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391B1 -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391B1
KR102158391B1 KR1020180095699A KR20180095699A KR102158391B1 KR 102158391 B1 KR102158391 B1 KR 102158391B1 KR 1020180095699 A KR1020180095699 A KR 1020180095699A KR 20180095699 A KR20180095699 A KR 20180095699A KR 102158391 B1 KR102158391 B1 KR 102158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ore
magnetic member
moving part
ore samp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242A (ko
Inventor
최충달
Original Assignee
티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3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를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형성하여 소결광 시료를 부착시켜 채취하기 위한 자력부재; 상기 이동부와 자력부재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중인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소결광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채취하는 소결광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채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소결광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Sintered ore sample automatic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소결광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지정위치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산업(제철산업)에서 소결광의 품질관리를 위해서 일정량의 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버켓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소결광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벨트와 충돌하여 손상 및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이동중인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와 연동하면서 소결광 시료를 원활하게 채취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소결광 시료의 채취량을 정확하게 측정 및 파악할 수 없으므로 소결광의 채취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82791호(2004.09.30)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8018호(2011.03.17)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5789호(2012.10.19) 한국등록특허 제10-1442975호(2014.09.23) 한국등록특허 제10-1729422호(2017.04.24) 한국등록특허 제10-1746972호(2017.06.14) 한국등록특허 제10-1677378호(2016.11.18) 한국등록특허 제10-1819378호(2018.01.16)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4001호(2018.07.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소결광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여 지정위치로 배출할 수 있는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결광 시료의 정확한 채취량을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100)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를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부(120); 상기 이동부(120)의 하부에 형성하여 소결광 시료를 부착시켜 채취하기 위한 자력부재(130); 상기 이동부(120)와 자력부재(130)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20)는 양측에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바퀴(121); 상기 바퀴(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수단(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력부재(130)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력부재(130)의 하부 중앙에 형성하는 굴곡부(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동부(120) 또는 자력부재(130)의 일측에 채취하는 소결광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자력부재(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무게측정센서(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력부재(130)의 하부 일측에 소결광(A)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 조절유닛(140)을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측정센서(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20)와 자력부재(130)의 양측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부에 상기 자력부재(130)의 일측과 연결하는 제1관절부(151);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부에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과 연결하는 제2관절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중인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소결광 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채취하는 소결광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채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소결광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를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부(120); 상기 이동부(120)의 하부에 형성하여 소결광 시료를 부착시켜 채취하기 위한 자력부재(130); 상기 이동부(120)와 자력부재(130)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1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는 벨트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자력부재(130)가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하여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120)는 소결광 시료(B)를 채취 및 배출하기 위한 상기 자력부재(130)를 벨트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에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바퀴(121); 상기 바퀴(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수단(1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122)은 상기 바퀴(121)를 회전시켜 이동할 수 있는 모터 또는 모터와 감속기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120)는 중간을 수평방향으로 양분하고 그 사이에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레일(123);을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가 이동중인 소결광 시료(B)의 상부에 맞닿은 상태로 일정거리를 함께 이동하면서 원활하게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부재(130)는 자력을 발생시켜 소결광 시료(B)를 부착시켜 채취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함에 따라서 자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석을 이용한다.
이때 소결광(A)의 내부에는 철분이 포함된 상태이므로 자력을 이용하여 쉽게 달라붙어 채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부재(130)의 하부 중앙에 형성하는 굴곡부(130a);를 포함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불룩하게 쌓여있는 소결광 시료(B)가 상기 굴곡부(130a)의 표면에 원활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이동부(120) 또는 자력부재(130)의 일측에 채취하는 소결광 시료(B)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센서(131);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설정한 무게를 갖는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측정센서(131)는 로드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부재(130)는 상기 무게측정센서(131)를 통해서 측정한 소결광 시료(B)의 무게와 사전에 작업자가 설정한 무게를 비교하여 무게를 초과할 경우 자력을 해제하여 소결광 시료(B)를 떨어뜨려서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력부재(130)의 하부 일측에 소결광(A)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 조절유닛(140)을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측정센서(132);를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가 원활하게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위치측정센서(132)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40)은 실린더, 스크류잭, 레크와 피니언 기어 등과 같이 상기 자력부재(1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와 자력부재(130)의 양측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가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0)는 스프링 또는 쇽업쇼버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부에 상기 자력부재(130)의 일측과 연결하는 제1관절부(151);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부에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과 연결하는 제2관절부(152);를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의 양측이 쌓여있는 소결광(A)의 형태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소결광 시료(B)를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제1관절부(151) 및 제2관절부(152)는 회동축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의 양측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가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소결광(A)의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40)의 작동으로 상기 자력부재(13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자력을 발생시켜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력부재(13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120)가 벨트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력부재(130)의 작동을 해지함으로써 소결광 시료(B)를 별도의 채취용기 또는 후속설비로 떨어뜨려서 배출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110: 몸체
120: 이동부 121: 바퀴
122: 구동수단 123: 레일
130: 자력부재 130a: 굴곡부
131: 무게측정센서 132: 위치측정센서
140: 높이 조절유닛
150: 탄성부재 151: 제1관절부
152: 제2관절부
A: 소결광 B: 소결광 시료

Claims (8)

  1.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를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형성하여 소결광 시료를 부착시켜 채취하기 위한 자력부재; 상기 이동부와 자력부재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중간을 수평방향으로 양분하고 그 사이에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가 이동중인 소결광 시료의 상부에 맞닿은 상태로 일정거리를 함께 이동하면서 원활하게 소결광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상기 이동부 또는 자력부재의 일측에 채취하는 소결광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자력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부재는 상기 무게측정센서를 통해서 측정한 소결광 시료의 무게와 사전에 작업자가 설정한 무게를 비교하여 무게를 초과할 경우 자력을 해제하여 소결광 시료를 떨어뜨려서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이동부는 양측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바퀴; 상기 바퀴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력부재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이고, 상기 자력부재의 하부 중앙에 형성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부재의 하부 일측에 소결광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 조절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120)와 자력부재(130)의 양측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가 소결광 시료(B)를 채취할 경우 완충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부에 상기 자력부재(130)의 일측과 연결하는 제1관절부(151);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부에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과 연결하는 제2관절부(152);를 포함하여 상기 자력부재(130)의 양측이 쌓여있는 소결광(A)의 형태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소결광 시료(B)를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95699A 2018-08-16 2018-08-16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KR102158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99A KR102158391B1 (ko) 2018-08-16 2018-08-16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99A KR102158391B1 (ko) 2018-08-16 2018-08-16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42A KR20200020242A (ko) 2020-02-26
KR102158391B1 true KR102158391B1 (ko) 2020-09-22

Family

ID=6963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699A KR102158391B1 (ko) 2018-08-16 2018-08-16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3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6602A (ja) * 2011-03-18 2012-10-18 Ube Techno Enji Kk スラグ選別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32B2 (ja) * 1988-12-09 1996-02-07 日本碍子株式会社 汚泥のサンプリング方法
KR100797314B1 (ko) * 2001-12-21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다개소 코크스시료 채취장치
KR100517342B1 (ko) 2003-03-20 2005-09-2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분코크스의 입도시료 채취장치
KR20110028018A (ko)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포스코 샘플 채취 장치
KR101277236B1 (ko) 2011-04-11 201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시료채취장치
KR101433461B1 (ko) * 2012-09-28 2014-08-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로부터의 철편 추출장치
KR101442975B1 (ko) 2013-05-13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KR101677378B1 (ko) 2015-07-16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KR101746972B1 (ko) 2015-12-14 2017-06-14 주식회사 포스코 샘플 채취장치 및 채취방법
KR101729422B1 (ko) 2015-12-23 2017-04-2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슬래그 샘플 채취장치
KR101819378B1 (ko) 2016-10-20 2018-01-16 주식회사 포스코 용탕 샘플 채취장치
KR101885969B1 (ko) 2016-12-23 2018-09-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결합재 채취를 위한 샘플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6602A (ja) * 2011-03-18 2012-10-18 Ube Techno Enji Kk スラグ選別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42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5844B (zh) 一种打磨机器人及其工作方法
US10894697B1 (en) Self-detection device for liner plate of hoisting container and detection method
CN203758861U (zh) 冲击试验检测机
EP31064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ight determination and closed loop speed control
CN203602316U (zh) 一种钢球精研机卸球液压车
CN205852794U (zh) 真空吸附抓取机械手
TW201404639A (zh) 在舖設的軌道設備中將軌條的橫截面廓形檢出的裝置
CN202156879U (zh) 废滤芯更换转运容器载荷测量及过载保护装置
CN106395235B (zh) 一种直轴类零部件水浸式超声波探伤设备的上下料设备
CN111943098A (zh) 一种可自动调节配重位置的曲臂式高空作业车
CN108213363B (zh) 一种连铸连轧生产线线上自动过磅装置
KR102158391B1 (ko)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CN207258613U (zh) 升降滚床滑撬输送设备及其定位导向结构
JP2010162662A (ja) 切粉回収装置
KR102021196B1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210180395U (zh) 一种汽车零部件磨损检测装置
KR20120020353A (ko) 철 분진 자동 회수 장치
CN107588840A (zh) 一种自清洁式汽车衡
CN110044182B (zh) 高精度熔炼系统及其工作方法
JP4052616B2 (ja) 刃物研削方法および装置
JP5818626B2 (ja) 計量装置分解用治具および計量装置分解方法
CN105643155A (zh) 锥形钢管肋板焊接机器人
CN111908182A (zh) 自动装车输送装置
CN220018696U (zh) 一种基于滑槽计量的定量装车称
JP2015068691A (ja) 路面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