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50B1 - 공기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50B1
KR102157650B1 KR1020140017131A KR20140017131A KR102157650B1 KR 102157650 B1 KR102157650 B1 KR 102157650B1 KR 1020140017131 A KR1020140017131 A KR 1020140017131A KR 20140017131 A KR20140017131 A KR 20140017131A KR 102157650 B1 KR102157650 B1 KR 10215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mand mode
remote control
air conditioning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115A (ko
Inventor
우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 실내기;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작동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 그리고,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며,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을 강제적으로 한정하여 제어하는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디멘드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조공간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디멘드 제어를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난방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복수 개의 실내기와 연결된 실외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시스템이 설치된 빌딩은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운전 및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처를 찾아서 그 낭비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건물의 설비관리 및 설비운전 보수관리, 건물 내부 환경의 유지와 그로 인해 소비되는 에너지, 물질을 관리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이다.
상기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 및 특정 실내기 또는 실내기 그룹을 개별 또는 통합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중앙 제어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실제 공조공간과 별도로 마련된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제어기는 공조공간의 현재 온도와 설정 온도와 같은 지표를 기초로 실내기 및 실외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중앙 제어기는 공조공간의 인원수와 활동량 같은 공조공간의 세부적인 특성을 기초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디멘드(demand)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디멘드 전력 제어는 건물 전체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율을 제어함으로써 최대 수요전력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디멘드 전력 제어는 공조공간의 상태 및 사용자의 편의보다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제어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멘드 전력 제어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의 소비 부하를 순차적으로 낮춤으로써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멘드 제어모드에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에너지 절약 운전을 위하여 기설정된 운전율(예를 들어, 50%)로 실외기의 용량을 강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디멘드 전력 제어는 전력제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중앙제어기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므로, 디멘드 제어과정에서 개별 공조공간의 특성 및 사용자 편의가 무시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공조 공간에서 직접 디멘드 모드의 설정, 변경 및 해제가 가능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쾌적도를 손상하지 않도록 공조 공간의 개별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제어기뿐만 아니라 로컬 제어기를 통해 직접 디멘드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컬 제어기를 통해 디멘드 모드의 설정/해제뿐만 아니라 희망 운전율의 설정이 가능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 실내기;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작동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 그리고,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며,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을 강제적으로 한정하여 제어하는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디멘드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실내기 각각에 대해 구비되는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이고,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하여 제어되는 실내기와 대응되는 특정 실외기의 디멘드 모드가 설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기를 통해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 또는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은, 상기 중앙제어기를 통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보다 우선할 수 있다.
또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은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로 전달되며,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에 의해,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메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는 디멘드 모드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디멘드 모드 설정 시에는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때,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은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변경된 희망운전율은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 및 중앙제어기로 전달되며, 상기 실외기는 변경된 희망운전율에 따라 디멘드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상기 메뉴 내의 임의의 항목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이동 수단과 방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단의 조작을 통해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방향 버튼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버튼이 마련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표시부가 마련된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겹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버튼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펼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을 강제적으로 한정하여 제어하는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디멘드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공조 공간에서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직접 디멘드 모드의 설정, 변경 및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쾌적도를 손상하지 않도록 공조 공간의 개별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기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직접 디멘드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고,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디멘드 모드의 설정/해제뿐만 아니라 디멘드 모드시 희망 운전율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공기조화시스템의 정상 운전모드 및 디멘드 운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공기조화시스템(1)의 정상 운전모드 및 디멘드 운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시스템(1)은 실외기(O)와 상기 실외기(O)와 연결된 실내기(I: I11 내지 I19) 및 상기 실외기(O) 및 실내기(I)의 작동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O)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I)는 상기 실외기(O)로부터 공급된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O)와 실내기(I)는 냉매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화시스템(1)은 실외기(I)와 실내기(O) 간의 냉매 흐름의 방향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O) 및 실내기(I)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O)와 연결되는 실내기(I)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도 1을 참조하면, 9개의 실내기(I11 내지 I19)가 하나의 실외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외기와 연결된 실내기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I: I11 내지 I19)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실외기(O)는 복수의 실내기(I)와 연결되고, 어느 한 실내기의 요구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실내기(예를 들어, O)와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들(I11 내지 I19)는 하나의 제어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그룹은 중앙제어기(10)에 의한 통합 제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시스템(1)은 특정 실외기(O)를 기준으로, 상기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들이 하나의 제어그룹을 구성할 수고 있으나, 제어그룹은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여러 층을 갖는 빌딩에서는 하나의 층에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된다. 이때, 배관 및 케이블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하나의 층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모두 연결되지 않고, 서로 다른 실외기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느 한 층에 설치된 복수의 실내기가 하나의 제어그룹을 구성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기(10)에 의하여 개별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기(10)는 상기 실외기(O) 및 실내기(I)의 작동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기(10)는 실외기(O) 및 실내기(I)를 각각 개별 또는 그룹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기(10)는 실내기의 운전 상태 및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고,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가 아닌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10)는 복수의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 여부(온/오프 제어)와 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 동작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시스템(1)은 각각의 실내기들에 연결되며, 연결된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실내기로 전송하는 무선 로컬제어기(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는 상기 무선 로컬제어기(20)를 통하여 직접 실내기의 온(On)/오프(Off),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과 풍량 및 설정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1)은 상기 실내기(I)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I)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상기 무선 로컬제어기(20)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실내기(I) 각각에 대해 구비되는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의 개수는 실내기의 개수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1: 1의 비율로 대응하는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의 개수는 실내기의 개수보다 적게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해 복수 개의 실내기가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상기 실외기(O)의 운전 용량을 강제적으로 한정하여 제어하는 디멘드(damand)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디멘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하여 제어되는 실내기와 대응되는 특정 실외기의 디멘드 모드가 설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공조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하여 직접 실외기의 디멘드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멘드 전력 제어는 건물 전체의 소비전력을 감시하여 공기조화시스템(1)의 운전율을 제어함으로써 최대 수요전력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멘드 전력 제어는 공기조화시스템(1)의 전력 소비 부하를 순차적으로 낮춤으로써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멘드 제어모드에서, 절약 운전을 위하여 기설정된 운전율(예를 들어, 50%)로 실외기의 용량을 강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t1은 공기조화시스템(1)의 운전이 시작된 시점을 나타낸다. 이때, 공기조화시스템(1)은 100%의 운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100%의 운전율로 작동하는 것을 정상 운전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t2는 공기조화시스템(1)의 디멘드 운전이 시작된 시점을 나타낸다. 디멘드 운전시, 상기 실외기(O)의 운전용량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희망운전율로 제한된 상태에서 공기조화시스템(1)이 작동하는 것을 디멘드 운전 모드(또는 디멘드 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50%인 경우, 디멘드 모드가 설정되면 실외기(O)의 운전용량은 정상 운전모드의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미설명 부호 t3는 디멘드 운전이 해제된 시점을 나타낸다. 디멘드 모드가 해제되면, 공기조화시스템(1)의 운전율은 정상 운전모드(100%)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기(10)를 통해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멘드 모드의 설정 또는 해제는 관리자에 의해 중앙제어기(1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디멘드 전력 제어는 공조공간의 상태 및 사용자의 편의보다는 공기조화시스템(1)의 전력제어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해 공조 공간의 사용자가 직접 디멘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기(10)의 관리자는 공조공간의 현재온도, 설정온도, 전력사용량, 전력요금 등 수치로 된 지표를 통해 각각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로 된 지표는 공조공간의 세부 특성을 모두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공조 공간의 사용자가 직접 디멘드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경우, 공조 공간의 특성이 정확히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 시,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상기 실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 및 중앙 제어기(10)로 전달되어, 상기 실외기(O)는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에 따라 디멘드 모드로 운전될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은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은, 상기 중앙제어기(10)를 통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보다 우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제어기(10)를 통해 디멘드 모드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해 설정된 디멘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기(10)를 통해 디멘드 모드가 해제된 경우,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해 해제된 디멘드 모드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10)을 통해 디멘드 모드 설정시, 희망운전율을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하여 제어되는 실내기와 대응되는 특정 실외기의 디멘드 모드가 설정 및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과 연결된 실내기(I)를 통해 실외기(O)로 전달되며,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에 의해, 상기 실외기(O)의 운전 용량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로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의 디멘드 입력수단(예를 들어, 111)을 통해, 디멘드 모드의 운전이 선택되면,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이 해당 실내기로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는 실외기로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명령을 수신한 실외기는 해당 명령에 따라 실외기 용량 제어를 시작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로 제한된다.
이와는 다르게,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의 디멘드 입력수단(예를 들어, 111)을 통해, 디멘드 모드의 해제가 선택되면,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이 해당 실내기로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는 실외기로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명령을 수신한 실외기는 해당 명령에 따라 실외기 용량 제어를 해제함으로써 100%의 효율로 정상 운전을 실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메뉴가 표시되는 표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1)는 공기조화시스템(1)의 각종 공조정보와 상태정보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복수 개의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1)는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21)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21)는 입력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표시된 각종 정보(온도, 풍향, 풍량 등)를 터치함으로써, 특정 명령을 실행하거나,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는 디멘드 모드 메뉴(12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멘드 모드 설정 시에는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121c)가 상기 표시부(121)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디멘드 모드 메뉴(121c)는 각종 공조정보와 상태정보와 달리 표시부(121)를 통해 항상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디멘드 모드 설정 시에만 상기 표시부(12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121c)가 상기 표시부(121)에 표시될 때,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함께 상기 표시부(12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 시,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상기 실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O) 및 중앙 제어기(10)로 전달되어, 상기 실외기(O)는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에 따라 디멘드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상기 메뉴 내의 임의의 항목(121a 내지 121c)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이동 수단(112)과 방향 버튼(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수단(112)의 조작을 통해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121c)가 활성화되면, 상기 방향 버튼(113)을 통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변경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예를 들어, 111)에 의해, 상기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을 통하여, 제어되는 실내기와 대응되는 특정 실외기의 디멘드 모드가 설정 및 해제(114)되고 상기 디멘드 모드의 희망운전율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은 돔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메뉴는 디멘드 모드 메뉴와 디멘드 모드의 희망운전율 메뉴를 함께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디멘드 모드 설정 시에는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와 설정된 희망운전율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과 복수 개의 희망운전율 중 특정 희망운전율의 설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예를 들어, 111, 114)은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을 강제적으로 한정하여 제어하는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예를 들어, 111, 114) 그리고 디멘드 모드의 희망운전율을 설정(예를 들어, 113)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은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버튼(예를 들어, 111,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희망운전율은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희망운전율 중 특정 희망운전율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100)은,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버튼(예를 들어, 111, 112, 113, 114)이 마련된 제1 부재(110) 및 상기 제1 부재(100)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부재(1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제2 부재(120)는 제1 부재(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120)는 제1 부재(110)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120)에는 상기 표시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예를 들어, 111, 112, 113, 114)은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의 겹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버튼(예를 들어, 111, 112, 113, 114)은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의 펼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재(120)가 제1 부재(110)에 대하여, 제1 부재(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가 펼침 상태가 되면, 상기 버튼(예를 들어, 111, 112, 113, 114)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1: 공기조화시스템 10: 중앙 제어기
20: 로컬 제어기 100: 리모트 컨트롤 유닛
O: 실외기 I: 실내기

Claims (12)

  1. 복수 개 구비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연결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작동을 중앙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기; 그리고,
    상기 실내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며,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을 강제적으로 한정하여 제어하는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디멘드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멘드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하여 제어되는 실내기와 대응되는 특정 실외기의 디멘드 모드가 설정 또는 해제되며,
    상기 중앙제어기를 통해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은, 상기 중앙제어기를 통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 또는 해제명령보다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실내기 각각에 대해 구비되는 유선 리모트 컨트롤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디멘드 모드의 설정명령은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로 전달되며,
    상기 디멘드 모드의 설정에 의해, 상기 실외기의 운전 용량이 기설정된 희망운전율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메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는 디멘드 모드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디멘드 모드 설정 시에는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때,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은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변경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을 통해 변경된 희망운전율은 실내기를 통해 실외기 및 중앙제어기로 전달되며, 상기 실외기는 변경된 희망운전율에 따라 디멘드 모드로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상기 메뉴 내의 임의의 항목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이동 수단과 방향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단의 조작을 통해 상기 디멘드 모드 메뉴가 활성화되면, 상기 방향 버튼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희망운전율이 변경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디멘드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버튼이 마련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표시부가 마련된 제2 부재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겹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버튼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펼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20140017131A 2014-02-14 2014-02-14 공기조화시스템 KR10215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131A KR102157650B1 (ko) 2014-02-14 2014-02-14 공기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131A KR102157650B1 (ko) 2014-02-14 2014-02-14 공기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15A KR20150096115A (ko) 2015-08-24
KR102157650B1 true KR102157650B1 (ko) 2020-09-18

Family

ID=5405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131A KR102157650B1 (ko) 2014-02-14 2014-02-14 공기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691A (ja) * 2004-10-27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043306A (ja) 2009-08-24 2011-03-03 Shimizu Corp 省エネ空調制御システム
JP2013164193A (ja) * 2012-02-10 2013-08-22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153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9560B1 (ko) * 2010-03-05 2018-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전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2512B1 (ko) * 2011-02-07 201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691A (ja) * 2004-10-27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043306A (ja) 2009-08-24 2011-03-03 Shimizu Corp 省エネ空調制御システム
JP2013164193A (ja) * 2012-02-10 2013-08-22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15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9067B (zh) Air 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US10401882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system
EP2884194A1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household electrical system
EP161006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33869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721879B1 (ko) 공기조화시스템
JP5516448B2 (ja) 空調機システム
KR101721878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57650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1936634B1 (ko)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중앙관리 시스템
KR201500222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180770A (ja) 冷暖房自動切換システム
JP2012207868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448886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5002225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131185B2 (ja)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10138014A (ko) 공기조화시스템
JP7179530B2 (ja) 空調制御履歴表示装置、空調制御履歴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59009A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5655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053936A (ko) 공기 조화기와,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
KR20120059008A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1253195B1 (ko) 공기조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