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24B1 -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24B1
KR102157324B1 KR1020180143315A KR20180143315A KR102157324B1 KR 102157324 B1 KR102157324 B1 KR 102157324B1 KR 1020180143315 A KR1020180143315 A KR 1020180143315A KR 20180143315 A KR20180143315 A KR 20180143315A KR 102157324 B1 KR102157324 B1 KR 10215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evacuation
termin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780A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시설 및 건물, 또는 피난 안내도, 촉지도 및 비상 안내표지판에 부착되며, 재난시 대피자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로 과거 재난 이력 정보, 행동 요령 정보 및 재난물자 사용 정보를 전송하며,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들 간의 재난 상황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상기 비콘과 연동하여 상기 대피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들을 제공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자 정보를 대피자와 환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로부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며, 상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 및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긴급 재난 문자를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 상황 및 환자의 이송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art guidance service using a beacon}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각종 공공 시설물의 진입시 자동으로 재난상황, 또는 일반상황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긴급구조 및 자원봉사자들과 SNS 단체방을 통해 재난 상황 및 재난 대피 안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으며, 환자 발생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공유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부나 지방정부, 또는 기상청에서 긴급재난문자 발송시 시설물 등에는 몇몇 지점에서 출입구까지의 개략적인 대피 경로를 시설물의 입구 등에서 안내 표시판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 발생시 안내 표시판 만을 통해서는 원활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대다수의 대피자들이 유형별 재난에 따른 행동 요령이나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에 대한 지식이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재난 발생시 지식이나 경험 부족에 의한 2차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6466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고 함.)에는, 행사장이나 대형백화점 또는 공공기관에 있는 고객을 감지하여 고객의 위치좌표 및 이동방향 등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측위기기; 상기 위치측위기기에서 고객의 정보를 수신 받아 분석 및 보관하고, 상기 위치측위기기를 통해 공간 전체에 있는 고객의 정보를 통제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분석받은 정보를 수신 받아 모든 사람이 수신 받아 정보를 확인하며, 비상구로 분산유도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 역시 단순히 대피 경로만 제공하고 있을 뿐, 유형별 재난에 따른 행동 요령이나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2차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난시 발생하는 환자의 상태, 환자의 이송 여부 등에 대한 정보의 취득 및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의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신원정보를 파악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646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건물이나 각종 공공 시설물의 진입시 자동으로 재난상황, 또는 일반상황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재난시에는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일반상황에서는 이용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시 다수의 대피자들이 SNS 단체방을 통해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재난대피 위치, 행동 요령 및 재난 물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재난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피자들과 긴급구조 및 자원봉사자들이 SNS 단체방을 통해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재난 상황 및 재난 대피 안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시 발생하는 다수의 환자들에 대한 개인정보, 주요 부상 및 통증 부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전문 의료진들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환자를 이송하는 의료진 및 의료 기관에 대한 정보를 SNS 단체방을 통해 공유하고, 이송된 환자의 정보를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공시설 및 건물, 또는 피난 안내도, 촉지도 및 비상 안내표지판에 부착되며, 재난시 대피자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로 과거 재난 이력 정보, 행동 요령 정보 및 재난물자 사용 정보를 전송하며,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들 간의 재난 상황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상기 비콘과 연동하여 상기 대피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들을 제공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자 정보를 대피자와 환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로부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며, 상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 및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긴급 재난 문자를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 상황 및 환자의 이송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은,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지 재난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상황 감지부;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과거 재난 이력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대피자 단말이 비콘의 감지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대피자 단말로 상기 과거 재난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 상기 대피자 단말로, 상기 비콘이 부착되는 위치 및 구역에 대응하는 행동 요령 정보를 전송하는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 상기 대피자 단말로, 재난 물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비콘이 부착되는 위치 및 구역에 대응하는 재난 물자 사용 정보를 전송하는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 재난시 상기 대피자 단말로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대피 위치 정보를 전송하되,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정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정보, 또는 음성인식(STT: Speech to Text) 방식으로 전송하는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SNS 단체방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상기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SNS 연결부; 상기 대피자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후술할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노약자 정보를 전송받아 구조자 단말, SNS 단체방으로 전송하는 대피자 정보 제공부; 상기 상황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공공장소 및 건물의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대피자 단말로 편의 정보를 전송하는 편의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자 정보 제공부는, 지도 API를 통해 상기 대피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정보를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는, 상기 대피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공간 내 위치와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재난 문자를 분석하여 재난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분류부;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송된 대피자 정보를 일반 대피자 정보와 환자정보로 분류하는 대피자 분류부; 상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의 전송시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SNS 관리부; 상기 환자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 및 상기 비콘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정보들이 저장되고,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관리부;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환자정보에 포함된 대피자 단말로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에서 상기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환자의 주요 손상부위, 구급대원 긴급 치료 및 처치상황, 환자번호, 활력 징후, 중증도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사망, 긴급, 응급, 비응급으로 재 분류 및 이송 현황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긴급 재난 문자를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발송부;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재난 발생시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의 위치, 현재 상태 및 재난 상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피자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공간 내 위치와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를 상기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로 전송하는 상황 모니터링부; 및 전송된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로부터 대피자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대피자 단말를 통해 환자의 가족들에 대한 번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기 환자의 가족의 휴대단말로 환자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이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공공시설이나 건물에 부착된 비콘이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b) 상기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 경우, 대피자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로 편의정보 및 과거 재난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현재 상태가 재난 상태인 경우,상기 비콘이 대피자 단말로 행동 요령 정보, 재난 물자 사용 정보 및 대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비콘이 수집된 대피자 단말 정보와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를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에서 SNS 단체방 정보를 생성하고,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들과 관제서버로 각각 전송하여 실시간 재난 상황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에서 상기 대피자 단말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대피자 정보와 환자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차트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차트정보를 관제서버 및 SNS 단체방으로 전송하여 환자의 위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g) 상기 관제서버에서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통해 상기 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환자 가족의 휴대단말로 상기 환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가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재난 문자를 분석하여 재난의 유형을 파악한 후, 파악한 결과를 비콘으로 전송하여 상기 비콘이 상기 공공건물 및 건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f) 단계는, 상기 의료진 단말로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의료진 단말이 상기 환자정보에 포함된 대피자 단말로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에서 상기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환자의 주요 손상부위, 구급대원 긴급 치료 및 처치상황, 환자번호, 활력 징후, 중증도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사망, 긴급, 응급, 비응급으로 재 분류 및 이송 현황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관제서버로 지도 API를 통해 추적된 대피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대피자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공간, 또는 지역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이나 각종 공공 시설물의 진입시 자동으로 재난상황, 또는 일반상황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재난시에는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일반상황에서는 각종 환영 인사 메세지 및 쿠폰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난 발생시 다수의 대피자들이 SNS 단체방을 통해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재난대피 위치, 행동 요령 및 재난 물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재난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피자들과 긴급구조 및 자원봉사자들이 SNS 단체방을 통해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재난 상황 및 재난 대피 안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난시 발생하는 다수의 환자들에 대한 개인정보, 주요 부상 및 통증 부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전문 의료진들에게 제공하여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환자를 이송하는 의료진 및 의료 기관에 대한 정보를 SNS 단체방을 통해 공유하고, 이송된 환자의 정보를 상기 환자의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안내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일 수 있으며, 이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수단으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재난 상황 안내서버 및 관제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비콘(100),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 관제서버(300), 대피자 단말(400),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콘(100)은 각종 공공시설, 또는 건물의 입구, 천장, 기둥 등 주요 부분에 부착되며, 각종 피난 안내도 및 촉지도, 비상 안내표지판 등에 다수개로 부착될 수 있고, 소방기기, 비상전화, 인명 구조함, 자동 제세동기, 소화전이 포함되는 재난 물자가 보관되는 보관함 등에도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비콘(100)은 재난시 대피자 단말(400: 비 재난시에는 이용자 단말에 해당함.)로 대피 경로 정보와, 재난시 행동요령 및 재난물자 사용 정보를 제공하고, 대피자 단말(400)과 구조자 단말(500), 상기 대피자 단말(400)과 의료진 단말(600)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단체 대화방의 개설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또한, 비콘(100)은 비 재난시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입장시 입장하는 이용자들에게 환영 메세지, 공지사항 등을 송출하거나,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에 입주한 상점의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와 같은 편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비콘(100)은 상기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400: 재난시에는 대피자 단말에 해당함.)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400)이 공공시설 및 건물의 입장문에 부착된 상기 비콘(100)의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환영 메세지를 송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400)로 편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비콘(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감지부(110),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120),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140), SNS 연결부(150),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 및 편의 정보 제공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황 감지부(110)는 현재 상태가 재난 상태인지 일반적인 상태(비 재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에 따라 이용자, 또는 대피자 단말(400)로 상황에 따른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 감지부(110)는 후술할 관제서버(300)의 재난 정보 발송부(310)로부터 긴급 재난 문자가 발송되는 경우, 현재 상태를 재난 상태로 변경하고, 긴급 재난 문자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비콘(100)이 부착된 공공시설 및 건물에 대한 과거 재난 이력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비콘(100)의 감지 가능 영역으로 이용자, 또는 대피자 단말(400)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 또는 대피자 단말(400)로 해당하는 공공시설 및 건물의 과거 재난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용자, 또는 대피자 단말(400)에 재난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알람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 메세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경로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120)는 후술할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재난 정보 분류부(210)와 연동하여 상기 재난 정보 분류부(210)로부터 유형별로 분류된 재난 이력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는 대피자 단말(400)로 재난시 대피자가 취해야 할 행동 요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는 상기 행동 요령 정보가 저장되며, 후술할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정보 관리부(25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관리부(250)를 통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행동 요령 정보는, 가상의 대피자의 모션을 캡쳐하는 인체 모션 캡처 시스템 활용하여 제작된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는 비콘(100)이 부착되는 위치 및 구역에 대응하는 행동 요령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비콘(100)이 건물의 출입문에 부착되는 경우, 재난 발생시 상기 재난의 유형에 따라 출입문 주변에 위치하는 대피자들이 취해야 할 행동 요령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물의 화장실, 사무실 및 상점과 같은 실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행동 요령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행동 요령 정보는 재난의 유형별로 분류된 정보로 이루어진다. 또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데이터로 제공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는 대피자 단말(400)이 선택한 상기 행동 요령 정보의 형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대피자 단말(400)이 비콘(100)이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상황 감지부(110)에 의해 현재 상태가 재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는 대피자가 가장 간편하고 빠르게 행동 요령 정보의 습득이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메뉴를 전송하고, 선택메뉴로부터 선택된 증강현실 데이터, 가상현실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대피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180)는 재난시 사용되는 재난 물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에 대한 재난 물자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비콘(100)이 부착되는 위치 및 구역에 대응하는 재난 물자 사용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대피자 단말(400)은 재난시 재난 물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재난 물자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180)로부터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어 대피자가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을 모른다 하더라도 상기 재난 물자 사용 정보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180)는 재난 물자 사용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와 마찬가지로 정보 관리부(250)를 통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난 물자 사용 정보는, 가상의 대피자의 모션을 캡쳐하는 인체 모션 캡처 시스템 활용하여 제작된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정보로 이루어지거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180) 역시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와 같이 대피자 단말(400)이 선택한 상기 행동 요령 정보 및 재난 물자 사용 정보의 형태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140)는 상황 감지부(110)에 의해 일반 상태에서 재난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대피자 단말(400)로 대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재난의 유형에 따라 대피가 이루어질 비상구 또는 비난 안내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대피 위치 정보는, 비콘(100)이 부착된 공공시설 및 건물에 대한 비상 대피도 또는 피난 안내도와 같은 맵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맵 정보를 이동하는 모션을 캡쳐하는 인체 모션 캡처 시스템 활용하여 제작된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따라 푸쉬 알람, 또는 문자 메세지를 통해 대피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140)는 지하철역이나 기차역, 공항 및 항만 등에 배치된 안내도 및 점자 안내도에 나타나 있는 대피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을 조작하기 어려운 장애인이나 노인들에게도 대피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음성인식(STT: Speech to Text)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SNS 연결부(150)는 재난이 발생한 공공시설, 또는 건물에 위치하는 다수의 대피자 단말(400)들 간의 실시간 재난 상황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피자 SNS 단체방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SNS 연결부(150)는 상기 대피자 단말(400)과 소방대원, 구조대원, 자원 봉자사들이 소지하는 구조자 단말(500)들 간의 실시간 재난 상황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조자 SNS 단체방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SNS 연결부(150)는 상기 대피자 단말(400) 및 의료진 단말(600)들 간의 실시간 환자 정보를 공유하는 환자 SNS 단체방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SNS 연결부(150)는 후술할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SNS 관리부(23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SNS 관리부(230)에 의해 생성된 카카오톡, 텔레그램 등과 같은 SNS 단체방 정보를 각각의 단말들(400, 500, 600)로 전송하여 참여 여부에 대한 확인 신호를 수신받고, 수신이 이루어진 각각의 단말들(400, 500, 600)에 대한 정보를 정보 관리부(250)로 전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SNS 연결부(150)는 개설된 대피자 SNS 단체방을 통해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재난대피 위치, 행동 요령 및 재난 물자에 대한 정보의 공유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대피자들이 숙지하지 못한 대피시 행동 요령이나,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대피시 발생하는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NS 연결부(150)는 개설된 대피자 SNS 단체방 및 구조자 SNS 단체방을 통해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재난대피 위치, 행동 요령 및 재난 물자에 대한 정보의 공유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대피자 SNS 단체방, 구조자 SNS 단체방 및 환자 SNS 단체방은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SNS 단체방으로 이루어져 대피자들과 구조자들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는 재난 발생시 대피자 단말(400)과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이 이루어진 대피자 단말(400)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후술할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대피자 분류부(220)로 전송한다. 이때,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대피자 단말(400)의 번호정보와, 대피자의 부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는 정보 관리부(250)로부터 전송되는 환자 정보를 대피자 단말(400) 및 의료진 단말(600)로 전송하여 환자의 신속한 치료 및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는 상기 대피자 단말(400) 및 의료진 단말(600)에 대피자 SNS 단체방 및 의료진 SNS 단체방이 개설된 상태라면, 상기 대피자 SNS 단체방 및 의료진 SNS 단체방에 상기 환자 정보를 전송하여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재난시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의 위치 및 부상 부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대피자 SNS 단체방 및 의료진 SNS 단체방을 통해 대피자 및 의료진 뿐만 아니라, 구조자 역시 환자의 위치 정보 및 부상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구조시 공유된 환자를 우선으로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는 정보 관리부(250)로부터 대피자들 중 노약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구조자 단말(500)과, 상기 대피자 SNS 단체방 및 구조자 SNS 단체방으로 전송함으로써, 대피자들의 구조시 노약자들의 구조가 먼저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환자 정보는 환자의 대피자 단말(400)에 대한 번호정보, 상기 환자의 부상 부위 및 통증정보를 포함하는 차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는 지도 API를 통해 대피자 단말(4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정보를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대피자 분류부(220)로 전송한다. 이때 대피자 분류부(220)는 상기 지도 API를 통해 추적된 대피자 단말(400)에 대한 정보를 관제서버(300)의 상황 모니터링부(320)로 전송하여 해당 공간 내 위치와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편의 정보 제공부(170)는 상황 감지부(110)로부터 감지된 공공장소 및 건물의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 경우에 대피자 단말(400)로 공공시설 및 건물에 입주한 상점의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와 같은 편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편의 정보 제공부(170)는 이용자 단말(400)로 비콘(100)과 연동하여 재난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설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이러한 편의 정보 제공부(170)는 상기 편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 경로 정보를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정보 관리부(250)로부터 전송받아 대피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콘(100)에는 외면으로 QR 코드가 구성된 상태로 공공시설 및 건물의 주요 부분에 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QR 코드에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정보 관리부(250)와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는 상기 비콘(100)의 각 구성요소들과 연동하여 대피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며, 비콘(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자 정보를 대피자와 환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로부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생성하여 비콘(100)으로 전송하며, 비콘(100)으로부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비콘(100)으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는 재난 정보 분류부(210), 대피자 분류부(220), SNS 관리부(230),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240), 정보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난 정보 분류부(210)는 관제서버(300)의 재난 정보 발송부(31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재난 정보 발송부(310)로부터 긴급 재난 문자를 수신받고, 상기 긴급 재난 문자의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재난의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비콘(100)의 상황 감지부(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재난 정보 분류부(210)는 재난의 유형별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비콘(100)이 부착되는 공공장소 및 건물의 각 층별 설계 데이터와 비상구 및 대피 위치 정보와, 상기 공공장소 및 건물의 과거 재난 이력 정보 등이 저장되며, 비콘(100)의 요청시 저장된 정보들을 전송하거나, 상기 비콘(100)에 저장된 과거 재난 이력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대피자 분류부(220)는 재난시 비콘(100)의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로부터 대피자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대피자 정보에 포함된 대피자 단말(400)의 번호정보와, 대피자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대피자와 환자로 분류하며, 분류된 환자는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240)로 전송한다.
SNS 관리부(230)는 비콘(100)으로부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비콘(100)의 SNS 연결부(15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SNS 단체방 개설 정보는 대피자 SNS 단체방 개설 정보, 구조자 SNS 단체방 개설 정보 및 의료진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SNS 관리부(230)는 SNS 연결부(150)로부터 대피자 단말(400),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에 상기 SNS 단체방의 개설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정보 관리부(250)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재난시 대피자, 구조자 및 의료진들에 대한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구조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240)는 대피자 분류부(220)로부터 분류된 환자정보만을 전송받고, 전송된 환자정보로부터 차트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차트정보를 SNS 관리부(230)를 통해 각각의 단말들(400, 500, 600)과 정보 관리부(250)로 상기 차트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240)는 상기 환자정보와 대응하는 대피자 단말(400)로부터 환자의 부상 부위, 부상 정도와, 통증 부위 및 통증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자의 부상 및 통증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정보에 대응하는 차트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환자의 부상 및 통증 정보 수집시 비콘(100)의 대피자 정보 제공부(160)와 연동하여 환자의 부상 및 통증 정보 입력 요청 신호를 정보 관리부(250)를 통해 대피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대피자, 또는 대피자 인근의 또 다른 대피자가 대피자 단말(400)로 환자의 부상 및 통증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의료진 단말(600)에서는 의료진 SNS 단체방을 통해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환자정보에 포함된 대피자 단말(400)로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400)에서 상기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면, 출동한 긴급 의료진 IT 기기나 스마트 폰에 가상현실을 활용한 상기 환자의 주요 손상부위, 구급대원 긴급 치료 및 처치상황, 환자번호, 활력 징후, 중증도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사망, 긴급, 응급, 비응급으로 재 분류 및 이송 현황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에는 환자의 나이, 성별, 주소, 연락처, 비콘(100)이 부착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진 단말(600)은 환자 인적 사항 공유가 이루어진 환자의 이송시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 의료기관 및 이송시간을 의료진 SNS 단체방에 안내하여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환자의 이송 위치 및 이송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정보 관리부(250)는 비콘(100)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정보들이 저장되고, 상기 비콘(100)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비콘(110)에 저장된 정보를 일정 주기 마다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비콘(100)의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120)로부터 상기 비콘(100)의 부착된 공공시설이나 건물의 재난 이력 정보 요청 신호, 또는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130) 및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180)로부터 전송되는 행동 요령 정보 요청 신호 및 재난 물자 사용 정보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재난 이력 정보 요청 신호, 또는 상기 행동 요령 정보 요청 신호 및 재난 물자 사용 정보 요청 신호에 준하는 재난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관리부(250)는 비콘(100)의 SNS 연결부(150)로부터 개설이 이루어진 SNS 단체방 정보가 전송되면, 이 SNS 단체방 정보를 관제서버(300)의 상황 모니터링부(320)로 전송하여 대피자 단말(400),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250)는 환자 정보 수집 및 안내부(240)에서 분류한 환자정보와 차트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관제서버(330)의 상황 모니터링부(320) 및 환자 이송 관리부(330)로 각각 전송하여 재난시 발생하는 환자 수와 이송 환자에 대한 정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관제서버(300)의 환자 이송 관리부(330)는 대피자 단말(400)과 연결되는 환자 가족에게 전송하여 환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공유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관제서버(300)는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재난 발생시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 긴급 재난 문자를 발송하며,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시 대피자, 구조자 및 의료진들에 대한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구조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재난 정보 발송부(310), 상황 모니터링부(320), 환자 이송 관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난 정보 발송부(310)는 공공시설이나 건물의 주변으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긴급 재난 문자를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재난 정보 분류부(210)로 전송하여 공공시설이나 건물에 위치하는 이용자들의 대피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황 모니터링부(320)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정보 관리부(250)로부터 대피자 SNS 단체방 정보, 구조자 SNS 단체방 정보 및 의료진 SNS 단체방 정보를 포함하는 SNS 단체방 정보가 전송되며, 전송된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재난 발생시 대피자 단말(400),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의 위치, 현재 상태 및 재난 상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피자 단말(400)이 위치하는 해당 공간 내 위치와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를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로 전송한다. 이에, 재난 발생시 대피자 및 환자의 신속한 구조와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환자 이송 관리부(330)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의 정보 관리부(250)로부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전송 받으며, 전송된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환자정보에 대한 대피자 단말(400)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대피자 단말(400) 정보로부터 상기 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가족들에 대한 번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기 환자의 가족들이 소지한 휴대단말로 환자의 현재 상태 및 현재 위치 정보(이송 의료기관 정보를 포함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재난시 발생하는 환자의 상태 및 상기 환자의 이송 여부와 이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송된 의료기관 정보 및 이송한 의료진 단말(600)에 대한 정보를 모든 단말(400, 500, 600)들이 공유할 뿐만 아니라, 상기 환자 가족의 휴대단말로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콘(100)에 구성되는 상황 감지부(110)에서 상기 비콘(100)이 부착된 각종 공공시설이나 건물의 현재 상태가 비 재난시에 해당하는 일반 상태인지 아니면, 재난에 해당하는 재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10)
여기서, 상기 S710 단계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가 관제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재난 문자를 분석하여 재난의 유형을 파악한 후, 파악한 결과를 비콘(1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비콘(100)이 상기 공공건물 및 건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 경우,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을 이용하는 대피자 단말(400)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대피자 단말(400)로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에서 제공하는 각종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 입주한 상점의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와 같은 편의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공공시설 및 건물의 과거 재난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720)
이때, 상기 비콘(100)에서는 상기 대피자 단말(400)의 정보 수집시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 수집된 대피자 단말(400)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비콘(100)에서 판단한 현재 상태가 재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대피자 단말(400)로 재난시 대피자가 취해야 할 행동 요령 정보와 재난 물자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대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30)
여기서, 상기 대피 위치 정보의 전송시 상기 대피자 단말(400)에 상기 대피 위치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질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따라 푸쉬 알람, 또는 문자 메세지로 전송하거나, 또는 음성인식(STT: Speech to Text) 방식,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정보 제공 방식으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비콘(100)은 수집된 대피자 단말(400)의 정보를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 전송하고, 대피자 단말(400),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들 간의 실시간 재난 상황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를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40)
아울러,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에서는 상기 비콘(100)으로부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실시간 재난 상황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는 SNS 단체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대피자 단말(400), 구조자 단말(500) 및 의료진 단말(600)들로 전송하여 실시간 재난 상황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50)
또한,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에서는 대피자 단말(400)의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대피자 정보와 환자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차트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차트정보를 관제서버(300) 및 SNS 단체방으로 전송하여 환자의 위치 정보 및 이송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60)
이때, 상기 S760 단계 이후, 상기 의료진 단말(600)은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환자정보에 포함된 대피자 단말(400)로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400)에서 상기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환자의 주요 손상부위, 구급대원 긴급 치료 현황 입력 및 재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진 단말(600)은 환자 인적 사항 공유가 이루어진 환자의 이송시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 의료기관 및 이송시간을 의료진 SNS 단체방에 안내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S760 단계 이후,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재난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의 전송시 상기 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가족들에 대한 번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기 환자의 가족들이 소지한 휴대단말로 환자의 현재 상태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70)
이때 상기 관제서버(300)는 지도 API를 통해 추적된 대피자 단말(400)의 위치정보가 재난 상황 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대피자 단말(400)이 위치하는 해당 공간, 또는 지역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콘 110: 상황 감지부
120: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 130: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
140: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 150: SNS 연결부
160: 대피자 정보 제공부 170: 편의정보 제공부
200: 재난 상황 안내서버 210: 재난 정보 분류부
220: 대피자 분류부 230: SNS 관리부
240: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 250: 정보 관리부
300: 관제서버 310: 재난 정보 발송부
320: 상황 모니터링부 330: 환자 이송 관리부
400: 대피자 단말 500: 구조자 단말
600: 의료진 단말

Claims (10)

  1. 공공시설 및 건물, 또는 피난 안내도, 촉지도 및 비상 안내표지판에 부착되며, 재난시 대피자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로 과거 재난 이력 정보, 행동 요령 정보 및 재난물자 사용 정보를 전송하며,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들 간의 재난 상황의 실시간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상기 비콘과 연동하여 상기 대피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들을 제공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자 정보를 대피자와 환자로 분류하고, 분류된 환자로부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며, 상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재난 상황 안내서버; 및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긴급 재난 문자를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 상황 및 환자의 이송 여부를 실시간 파악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는,
    재난의 유형별 데이터와, 상기 비콘이 부착되는 공공장소 및 건물의 각 층별 설계 데이터, 비상구 및 대피 위치 정보와, 상기 공공장소 및 건물의 과거 재난 이력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재난 문자를 분석하여 재난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분류부;
    상기 비콘으로부터 전송된 대피자 정보를 일반 대피자 정보와 환자정보로 분류하는 대피자 분류부;
    상기 SNS 단체방 개설 요청 신호의 전송시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SNS 단체방 개설 정보를 상기 비콘으로 전송하는 SNS 관리부;
    상기 환자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상기 환자정보로부터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환자정보 수집 및 안내부; 및
    상기 비콘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정보들이 저장 및 업데이트되고,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은,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지 재난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상황 감지부;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과거 재난 이력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대피자 단말이 비콘의 감지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대피자 단말로 상기 과거 재난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재난 이력 정보 제공부;
    상기 대피자 단말로, 상기 비콘이 부착되는 위치 및 구역에 대응하는 행동 요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이 비콘이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상황 감지부에 의해 현재 상태가 재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행동 요령 정보의 습득이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메뉴를 상기 대피자 단말로 전송하며, 선택메뉴로부터 선택된 증강현실 데이터, 가상현실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피자 단말로 전송하는 행동 요령 정보 제공부;
    상기 대피자 단말로, 재난 물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비콘이 부착되는 위치 및 구역에 대응하는 재난 물자 사용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이 상기 재난 물자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재난 물자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재난 물자 정보 제공부;
    재난 발생시 상기 재난의 유형에 따라 대피가 이루어질 상기 대피자 단말로 상기 공공시설 및 건물의 대피 위치 정보를 전송하되,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 정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정보, 또는 음성인식(STT: Speech to Text) 방식으로 전송하는 대피 위치 정보 제공부;
    상기 SNS 관리부로부터 SNS 단체방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상기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로 각각 전송하며,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보 관리부로 전송하는 SNS 연결부;
    상기 대피자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부터 노약자 정보를 전송받아 구조자 단말, SNS 단체방으로 전송하는 대피자 정보 제공부;
    상기 상황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공공장소 및 건물의 현재 상태가 일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대피자 단말로 편의 정보를 전송하며, 재난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설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편의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자 정보 제공부는, 지도 API를 통해 상기 대피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정보를 상기 대피자 분류부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는, 상기 대피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공간 내 위치와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환자정보에 포함된 대피자 단말로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피자 단말에서 상기 환자 인적 사항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동의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환자의 주요 손상부위, 구급대원 긴급 치료 및 처치상황, 환자번호, 활력 징후, 중증도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사망, 긴급, 응급, 비응급으로 재 분류 및 이송 현황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긴급 재난 문자를 상기 재난 상황 안내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발송부;
    상기 SNS 단체방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재난 발생시 대피자 단말,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의 위치, 현재 상태 및 재난 상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피자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공간 내 위치와 상황에 맞는 알림 안내 및 정보를 상기 구조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로 전송하는 상황 모니터링부; 및
    전송된 상기 환자정보 및 차트정보로부터 대피자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대피자 단말를 통해 환자의 가족들에 대한 번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기 환자의 가족의 휴대단말로 환자정보를 전송하는 환자 이송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43315A 2018-11-20 2018-11-20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315A KR102157324B1 (ko) 2018-11-20 2018-11-20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315A KR102157324B1 (ko) 2018-11-20 2018-11-20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80A KR20200058780A (ko) 2020-05-28
KR102157324B1 true KR102157324B1 (ko) 2020-09-17

Family

ID=7092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315A KR102157324B1 (ko) 2018-11-20 2018-11-20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16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화컴 블루투스 비콘으로 물리적 범위가 정의되는 가상현실 공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2582B (zh) * 2022-12-17 2023-08-15 广州城轨科技有限公司 基于bim模型及多元传感器的地铁多元数据防汛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16B1 (ko) * 2007-02-12 2008-02-01 대한민국 재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81576B1 (ko) * 2015-07-07 2016-12-01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 발생 시, 임시 연락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축 시스템, 방법 및 서버
JP2017157061A (ja) * 2016-03-03 2017-09-07 株式会社東芝 避難支援装置
JP2017174252A (ja) * 2016-03-25 2017-09-28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JP2018101879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位置情報出力システム、位置情報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936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을 기반으로 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6466A (ko) 2015-02-05 2016-08-16 김대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KR20170059261A (ko) * 2015-11-20 2017-05-30 주식회사 케이티 긴급 상황 발생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16B1 (ko) * 2007-02-12 2008-02-01 대한민국 재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81576B1 (ko) * 2015-07-07 2016-12-01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 발생 시, 임시 연락처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축 시스템, 방법 및 서버
JP2017157061A (ja) * 2016-03-03 2017-09-07 株式会社東芝 避難支援装置
JP2017174252A (ja) * 2016-03-25 2017-09-28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JP2018101879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 ゼネテック 位置情報出力システム、位置情報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16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화컴 블루투스 비콘으로 물리적 범위가 정의되는 가상현실 공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80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007B2 (en) Risk-aware management of elevator operations
JP6572363B2 (ja) 行動喚起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9860723B2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US94119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ubjects
US7880610B2 (en)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 emergency instructions
US9726503B2 (en) User-wor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user in an emergency
KR102157324B1 (ko)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2485B1 (ko)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0832409B (zh) 楼宇管理系统以及楼宇管理装置
WO2018198250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アーニング・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12872A (ko) 재난 정보 전달 방법 및 재난 정보 전달 장치
KR20200073952A (ko)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87637B1 (ko) 소방활동지원 시스템 및 소방활동지원 방법
JP6765472B2 (ja) 支援システム
JP6585319B1 (ja) 情報共有のためのシステム、ボット、及び方法
JP2010108329A (ja) 来訪者管理システム
JP2008070967A (ja) 入退管理システム、サーバ、端末、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TWI705419B (zh) 智慧型辦公室差勤去向告示系統
KR102455476B1 (ko) Qr 코드에 기반한 재난취약자 구호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구호 방법
US20240087254A1 (en) Virtual reality assisted security and distress location determination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JP7409609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
JP6734508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075283A1 (ja) 異常者予知システム、異常者予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68767A (ko)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