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09B1 -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09B1
KR101705709B1 KR1020160088726A KR20160088726A KR101705709B1 KR 101705709 B1 KR101705709 B1 KR 101705709B1 KR 1020160088726 A KR1020160088726 A KR 1020160088726A KR 20160088726 A KR20160088726 A KR 20160088726A KR 101705709 B1 KR101705709 B1 KR 10170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information
indicators
underground facility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주)대동지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지앤에스 filed Critical (주)대동지앤에스
Priority to KR102016008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지표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의 방지를 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that improves the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change}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기술 분야 중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지표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의 방지를 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가 첨단화, 기능화하면서 지하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활용공간으로 자리매김을 하여 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매설된 수많은 상하수도, 전력, 통신, 가스 등의 지하시설물들은 그 위치와 심도가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관리주체가 다양하고 분산 관리되어 효율적인 관리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하탐사 및 측량장비는 지하시설물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 차원의 지하시설물 측량을 정밀하게 행하고, 나아가 3차원 지하시설물의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을 통해 풍요롭고 안전하며 쾌적한 안전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측량은 지표면, 지하, 수중 및 공간의 일정한 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면 및 수치로 표시하고, 거리와 높이, 면적, 체적 및 변위의 계산을 하거나 도면 및 수치로 표시된 위치를 재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측량은 지도 제작, 연안 해역 측량, 측량용 사진촬영 등을 포함한다. 즉 측량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제점들 간의 상호 위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서 지표면, 지하, 수중, 해양, 공간 및 우주 등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내의 자연물, 인공 시설물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측량은 길이, 각, 시, 방향 등을 수치적으로 규명하며, 평면 및 곡면, 공간을 고려한 거리와 각의 조합 해석에 의하여 수평위치, 연직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시간 또는 도형과 함께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정량적 해석을 한다. 그리고 환경 및 자원에 대한 지형정보 수집, 해석 및 처리를 수행하는 의미로서 정성적 해석을 한다.
이와 같이 측량은 대상물 조사, 관측, 해석, 계획 및 설계 그리고 평가 및 유지관리 등의 처리과정을 도출하게 된다.
지속적인 경제, 사회, 문화 및 산업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전기회사, 수자원공사, 가스공사, 통신회사, 지역난방공사 등의 수많은 기관에서 매설한 각종 지하시설물 및 지하철, 지하공동구 등의 지하공간이 거미줄처럼 지하공간(대부분 지표면에서 지하 3m 이내의 심도)을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하지 못한 결과로 공사 중에 발생하는 각종 사고의 피해 정도가 과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시설물은 사회적 기반시설일 뿐만 아니라 정보화 사회 기간망인 관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각종 사고 및 재난은 직접적인 물질적, 신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국민의 경제적 피해가 그 어느 때보다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은 도시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u-CITY)를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지하시설물의 관리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시설물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매설상태가 획일화 되어있지 않으며, 복잡한 형태로 지하에 묻혀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확인, 점검 등의 신속한 안전관리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매설물들을 교체, 보수하기가 곤란하여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하여 인적, 물적인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지하시설물의 설계시 고려되는 지하시설물로는 상하수도과, 한국전력선로, 한국통신선로, 도시가스관이 고려되는 점을 감안하여 지형도상에 기록되어져야 하는 지하시설물들의 속성들은 관의 재질, 관의 길이, 관의 직경, 관의 수, 관의 깊이, 관의 위치 등을 표시한 GIS를 구축하므로써 지하시설물의 시공시 대형사고를 막을 수 있고,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그 사고범위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지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하시설물도 수치지도화와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통해 상수도 관리, 하수도 관리, 관망해석, 상/하수도 도면 관리 및 출력, 상/하수도 시설물 통계, 거리 및 면적측정 기능/버퍼 존분석 등을 수행하는 상/하수도 유지관리시스템 등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상하수도를 비롯하여, 가스관, 송유관 등 지하시설물에 대해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은 확고하게 갖추어져 있는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58313호(2011-06-01), '지하 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지표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의 방지를 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에 포함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200)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다수의 지하 지표(20-1, 20-2, ..., 20-n)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위치정보 서버(5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40)과; 상기 통신망(4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ID값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서버(50) 및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국가지리정보원 서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서버(50)는 관제센터와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관제에 필요한 정보를 통신함과 아울러 웹기반의 GI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국토지리정보원 서버(60)는 여러 형태의 유관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30)는 모바일 현장 시스템을 의미하고; 상기 지상지표(10-1,10-2,..10-n)는 표지탐지기(310) 및 리더기(320)와 와이파이 장치를 포함하며, 지하지표(20-1,20-2,...20-n)는 고유의 식별번호(ID)를 갖고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주파수로 구분되며 매설깊이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 근거리통신표지(300)인 지하시설물 모니터링 방식이 적용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표지(300)는 볼형 스마트마커를 사용하며, 지하시설물(200)이 원통형상의 플랜지( F1,F2 ) 결합구조를 갖춘 경우에 적용하고, 표지보호구(400)에 의해 보호되되,
상기 표지보호구(400)는, 사각블럭 형태의 보호구본체(410)와 ;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근거리통신표지(30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삽입홈(420)과; 상기 표지보호구(400)를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 F1,F2 ) 사이로 끼워지도록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하단면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끼움편(440)과 ; 상기 끼움편(440)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F1,F2 )를 결속하는 볼트가 동시에 끼워지는 체결공(4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상면 일측에는 일정크기의 셀 내부에 축광물질이 채워진 상태로 밀봉되고, 셀들 사이 공간인 마디는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구조의 인디케이터바(45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지표와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의 기반정보, 위치정보, 지형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시공시마다 지하시설물을 조사하는 이중작업과 변경된 정보를 알지 못하고 시공하다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되는 표지 및 탐지기와 리더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되는 표지보호구의 예시도이다 .
도 5는 도 4의 사용예이다 .
6는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자리 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에 포함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200)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다수의 지하 지표(20-1, 20-2, ..., 20-n)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위치정보 서버(5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40)과; 상기 통신망(4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ID값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서버(50)로 구성된다.
이때, 미설명 부호 60은 국가지리정보원의 서버이며, 위치정보 서버(50)가 요청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쉽게 다시 정리하자면, 도 2의 예시와 같이 위치정보 서버(50)는 WAS 서버의 개념으로서 관제센터와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관제에 필요한 정보를 통신하며, 또한 웹기반의 GI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국토지리정보원 서버(60)는 도 2에서 유관기관1,2,..n에 해당하며, WAS 서버의 GIS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도록 필요한 지도정보,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관제센터에서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30)는 모바일 현장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경우, 모바일은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PDA, 타블렛 PC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 외 기타 도 2에 도시된 업무DB 서버 등은 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거나 혹은 처리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포함되는 수단이다.
아울러, 모바일 현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지상지표(10-1,10-2,..10-n)는 표지탐지기(310, 도 3 참조) 및 리더기(320, 도 3 참조)와 와이파이 장치를 포함하며, 지하지표(20-1,20-2,...20-n)는 근거리통신표지(300, 도 3 참조)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근거리통신표지(300)는 고유의 식별번호(ID)를 가지고 있으며,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주파수로 구분하고, 매설깊이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 표시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근거리통신표지(300)는 관의 종류, 심도 측정, ID 부여 및 속성정보를 수정, 편집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고, 표지별로 주파수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 자기표지와 달리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반영구적이고 가벼우며 단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실시간 도면편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즉, 근거리통신표지(300)는 다른 표현으로 스마트마커로서 도 3의 예시와 같이, 링형 또는 볼형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볼형 스마트마커, 그 중에서도 단일 코일이 감겨 있어 균일한 구형 RF 필드를 생성하는 Mar 10-3D(제조사:독일 sebaKMT)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지하시설물(200)을 매립할 때 일정 간격을 두고 근거리통신표지(300)를 부착하여 매립한다.
이때, 근거리통신표지(300) 매립시 근거리통신표지(300)의 위치값(x,y,z), 즉 3차원의 좌표값을 측량한다.
이 경우, 상기 3차원 좌표값은 사용자 단말기(30)와 통신망(40) 및 위치정보 서버(50)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으며, 실측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근거리통신표지(300)의 위치값이 확인되면 해당 근거리통신표지(300)의 ID값을 기본키로 하여 측량데이터 및 기타 지하시설물(200) 관련 속성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입력한다.
그러면, 해당 ID값에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 상태로 위치정보 서버(50)를 통해 저장되고 관리된다.
이때, 상기 정보에는 도면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지하시설물(200)을 유지관리하거나 혹은 주변을 굴착하거나 할 때 탐지기(310)를 이용하여 리더기(320)를 통해 근거리통신표지(300)를 탐지한다.
탐지기(310)는 근거리통신표지(300)의 유무를 탐지하고, 근거리통신표지(300)가 탐지되면 리더기(320)가 탐지된 근거리통신표지(300)의 ID값을 읽어 와이파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30)는 통신망(40)을 통해 위치정보 서버(50)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30) 화면 상에서 해당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조회하고, 필요한 경우 편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표지보호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지보호구(400)는 지하시설물(200)에 함께 매립되는 근거리통신표지(300)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유실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표지보호구(400)는 사각블럭 형태의 보호구본체(4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상면에는 일정크기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삽입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20)은 상술한 볼형 근거리통신표지(30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이 속에 갇힘으로써 토압에 견디면서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근거리통신표지(300)는 스마트마커로서 단일 코일방식으로 리더기(320) 혹은 표지탐지기(310)와 상호작용하여 RF신호를 발진시키므로 전자기신호, 즉 전자파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삽입홈(420)의 내주면은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띠 형태의 동박안테나(430)가 형성되고, 상기 동박안테나(430)는 유전 에폭시수지 조성물로 코팅되며, 각 동박안테나(430)의 하단은 한 곳에 모인 후 상기 근거리통신표지(300)의 발진코일( 미도시 )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저유전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유전층을 구성하여 상기 동박안테나(430)를 통해 발진되는 전파손실을 최소화하고 전달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DCPD ( 디사이클로펜타디엔 )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5중량부 , 무수말레인산 5중량부 , 실란커플링제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DCPD 에폭시수지는 저유전특성과 방습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주성분이고,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는 절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무 수말 레인산은 경화를 촉진하면서 평활한 면을 얻기 위해 첨가되고, 실란커플링제는 커플링성과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420)의 바닥면은 볼형 근거리통신표지(300)에 맞게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면 더욱 좋다.
아울러,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표면에는 상기 삽입홈(420)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표면에 내식성 도포제가 스프레이 된다.
상기 내식성 도포제는 부식 방지를 위한 것으로, 물 100중량부에 대해 디-라우릴 설파이드 8중량부 , 중질탄산칼슘 2중량부 , 수용성 라텍스 10중량부 , 글리옥살 4중량부, 티타늄 0.5중량부, 몰리브덴 0.5중량부로 조성할 수 있다.
이때, 디-라우릴 설파이드는 산화방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내부식성을 억제하고, 중질탄산칼슘은 백색도를 유지하며, 수용성 라텍스는 접착성을 높이게 되고, 글리옥살은 내수화 기능을 수행하여 내식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 그리고, 티타늄과 몰리브덴은 대표적인 내식성 물질이다.
아울러, 상기 내식성 코팅제를 0.1mm의 두께로 스프레이한 상태에서 고압수로 24시간 분사하여 박리여부를 체크한 결과 박리되지도 않았고, 부식도 일어나지도 않았다.
그리고,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하단면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플랜지( F1,F2 )의 둘레면에 안정적으로 접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보호구(400)는 플랜지( F1,F2 ) 결합을 갖는 관상체로 된 지하시설물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지보호구(400)를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 F1,F2 ) 사이로 끼워지는 끼움편(440)이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하단면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끼움편(440)에는 상기 플랜지( F1,F2 )를 결속하는 볼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공(44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끼움편(440)는 최대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하되 바람직하기로는 1-2mm가 좋다. 이 정도 두께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플랜지(F1,F2)들 사이에 플렉시블한 씰링재를 덧댄 상태에서 고정할 때 상기 끼움 편(440)의 존재로 인해 씰링 불량이 발생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최소 두께로 구성함으로써 씰링재의 탄성변형 범위내에서 충분히 씰링해낼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상면 일측에는 다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디케이터바(4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바(450)는 일정크기의 셀 내부에 축광물질이 채워진 상태로 밀봉되고, 셀들 사이 공간인 마디는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구조를 갖춤으로써 공사중 잘못 건드려서 셀이 떨어져나가게 되면 축광물질이 발광되게 되므로 작업자가 매설물이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표지보호구(400)가 근거리통신표지(3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통신상태를 양호하게 하며, 유실 위험성을 극소화시키므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30: 사용자 단말기 40: 통신망
50: 위치정보 서버 300: 근거리통신표지
400: 표지보호구

Claims (1)

  1. 다수 지점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에 포함된 지하시설물(200)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시설물(200)과 함께 지하에 매설되는 다수의 지하지표(20-1, 20-2, ..., 20-n)와;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 10-n)와 다수의 지하 지표(20-1, 20-2, ..., 20-n)에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와 지하지표가 설치된 지점의 기반정보, 위치정보와 인근에 매설된 지하시설물(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단말기(3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와 위치정보 서버(50)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40)과; 상기 통신망(4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ID값을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지상지표(10-1, 10-2, ...10-n)와 지하지표(20-1, 20-2, ..., 20-n)에 포함된 정보를 해독하여 다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서버(50) 및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국가지리정보원 서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서버(50)는 관제센터와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관제에 필요한 정보를 통신함과 아울러 웹기반의 GI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국가지리정보원 서버(60)는 여러 형태의 유관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30)는 모바일 현장 시스템을 의미하고; 상기 지상지표(10-1,10-2,..10-n)는 표지탐지기(310) 및 리더기(320)와 와이파이 장치를 포함하며, 지하지표(20-1,20-2,...20-n)는 고유의 식별번호(ID)를 갖고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주파수로 구분되며 매설깊이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 근거리통신표지(300)인 지하시설물 모니터링 방식이 적용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표지(300)는 볼형 스마트마커를 사용하며, 지하시설물(200)이 원통형상의 플랜지(F1,F2) 결합구조를 갖춘 경우에 적용하고, 표지보호구(400)에 의해 보호되되,
    상기 표지보호구(400)는, 사각블럭 형태의 보호구본체(410)와;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근거리통신표지(30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삽입홈(420)과; 상기 표지보호구(400)를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F1,F2) 사이로 끼워지도록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하단면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끼움편(440)과; 상기 끼움편(440)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F1,F2)를 결속하는 볼트가 동시에 끼워지는 체결공(4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구본체(410)의 상면 일측에는 일정크기의 셀 내부에 축광물질이 채워진 상태로 밀봉되고, 셀들 사이 공간인 마디는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된 구조의 인디케이터바(45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KR1020160088726A 2016-07-13 2016-07-13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KR10170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26A KR101705709B1 (ko) 2016-07-13 2016-07-13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26A KR101705709B1 (ko) 2016-07-13 2016-07-13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709B1 true KR101705709B1 (ko) 2017-02-13

Family

ID=5815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26A KR101705709B1 (ko) 2016-07-13 2016-07-13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84B1 (ko) 2019-09-23 2019-11-21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KR102274853B1 (ko) * 2021-03-16 2021-07-07 이진권 전력선 지하화 및 유지보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313A (ko) 2009-11-26 2011-06-0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 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313A (ko) 2009-11-26 2011-06-01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 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84B1 (ko) 2019-09-23 2019-11-21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시스템
KR102274853B1 (ko) * 2021-03-16 2021-07-07 이진권 전력선 지하화 및 유지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0929A1 (en) Mapping and Detection of Pipelines using Low Power Wireless Sensor Network
CN202189153U (zh) 地下管线探测仪
US20110181289A1 (en) Locator assembly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buried objects and method of use
KR101173592B1 (ko) 매설관의 파손방지와 파손된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79001B1 (ko) 지하 매설물의 위치 측정 및 관리 시스템
EP31248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bove-ground pipelines in permafrost conditions
KR101958441B1 (ko) 전자표식장치 이용과 증강현실 구현으로 국토라이프라인 굴착, 시공 안전관리 시스템.
Dziadak et al. Model for the 3D location of buried assets based on RFID technology
EP35556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marking, locating and virtually displaying buried utilities
US6049279A (en) Detectable transponder conduit end cap
KR101705709B1 (ko) 지하시설물 위치변화를 개선한 측지측량 정밀시스템
KR20170000229A (ko) 스마트폰과 nfc태그를 이용한 표지기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CN104933831A (zh) 地质灾害监测站保护设备
KR20150126432A (ko) 지하매설물 파손 위험 감지시스템 및 방법
Fenais et al. Using augmented reality in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to reduce the risk of utility damages
KR101388131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지하매설 상하수도관의 위치 측정 장치
CN204374440U (zh) 一种管线球型电子标识器
Uslu et al. Underground utility locating technologies for condition assessment and renewal engineering of water pipeline infrastructure systems
Bikbulatova et al. Application of geodetic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underground pipelines
KR100481066B1 (ko)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90058421A1 (en) Service tee marker fixture
US20190361145A1 (en) Electronic marker with integral level indicator
KR102366911B1 (ko) 실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 지하시설물의 정보 제공시스템
US200801295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lizing Anomalies Located Inside a Hollow Structure Located on Bare Ground and/or Buri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