 플랩(F)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지하시설물의 정보가 보다 정확하면서 스마트(Smart)하게 제공되도록 하고, 지하시설물에 간편하게 수납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지하시설물의 업무 전산화에 의해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되, 특히 하수도의 배관 정보를 맨홀을 통해 쉽게 확인하도록 하고, 맨홀 주변에서의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효율을 높이면서 이러한 다수의 스마트 마커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되는 표지 및 탐지기와 리더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커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커가 맨홀에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살수유닛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자리 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M)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E)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에 포함된 지하시설물(M)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하지표(U)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와 다수의 지하지표(U)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M)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단말기(T)와; 상기 사용자단말기(T)와 위치정보서버(P)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N)과; 상기 통신망(N)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T)에서 다수의 지상지표(E)와 지하지표(U)에 포함된 ID값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와 지하지표(U)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단말기(T)로 송신하는 위치정보서버(P)로 구성된다.
그리고, 국토지리정보원서버(S)는 위치정보서버(P)가 요청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쉽게 다시 정리하자면, 도 2의 예시와 같이 위치정보서버(P)는 WAS 서버의 개념으로서 관제센터와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관제에 필요한 정보를 통신하며, 또한 웹기반의 GI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국토지리정보원서버(S)는 도 2에서 유관기관1,2,..n에 해당하며, WAS 서버의 GIS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도록 필요한 지도정보,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관제센터에서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단말기(T)는 모바일 현장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경우, 모바일은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PDA, 타블렛 PC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 외 기타 도 2에 도시된 업무DB 서버 등은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거나 혹은 처리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포함되는 수단이다.
아울러, 모바일 현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상지표(E)는 도 3의 표지탐지기(TR) 및 리더기(RD)와 와이파이 장치를 포함하며, 지하지표(U)는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마커(1, 도 4 참조)를 사용한다.
상기 스마트 마커(1)는 고유의 식별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수도 관리에 사용된다. 즉, 상기 지하시설물(M)은 구체적으로 하수관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마커(1)는 하수도 관리에 필요한 맨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스마트 마커(1)는 하수관 교체 공사시 당연히 교체되어 정보가 갱신되도록 관리된다. 이에, 먼저 스마트 마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마커(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개방형의 수납실(6)이 형성되는 본체(7)와; 복수의 결합수단(8)에 의해 본체(7)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9)와; 수납실(6)의 바닥 일측에는 전자태그(5)를 지지하는 상향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수납실(6)의 바닥 타측에는 컨트롤러(11)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수납실(6) 바닥 중앙에는 컨트롤러(11)를 비롯한 전자태그(5)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고정되는 배터리홈(1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전자태그(5)에는 특히, 하수도와 같은 지하시설물의 종류, 매설년월일, 재질, 구조물의 형상 및 용도, 위치정보, 제조일자, 제조사, 규격, 관리사 등 지하시설물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에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무선통신기기를 태그하거나 근접시켰을 때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방식은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은 배터리에 한정되지 않고, 상용전원을 끌어와 어댑팅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9)는 결합수단(8)에 의해 결합공(23)에 결합되면서 본체(7)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9)의 상부 표면에는 전자태그(5)가 내장되어 있음을 뜻하는 전자태그 심벌(17)이 표기되어 있어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수단(8)은 커버(9)의 가장 자리 부분에 소정 간격으로 하향 돌출되는 탄지부(18)와, 탄지부(18)가 탄성을 가지도록 탄지부(18) 양측에 형성되는 절개홈(19,20)과, 탄지부(18) 하단에 형성되고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과, 걸림턱(21)에 형성되는 경사면(22)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21)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결합공(23)에 결합된다.
아울러, 본체(7) 일측에는 측면과 상부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리홈(27)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홈(27)에는 소정 길이의 줄(string)을 걸 수 있도록 하여 휴대시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커(1)는 도 6의 예시와 같이, 맨홀(100)의 맨홀커버(1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마커(1)의 컨트롤러(11)에는 가스검출센서(SEN)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스검출센서(SEN)는 상기 스마트 마커(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맨홀(100) 내부에 배치되어 맨홀(100) 내부에서의 유해가스(예, 메탄, 이산화탄소 등) 농도를 검출하여 그 검출결과를 컨트롤러(11)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100) 내부에는 사다리(120)가 설치된 반대면에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이 배관되고,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의 단부에는 악취제거수분사노즐(220)이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악취제거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맨홀(100)의 하부 양측에는 하수관중 인렛관(P1)과 아웃렛관(P2)이 연결 배관되되, 인렛관(P1)은 아웃렛관(P2) 보다 높게 배관된 후 그 하면은 아웃렛관(P2)을 향해 라운드 가공되게 구성함으로써 하수를 매우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인렛관(P1)의 단부에는 플랩(F)을 설치하여 하수의 배출이 없을 때에는 닫혀 있도록 하여 악취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랩(F)은 항상 닫히려는 방향으로 탄압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하면 쉽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은 상기 맨홀(100)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맨홀(100) 외측에 배관되고, 맨홀(100) 외측에 매립설치된 악취제거수탱크(2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의 관로상에는 공급펌프(230)가 설치되고 컨트롤러(11)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선되어 가스검출센서(SEN)의 검출값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때만 상기 컨트롤러(11)가 일정시간 동안 상기 공급펌프(230)를 구동시켜 악취제거수를 맨홀(10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악취제거수탱크(200)의 상단부에는 수중저온플라즈마발생기(240)가 설치되며, 악취제거수탱크(200)에는 상수관으로부터 인출된 수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일정수위에 이르면 자동으로 공급을 차단하고 수위가 떨어지면 다시 공급하도록 공지의 방식(부레 등)으로 구현된다. 만약, 상수관이 없을 경우에는 별도로 물펌프를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 수중저온플라즈마발생기(240)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악취제거수탱크(200)의 상단에 조립 고정되는 발생기하우징(242)과, 상기 발생기하우징(242)에 내장되는 원통형상의 절연체(244)와, 상기 절연체(244)의 하단면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음극고정구(246)와, 상기 절연체(244)의 외주면 일부에 접속되어 절연체(244)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된 공기관(AP)과, 상기 음극고정구(246)에 접속된 음극(-)과, 상기 절연체(244) 및 음극고정구(246)를 관통하여 상기 악취제거수탱크(200)까지 연장되어 악취제거수 속에 침지된 양극(+)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과 음극(-)에는 상용전원이 접속되는데, 상기 컨트롤러(11)에 의해 스위칭되어 필요할 때만 전기가 통하도록 제어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관(AP)은 맨홀(100)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되어 공기가 자연스럽게 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관(AP)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급되는 공기가 절연체(244) 내부에서 음극고정구(246)를 향해 흘러가면서 플라즈마 발생효율을 높이게 된다.
다시 말해, 방전 전극 사이에서 공기, 즉 산소가 존재케 함으로써 방전효율을 높이게 된다.
여기에서, 수중저온플라즈마란 저온상태인 물속에서 전류가 방전되면서 플라즈마 살균효과를 구현하는 것으로 수중방전에 의한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에 의해 물 분자가 수소이온, 산소이온, 수산기 라디칼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라디칼 다발로 분리되고, 이중에서 특히 수산기 라디칼은 강력한 소독작용 및 냄새제거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바뀐 살균수를 즉시에 오염원으로 분사 공급토록 하여 악취 제거 및 살균 소독 효과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물로 환원되기 때문에 2차 오염이 없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살균, 악취 제거 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더구나, 플라즈마 발생시 물속에서 생성되는 마이크로나노버블은 지속적으로 하얗게 기포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나노버블이 오염물에 접촉하면서 파열에 의한 악취, 균류 등을 살균 포집, 파괴하여 냄새 제거, 강력한 소독작용을 구현해 내게 된다.
즉, 전압이 인가되면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면서 저온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이것은 물을 분해하여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을 포함한 다수의 라디칼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11)가 공급펌프(230)를 가동시켜 이 살균수를 맨홀(100) 내부로 분사시켜 살균토록 함으로써 그 과정에서 악취 제거, 분해가 일어나 메탄 발생도 억제, 제거하게 된다.
때문에,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친환경적인 악취 제거도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맨홀커버(110)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살수유닛(300)이 조립 설치되고, 하절기 맨홀(100) 상부의 건조한 공기를 냉각시킬 목적 및 도로 청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살수유닛(300)을 통해 살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살수유닛(300)은 상기 맨홀커버(110)에 조립되는 유닛하우징(310)과, 상기 유닛하우징(310)에 끼워져 분리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승강되는 유동노즐(320)과, 상기 유동노즐(320)의 하단과 유닛하우징(310) 내부 바닥면에 각 단부가 고정되어 유동노즐(320)을 항상 유닛하우징(310) 속으로 장입시키는 압축스프링(330)과, 상기 유닛하우징(310)의 하단에 연결된 수공급관(3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동노즐(320)의 둘레에는 분사구멍(322)이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었을 때 일정각도로 물을 살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공급관(340)은 통상 상수관(일정 수압이 있음)에서 인출하여 상수관을 흐르는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수관이 없을 경우에는 별도로 공급할 수 있게 설계하면 된다.
그리하여, 온도검출에 따라 컨트롤러(11)를 통해 수공급관(340)으로 공급되는 밸브(미도시)를 개폐 제어하게 하여, 일정 온도를 초과하면 물을 공급하여 그 수압에 따라 유동노즐(320)이 상승하면서 살수하고, 물 공급을 중단하면 수압이 떨어지기 때문에 압축스프링(330)의 압축력에 의해 유동노즐(320)이 다시 하강하여 수납 보관되는 방식으로 살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도심 열섬 현상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E: 지상지표
U: 지하지표
T: 사용자단말기
N: 통신망
P: 위치정보서버

Claims (1)

  1. 매설된 하수관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E)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에 포함된 하수관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하지표(U)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와 다수의 지하지표(U)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하수관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단말기(T)와; 상기 사용자단말기(T)와 위치정보서버(P)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N)과; 상기 통신망(N)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T)에서 다수의 지상지표(E)와 지하지표(U)에 포함된 ID값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E)와 지하지표(U)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단말기(T)로 송신하는 위치정보서버(P);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지표(U)는 하수관을 연결하는 맨홀(100)의 맨홀커버(110)에 설치되는 스마트 마커(1)이고;
    상기 스마트 마커(1)는 상향 개방형의 수납실(6)이 형성되는 본체(7)와; 복수의 결합수단(8)에 의해 본체(7)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9)와; 수납실(6)의 바닥 일측에는 하수도의 설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태그(5)를 지지하는 상향 돌출부(10)가 형성되고, 수납실(6)의 바닥 타측에는 상용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컨트롤러(11)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11)에는 가스검출센서(SEN)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스검출센서(SEN)는 상기 스마트 마커(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맨홀(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맨홀(100) 내부의 일측면에는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이 배관되고,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의 단부에는 악취제거수분사노즐(220)이 설치되어 악취제거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악취제거수공급관(210)은 상기 맨홀(100)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맨홀(100) 외측에 매립설치되고 악취제거수가 수용된 악취제거수탱크(200)와 연결되며;
    상기 맨홀(100)의 하부 양측에는 하수관중 인렛관(P1)과 아웃렛관(P2)을 연결 배관하되, 인렛관(P1)은 아웃렛관(P2) 보다 높게 배관된 후 그 하면은 아웃렛관(P2)을 향해 라운드 가공되게 구성되며, 상기 인렛관(P1)의 단부에는 플랩(F)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KR1020190116830A 2019-09-23 2019-09-23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KR10204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30A KR102046884B1 (ko) 2019-09-23 2019-09-23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30A KR102046884B1 (ko) 2019-09-23 2019-09-23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884B1 true KR102046884B1 (ko) 2019-11-21

Family

ID=6869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830A KR102046884B1 (ko) 2019-09-23 2019-09-23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510B1 (ko) 2022-10-11 2023-02-28 (주)조은공간정보 지하시설물의 위치 변화를 감시하는 지하시설물 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77380B1 (ko) * 2023-03-02 2024-06-24 주식회사 사성공간정보 자기마커를 이용한 상수도관 지하시설물 검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524A (ko) * 2011-12-19 2013-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101705709B1 (ko) 2016-07-13 2017-02-13 (주)대동지앤에스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KR101714341B1 (ko) * 2015-10-30 2017-03-09 주식회사 스마트지오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KR20180022120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부원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524A (ko) * 2011-12-19 2013-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101714341B1 (ko) * 2015-10-30 2017-03-09 주식회사 스마트지오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KR101705709B1 (ko) 2016-07-13 2017-02-13 (주)대동지앤에스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KR20180022120A (ko) * 2016-08-23 2018-03-06 주식회사 부원 밀봉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맨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510B1 (ko) 2022-10-11 2023-02-28 (주)조은공간정보 지하시설물의 위치 변화를 감시하는 지하시설물 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77380B1 (ko) * 2023-03-02 2024-06-24 주식회사 사성공간정보 자기마커를 이용한 상수도관 지하시설물 검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718B1 (ko) 환경시설의 대기오염가스 확산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가상물리-기반 3차원 확산 예측지도 작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6884B1 (ko)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CN106352247B (zh) 一种管网监测控制系统及采用该系统实现的监测控制方法
CN203849605U (zh) 一种智慧管网
Shahzad et al. Rapid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services for strategic planning
KR101915933B1 (ko) 통신 컨트롤러 및 생태어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하천 환경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WO2010065343A2 (en) Method of predicting the location of microbiologically influenced corrosion of underground items
Lungariya et al. Analysis of continuous water distribution in Surat city using EPANET: a case study
KR102330556B1 (ko) 스마트 시티 물관리 시스템
Godfrey et al. Water Safety Plans for Utilities in Developing Countries-A case study from Kampala, Uganda
KR102104930B1 (ko)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Prabaharan et al. Geostatistical modelling for groundwater pollution in Salem, Tamilnadu-a GIS based approach
Kumar et al. Urban water supply and management
Sargaonkar et al. Risk assessment study for water supply network using GIS
Butterworth et al.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climate resilient water services in the Afar and Somali regions of Ethiopia
Hołota et al. Localization method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s using chlorine concen-tration measurements in real water network
Shamizadeh et al. Modeling the Chlorine Gas Dispersion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Koontz et al. SPECIAL REPORT: The Permitting of Desalination Facilities: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Mohammed et al. Evaluation of sustainable site selection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hospitals: Karbala city as a case study
Moock et al. Creating a Comprehensive Survey and Preventative Maintenance Plan for Water Piping Infrastructure on a Historic College Campus
KR101539587B1 (ko) 스마트마커를 이용한 모바일 지하시설물 모니터링 방식이 적용된 시스템
Ibitoye et al. A GIS-based assessment of potable water network distribution in Osogbo, Nigeria
Bond et al. Systems analysis of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considering impacts of CO2 leakage in terrestrial systems
Opujan et al. A proposed design of a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epanet for Serere District
Ntumwa Supply pressure and quality of water along distribution network of small supply scheme: a case of Mukono district, Ug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